KR101002643B1 -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 Google Patents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43B1
KR101002643B1 KR1020090024027A KR20090024027A KR101002643B1 KR 101002643 B1 KR101002643 B1 KR 101002643B1 KR 1020090024027 A KR1020090024027 A KR 1020090024027A KR 20090024027 A KR20090024027 A KR 20090024027A KR 101002643 B1 KR101002643 B1 KR 10100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ing
string
instrument
user
system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151A (ko
Inventor
한송이
Original Assignee
한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송이 filed Critical 한송이
Priority to KR102009002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4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유형의 악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악기 선택 수단,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악기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을 연주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해야 하는 운지 위치를 악기 형상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용자의 운지 위치에 따라 그 운지 위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해당되는 미리 결정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형의 악기의 운지법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운지 위치는 그 운지 위치에 대응하는 계이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는 것인 운지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ISPLAYING STAFF}
본 발명은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및 악기 운지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 음계가 상이한 색으로 표시한 오선지가 디스플레이된 전자 악기 및 운지 위치를 대응하는 계이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는 악기 운지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악기의 악보는 오선지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오선지는 악보를 그릴 수 있도록 오선을 그은 종이를 말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어린이 및 학생들은 오선지 악보를 통해 악기 연주 방법을 배우기 시작한다. 따라서, 악보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이들은 악기 연주 방법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금방 흥미를 잃게 된다. 또한, 각 악기마다 연주법이나 운지법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악기를 익히기 위해서 각 악기 연주에 대해 개별적으로 학습하였기 때문에, 여러 악기들의 연주 방법을 연관시켜 학습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초·중고등학교 12년 동안 음악 과목을 배워도 악보 또는 계이름을 잘 읽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또한, 악보의 높은 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를 읽을 수 있다 하더라도 새로운 악기를 배우는 경우 새로운 악보에 따라 악기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 및 노력을 요하게 된다.
따라서, 악보 또는 계이름을 잘 읽지 못하는 경우에도, 곡을 쉽게 연주할 수 있고, 또한 연주를 통해 악보 및 계이름을 쉽게 익힐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악기마다 계이름과 운지법을 따로 익히지 않고, 여러 악기들의 연주법을 연결시켜 배울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선지 상에서 하나 이상의 계이름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선지가 표시된 입력 수단, 사용자가 선택한 계이름 위치에 대응되는 음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 제어 수단 및 신호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이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며, 오선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줄 및 칸은 그 위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는 것인 전자 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유형의 악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악기 선택 수단,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악기 형상 을 디스플레이하고,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을 연주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해야 하는 운지 위치를 악기 형상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용자의 운지 위치에 따라 그 운지 위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해당되는 미리 결정된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형의 악기의 운지법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운지 위치는 그 운지 위치에 대응하는 계이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는 것인 운지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지법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복수의 악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악보 선택 수단 및 사용자의 악보 선택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형태의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악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보 또는 계이름을 잘 읽지 못하는 경우에도, 전자 악기에 디스플레이된 오선지 악보 상에서 원하는 위치를 누름으로써 곡을 쉽게 연주할 수 있고, 각각의 계이름을 상이한 색을 통해 구분함으로써 악기 연주 선생님에게는 효과적인 악기 연주 교육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악기 연주 학습자에게는 효과적인 악보 연주 학습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어린이 및 학생들이 각 계이름 위치가 상이한 색으로 표시된 오선지 위를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해 직접 눌러보고, 오선지 상의 위치 및 각 음계의 색을 통해 음감을 키움으로써 각 음계가 나타내는 음을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손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아이들은 음자리표, 계이름 읽기 등 음악 기초 학습에 수반되는 강제적인 암기 학습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색을 이용하여 계이름 및 음감 등을 경험적으로 학습 및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악기 운지법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악기를 함께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다양한 악기에 대한 교육을 받을 환경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 여러 어린이들 또는 학생들이 혼자서도 악보 읽기와 악기 운지법 자리를 연결하여 레슨 선생님 없이도 혼자 악기 연주 연습을 할 수 있으며, 손쉽고 재미있게 악기 연주법을 배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악기의 운지법과 악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운지법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악보의 음표에 표시된 색과 운지법 표시부에 표시된 운지 위치의 색을 대응시켜 연주함으로써, 악보를 제대로 못 읽는 어린이들이나 학생들도 손쉽게 악기를 연주할 수 있으며, 악보와 악기를 연관시켜 악기 연주법을 익힐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악보에 대해서, 여러 종류의 악기를 번갈아 선택하면서 각 악기의 연주법을 익힘으로써 동시에 여러 가지 악기의 연주법을 용이하게 익힐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인마다 상이한 신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별로 선호하거나, 소화할 수 있는 영역대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낮은 대역의 음들을 선호하는 경우 낮은 대역의 음들을 내는 첼로를 선택하고, 높은 대역의 음들을 선호하는 경우 높은 대역의 음들을 내는 바이올린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개인별로 자신에게 맞는 음역의 악기를 선택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배우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악기가 아닌, 자신이 선호하거나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악기를 선택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악기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오선지 상에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오선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01) 상에는 사용자가 오선지 상에서 하나 이상의 계이름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선지가 표시된다. 오선지를 구성하는 각 줄 및 칸들은 그 위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7음계의 도,레,미,파,솔,라,시는 각 계이름에 따라 연상되는 단어와 관련된 색을 이용하여 대응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도는 하얀 도화지, 레: 레는 노란 레몬, 미: 미는 초록 미나리, 파: 파는 파란 파랑색, 솔: 솔은 갈색 솔방울, 라: 라는 라볶이(라면을 이용한 분식 요리)의 빨간색, 시: 시는 회색 시멘트와 같이 각 계이름을 특정 색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옥타브가 다른, 즉 음의 높이가 다른 동일한 계이름의 음들을 구별하기 위해, 예컨대 계이름 "파" 중 높은 옥타브의 "파"는 옅은 파란색, 낮은 옥타브의 "파"는 진한 파란색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음계의 위치를 상이한 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는 각 음계를 오선지 상의 위치뿐만 아니라 색만으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각 계이름을 상이한 색으로 구별함으로써, 악보를 제대로 못읽는 사람들도 각 계이름에 대응되는 특정색을 떠올리고 오선지 상에서 그 색이 나타난 부분을 눌러 원하는 음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악기는 음자리표의 종류를 선택하고, 현재 실행되는 음자리표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선택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은 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와 같은 특정 음자리표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오선지 상의 각 위치에서 음의 높이 및 계이름이 정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음자리표에 따라 오선지 상의 음계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104)를 이용하여 높은 음자리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오선지 상의 다섯 개의 선들 중 가장 아래 줄의 위치가 계이름 "미"에 대응하고, 오선지 상의 네 개의 칸들 중 가장 아래 칸의 위치가 계이름 "파"에 대응할 것이다. 모드 선택 부(104)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낮은 음자리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아래에서 두번째 칸, 즉 높은 음자리표에서 계이름 "라"에 대응하는 위치가 낮은 음자리표 모드에서의 계이름 "도"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낮은 음자리표 모드의 경우 각 칸 및 줄의 색이 높은 음자리표 모드의 경우와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다.
사용자는 입력부(101) 상에 디스플레이된 오선지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손가락 또는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 입력부(101)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선지의 각 줄 및 각 칸에 압력 또는 열을 감지(sensing)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오선지 상에서 어느 줄 및/또는 칸을 눌렀는지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 개의 줄 및/또는 칸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한 복수 개의 센서가 각각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CPU를 포함하며, 전자 악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계이름 위치에 대응되는 음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고, 원하는 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생성된 신호를 음향 출력부(10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부(101)를 통해 높은 음자리표 모드에서 오선지 상에서 위에서 두번째 칸을 누른 경우, 제어부(102)에서 이 위치에 해당하는 높은 "도" 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를 음향 출력부(103)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낮은 음자리표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낮은 음자리표의 음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계이름 위치에 대응되는 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또한, 오선지 상에서 동시에 복수 개의 줄 및/또는 칸이 눌러진 경우, 눌러진 위치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음들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생성 및 전송될 것이다.
음향 출력부(103)는 제어부(102)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음향 출력부(103)는 제어부(10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선택한 음들을 나타내는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프로세서(또는 미디 프로세서) 및 상기 음들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의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01)는 각 줄 및 칸이 그 위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는 오선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오선지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높은 음자리표에서의 낮은 "도"를 표시하기 위해 오선지 아래에 짧은 선(211)을 하나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오선지 상의 다섯 개의 줄 및 네 개의 칸은 각각의 위치가 나타내는 계이름을 따라 특정색으로 표시된다. 도 2는 높은 음자리표 상의 오선지에서의 각 계이름에 대해 미리 결정된 7가지 색(도: 흰색, 레: 노란색, 미: 초록색, 파: 파란색, 솔: 갈색, 라: 빨간색, 시: 회색)으로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음자리표의 계이름 "미"에 해당하는 위치, 즉 다섯 개의 줄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줄 및 네 개의 칸 중 가장 위에 위치한 칸은 "미"에 대응되는 색인 초록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만, 낮은 옥타브의 "미"에 해당하는 가장 아래에 위치한 줄은 진한 초록색으로, 높은 옥타브의 "미"에 해당하는 가장 위에 위치한 칸은 옅은 초록색으로 나타내어, 낮은 "미"와 높은 "미"를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악기는 모드 선택부(202)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입력부(201)의 왼쪽 부분에 높은 음자리표 또는 낮은 음자리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 표시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202)를 통해 높은 음자리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모드 표시부(203)에 높은 음자리표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202)를 통해 낮은 음자리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모드 표시부(203) 상에 낮은 음자리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201)를 통해 오선지 상의 특정 음계의 위치를 누르는 경우, 그 위치에 대응하는 음이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된다. 사용자가 오선지 상에서 동시에 복수의 음계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단일음이 아닌 화음이 스피커(20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단독으로 구성된 전자 악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전자 악기 는 학습용 칠판 또는 화이트 보드 위에 부착되거나,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벽면 위에 부착되거나, 벽면 내부에 내장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전자 악기는 휴대용 전자 악기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지법 표시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다. 운지법 표시 장치는 제어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메모리부(330) 및 음향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악기 선택 제어부(301), 악기 표시 제어부(302) 및 운지 위치 표시 제어부(303)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320), 메모리부(330) 및 음향 출력부(340)와 연결되어 운지법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20)는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악기를 선택하고 각 악기의 특정 위치에 운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악기의 형상 및 운지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320)의 표면 상에 압력 또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320) 상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악기 선택 제어부(301)는 사용자가 복수 유형의 악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악기 선택 제어부(301)는 디스플레이 부(320)에 여러 유형의 악기, 예컨대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리코더 등을 그림 또는 문자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의 악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320) 상에서, 원하는 악기를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접촉함으로써 악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악기를 선택하면, 악기 선택에 응답하여 악기 표시 제어부(302)는 선택된 악기의 형상을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악기의 형상은 각 악기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악기의 형상은 악기의 전체 모습을 포함하거나, 악기 중에서 손 또는 활로 연주되는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건반 악기 중 하나인 피아노가 선택된 경우에는 피아노 건반의 일부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현악기 중 하나인 첼로가 선택된 경우에는 첼로 전체 모습 또는 첼로의 4개의 현의 일부분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관악기의 경우 여러 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하여 연주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하나의 악기만을 도시하여 각 음계에 대한 운지법을 나타내기 어렵다. 따라서, 예컨대, 관악기 중 하나인 리코더에 대해서 7음계의 운지법을 개별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7개의 리코더를 디스플레이하여야 할 것이다. 각각의 디스플레이된 리코더에는 손가락들의 운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8개의 구멍이 표시되어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악기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특정 악기의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면, 운지 위치 표시 제어부(303)는 디스플레이된 악기 형상 상에서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을 연주하기 위해 손가락이 위치해야 하는 운지 위치가 표 시되도록 해준다. 여기서, 손가락이 위치해야 하는 운지 위치는 각 계이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계이름에 대해 미리 결정된 7가지 색(도: 흰색, 레: 노란색, 미: 초록색, 파: 파란색, 솔: 갈색, 라: 빨간색, 시: 회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피아노가 선택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된 각 건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따라 각 건반의 색이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고, 첼로가 선택된 경우에는 왼손가락이 위치해야 하는 운지 위치에 대응되는 계이름에 따라 그 운지 위치 상에 표시된 운지 위치 표시부의 색이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관악기 예컨대, 리코더가 선택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리코더가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여러 손가락들의 운지 위치가 각 계이름마다 별개의 리코더 상에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리코더 상에서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을 연주하기 위해 손가락들이 위치하여야 할 구멍 위치, 즉 손가락들로 막아야 할 구멍 위치를 그 연주하는 계이름에 대응하는 색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특정 악기의 형상 및 운지 위치가 표시된 후에, 사용자는 표시된 운지 위치 상에 손가락 또는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320) 상에서, 운지 위치를 손가락 또는 손을 누르거나, 접촉함으로써 원하는 운지 위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한 센서는 그 운지 위치와 관련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310)는 그 전기적 신호로부터 운지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그 운지 위치에 대응되는 음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원하는 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생성된 신호를 음향 출력부(340)로 전송한다.
음향 출력부(340)은 제어부(310)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음향 출력부(340)는 제어부(3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선택한 음들을 나타내는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프로세서(또는 미디 프로세서) 및 상기 음들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다양한 악기의 음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340)는 메모리부(330)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310)를 통해 해당 악기의 음과 관련된 신호들을 수신하여, 현재 선택된 악기에 대응하는 음향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현악기인 첼로의 운지 위치 표시 방법과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한다. 도 4에는 일반적인 첼로의 형상(401)과 첼로 운지법을 표시하기 위해 첼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0)가 도시된다. 첼로는 4개의 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왼쪽 현부터 오른쪽으로 각각 계이름 "도", "솔", "레", "라"에 해당하는 음에 대응된다. 따라서, 왼손 운지 없이 활을 이용하여 현을 키는 경우, 즉 개방현인 채로 연주하는 경우 왼쪽에서 첫번째 현은 "도", 왼쪽에서 두번째 현은 "솔", 왼쪽에서 세번째 현은 "레", 왼쪽에서 네번째 현은 "라"에 대응하는 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첼로의 윗부분(왼손 운지 위치와 관련된 부분)만이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네 개의 현들(411,412,413,414)은 각각 상이한 색, 예컨대 "도"에 대응하는 첫번째 현(411)은 흰색, "솔"에 대응하는 두번째 현(412)은 갈색, "레"에 대응하는 세번째 현(413)은 노란색, "라"에 대응하는 네번째 현(414)은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왼손 운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왼손 운지 위치를 디스플레이부(410)에 도시된 네 개의 현들(411,412,413,414)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첼로의 현 상에서 왼손 운지 위치의 수직 높이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첼로 형상 상에 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네 개의 수직선들(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첼로 형상 위에서, 첼로의 현들(411,412,413,414)과 수직선들(420)을 기준으로 하여 왼손 운지 위치가 표시된다.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운지 위치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색을 가진 원 모양을 갖는 운지 위치 표시부(430)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 모양 아래에 그 계이름에 대응하는 색을 갖는 계이름이 병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0) 상에 디스플레이된 첼로 형상 및 운지 위치 표시부(430)를 통해 첼로의 운지법을 쉽게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지법 표시 장치는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지법 표시 장치는 악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가 복수의 악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악보 선택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및 선택된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악보 표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악보를 보면서 악보에 도시된 하나 하나 의 음표를 보고, 그 음표에 대응되는 운지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악보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부(330)에 미리 결정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악보는 오선지 상에 기재된 음표의 색이 그 음표의 계이름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악보의 오선지 상에 기재된 음표가 그 계이름에 따라, 미리 결정된 7가지 색(도: 흰색, 레: 노란색, 미: 초록색, 파: 파란색, 솔: 갈색, 라: 빨간색, 시: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지법 표시부(501) 및 악보 표시부(502)를 포함하는 운지법 표시 장치의 외형이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운지법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 및 악보에 따라, 운지법 표시부(501) 상에 선택한 악기의 형상 및 운지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악보 표시부(502) 상에 선택한 악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는 운지법 표시부(501) 또는 선택 버튼부(503)를 통하여 원하는 악기, 악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운지법 표시부(501) 상으로의 사용자의 운지에 응답하여, 스피커(504) 상으로 사용자의 운지 위치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된다. 도 5에 도시된 운지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악보의 음표에 표시된 색과 운지법 표시부에 표시된 운지 위치의 색을 대응시켜 연주함으로써, 악보와 악기를 연관시켜 악기 연주법을 익힐 수 있다.
도 5에는 단독으로 구성된 운지법 표시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운지법 표시 장치는 학습용 칠판 또는 화이트 보드 위에 부착되거나,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벽면 위에 부착되거나, 벽면 내부에 내장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지법 표시 장치는 휴대용 운지법 표시 장치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고, 본원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또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서 고려된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지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지법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첼로 운지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지법 표시부 및 악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운지법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의 현악기의 운지법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의 현악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현악기 선택 수단;
    상기 현악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현악기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현악기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각 계이름에 대응하는 음을 연주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해야 하는 운지 위치를 나타내는 운지 위치 표시부를 상기 현악기의 각각의 현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운지 위치에 따라 그 운지 위치에 대응하는 계이름에 해당하는, 선택된 현악기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출력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운지 위치 표시부는 상기 운지 위치에 대응하는 계이름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현은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각각의 현의 색은 그 현을 개방현인 채로 연주할 때 나오는 음에 대응하는 계이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현악기 운지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복수의 악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악보 선택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악보 선택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형태의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악보 표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현악기 운지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형태의 악보는 악보에 기재된 음표의 색이 그 음표의 계이름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되는 것인 운지법 표시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표면 상에 압력 또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현악기 운지법 표시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24027A 2009-03-20 2009-03-20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KR101002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27A KR101002643B1 (ko) 2009-03-20 2009-03-20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27A KR101002643B1 (ko) 2009-03-20 2009-03-20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51A KR20100105151A (ko) 2010-09-29
KR101002643B1 true KR101002643B1 (ko) 2010-12-23

Family

ID=4300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27A KR101002643B1 (ko) 2009-03-20 2009-03-20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733B1 (ko) * 2014-10-27 2018-01-24 한송이 음악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10009535A (ko) 2019-07-17 2021-01-27 이성길 연습용 기타 시스템 및 악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262A (ja) 1997-03-01 1998-09-11 Hiroshi Akitani 五線譜を押して演奏する電子楽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262A (ja) 1997-03-01 1998-09-11 Hiroshi Akitani 五線譜を押して演奏する電子楽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733B1 (ko) * 2014-10-27 2018-01-24 한송이 음악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10009535A (ko) 2019-07-17 2021-01-27 이성길 연습용 기타 시스템 및 악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51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9721B2 (en) Kit and method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US5415071A (en) Method of and means for producing musical note relationships
JP2013515288A (ja) 教育用弦楽器タッチスクリーンシミュレーション
US8158869B2 (en) Music teaching tool for steel pan and drum players and associated methods
US5962800A (en) Scale-based music notation system
US20080295670A9 (en) Morpheus music notation devices and system
US10013961B1 (en) Musical notation system for piano
EP3100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composing,and playing music with physical objects
WO2000011635A1 (fr) Methode de notation musicale et ecriture musicale
US8431807B1 (en) Magic key of learning
US3827330A (en) Music teaching device
US20120272811A1 (en) Music Wormhole, A Music Education and Entertainment System
KR20190112931A (ko)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US11127383B1 (en) Musical notation system
KR101002643B1 (ko) 오선지가 표시된 전자 악기
US8686268B1 (en) System of associating sheet music notation with keyboard keys and sight reading
US20200066239A1 (en) Sang Lee's Music Notation System, SALEMN, Maps Out Space-Time Topology of Sound, Enriches Palettes of Colors via Hand-Brush Techniques
US7554025B2 (en) Visual chord keyboard instructional method
KR102468278B1 (ko) 반음 및 온음을 시각화하여 연주할 수 있는 현악기 교구
US20170025034A1 (en) Magic Music Method
KR102249097B1 (ko) 현악기 운지 학습용 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과 학습장치
KR200436259Y1 (ko) 음악 학습교재의 교육부재
JP6155458B1 (ja) ビートチャート数字譜
JP2018124335A (ja) 鍵盤楽器学習用譜面表示装置
JP2876270B2 (ja) ギター教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