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075B1 -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 Google Patents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075B1
KR100717075B1 KR1020060054678A KR20060054678A KR100717075B1 KR 100717075 B1 KR100717075 B1 KR 100717075B1 KR 1020060054678 A KR1020060054678 A KR 1020060054678A KR 20060054678 A KR20060054678 A KR 20060054678A KR 100717075 B1 KR100717075 B1 KR 10071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le
excavation
fix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근
정제평
조서연
이재준
홍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5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굴착과 동시에 지주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변 흙의 교란이 없어 굴착에 따른 도로나 인접건물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외주면 상에 관통공이 천공되고 굴착공 상에 매입 설치되는 외부소켓과, 외부소켓의 하단부 관통공을 통해 그 하단 정착부가 지반에 박혀 외부소켓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내부소켓 및, 외부소켓 내에 지주를 위치시킨 후 외부소켓과 지주를 일체로 굴착공 상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외부소켓 내측으로 유입되고 굴착공 상에 주입되는 충전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 외부소켓, 내부소켓, 정착부, 충전재

Description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THE BRACING INDEPENDENCE DEVICE TO USE A ROOT BRACING SOC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장착 단면도,
도 3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시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소켓
20: 내부소켓
30: 정착부
40: 굴착공
50: 지압장치
60: 지주
본 발명은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고 굴착과 동시에 지주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변 흙의 교란이 없어 굴착에 따른 도로나 인접건물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ⅰ) 지주를 세우고자 하는 곳을 굴착하여 구덩이를 판다. ⅱ) 구덩이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만든다. ⅲ) 거푸집 내에 지주를 위치시킨 다음 자갈, 모래, 시멘트 등으로 혼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ⅳ)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주 설치 방법은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주변 흙을 충분히 굴착하여야 하므로 도로나 인접건물 등에 지반 침하에 따른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여야 하는 등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생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사면에 지주를 설치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해지는 토압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쉽게 전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굴착과 동시에 지주 설치가 가능하여 단기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공사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부분만을 굴착함으로써 주변 흙의 교란이 없어 굴착에 따른 도로나 인접건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경사면의 토압에 의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 상에 관통공이 천공되고 굴착공 상에 매입 설치되는 외부소켓과, 외부소켓의 하단부 관통공을 통해 그 하단 정착부가 지반에 박혀 상기 외부소켓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내부소켓 및, 외부소켓 내에 지주를 위치시킨 후 외부소켓과 지주를 일체로 굴착공 상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외부소켓 내측으로 유입되고 굴착공 상에 주입되는 충전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소켓은 그 하단부 외주면상에 매입시 굴착공과 억지 끼움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방사형 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정착부는 외부소켓 하단부의 관통공과 대응하여 하방 돌출된 정착봉 과, 정착봉이 지반에 박힌 상태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정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장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시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는 크게 외부소켓(10)과 내부소켓(20), 충전재(미도시)로 구성된다.
즉, 외부소켓(10)은 충전재가 그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다수의 관통공(11)이 천공되고, 그 하단부에도 내부소켓의 정착부(30)가 관통하여서 지반에 박힐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11)이 천공된다.
또한, 외부소켓(10)은 굴착공(40)에 매입시 억지 끼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방사형 캡(15)이 구비된다.
내부소켓(20)은 외부소켓(10)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하단에 외부소켓(10)의 하단부 관통공(11)을 통해 지반에 박히는 정착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정착부(30)는 외부소켓(10) 하단부의 관통공(11)에 대응하여 하방 돌출 된 정착봉(31)과 정착봉(31)이 지반에 박힌 상태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다수의 정착돌기(32)가 형성된다.
충전재는 외부소켓(10) 내에 지주(미도시)를 위치시킨 후 외부소켓(10)과 지주를 일체로 굴착공(40) 내에 고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굴착공(40) 내에 주입된다. 상기 충전재의 일례로 시멘트 그라우팅(Soil Grouting)액을 들 수 있다.
즉, 굴착공(40) 내에 항타작업에 의해 외부소켓(10)이 매입되고, 내부소켓(20)의 정착부(30)가 외부소켓(10)의 하단부 관통공(11)을 통해 지반에 박힘으로써 외부소켓(10)을 지반에 정착시키게 된다.
이때, 외부소켓(10)을 굴착공(40)에 매입시 외부소켓(10)의 하단부에 구비된 방사형 캡(15)이 억지 끼움 됨으로써 버팀력을 갖게 된다. 또한, 정착부(30)의 정착봉(31) 상에 돌출 형성된 정착돌기(32)에 의해 필요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의 시공 예로써,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우거(auger) 등을 이용하여 굴착공(40)을 천공한다.
이때, 굴착공(40)은 외부소켓(10)이 매입될 정도만 굴착한다. 이는 굴착에 따른 도로나 인접건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주변 흙의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도 3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타작업을 통하여 외부소켓(10)을 굴착공(40) 내에 매입한다.
이때, 항타작업에 의해 굴착공(40) 내로 매입되는 외부소켓(10)은 그 하단부에 구비된 방사형 캡(15)이 억지 끼움 됨으로써 버팀력을 갖게 된다.
굴착공(40) 상에 외부소켓(10)이 매입되면,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소켓(10)에 내부소켓(20)을 삽입한 다음 지압장치(50) 등을 이용하여 외부소켓(10)의 하단부 관통공(11)을 통해 내부소켓(20)의 정착부(30)가 지반에 박히도록 가압한다. 미설명부호 51은 가압시 내부소켓(20) 상에 힘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 지압판이다.
이에 따라, 내부소켓(20)이 외부소켓(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정착부(30)가 지반에 박혀 외부소켓(10)을 정착시키게 된다.
이후, 지압장치(50) 및 지압판(51)을 제거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소켓(10)에 지주(60)를 매입한 다음 굴착공(40) 상에 충전재를 주입하면, 그 일부가 관통공(11)을 통해 외부소켓(10)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굴착공(40) 상에 외부소켓(10)과 지주(60)를 일체로 고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소켓을 매입하기 위한 최소 공간만을 굴착함으로써, 주변 흙의 교란이 없어 굴착에 따른 도로나 인접건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굴착공 상에 매입된 외부소켓을 정착부가 구비된 내부소켓을 삽입하여 지반에 재차 정착시킴으로써 필요한 버팀력 및 저항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단기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지주 매입 공사를 완료할 수 있다는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외주면 상에 관통공이 천공되고 굴착공 상에 매입 설치되는 외부소켓과,
    상기 외부소켓의 하단부 관통공을 통해 그 하단 정착부가 지반에 박혀 상기 외부소켓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내부소켓 및,
    상기 외부소켓 내에 지주를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소켓과 상기 지주를 일체로 상기 굴착공 상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외부소켓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굴착공 상에 주입되는 충전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켓은 그 하단부 외주면상에 매입시 상기 굴착공과 억지 끼움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방사형 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상기 외부소켓 하단부의 관통공과 대응하여 하방 돌출된 정착봉과, 상기 정착봉이 지반에 박힌 상태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 상에 정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 장치.
KR1020060054678A 2006-06-19 2006-06-19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KR10071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78A KR100717075B1 (ko) 2006-06-19 2006-06-19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78A KR100717075B1 (ko) 2006-06-19 2006-06-19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075B1 true KR100717075B1 (ko) 2007-05-10

Family

ID=3827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78A KR100717075B1 (ko) 2006-06-19 2006-06-19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399B1 (ko) 2012-03-02 2013-12-17 (주)가보산업 소켓삽입형 지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834U (ja) 1982-09-25 1984-04-05 株式会社松尾「鉄」工所 アンカ−杭
JPH01137335U (ko) * 1988-03-14 1989-09-20
JPH07102558A (ja) * 1993-09-30 1995-04-18 Soken:Kk 土木工事用杭
JPH08269950A (ja) * 1995-04-03 1996-10-15 Yasuhiro Fujita 土木工事用杭
JPH1181306A (ja) 1997-09-10 1999-03-26 Adachi Sekizai Kk 支持力強化用基礎杭
KR20020072523A (ko) * 2002-09-02 2002-09-16 백수곤 연약 지반 보강과 그 기초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359071Y1 (ko) 2004-05-21 2004-08-16 남상홍 나무뿌리형 말뚝
KR20060088434A (ko) * 2005-02-01 2006-08-04 민선영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강관파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834U (ja) 1982-09-25 1984-04-05 株式会社松尾「鉄」工所 アンカ−杭
JPH01137335U (ko) * 1988-03-14 1989-09-20
JPH07102558A (ja) * 1993-09-30 1995-04-18 Soken:Kk 土木工事用杭
JPH08269950A (ja) * 1995-04-03 1996-10-15 Yasuhiro Fujita 土木工事用杭
JPH1181306A (ja) 1997-09-10 1999-03-26 Adachi Sekizai Kk 支持力強化用基礎杭
KR20020072523A (ko) * 2002-09-02 2002-09-16 백수곤 연약 지반 보강과 그 기초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359071Y1 (ko) 2004-05-21 2004-08-16 남상홍 나무뿌리형 말뚝
KR20060088434A (ko) * 2005-02-01 2006-08-04 민선영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강관파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399B1 (ko) 2012-03-02 2013-12-17 (주)가보산업 소켓삽입형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573B1 (ko)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직천공 그라우팅용 나선형 강관파일 및이의 이용방법
KR100415809B1 (ko)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966148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KR100923587B1 (ko)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1454598B1 (ko) 그라우팅 겸용 헬리칼 말뚝 두부정착방법
KR101662072B1 (ko) 지중벽체와 지중연결재를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4451553B2 (ja) 浮力防止構造体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90007826A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100808676B1 (ko) 흄관 매설 시공공법
KR100618597B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17075B1 (ko) 뿌리형 지주소켓을 이용한 지주자립장치
KR101913493B1 (ko) 주열식 말뚝을 이용한 자립공법
KR101874464B1 (ko) 전면 배수관을 구비한 상향식 지반보강 앵커
JP3177468B2 (ja) 立抗ブロック、立抗掘削方法及び管渠推進方法
KR100697001B1 (ko) 다중방식 프로텍터
JPH09158235A (ja) 建造物持ち上げ方法
KR100998056B1 (ko) 팩 앵커
KR101063277B1 (ko) 소일네일용 가압 그라우팅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공법
KR100544012B1 (ko) 흙막이 겸용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637899B1 (ko)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2452899B1 (ko)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200375610Y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KR940003481B1 (ko) 케이싱 및 케이싱 회수식 s.c.w 토류벽공법
KR200263626Y1 (ko) 소일네일공법용 네일구조
JPH09279575A (ja) アースアンカーの施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引張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