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931B1 -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 Google Patents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931B1
KR100715931B1 KR1020070024053A KR20070024053A KR100715931B1 KR 100715931 B1 KR100715931 B1 KR 100715931B1 KR 1020070024053 A KR1020070024053 A KR 1020070024053A KR 20070024053 A KR20070024053 A KR 20070024053A KR 100715931 B1 KR100715931 B1 KR 10071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distribution box
coupling
fixing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석
Original Assignee
(주)신영전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전력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신영전력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2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bar extending between two separate studs of a wall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배전함이 철근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되며,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배전함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속에 매립되게 되는 배전함(1200)의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함을 상기 콘크리트 내의 철근(110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고정부(500), 상기 철근(1100)을 감싸 주면서 상기 철근(1100)과 직접 결합하게 되는 블럭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1100)을 감싸주면서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철근 결합부(100), 상기 고정부(500)와 상기 철근 결합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1100)과 상기 고정부(500) 사이의 간격 사이를 채워주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200),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가 결합되도록 체결시켜주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결합 볼트부(9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배전.

Description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Box for power distribution with fixing part}
도 1은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구성요소인 철근 결합부(100)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구성요소인 깊이 조절부(200)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사시도로, 복수 개의 고정부(500)들 중에 한 개 부분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근 결합부 101 : 철근 결합부 몸체부 102 : 철근 접촉부 105 : 측면판부
107 : 측면 판부 관통구 200 : 깊이 조절부
201 : 깊이 조절부 몸체부 202 : 철근 결합부 접촉부
209 : 깊이 조절부 관통구
500 : 고정부 501 : 고정부 몸체부
507 : 고정 관통구 900 : 결합 볼트부
1100 : 철근 1200 : 배전함
본 발명은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속에 매립되게 되는 배전함(1200)의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함을 상기 콘크리트 내의 철근(110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고정부(500), 상기 철근(1100)을 감싸 주면서 상기 철근(1100)과 직접 결합하게 되는 블럭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1100)을 감싸주면서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철근 결합부(100), 상기 고정부(500)와 상기 철근 결합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1100)과 상기 고정부(500) 사이의 간격 사이를 채워주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200),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가 결합되도록 체결시켜주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결합 볼트부(9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배전함이 철근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되며,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상기 배전함(1200)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벽체면에 배전함이 설치될 수 있는데, 벽체면 콘크리트 타설시 버팀목으로 괴어 주거나 간단한 철물로 고정시켜 주지만 원래의 위치를 일탈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만약,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배전함이 철근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철골구조에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고 커튼월로 마감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배전함을 고정시키기 힘들 수 있다.
만약,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배전함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배전함이 철근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배전함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500), 철근 결합부(100), 깊이 조절부(200), 결합 볼트부(9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속에 매립되게 되는 배전함(1200)의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함을 상기 콘크리트 내의 철근(110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고정부(500), 상기 철근(1100)을 감싸 주면서 상기 철근(1100)과 직접 결합하게 되는 블럭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1100)을 감싸주면서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철근 결합부(100), 상기 고정부(500)와 상기 철근 결합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1100)과 상기 고정부(500) 사이의 간격 사이를 채워주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200),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가 결합되도록 체결시켜주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결합 볼트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배전함(1200)에 4개의 상기 고정부(5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고정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부(501), 상기 고정부 몸체부(5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부(900)와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관통구(50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구성요소인 철근 결합부(100)의 사시도 이다.
상기 철근 결합부(100)는 상기 철근 결합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철근 결 합부 몸체부(101)의 중앙 부위에 상기 철근(1100)이 삽입될 수 있는 기다란 홈 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홈 표면에는 상기 철근(1100)의 요철 부위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요철부위가 형성되는, 상기 홈 부위인 철근 접촉부(102), 상기 철근 결합부 몸체부(101)의 가장자리 부위가 좌우로 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판부(105), 상기 측면판부(105)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부(900)와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판부 관통구(10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결합부(1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결합부(100)의 철근 접촉부(102)는 상기 철근(1100)의 요철 부위와 견고하게 맞물리게 되며, 상기 결합 볼트부(900)는 상기 배전함(1200)의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므로, 결국 상기 배전함(1200)은 상기 철근(11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배전함이 철근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3도는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구성요소인 깊이 조절부(200)의 사시도 이다.
상기 깊이 조절부(200)는 상기 깊이 조절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며, 한쪽 면은 상기 고정부(5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면은 상기 철근 결합부 (1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 몸체부(201), 상기 깊이 조절부 몸체부(2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부(900)와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 관통구(209)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는 상기 철근 결합부(100)와 접촉하는 면이 철근 결합부 접촉부(20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깊이 조절부(200)는 폐합성수지 또는 폐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4도는 본 발명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의 사시도로, 복수 개의 고정부(500)들 중에 한 개 부분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상기 결합 볼트부(900)는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에 형성되는 관통구 들과 체결 결합 되어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를 일체로 결합시켜 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철근 결합부(100)의 철근 접촉부(102)는 상기 철근(1100)의 요철 부위와 견고하게 맞물리게 되며, 상기 결합 볼트부(900)는 상기 배전함(1200)의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므로, 상기 배전함(1200)은 상기 철근(11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상기 배전함(1200)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상기 배전함(1200)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배전함이 철근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있더라도 본래의 위치를 일탈하지 않게 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벽체가 콘크리트 타설 없이 커튼월로 마감되더라도 배전함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콘크리트 벽체 속에 매립되게 되는 배전함(1200)의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형 성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배전함을 상기 콘크리트 내의 철근(1100)에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상기 판형 부재인 고정부(500);
    상기 철근(1100)을 감싸 주면서 상기 철근(1100)과 직접 결합하게 되는 블럭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1100)을 감싸주면서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철근 결합부(100);
    상기 고정부(500)와 상기 철근 결합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1100)과 상기 고정부(500) 사이의 간격 사이를 채워주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200);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가 결합되도록 체결시켜주는 볼트 부재로 형성되는 결합 볼트부(9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고정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부(501);
    상기 고정부 몸체부(5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부(900)와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관통구(507);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결합부(100)는
    상기 철근 결합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철근 결합부 몸체부(101)의 중앙 부위에 상기 철근(1100)이 삽입될 수 있는 기다란 홈 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홈 표면에는 상기 철근(1100)의 요철 부위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요철부위가 형성되는, 상기 홈 부위인 철근 접촉부(102);
    상기 철근 결합부 몸체부(101)의 가장자리 부위가 좌우로 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판부(105);
    상기 측면판부(105)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부(900)와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판부 관통구(107);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철근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조절부(200)는
    상기 깊이 조절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며, 한쪽 면은 상기 고정부(5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면은 상기 철근 결합부(1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 몸체부(201);
    상기 깊이 조절부 몸체부(201)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부(900)와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 관통구(209);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깊이 조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볼트부(900)는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에 형성되는 관통구 들과 체결 결합 되어 상기 고정부(500), 상기 철근 결합부(100), 상기 깊이 조절부(200)를 일체로 결합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결합 볼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KR1020070024053A 2007-03-12 2007-03-12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KR10071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53A KR100715931B1 (ko) 2007-03-12 2007-03-12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53A KR100715931B1 (ko) 2007-03-12 2007-03-12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931B1 true KR100715931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53A KR100715931B1 (ko) 2007-03-12 2007-03-12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036B1 (ko) 2021-05-07 2022-05-24 박용득 지중배전선로 배전반의 연결브라켓 보호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73A (ko) * 2003-09-05 2006-07-21 구글 잉크. 문서-특정 경쟁 광고들과 같은 광고들의 식별 및/또는차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73A (ko) * 2003-09-05 2006-07-21 구글 잉크. 문서-특정 경쟁 광고들과 같은 광고들의 식별 및/또는차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8397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036B1 (ko) 2021-05-07 2022-05-24 박용득 지중배전선로 배전반의 연결브라켓 보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646B1 (en) A connector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WO2005111332A2 (en) A load plate and method of casting adjacent slabs of concrete
KR20160008972A (ko) 장착 너트 앵커를 갖는 슬롯형 인서트
KR100715931B1 (ko) 고정부를 가진 전기 배전함.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JP3165719U (ja) 設備用基礎構造物
GB2501066A (en) A connector for casting within a concrete structure
US20110227242A1 (en) Fastening equipment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14133986A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連結工法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の連結構造
JP2012012812A (ja) ナットの施工方法
JP6861991B2 (ja) 壁構造体
JP5817889B2 (ja) 配線ボックスの配設構造、配線ボックスを埋設したコンクリート壁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90117889A (ko) 체결유닛이 적용된 미분리형 블록 프리캐스트 거푸집 조립체
KR100724616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42551Y1 (ko) 거푸집 지지장치용 브라켓
JP2005054493A (ja) プレキャスト組立暗渠ブロック工法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JP2020117923A (ja) 後施工棒状部材の定着用治具および定着方法
JP2012167510A (ja) 免震ベースプレート取付治具と取付方法
JP2004308169A (ja) 受枠固定構造
JP5828572B2 (ja) 鉄骨柱の建方方法
KR102126309B1 (ko) 항공기 구조 시험용 지지체를 포함한 강화 바닥 구조체 및 항공기 구조 시험용 지지체를 포함한 강화 바닥 구조체 시공방법
JP4760679B2 (ja) 筋材穴形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