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176B1 -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176B1
KR100716176B1 KR1020050086376A KR20050086376A KR100716176B1 KR 100716176 B1 KR100716176 B1 KR 100716176B1 KR 1020050086376 A KR1020050086376 A KR 1020050086376A KR 20050086376 A KR20050086376 A KR 20050086376A KR 100716176 B1 KR100716176 B1 KR 10071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obstacle
image forming
contact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676A (ko
Inventor
유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176B1/ko
Priority to US11/418,032 priority patent/US20070058023A1/en
Publication of KR2007003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용지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기 용지가 입출되는 입출부; 상기 용지를 상기 입출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입출구로부터 입출되는 상기 용지의 입출 방향으로 상기 용지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의 확보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화상 형성 중에 용지가 입출되는 입출공간 및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화상형성 진행 전에 감지하고, 용지의 입출공간 및 적재공간 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판단하여 조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화상형성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지 훼손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구성 중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내부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기기
102 : 입출부
120 : 표시부
130 : 조작부
140 : 경보부
150 : 급지부
160 : 배출부
170 : 화상형성부
180 : 구동부
181 : 구동모터
183 : 모터드라이브
186 : 전류검출부
190 :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형성중 용지가 입출되는 방향으로 용지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기기는 컴퓨터나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화상신호를 기록매체인 인쇄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옮기는 장치를 말하며, 화상형성방법에 따라 크게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와, 잉크분사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와, 열전사를 이용한 승화형 프린터(Sublimation Printer)로 구분할 수 있다.
근래에는 잉크젯방식, 열승화(dye sublimation thermal transfer)방식, 감열(direct thermal)방식 등의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화상을 인쇄하는 포토프린터가 상용화되고 있다.
상술한 포토프린터 중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서멀헤드와 용지 사이에 잉크가 도포된 필름 형태의 리본을 위치시키고, 이 서멀헤드에 의해 소정패턴으로 승화된 잉크가 리본으로부터 용지로 전사되도록 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색 분해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분해 화상을 3번에 걸쳐 중복 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화상형성기기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다면 중복전사 과정에서 용지는 화상형성기기의 외부로 반복적으로 입출된다. 더욱이 근래의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중 용지의 외부 노출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중 용지의 원활한 입출을 위하여 용지가 입출되는 부분의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의 확보는 사용자가 미리 사용자 매뉴얼을 통하여 충분히 이와 같은 기능적 특징을 숙지한 후 화상형성기기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적 특징을 사용자가 미리 숙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이를 숙지하지 못하고, 공간의 확보에 실패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을 진행하게 되면 외부로 입출되는 용지가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지의 입출방향으로 용지 입출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었는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과 관련하여 용지의 입출방향으로 용지 입출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었는가의 여부를 감지하고, 공간의 감지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도록 한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용지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상기 용지가 입출되는 입출부; 상기 용지를 상기 입출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입출구로부터 입출되는 상기 용 지의 입출 방향으로 상기 용지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의 확보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는 모터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드라이버는; 상기 구동모터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전압증폭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부는, 옐로우, 시안, 마젠타, 오버코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플래튼롤러에 접하여 상기 리본이 개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본에 열을 가하는 서멀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부는, 옐로우, 시안, 마젠타, 오버코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플래튼롤러에 접하여 상기 리본이 개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본에 광을 주사하여 광/열 변환(light-to-heat conversion)으로 전사 열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부는 열원을 이용하여 잉크에 버블을 발생시키고, 버블의 팽창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는 열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부는 압전체의 변형으로 인해 잉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는 압전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구비되는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것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지에 대한 확인 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리본의 일면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 상기 리본의 타면과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용지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화상 형성 중 용지의 입출이 이루어지는 입출구; 및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의 확보여부를 감지하는 모터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드라이버는; 상기 구동모터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전압증폭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리본의 일면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 상기 리본의 타면과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용지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화상 형성 중 용지의 입출이 이루어지는 입출구;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의 확보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은, 화상형성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단계; 픽업되는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시 왕복 입출되는 입출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입출공간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입출공간으로 입출되는 상기 용지의 이동공간 확보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을 경우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태에 따라 상기 용지의 상기 입출공간 확보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단계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입출공간의 확보여부를 질의 하는 질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지에 대한 확인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은, 화상형성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단계; 픽업되는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시 왕복 입출되는 입출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입출공간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입출공간으로 입출되는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 태에 따라 상기 용지의 상기 입출공간 확보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단계;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 상기 입출공간의 확보여부를 질의 하는 질의단계;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지에 대한 확인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을 경우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은, 화상형성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단계; 픽업되는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시 왕복 입출되는 입출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입출공간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입출공간으로 입출되는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 확보상태에 따라 상기 용지의 상기 입출공간 확보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단계; 상기 용지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 상기 입출공간의 확보여부를 질의 하는 질의단계;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지에 대한 확인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을 경우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잉크젯 방식 및 레이저방식의 화상형성기기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구성 중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를 설명하면, 외형을 형성하고 공급되는 용지(P, 도 4 참조)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화상형성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gi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120)의 전방에는 화상형성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사용자에게 화상형성기기의 동작 상태를 음향으로 외부로 알리기 위한 스피커(미도시) 또는 엘이디 램프(미도시) 등과 같은 장치로 된 별도의 경보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화상형성부(170)로 용지(P)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카세트(110)가 장착되는 급지부(150)가 마련된다. 급지 카세트(110)는 상기 급지부(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급지부(150)의 상측에는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P)가 배출되는 배출부(160)가 형성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P)는 급지카세트(110)의 상부로 배출되어 급지카세트(110)의 상면에 적재된다.
그리고 급지부(150)의 하측에는 급지부(150)와 배출부(160)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104)가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고, 본체(100)의 후방에는 화상형성부(170)에서 화상의 형성 중 용지(P)가 왕복 입출되는 입출부(102)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급지부(150)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P)를 이송시키는 구동부(180)가 마련된다. 구동부(180)에 의해 급지부(150)에서 급지되는 용지(P)가 입출부(102) 측으로 왕복 이송된다. 이러한 구동부(18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의 표면에 화상형성부(170)가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동부(180)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인 구동모터(181)와, 구동모터(181)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183)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모터(181)에는 용지(P)를 이동시키는 플래튼롤러(182)가 연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모터드라이버(183)는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발생부(184)가 마련되고, 기준전압발생부(184)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을 구동모터(181)가 작동되는 작동전압으로 증폭시키는 전압증폭부(185)를 구비한다.
그리고 모터드라이버(183)에는 전압증폭부(185)에서 증폭된 작동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181)에서 피드백(feed back)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검 출부(186)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전류검출부(186)는 구동모터(181)에서 피드백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81)의 부하 상태를 감지한다. 이러한 전류검출부(186)는 일반적으로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홀센서(hall senso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각 구성부(120, 130, 140, 150, 160, 170, 180)들은 제어부(190)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상데이터의 입력 및 외부기기의 연결을 위한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s), 메모리 카드 슬롯 등을 구비한다. 또한, 외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연결장치 등도 함께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내부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체(100)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면, 화상형성부(170)는 본체(1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리본 카트리지(172)와, 리본 카트리지(172)의 리본(174)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178)를 구비한다.
리본 카트리지(172)에는 두개의 롤러(174, 174') 사이에 권취된 리본(174)이 마련된다. 리본(174)에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그리고 오버코트(Overcoat)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은 용지(P) 표면에 시안 영역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마젠타, 옐로우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호막의 코팅을 위한 오버코트가 순차적으로 가열부재(178)에 의하여 승화되어 용지(P)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오버코트를 제외한 나머지 시안, 마젠타 그리고 옐로우는 그 배열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블랙(Black)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재(178)는 리본(174)의 상측에 위치하며, 화상형성을 위하여 리본(174)에 리본에 직접 열을 가하는 서멀헤드 또는 리본(174)에 광을 주사하여 광/열변환(light-to-heat conversion)으로 전사열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에서의 화상형성부(170)에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오버코트가 형성된 리본(174)을 구비하는 리본 카트리지(172)와, 리본(174)에 전사열을 가하는 가열부재(178)를 구비한다.
하지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기기의 경우에는 열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헤드 또는 압전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의 일측에는 용지(P)의 하면을 받쳐줌과 동시에 용지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182)가 설치된다. 그리고 플래튼롤러(182)의 전방에는 급지부(150)에 포함되는 구성인 급지롤러(152)가 설치된다.
여기서 플래튼롤러(182)는 화상형성 방향의 전환을 위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81)에 의하여 정역회전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81)는 통상의 DC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나 컨트롤이 가능한 모터들 중에서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드라이버(183)에 의해 그 작동에 제어되며, 모터드라이버(183)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며, 제어부(190)는 모터드라이버(183)에서 측정되는 구동모터(181)의 전류 측정치에 의해 플래튼롤러(18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의 입출공간 확보상태를 감지하여 모터드라이버(183)를 제어한다.
한편, 입출부(102)는 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 용지 입출구(102a)와 이 입출구(102a)로 용지가 입출되도록 하는 입출롤러(102b)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출롤러(102b)는 별도 구동되도록 설치되지 않고, 화상형성부(170)의 용지(P) 이송에 의하여 용지(P)의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체(100)에 마련된 USB포트, 메모리카드 슬롯 등을 통하여 화상데이터가 입력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형성 개시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190)는 화상형성 작업을 시작한다(단계:S110).
화상형성작업이 시작됨에 따라 급지부(150)에 마련된 급지롤러(152)에 의해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용지(P)가 픽업되어 화상형성부(170)로 이송된다(단계:S120). 이후 이송되는 용지(P)는 화상형성부(170)의 플래튼롤러(182)에 의해 입출 부(102) 측으로 이송된다(단계:S130).
여기서, 화상형성부(170)에 마련된 리본 카트리지(172)의 리본(174)은 플래튼롤러(182)와 가열부재(178)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마련되며, 급지롤러(15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는 리본(174)과 플래튼롤러(182)의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개재되어 이동된다.
한편, 플래튼롤러(18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1)는 제어부(190)에서 발생하는 구동모터(181)의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드라이버(183)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190)의 신호에 따라 모터드라이버(183)의 기준전압발생부(184)에서 기준전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기준전압은 전압증폭부(185)에 의해 구동모터(181)의 작동전압으로 증폭되어 구동모터(181)로 전달된다.
이후, 제어부(190)는 플래튼롤러(182)에 의해 입출부(102) 측으로 이송되는 용지(P)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여 용지(P)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140).
여기서 용지(P)에 화상이 형성되기 이전에 입출부(102) 측으로 이동되는 이유는 용지(P)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되기 이전에 용지(P)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지 확인하여 입출공간 미확보에 따른 용지 및 리본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입출부(102)로 이송되는 용지(P)의 경로상에 용지(P)의 이동경로를 방해하는 사물이 존재할 경우 입출부(102) 측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사물에 접하게 된다. 이에 이송되는 용지(P)가 사물에 걸리게 됨에 따라 용지(P)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18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1)에 순간적인 과부하가 발생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81)의 과부하는 구동모터(181)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며, 증가된 전류는 모터드라이버(183)의 전류검출부(186)로 피드백되어 전류검출부(186)에 의해 감지되며, 전류검출부(186)는 감지되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전류검출부(186)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입출부(102)상의 용지(P) 경로상에 용지(P)가 입출되기 위한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190)의 판단결과 용지(P)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190)는 경보부(140)의 스피커 또는 램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입출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음을 경고한다(단계:150).
또한, 제어부(190)는 표시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사후 처리에 의해 용지(P)의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질의한다(단계:160). 여기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조작부(130) 조작에 의해 입출공간이 확보되었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화상형성부(170)에 의한 화상형성을 진행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출공간의 확보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현 상태를 유지한다(단계:170).
한편 제어부(190)는 입출부(102)로 이송되는 용지(P)의 이동경로에 용지(P)의 입출공간을 방해하는 별도의 사물이 없이 용지(P)의 입출공간이 확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화상형성부(170)에 의한 화상형성 작업을 수행하여 용지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한다(단계:180).
즉, 플래튼롤러(182)에 의해 입출부(102)로 이송되는 용지(P)에 아무런 걸림 이 없을 경우에는 구동모터(181)에서 피드백되어 전류검출부(186)에 검출되는 전류의 측정치가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전류검출부(186)의 신호를 판독하여 입출공간이 확보되었음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190)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그리고 오버코트가 용지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컬러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배출부(160)를 통하여 급지카세트(110)의 상면으로 배출한다(단계:19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용지(P)의 입출공간의 감지는 화상형성 초기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리본(174)에 형성된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그리고 오버코트가 용지(P)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기 위하여 용지(P)가 입출부로 왕복 이송될 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기에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는 플래튼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걸림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부 이외의 다른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생략된 구성부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구동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원인 구동모터(181a)와, 구동모터(181a)를 제어하 는 모터드라이버(183a)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모터(181a)에는 용지(P)를 이동시키는 플래튼롤러(182a)가 연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모터드라이버(183a)는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발생부(184a)가 마련되고, 기준전압발생부(184a)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을 구동모터(181a)가 작동되는 작동전압으로 증폭시키는 전압증폭부(185a)를 구비한다.
그리고 모터드라이버(183a)에는 전압증폭부(185a)에서 증폭된 작동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181a)의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186a)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엔코더(186a)는 구동모터(181a)의 회전을 감지하여 플래튼롤러(182a)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의 걸림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플래튼롤러(182a)에 의해 입출부(102) 측으로 이송되는 용지(P)의 경로상에 용지(P)의 이동경로를 방해하는 사물이 존재할 경우 입출부(102) 측으로 이송되는 용지(P)가 사물에 접하게 된다.
이에 이송되는 용지(P)가 사물에 걸리게 됨에 따라 용지(P)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182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1a)의 시간당 회전거리에 순간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구동모터(181)의 순간적인 시간당 회전거리의 변화는 구동모터(181a)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186a)에 의해 감지되며, 엔코더(186a)는 감지되는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엔코더(186a)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입출부 (102)의 용지(P) 경로상에 용지(P)가 입출되기 위한 입출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화상형성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80a)의 구동모터(181a)는 일반적인 DC모터 또는 스텝모터 등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모터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컬러 화상형성 뿐만 아니라 보호막 코팅이 이루어지는 모노 화상형성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용지의 이동경로가 확보되어야 하는 다른 방식의 화상형성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화상형성 방식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승화형 또는 잉크젯 방식 등의 다양한 화상형성 방식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입출부의 입출공간을 감지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감지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변형된 실시예의 기본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화상 형성 중에 용지가 입출되는 입출공간 및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었는가를 화상형성 진행 전에 감지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지 훼손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지의 입출공간 및 적재공간 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판단하여 조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치의 조작방법을 미리 숙지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사용상의 주위를 기울이지 못한 경우에도 안정적인 화상형성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지 훼손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6)

  1. 일측에서 용지가 급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급지되는 용지의 왕복이송경로가 형성되는 입출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표면에 화상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용지를 급지함과 아울러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왕복이동시키며,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용지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는 모터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드라이버는;
    상기 구동모터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전압증폭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옐로우, 시안, 마젠타, 오버코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플래튼롤러에 접하여 상기 리본이 개재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본에 열을 가하는 서멀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리본에 광을 주사하여 광/열 변환(light-to-heat conversion)으로 전사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열원을 이용하여 잉크에 버블을 발생시키고, 버블의 팽창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는 열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헤드가 구비되는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압전체의 변형으로 인해 잉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는 압전구동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구비되는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3. 일측에서 용지가 급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리본의 일면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
    상기 리본의 타면과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용지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급지되는 용지의 왕복이송경로가 형성되는 입출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용지가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모터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드라이버는;
    상기 구동모터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전압증폭부;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형성기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서멀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0. 삭제
  21. 일측에서 용지가 급지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리본의 일면으로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
    상기 리본의 타면과 상기 급지된 용지를 지지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용지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화상 형성 중 상기 급지되는 용지의 왕복이송경로가 형성되는 입출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터드라이버;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지하여 상기 플래튼롤러에 의해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용지가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서멀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7. 삭제
  28. 화상형성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단계;
    픽업되는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시 왕복 입출되는 입출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입출공간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입출공간으로 입출되는 상기 용지가 장애물과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입출공간이 확보되었을 경우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단계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질의 하는 질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3.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4.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용지와 접촉되는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5. 화상형성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단계;
    픽업되는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시 왕복 입출되는 입출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입출공간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입출공간으로 입출되는 상기 용지가 장애물과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단계;
    상기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질의 하는 질의단계;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36. 화상형성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단계;
    픽업되는 상기 용지를 화상형성시 왕복 입출되는 입출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상기 입출공간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입출공간으로 입출되는 상기 용지가 장애물과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용지가 접촉되는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단계;
    상기 장애물이 존재되는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질의 하는 질의단계;
    상기 장애물의 존재여부에 대한 확인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86376A 2005-09-15 2005-09-15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376A KR100716176B1 (ko) 2005-09-15 2005-09-15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418,032 US20070058023A1 (en) 2005-09-15 2006-05-0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376A KR100716176B1 (ko) 2005-09-15 2005-09-15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76A KR20070031676A (ko) 2007-03-20
KR100716176B1 true KR100716176B1 (ko) 2007-05-10

Family

ID=3785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376A KR100716176B1 (ko) 2005-09-15 2005-09-15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58023A1 (ko)
KR (1) KR100716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9644B2 (en) * 2006-11-01 2012-05-01 Sony Corporation Thermal dye sublimation printer and ink ribbon cassette therefor
JP7081197B2 (ja) * 2018-02-15 2022-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2362404B1 (ko) * 2018-11-30 2022-02-14 주식회사 빅솔론 인쇄 장치의 스테핑 모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535A (ja) 1996-10-28 1998-05-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238934A (ja) 1999-02-19 2000-09-05 Canon Inc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1330907A (ja) 2000-05-22 2001-11-30 Nec Corp 画像記録装置の搬送障害予測装置
JP2003034454A (ja) 2001-07-18 2003-02-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535A (ja) 1996-10-28 1998-05-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238934A (ja) 1999-02-19 2000-09-05 Canon Inc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1330907A (ja) 2000-05-22 2001-11-30 Nec Corp 画像記録装置の搬送障害予測装置
JP2003034454A (ja) 2001-07-18 2003-02-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76A (ko) 2007-03-20
US20070058023A1 (en)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196B2 (en) Continuous feed duplex printer
US20220363077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490311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16176B1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74731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67771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4351898A (ja) 液体吐出装置、印刷装置、調整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07130930A (ja) 記録装置
US11796952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ed media tray extender
JP200412268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6887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回復方法
US20220041387A1 (en) ADF With Automated Trays
JP42666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233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60228A (ja) 印刷装置
US200600934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nting in inkjet printer
JP527847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記録媒体の搬送監視方法
JP2007038554A (ja) 画像形成装置
JP3483391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KR100666958B1 (ko) 승화형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57929B2 (ja) 画像形成装置
JP5190337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のインク温度制御方法
KR200319128Y1 (ko) 용지 오출력 방지장치
US79507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343046A (ja) 記録ヘッド、および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