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600A -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600A
KR20210064600A KR1020190153003A KR20190153003A KR20210064600A KR 20210064600 A KR20210064600 A KR 20210064600A KR 1020190153003 A KR1020190153003 A KR 1020190153003A KR 20190153003 A KR20190153003 A KR 20190153003A KR 20210064600 A KR20210064600 A KR 2021006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music
string
not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026B1 (ko
Inventor
임미영
송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Priority to KR102019015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4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학습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학습 대상인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는 형상을 갖고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높이와 색깔을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의 상측 또는 하측에 기재되고, 해당 음계의 높이 또는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기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MUSIC LEARNING TOOL AND MUSIC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학습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통 현악기, 관악기, 건반악기 등의 악기를 이용하여 노래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악기의 연주법을 익힌 상태에서 악보를 파악하여 연주하게 된다.
여기에서 악보란 노래를 기보법에 따라 오선에 악상기호를 표시하여 기록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악상기호는 오선을 제외한 모든 기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음표, 셈여림표, 쉼표 등을 포함함으로써 노래의 내용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작곡가와 연주자 사이의 약속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0141818호(이하 종래기술)는 전자악기의 음악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악보와 건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도의 엘씨디 모듈(40),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30) 및 음원발생용 집적소자(50)를 구비하여 화면상에 선택된 곡의 악보를 띄워주고 학습자가 연습해야할 것을 커서로 표시하여 리드함으로써 멜로디와 코드의 노트와 리듬의 연주를 습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오선, 악상기호 등의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악기를 보다 쉽게 익히고 연주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선, 악상기호 등의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보다 쉽게 악기를 익히며 연주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학습 대상인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는 형상을 갖고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높이와 색깔을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의 상측 또는 하측에 기재되고, 해당 음계의 높이 또는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기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콘은 기준 음표의 박자를 갖고, 상기 해당 음표의 박자가 상기 기준 음표의 박자보다 길 경우, 노래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해당 음표와 상기 기준 음표의 박자 차이만큼 표시되고 상기 기준 음표의 박자와 동일 길이의 박자를 나타내는 추가 아이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보다 흐리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이 지지되는 브릿지를 구비한 현악기에 설치되는 현악 교보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악 교보재는 상기 스트링마다 서로 다른 캐릭터가 부여된 다수의 캐릭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부재는 상기 캐릭터가 인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분기되는 한 쌍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이 끼워지는 절개부 및 상기 다리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부의 일면과 상기 브릿지를 접착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해당 음계 및 음표를 대체하도록 상응하는 높이와 색깔을 갖는 아이콘을 포함함으로써, 오선 개념과 악상기호와 같은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보다 쉽게 악기를 익히며 노래를 연주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음계의 높이 또는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기호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악기를 연주토록 하기 때문에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으로 하여금 보다 쉽게 악기를 익히며 노래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아이콘을 포함함으로써,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박자 감각을 갖고 노래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현악 교보재를 포함함으로써,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현악기를 익히며 노래를 연주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쇄물이 구비된 건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현악기 및 현악 교보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캐릭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LT)는 학습자(어린이 등)가 여러 가지 개념을 다양한 음악 활동으로 표현하고, 상징적 표상을 통해 스스로 음악적 개념을 인지하는 보드만의 생성적 교수이론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움직임, 언어, 그림 등을 통한 심미적 경험을 통해 음악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구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LT)를 설명의 편의상 '본 교구'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교구(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LT))는 아이콘(1) 및 숫자기호(2)를 포함한다. 도 1은 악기 중 건반 악기를 학습시키기 위한 본 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2는 악기 중 현악기를 학습시키기 위한 본 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아이콘(1)은 악보에 표시되되, 아이콘(1)은 학습 대상인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는 형상을 가지며 악보에서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노래의 특징은 노래의 주제, 제목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노래가'나비야'를 제목으로 하는 동요인 경우(도 1 참조), 그 노래의 제목과 가사를 바탕으로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나비 형상의 아이콘(1)이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노래가 '비행기'를 제목으로 하는 동요인 경우(도 2 참조), 그 노래의 제목과 가사를 바탕으로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비행기 형상의 아이콘(1)이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는 형상을 갖는 아이콘(1)을 포함함으로써 유아의 인지 발달단계에 적합한 음악 학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그림 등을 통한 심미적 경험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음악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음표 등의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음악에 보다 친근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음악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이콘(1)은 해당 음표의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된다. 상술하였듯이 아이콘(1)은 악보에 표시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예시적으로 본 교구는 오선이 없는 마디 각각에 다수의 아이콘(1)이 표시되되 해당 음표의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각 마디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해당 음계에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아이콘(1)을 포함함으로써, 공간개념에 대한 학습을 강화 할 수 있고, 음의 높이와 악보에서의 표현 방식(기보법)을 효과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며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인쇄물이 구비된 건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아이콘(1)은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색깔을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는 파란색, '라'는 노란색, '시'는 초록색, '솔'은 주황색, '파'는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본 교구는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색깔을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아이콘(1)을 포함함으로써,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의 학습자에게 색을 통한 인지학습을 유도하여 보다 흥미를 유발시키며 효과적으로 음악을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교구는 해당 음계를 출력하도록 악기에 동작을 가하는 입력부(예시적으로 건반 악기에서 건반, 현악기(SI)에서 현(스트링(SI1), 관악기에서 통공과 통공에 인접한 부분 등)에 구비되고,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색깔을 나타내는 인쇄물(PR)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즉, 학습자가 악보에 표시되고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색깔을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된 아이콘(1)의 색깔과 악기에서의 인쇄물(PR)의 색깔을 매치하여 악기를 보다 수월하게 연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교구는 아이콘(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기재되고, 해당 음계의 높이 또는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기호(2)를 포함한다. 숫자기호(2) 또한 아이콘(1)과 같이 악보 상에 표현될 수 있으며, 상측 또는 하측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을 의미할 수 있다.
숫자기호(2) 또한 아이콘(1)과 같이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색깔을 가지며 표시될 수 있다.
숫자기호(2)가 해당 음계의 높이를 나타내는 경우, 학습자가 음의 높이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으며, 숫자기호(2)가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는 경우, 악기의 연주 기법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손가락 번호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4'로 나타나는 숫자기호(2)는 해당 음표를 대체하는 아이콘(1)을 약지를 이용하여 악기를 연주해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0'으로 나타나는 숫자기호(2)는 악기(예시적으로 현악기(SI))에서 해당 음계를 표현하기 위해 동작을 가하는 입력부(예시적으로 현악기(SI)에서 현(스트링(SI1))을 터치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가 숫자기호(2)를 포함함으로써, 손가락 번호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익혀 악기 연주를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고, 상기 색깔과 숫자기호(2)를 매치하는 경우 상기 색깔과 상응하는 해당 음계를 출력하기 위한 손가락 번호를 인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이콘(1)은 기준 음표의 박자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노래가 4분의 4박자일 경우 4분음표가 상기 기준 음표(단위, 1박자)가 되고, 한 마디에 4분음표가 4개 들어갈 수 있으므로, 한 마디에 4개의 아이콘(1)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교구는 해당 음표의 박자가 기준 음표의 박자보다 길 경우, 악보에서 노래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해당 음표와 기준 음표의 박자 차이만큼 표시되고 기준 음표의 박자와 동일 길이의 박자를 표시하는 추가 아이콘(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아이콘(3)은 아이콘(1)보다 흐리게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노래가 4분의 4박자이고 한 마디 안에 2분음표를 갖는 해당 음표가 표시된 경우, 일단 2분음표인 해당 음표는 기준 음표(4분음표)의 박자를 갖는 상기 아이콘(1)으로 대체되고, 노래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개의 추가 아이콘(3)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노래의 진행 방향은 기보법을 따르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추가 아이콘(3)을 포함함으로써, 악상기호 등의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직관적으로 박자 개념을 익히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현악기 및 현악 교보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캐릭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교구는 다수의 스트링(SI1) 및 상기 스트링(SI1)이 지지되는 브릿지(SI2)를 구비한 현악기(SI)에 설치되는 현악 교보재(4)를 포함할 수 있다.
현악 교보재(4)는 스트링(SI1)마다 서로 다른 캐릭터(CA)가 부여된 다수의 캐릭터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캐릭터(CA)는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현악기(SI)는 첼로일 수 있고, C현에 할아버지를 나타내는 캐릭터(CA)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 설치되고, G현에 할머니를 나타내는 캐릭터(CA)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D현에 아버지를 나타내는 캐릭터(CA)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가 설치될 수 있고, A현에 어머니를 나타내는 캐릭터(CA)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비행기 형상의 아이콘(1)을 C현으로 연주해야 할 경우, 본 교구는 악보 상에 할아버지를 나타내는 캐릭터(CA)가 표시될 수 있다. 학습자는 악보에서 캐릭터(CA)(예시적으로 할아버지)를 파악하여, 캐릭터(CA)(예시적으로 할아버지)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가 설치된 현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악기(SI)에서 각 스트링(SI1)마다 각각 서로 다른 캐릭터(CA)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가 설치됨으로써,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의 학습자로 하여금 현악기(SI)에 보다 흥미를 유발시키며 친근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현악기(SI)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캐릭터부재(41)는 캐릭터(CA)가 인쇄된 헤드부(411), 헤드부(411)에서 분기되는 한 쌍의 다리부(412), 다리부(412) 사이에 형성되고 스트링(SI1)이 끼워지는 절개부(413) 및 다리부(412)의 일면에 구비되어 다리부(412)의 일면과 브릿지(SI2)를 접착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링(SI1)이 음을 내도록 유지하며 스트링(SI1) 각각에 캐릭터(CA)가 부여된 캐릭터부재(41)를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리부(412)를 접착수단을 통해 브릿지(SI2)에 접착시킴으로써 스트링(SI1)과 캐릭터부재(41)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수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풀, 본드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교구는 아이콘(1)의 상측에 올림활(up bow)을 나타내는 올림기호(51) 및 내림활(down bow)을 나타내는 내림기호(52)를 포함하는 운궁법기호(5)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악보를 최소한으로 간소화시키며 악보와 계이름을 모르는 학생 역시도 현악기(SI)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이하 본 방법)은 상술한 본 교구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으로서, 상술한 본 교구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기 때문에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교구에서 아이콘(1), 숫자기호(2) 등은 악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악보는 종이 상에 표시되는데 반복 사용으로 인해 헤지거나 외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할 수 있고, 또한 수분에 의해 젖거나 하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교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아이콘(1) 및 숫자기호(2) 등이 표시되는 악보의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막(G)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막(G)은 상기 악보의 외면에 접하되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접착층(G1), 상기 접착층(G1)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상기 발열층(G2)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2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중간층(G3) 및 상기 중간층(G3)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3온도 이상에서 연화되는 보호층(G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막(G)은 보호층(G4)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이 경도가 높아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악보에 스크래치, 찢어짐, 헤짐 등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되며, 발수성을 구비하여 악보가 젖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코팅막(G)은 표면의 보호층(G4)과 달리 보다 낮은 온도인 제1온도 범위 및 제2온도 범위에서 각각 연화되는 접착층(G1)과 중간층(G3)을 포함함으로써, 코팅막(G) 표면에 구비되는 보호층(G4)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열팽창, 굽힘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코팅막(G)의 잔류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벗겨짐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악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접착층(G1)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 Polybutylacrylate)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G1)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후술하는 발열층(G2)과 악보의 외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 구배가 생겨 접착층(G1)에서 악보의 외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연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두께는 0.020mm 내지 0.15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접착층(G1)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합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G1)의 연화 온도는 90℃ 내지 100℃로서 상기한 제1온도 범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코팅막(G)에서 접착층(G1)은 제일 낮은 온도인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므로 악보의 외면과 접착력이 우수하여 박리가 억제된다.
발열층(G2)은 상기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폴리아세틸렌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폴리아세틸렌은 공액 이중 결합 상태에서 전자가 흐르는 틈새가 없지만, 요오드와 같이 이종의 저분자를 혼입함으로써 틈새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전자가 흐름으로써, 전기를 인가하는 경우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층(G2)을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접착층(G1)과 후술하는 중간층(G3)을 연화시키기 위해 큰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코팅막(G)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중간층(G3)은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100 중량부 및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접착층(G1) 및 보호층(G4)간의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어 사용 중 피막박리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G3)의 연화 온도는 150℃ ~ 160℃로서 상기 제2온도 범위에 해당된다.
상기 보호층(G4)은 톨루엔중의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이 50 중량부, 실리콘-함유 섬유 50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50 중량부, 망간옥사이드 6 중량부,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 1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메틸페닐실로산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연화 온도가 감소하여, 상기 제2온도 범위와의 차이가 적어지며 경도가 감소되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않다. 실리콘-함유 섬유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수성이 떨어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발수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실리콘카바이드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이 감소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가 18 중량부 미만일 경우 표면 경도 및 내마모성이 감소되고 1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정도가 뚜렷하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이와 같은, 보호층(G4)의 연화 온도는 650℃(상기 제3온도)로서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인 제3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도 경도를 유지하여 내마모성을 유지하고, 발수성을 유지하므로 악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막(G)은 악보의 외면에 구비되어, 악보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 형상과 외력에 의한 굽힘 등에 의해 압축 응력, 인장 응력과 같은 잔류 응력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잔류 응력 발생되는 경우, 코팅막(G)은 크레이징(crazing)이라 불리는 미세실금, 크랙, 힐록(hillock), 주름(wrinkling), 파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G1) 및 중간층(G3)이 각각 제1온도 범위와 제2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접착층(G1)과 중간층(G3) 각각에 잔류 응력을 제거하여 잔류 응력에 의한 파괴 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때 보호층(G4)이 연화되지 않도록 발열층(G2)은 제3온도 미만으로 발열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접착층(G1), 중간층(G3)이 각각 제1온도 범위 및 제2온도 범위에 도달하여 연화하는 과정 중에서도 보호층(G4)은 연화되지 않아 우수한 경도, 내마모성, 발수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발열층(G2)이 제2온도 범위에서 제1온도 범위와 인접한 온도(예시적으로 150℃)로 발열되는 경우, 중간층(G3)의 연화 정도는 접착층(G1)보다 적게 되어 중간층(G3)이 접착층(G1)과 보호층(G4)의 완충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접착층(G1)과 보호층(G4)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호층(G4)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팅막(G)의 잔류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악보를 스크래치, 찢어짐, 헤짐, 젖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부 환경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LT 아이콘: 1
숫자기호: 2 추가 아이콘: 3
현악 교보재: 4 캐릭터부재: 41
헤드부: 411 다리부: 412
절개부: 413 캐릭터: CA
현악기: SI 스트링: SI1
브릿지: SI2

Claims (4)

  1. 학습 대상인 노래의 특징을 표현하는 형상을 갖고 해당 음계에 상응하는 높이와 색깔을 가지며 해당 음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의 상측 또는 하측에 기재되고, 해당 음계의 높이 또는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기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기준 음표의 박자를 갖고,
    상기 해당 음표의 박자가 상기 기준 음표의 박자보다 길 경우, 노래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해당 음표와 상기 기준 음표의 박자 차이만큼 표시되고 상기 기준 음표의 박자와 동일 길이의 박자를 나타내는 추가 아이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아이콘은 상기 아이콘보다 흐리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스트링 및 상기 스트링이 지지되는 브릿지를 구비한 현악기에 설치되는 현악 교보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악 교보재는 상기 스트링마다 서로 다른 캐릭터가 부여된 다수의 캐릭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부재는 상기 캐릭터가 인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분기되는 한 쌍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이 끼워지는 절개부 및 상기 다리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다리부의 일면과 상기 브릿지를 접착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4. 청구항 1에 기재된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KR1020190153003A 2019-11-26 2019-11-26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KR10232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03A KR102324026B1 (ko) 2019-11-26 2019-11-26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03A KR102324026B1 (ko) 2019-11-26 2019-11-26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00A true KR20210064600A (ko) 2021-06-03
KR102324026B1 KR102324026B1 (ko) 2021-11-09

Family

ID=7639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03A KR102324026B1 (ko) 2019-11-26 2019-11-26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08A (ko) * 2022-02-11 2023-08-18 한금채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020A (ja) * 2002-06-18 2004-01-22 Tsutsumi Ongakuin:Kk 音楽用キーボード及び電子楽器並びに電子楽器演奏システム
JP2007121343A (ja) * 2005-10-25 2007-05-17 Seijiro Yonesu 弦楽器
JP2011509800A (ja) * 2008-01-24 2011-03-31 745 エルエルシー 弦付きコントローラおよび/または楽器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装置
KR20190050246A (ko) * 2017-11-02 2019-05-10 한송이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KR20190112931A (ko) * 2018-03-27 2019-10-08 이승열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020A (ja) * 2002-06-18 2004-01-22 Tsutsumi Ongakuin:Kk 音楽用キーボード及び電子楽器並びに電子楽器演奏システム
JP2007121343A (ja) * 2005-10-25 2007-05-17 Seijiro Yonesu 弦楽器
JP2011509800A (ja) * 2008-01-24 2011-03-31 745 エルエルシー 弦付きコントローラおよび/または楽器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装置
KR20190050246A (ko) * 2017-11-02 2019-05-10 한송이 현악기 운지 키트 및 이를 사용하여 만든 현악기 운지 교구
KR20190112931A (ko) * 2018-03-27 2019-10-08 이승열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08A (ko) * 2022-02-11 2023-08-18 한금채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026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1878B2 (en) Musical instrument display
US8399756B1 (en) Guitar strip
US8704066B2 (en) Removable fretboard stickers with musical indicia
US8664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education
US7897862B2 (en) Stringed instrumen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music not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visual aid
US20080127810A1 (en) Morpheus music notation devices and system
US20020117043A1 (en) Music tone identification method related with apparatus, notation, and instruments
KR102324026B1 (ko) 아이콘이 표시된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음악 학습 방법
US6284961B1 (en) System for associating musical notation with keys on a musical instrument
US11810539B2 (en)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the DAMONN music notation system
US10121458B1 (en)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learning of musical scales on string instruments
US8378195B2 (en) Chord teaching apparatus
Proulx A pedagogical guide to extended piano techniques
US20200066239A1 (en) Sang Lee's Music Notation System, SALEMN, Maps Out Space-Time Topology of Sound, Enriches Palettes of Colors via Hand-Brush Techniques
US20140116232A1 (en) Learning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CN107798951A (zh) 一种启蒙钢琴
JP3222207U (ja) 派生音識別譜面
JP2005141177A (ja) 弦楽器演奏表示用シール及び弦楽器並びに弦楽器教育法
CN111816029B (zh) 小提琴学习辅助装置
JP3215664U (ja) 派生音識別譜面
JPS6213084Y2 (ko)
JP2581285Y2 (ja) 楽 譜
GB2429329A (en) An aid to learning to play a stringed instrument
JP3197837U (ja) 楽譜用シール
KR100856655B1 (ko) 건반 악기를 이용한 곡의 연주를 위한 악보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