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283Y1 -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283Y1
KR200339283Y1 KR20-2003-0033355U KR20030033355U KR200339283Y1 KR 200339283 Y1 KR200339283 Y1 KR 200339283Y1 KR 20030033355 U KR20030033355 U KR 20030033355U KR 200339283 Y1 KR200339283 Y1 KR 200339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hip
unit
string instrument
fingerboard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중진
김대희
강신우
Original Assignee
강신우
김대희
황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우, 김대희, 황중진 filed Critical 강신우
Priority to KR20-2003-0033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Abstract

본 고안은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악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현악기 지판의 가압지점을 LED 램프를 통하여 표시해 줌으로서 해당 연주곡의 악보가 없는 경우나 현악기의 교습시에 매우 간편하게 해당 현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특정 연주곡에 대한 연주코드 데이터나 현악기 교습을 위한 장조에 따른 음계 및 코드ㆍ스케일 등의 학습자료에 대응하는 지판의 가압지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칩과, 현악기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줄과 대응되는 지판의 가압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판의 해당 가압지점을 순차적으로 점멸하면서 표시하는 다수 개의 LED 램프부와,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독출하거나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LED 램프부의 점멸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키조작부 및, 상기 키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특정 연주곡의 연주코드나 각종 학습자료에 대응하는 지판의 해당 가압지점이 상기 LED 램프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A LAMP SYSTEM OF THE STRINGS}
본 고안은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나 바이올린, 가야금 등과 같은 각종 현악기의 연주시에 연주하고자 하는 일정 곡의 연주코드에 해당되는 지판의 가압지점을 LED 램프를 통하여 표시해 줌으로서 악보가 없는 상태나 현악기 교습자의 경우에도 각종 현악기를 보다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현악기는 다수 개의 줄을 조율한 상태에서 연주하고자 하는 곡에 따라 해당 현을 퉁기거나 또는 해당 현의 지판을 가압한 상태에서 현을 켜거나 퉁기는 방법 등을 통하여 연주를 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현악기(기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기타는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앞판과 뒤판 및 옆판이 상호 연결되어 일정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몸체부(1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으로는 일정 길이를 갖는 네크부(16)가 연장 형성된 후 상기 네크부(16)의 단부에는 그 양측에 다수 개의 페그부(19)가 구비된 헤드부(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네크부(16)의 상면에는 지판(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판(20)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지판(20)을 구획하는 다수 개의 프렛(22)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프렛(22)의 사이에는 상기 프렛(22)의 구분을 위한 포지션 마크(도시안됨)가 형성된다.
또,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에는 브릿지(12) 부분을 통해 다수 개 줄(30)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줄(30)은 상기 몸체부(10) 상면의 사운드홀(14) 및 상기 지판(20) 상면을 가로질러 그 타단부가 상기 헤드부(18)의 페그부(19)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타의 연주자는 자신의 머릿속에 기억된 연주코드 또는 악보에 기재된 해당 연주코드에 따라 손가락으로 해당 줄(30)의 일정 지점을 순차적으로 지판(20)에 가압시키면서 상기 사운드홀(14) 주위의 줄(30)을 치거나 퉁기므로서, 상기 기타를 통해 해당 곡의 연주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타에 있어서는 연주하고자 하는 해당 곡에 따른 연주코드를 연주자가 기억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또는 해당 곡의 연주코드가 기재된 악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기타의 연주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기타의 연주자가 초보자나 교습자인 경우에는 해당 연주코드나 스케일 등에 대응되는 지판의 가압위치를 인지하고 있지 못하므로 기타의 연주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상기 기타를 배우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소정 장조와 대응하는 음계의 지판 가압위치 및 일정 연주코드에 대응되는 자판의 가압위치 등을 학습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악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현악기 지판의 가압지점을 LED 램프를 통하여 표시해 줌으로서 해당 연주곡의 악보가 없는 경우나 현악기의 교습시에 매우 간편하게 해당 현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특정 연주곡에 대한 연주코드 데이터나 현악기 교습을 위한 장조에 따른 음계 및 코드ㆍ스케일 등의 학습자료에 대응하는 지판의가압지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칩과, 현악기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줄과 대응되는 지판의 가압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판의 해당 가압지점을 순차적으로 점멸하면서 표시하는 다수 개의 LED 램프부와,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독출하거나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LED 램프부의 점멸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키조작부 및, 상기 키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특정 연주곡의 연주코드나 각종 학습자료에 대응하는 지판의 해당 가압지점이 상기 LED 램프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 일측에는 소정 공간부가 구비된 요입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개폐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후,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와 메모리칩 및 제어부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요입부와 인접한 지점의 상기 현악기 몸체부에는 상기 키조작부 및 스위치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상기 키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으로부터 독출되는 해당 곡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현재 연주되고 있는 특정 곡의 연주코드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현악기의 지판에는 상기 다수 개의 LED 램프부와 대응되도록 각각 결합홀이 천공된 후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LED 램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LED 램프부가 설치된 상기 지판의 상면에는 투명패널이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악기의 지판 상면에는 현악기 지판의 가압지점과 대응되게 각각의 LED 램프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각각의 LED 램프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일체로 조립된 램프조립패널이 고정 설치된 후 그 상면에 투명패널이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현악기 지판 상면의 플렛과 인접한 지점에는 일렬로 배치된 상태의 다수 개의 LED 램프부가 삽입 고정되는 램프고정부가 요입 형성되는 한편, 상기 램프고정부의 하측에는 상기 LED 램프부의 접촉단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LED 램프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는 케이블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특정 연주곡에 대한 연주코드 데이터나 각종 교습자료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칩을 현악기의 몸체에 장착한 후 키조작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메모리칩의 데이터에 따른 현악기 지판의 가압지점에 형성된 LED 램프부가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표시되면서 연주자에게 지판의 가압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현악기(기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일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일부분 확대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일부분 확대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일부분 확대분리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를 교습용으로 이용할 시의 키조작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12: 브릿지,
14: 사운드홀, 16: 네크부,
18: 헤드부, 19: 페그부,
20: 지판, 22: 프렛,
30: 줄, 40: 요입부,
42: 개폐부재, 44: 힌지부,
50: 인쇄회로기판, 52: 전원부,
54: 제어부, 56: 메모리칩,
62: 키조작부, 64: LCD 표시부,
66: 스위치부, 70: LED 램프부,
72: 투명패널, 74: 램프조립패널,
76: 케이블, 78: 램프 고정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일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 기타의 일부분 확대분리사시도로서,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동작되도록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부(52)와, 특정 연주곡에 대한 연주코드 데이터나 현악기 교습을 위한 장조에 따른 음계나 코드, 스케일 등의 학습자료에 따른 지판(20)의 가압지점 데이터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치에 결합되는 메모리칩(56) 및,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특정 연주곡의 연주코드나 각종 학습자료에 따른 지판(20)의 해당 가압지점 데이터 등이 후술하는 LED 램프부(70)를 통해 표시되도록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54) 등이 인쇄회로기판(50)에 구성된 상태에서 각종 현악기의 몸체부(10)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해당 지판(20)의 가압지점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면서 표시하는 LED 램프부(70)는 상기 현악기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줄(30)과 대응되는 지판(20)의 가압지점에 각각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독출되어 상기 LED 램프부(70)에 표시되도록 하는 키조작부(62) 및 상기 전원부(52)를 선택적으로 ON/OFF 시키기 위한 스위치부(66)가 돌출 형성된 상태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부(5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 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배터리 잔량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현악기가 전자기타나 전자바이올린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현악기인 경우에는 상기 현악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 사용하여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칩(56)은 상기 인쇄회로기판(50) 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 1 내지 제 n 연주곡에 대응되는 해당 연주코드가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현악기의 교습을 위한 장조에 따른 음계나 코드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연주자의 선곡에 의한 상기 제어부(54)의 제어에 따라 특정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LED 램프부(7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메모리칩(56)은 가요, 팝송, 가곡, 클래식, 동요 등과 같은 각종 연주곡의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초급, 중급, 고급 교습자료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한 후 연주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52)와 메모리칩(56) 및 제어부(54) 등이 구성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10) 내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현악기 몸체부(10) 일측면에는 소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깊이만큼 요입 형성된 요입부(4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요입부(40)는 힌지부(44)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42)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요입부(40) 및 개폐부재(42)와 인접한 지점의 상기 몸체부(10) 일측에는 상기 전원부(52)의 전원을 상기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온ㆍ오프 스위치부(66)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각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독출하기 위한 키조작부(62)가 형성되는데, 상기 키조작부(62)는 대략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곡 스위치(62a)와, 상기 선곡 스위치(62a)를 통하여 검색되는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선곡하여 상기 LED 램프부(7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거나 현재 LED 램프부(70)에 표시되고 있는 데이터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시작/정지 스위치(62c) 및, 현재 LED 램프부(70)에 순차적으로 점멸 표시되고 있는 특정 연주곡이나 학습자료에 따른 데이터의 표시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템포 스위치(62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조작부(62)의 조작에 의한 제어부(5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현악기 지판(20)의 가압지점에 순차적으로 점멸하면서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LED 램프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악기의 줄(30)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줄(30)과 대응되는 지판(20)의 가압지점에 각각 결합홀(도시안됨)을 천공함과 아울러 상기 지판(20) 하측의 네크부(16)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50)과 연결된 케이블(도시안됨)이 배선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결합홀에 LED 램프부(70)를 설치한 후 그 상측에는 그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프렛(22)이 돌출 형성된 투명패널(72)을 고정 결합시켜 구성할 수가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의 LED 램프부 구성에 따라, 상기 현악기 지판(20)의 가압지점과 대응되게 각각의 LED 램프부(70)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 및 상기 각각의 LED 램프부(70)를 연결하는 케이블(76)이 일체로 조립된 램프조립패널(74)을 상기 지판(20)의 상면에 부착시켜 결합한 후, 그 상측에는 상기 투명패널(72)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LED 램프부(70)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의 LED 램프부 구성에 따라, 상기 현악기의 플렛(22) 형성 위치와 인접한 지점에 상기 플렛(22)과 평행하도록 램프고정부(78)를 요입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지판(20)이 형성되는 현악기의 네크부(16)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LED 램프부(7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케이블을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램프고정부(78)에 고정 결합되는 다수 개의 LED 램프부(70)의 각 접촉단자와 대응되게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LED 램프부(70)의 이상에 따른 보수작업 시에는 상기 LED 램프부(70)를 상기 램프고정부(78)로부터 간편하게 이탈시켜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고정부(78)에 LED 램프부(70)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지판(20)의 상측에는 상기 투명패널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10) 일측에는 LCD 표시부(64)를 더 설치하여 상기 키조작부(6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칩(5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독출되는 연주곡이나 학습자료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현재 LED 램프부(7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연주코드나 음계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의 키조작부(62) 및 LCD 표시부(64)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메모리칩(56)을 장착한 상태에서,상기 키조작부(62)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12가지의 조(C, C#, D, D#, ... 등)나 17가지의 스케일(이오니안, 도리안, 프리지안, 리디안, 믹소리디안, ... 등), 또는 코드(마이;너, 메이져 식스, 세븐, 나인, ... 등)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LCD 표시부(64) 및 LED 램프를 통하여 표시하면서 특정 교습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현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기타 등의 각종 현악기 몸체부(10)에 구비된 개폐부재(42)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구성된 인쇄회로기판(50)에 건전지 등의 전원부(52) 및 다양한 곡의 연주코드나 해당 현악기 학습자료 등이 저장된 상기 메모리칩(56)을 장착한 후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10)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66)를 온(ON) 상태가 되도록 조작하여 상기 현악기 램프 시스템에 소정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현악기의 연주자는 키조작부(62)의 선곡 스위치(62a)를 조작하여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제 1 내지 제 n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검색한 후 시작 스위치(62c)를 조작하여 특정 데이터의 선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10)에 LCD 표시부(64)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선곡 스위치(62a)를 조작함에 따라 검색되는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제 1 내지 제 n 데이터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시작 스위치(62c)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LED 램프부(70)를 제어하여 해당 데이터에 대한 연주코드 등이 상기 현악기 지판(20)의 가압지점에 순차적으로 점멸되면서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연주자가 선곡한 메모리칩(56)에 저장된 특정 곡의 연주코드가 C코드, G7코드, ... 등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LED 램프부(7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연주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지판(20)의 가압지점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연주자에게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해당 연주코드에 따라 상기 LED 램프부(70)가 순차적으로 점멸됨과 동시에 상기 LCD 표시부(64)에는 상기 제어부(54)의 제어에 따라 해당 연주코드에 대한 정보가 "C", "G7", ... 등과 같이 그 순서에 따라 표시된다.
또한, 상기 현악기의 연주자는 상기 키조작부(62)의 템포 스위치(62b)를 조작하여 해당 연주곡에 따른 연주코드의 점멸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그 연주속도를 증감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현악기의 연주자는 상기 메모리칩(56)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면서 상기 메모리칩(56)에 저장된 다양한 곡의 연주코드에 기초하여 해당 곡을악보 없이도 간편하게 연주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칩(56)에 해당 현악기의 초급, 중급, 고급 등 각종 교습자료를 저장하여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10) 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키조작부(62)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LED 램프부(70) 및 LCD 표시부(64)에 그에 따른 조나 스케일, 코드 등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해당 현악기의 특정 연주방법을 매우 손쉽게 습득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현악기 중 기타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기타 이외에도 바이올린이나 첼로 등은 물론 가야금이나 거문고 등과 같은 각종 전통악기 등에도 그 구조의 간단한 변경만으로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이 내장된 현악기에 다양한 곡의 연주코드가 저장된 메모리칩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연주하고자 하는 해당 곡의 연주코드가 LED 램프부 및 LCD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해당 곡의 연주코드를 모르거나 악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현악기의 연주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더불어, 해당 현악기의 연주가 능숙하지 못한 연주자도 보다 쉽게 연주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칩에 해당 현악기의 교습자료를 내장하여 해당 현악기의 장조에 따른 음계 위치나 각종 연주코드에 대응하는 지판의 가압위치를 LED 램프부를 통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초보자의 경우에도 보다 쉽게 해당 현악기의 연주방법을 배울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특정 연주곡에 대한 연주코드 데이터나 현악기 교습을 위한 장조에 따른 음계 및 코드ㆍ스케일 등의 학습자료에 대응하는 지판의 가압지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칩과,
    현악기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줄과 대응되는 지판의 가압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판의 해당 가압지점을 순차적으로 점멸하면서 표시하는 다수 개의 LED 램프부와,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독출하거나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LED 램프부의 점멸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키조작부 및,
    상기 키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에 저장된 특정 연주곡의 연주코드나 각종 학습자료에 대응하는 지판의 해당 가압지점이 상기 LED 램프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몸체부 일측에는 소정 공간부가 구비된 요입부가 형성되고,그 상면에는 개폐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후,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와 메모리칩 및 제어부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와 인접한 지점의 상기 현악기 몸체부에는 상기 키조작부 및 스위치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는 상기 키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칩으로부터 독출되는 해당 곡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현재 연주되고 있는 특정 곡의 연주코드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지판에는 상기 다수 개의 LED 램프부와 대응되도록 각각 결합홀이 천공된 후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LED 램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LED 램프부가 설치된 상기 지판의 상면에는 투명패널이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지판 상면에는 현악기 지판의 가압지점과 대응되게 각각의 LED 램프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각각의 LED램프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일체로 조립된 램프조립패널이 고정 설치된 후 그 상면에 투명패널이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 지판 상면의 플렛과 인접한 지점에는 일렬로 배치된 상태의 다수 개의 LED 램프부가 삽입 고정되는 램프고정부가 요입 형성되는 한편, 상기 램프고정부의 하측에는 상기 LED 램프부의 접촉단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LED 램프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는 케이블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KR20-2003-0033355U 2003-10-24 2003-10-24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KR200339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55U KR200339283Y1 (ko) 2003-10-24 2003-10-24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55U KR200339283Y1 (ko) 2003-10-24 2003-10-24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557A Division KR20050039147A (ko) 2003-10-24 2003-10-24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283Y1 true KR200339283Y1 (ko) 2004-01-28

Family

ID=4942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355U KR200339283Y1 (ko) 2003-10-24 2003-10-24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2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29B1 (ko) 2006-06-05 2007-05-10 김정현 가야금 교습용 악보
WO2013100505A1 (ko) * 2011-12-26 2013-07-04 Kim Shin Sook 기타 자동 코드 연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29B1 (ko) 2006-06-05 2007-05-10 김정현 가야금 교습용 악보
WO2013100505A1 (ko) * 2011-12-26 2013-07-04 Kim Shin Sook 기타 자동 코드 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8526C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452081B1 (en) Stringed instrument finger positioning guide and method for teaching students to read music
US5408914A (en) Musical instrument training system having displays to identify fingering, playing and instructional information
US8395040B1 (en) Methods and systems to process input of stringed instruments
US7897862B2 (en) Stringed instrumen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music not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visual aid
US62883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US20060249008A1 (en) Training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7381878B2 (en) Musical instrument display
JPH04333887A (ja) 教育、伴奏および練習用の電子楽器
US20090126553A1 (en) Stringed instrument with color-coded fretboard and method of using same
US6753466B1 (en) Electronic programmable system for playing stringed instru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218633A1 (en) Fretboard light strips with illuminable note indicia
US7427704B2 (en) Stringed instrument fingering guide
MX2014000912A (es) Dispositivo, método y sistema para producir música.
WO2008017233A1 (fr) Violon numérique multifonctions
EP057867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earning aids
US59456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KR200339283Y1 (ko)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KR20050039147A (ko) 현악기의 램프 시스템
WO2006029376A2 (en) Stringed instrument fingering guide
KR20090062733A (ko) 코드표시기능을 갖는 기타
JP2024511512A (ja) 教育用弦楽器
GB2092816A (en) Electronic Chord Indicator
US4993300A (en) Method of playing a fretted string instrument
JP3010274U (ja) 学習支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