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700B1 -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700B1
KR100715700B1 KR1020060041430A KR20060041430A KR100715700B1 KR 100715700 B1 KR100715700 B1 KR 100715700B1 KR 1020060041430 A KR1020060041430 A KR 1020060041430A KR 20060041430 A KR20060041430 A KR 20060041430A KR 100715700 B1 KR100715700 B1 KR 10071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am
case
knob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102006004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에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노브(2)가 결합되는 플런저(3)를 탄발스프링(8)과 함께 케이스(5)에 내장하여 상부 덮개(7)로 결합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플런저(3)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12')를 판스프링으로 탄발 지지 구성하여서 상기 노브(2)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온,오프 작동하도록 하되; 상기 케이스와 플런저의 전면중앙에는 가이더(59)와 안내홈(39)에 의한 안내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3)는 전방의 본체(30)와 후방의 작동몸체(35)를 분리 구성하여 각각 케이스(5)에서 탄발 설치하며, 상기 케이스(5) 저면에는 개구부(52)를 개방하여 캠작동바, 판스프링을 삽입 조립한 후 별도의 하부덮개(70)를 개폐 조립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서 노브의 누름작동에 따른 온,오프 작동시 노브가 항상 일정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려한 외관에 따른 스위치의 고급화로 사용 만족도를 극대화함은 물론 플런저 전후 이동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안내작동함은 물론 부품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자동차, 실내등, 푸쉬록스위치, 플런저, 가이드, 하부덮개, 조립구조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PUSH LOCK SWITCH FOR CAR ROOM LAMP}
도 1은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푸쉬록 스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스와 플런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런저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케이스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3: 플런저 5: 케이스
7: 상부덮개 12': 캠작동바
30: 전방 본체 31: 안내돌기
32: 가압돌기 35: 후방 작동몸체
36: 안내홈 37: 지지돌기
39: 안내홈 59: 가이더
52: 개기부 60: 판스프링
70: 하부덮개 81,82: 탄발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에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플런저를 전후로 분할하여 각각 탄발 연동작동케 설치하므로 노브의 누름작동에 따른 온,오프 작동시 노브가 항상 일정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려한 외관에 따른 스위치의 고급화를 이룸과 함께 플런저 전후 이동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안내작동하고, 부품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 소등(온,오프)의 작동을 위한 푸쉬록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노브(2)와; 상기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5)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되 전원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6)를 갖는 상부 덮개(7)로 대별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11)과, 상기 판스프링에 탄 발지지되되 일측단은 회전작동케 지지되고 타측단은 플런저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12)를 갖는 록킹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밀어주면,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 전진하면서 캠작동바(12)의 타측단이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여 상기 플런저(3)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또 다시 밀어주면, 상기 캠작동바(12)의 타측단이 플런저(3)의 캠부(3a)를 따라 원위치로 캠작동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3)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상기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과 어긋나며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을 오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는 록킹수단(10)을 구성하는 판스프링(11)과, 캠작동바(12)를 케이스(5)내부의 저면에 기 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3)를 결합하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11)과 캠작동바(12)만을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를 선 출원한 바 있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양측이 "U"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캠작동바(12')와, 일측단이 "ㄷ"자로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11')을 갖는 록킹수단(10)을 구비하고,
케이스(5)의 저면에 캠작동바(12')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바 삽입공(15)과, 그 일측 내부에 바조립공(16)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측면에는 판스프링 삽입공(17)을 형성하여 상기 캠작동바(12')와 판스프링(11')을 케이스(5)의 외부에서 작동바 삽입공(15)과 스프링 삽입공(17)을 통해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5)에 플런저(3), 상부덮개(7) 등이 기 조립된 상태에서 캠작동바(12'), 판스프링(11')을 조립, 교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푸쉬록 스위치는 상기 금속판재로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11')을 케이스(5)의 판스프링 삽입공(17)을 통해 삽입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절곡 변형을 이루는 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조립 불량의 경우에 캠작동바(12')의 탄발 지지가 곤란하여 작동불량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였다.
또한, 상기한 종래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노브(2) 가압작동에 따라 플런저(3)가 케이스(5) 내부에서 이동 안내 작동시 상기 플런저(3)의 본체(3b)가 케이스(5)내에서 안내 작동하게 되나, 상기 플런저(3)의 노브(2)가 조립되는 전방 조립부(3c)는 별도의 안내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노브의 가압작동에 따른 플런저의 이동작동시 전방 조립부(3c)가 노브(2)와 함께 심한 유동을 발생하게 되어 조작 및 작동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노브(2)를 가압작동함에 따라 플런저(3)가 전진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 오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노브(2)가 온,오프 상태에 따라 눌려진 상태, 다시 원위치 복귀 상태를 달리 표시하기 때문에 미감을 해침은 물론 스위치의 고급화를 구현하지 못하고, 또한 업계에서 온오프 작동에도 노브(2)가 일정하게 돌출되는 상태의 유지 작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노브의 누름작동에 따른 온,오프 작동시 노브가 항상 일정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려한 외관에 따른 스위치의 고급화로 사용 만족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 전후 이동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안내작동함은 물론 부품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가 결합되는 플런저를 탄발스프링과 함께 케이스에 내장하여 상부로 고정접지판과 연결단자를 갖는 상부 덮개로 결합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저면에는 플런저의 캠부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를 판스프링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노브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온,오프 작동하도록 하되,
상기 케이스와 플런저의 전면중앙에는 가이더와 안내홈에 의한 안내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는 전방의 본체와 후방의 작동몸체를 분리 구성하여 각각 케이스에서 탄발스프링으로 탄발 지지하므로 상기 노브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전방 본체와 후방 작동몸체가 순차적으로 탄발 가압되면서 캠작동으로 플런저의 작동몸체만이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오프 작동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 저면에는 개구부를 개방 형성하여 캠작동바, 판스프링을 삽입 조립한 후 별도의 하부덮개를 개폐 조립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되는 플런저(3)와 탄발스프링을 케이스(5)내에 내장 설치하고, 상부로 고정접지판(7a)과 연결단자(7b)를 갖는 상부 덮개(7)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플런저(3)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12')를 판스프링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노브(2)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캠작동바의 캠작동으로 플런저(3)가 케이스 내부에서 탄발 안내되며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전방의 본체(30)와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결합되고 하부에 캠부(3a)를 형성하는 후방의 작동몸체(35)를 분리 구성하여 각각 케이스(5)의 전후 벽면(5a)(5b)에서 탄발스프링(81)(82)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본체(30) 내부 양측에는 이동방향을 따라 안내돌기(31)와 가압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몸체(35)에는 안내돌기(31)에 안내되는 안내홈(36)과 가압돌기(32)에 의해 가압작동하기 위한 지지돌기(37)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노브(2)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플런저의 전방 본체(30)와 후방 작동몸체(35)가 순차적으로 탄발 가압되면서 캠작동바(12')의 캠작동으로 플런저의 작동몸체(35)가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런저(3)의 전방 본체(30)와 후방 작동몸체(35)는 상호 안내돌기(31)와 안내홈(36)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함은 물론 연동작동하게 되는 역활을 행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5)의 전면 중앙에는 가이더(59)를 돌출 형성하고, 플런저(3)의 본체(30) 전방에는 상기 가이더(59)가 안내되는 안내홈(39)을 형성하여 상기 플런저(3)의 본체(30)가 전후 이동작동시에 안내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 저면에는 개구부(52)를 개방 형성하여 캠작동바를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60)과 함께 별도의 하부덮개(70)를 개폐가능케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60)은 후방의 절곡부(65)가 케이스(5)의 개구부(52)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55)로 삽입 지지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덮개(70)는 양측단에 로크돌기(73)를 형성하여 케이스(5)의 로크홈(53)을 개폐가능케 조립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6은 캠작동바(12')의 일측단이 조립되는 바조립공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푸쉬록 스위치는 노브(2)에 의해 플런저를 가압작동함에 따른 온,오프 작동시 상기 노브(2)가 항상 일정하게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런저(3)를 전방의 본체(30)와 후방의 작동몸체(35)로 분리 구성하여 각각 탄발 연동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 푸쉬록 스위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케이스(5)내에 전방에 노브(2)가 조립되는 플런저(3)의 전방 본체(30)와 후방 작동몸체(35)를 탄발스프링(81)(82)과 함께 삽입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5)의 전면 중앙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더(59)를 플런저(3) 전방의 안내홈(39)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조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몸체(35)의 안내홈(36)이 본체(30)의 안내돌기(31)에 삽입 안내되도록 조립되고, 상기 탄발스프링(81)(82)이 각각 케이스(5)의 전후 벽면(5a)(5b)에 탄발 지지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 상부로 상부 덮개(7)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 하부로 개구부(52)를 통해 캠작동바(12')를 조립하되, 일측단은 바 조립공(16)에 타측단은 캠부(3a)에 삽입 조립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캠작동바(12')의 하부로 판스프링(60)과 함께 하부덮개(70)를 결합하여 조립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스(5)의 하부 개구부(52)를 통해 캠작동바(12'), 판스프링(60)을 조립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립과정에서 판스프링의 절곡 변형 등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하부 덮개(70)를 개폐하므로 손쉽게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5)에 플런저(3), 상부덮개(7) 등을 기 조립한 상태로 하부덮개(70)를 개폐하므로 내부 부품의 교체, 수리가 간편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가압하여 주면, 상기 플런저(3)의 전방 본체(30)가 탄발스프링(81)을 압축하며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 본체(30)의 가압돌기(32)가 후방 작동몸체(35)의 지지돌기(37)를 가압하여 작동몸체(35)가 탄발스프링(82)을 압축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 본체(30)는 안내홈(39)을 따라 케이스(5)의 가이더(59)가 안내되면서 전방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이동 작동하게 됨은 물론 상기 작동몸체(35)도 그 안내홈(36)으로 전방 본체(30)의 안내돌기(31)에 안내되면서 작동몸체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이동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후방 작동몸체(35)가 가압 이동하면, 캠작동바(12')의 타측단이 플런저의 작동몸체(35)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여 상기 작동몸체(35)가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은 물론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7a)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브(2)를 가압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플런저의 전방 본체(30)는 탄발스프링(81)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 복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몸체(35)는 캠작동바(12')의 캠작동으로 탄발스프링(83)을 압축하며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다시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가압하여 주면, 상기 플런저(3)의 전방 본체(30)가 탄발스프링(81)을 압축하며 이동한다.
이때에도, 상기 전방 본체(30)는 안내홈(39)을 따라 케이스(5)의 가이더(59)가 안내되면서 전방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이동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방 본체(30)가 계속 이동하면서 압축 이동된 작동몸체(35)에 이르르면 다시 전방 본체(30)의 가압돌기(32)가 후방 작동몸체(35)의 지지돌기(37)를 다시 가압하면서 캠작동바(12')의 타측단이 플런저의 작동몸체(35)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다시 캠작동하면서 지지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브(2)를 가압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플런저 의 전방 본체(30)는 탄발스프링(81)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 복귀되고, 상기 프런저의 작동몸체(35)도 탄발스프링(82)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 복귀되면서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상기 덮개(7)의 고정접지판(7a)과 어긋나면서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을 오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노브(2)를 가압하여 온작동시나 다시 노브(2)를 가압하여 오프작동시 상기 플런저의 전방 본체(30)가 일정하게 탄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록 스위치는 플런저를 전방의 본체와 후방의 작동몸체로 분리 구성하여 각각 탄발 연동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노브의 누름작동에 따른 온,오프 작동시 노브가 항상 일정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려한 외관에 따른 스위치의 고급화로 사용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또한 케이스와 플런저 전방 중앙으로 가이더와 안내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구성하므로 플런저의 유동을 전체적으로 최대한 방지하면서 조작 및 작동 품질을 향상시켜 그 상품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상기 케이스 저면에 개구부를 통해 캠작동바, 판스프링을 조립한 후 하부덮개를 개폐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종래와 같은 조립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조립 및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전방에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되는 플런저(3)와 탄발스프링을 케이스(5)내에 내장 설치하고, 상부로 고정접지판(7a)과 연결단자(7b)를 갖는 상부 덮개(7)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플런저(3)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12')를 판스프링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노브(2)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캠작동바의 캠작동으로 플런저(3)가 케이스 내부에서 탄발 안내되며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전방의 본체(30)와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결합되고 하부에 캠부(3a)를 형성하는 후방의 작동몸체(35)를 분리 구성하여 각각 케이스(5)의 전후 벽면(5a)(5b)에서 탄발스프링(81)(82)으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본체(30) 내부 양측에는 이동방향을 따라 안내돌기(31)와 가압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몸체(35)에는 안내돌기(31)에 안내되는 안내홈(36)과 가압돌기(32)에 의해 가압작동하기 위한 지지돌기(37)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노브(2)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플런저의 전방 본체(30)와 후방 작동몸체(35)가 순차적으로 탄발 가압되면서 캠작동바(12')의 캠작동으로 플런저의 작동몸체(35)가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의 전면 중앙에는 가이더(59)를 돌출 형성하고, 플런저(3)의 본체(30) 전방에는 상기 가이더(59)가 안내되는 안내홈(39)을 형성하여 상기 플런저(3)의 본체(30)가 전후 이동작동시에 안내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 저면에는 개구부(52)를 개방 형성하여 캠작동바를 탄발 지지하는 판스프링(60)과 함께 별도의 하부덮개(70)를 개폐가능케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1020060041430A 2006-05-09 2006-05-09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10071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30A KR100715700B1 (ko) 2006-05-09 2006-05-09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30A KR100715700B1 (ko) 2006-05-09 2006-05-09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700B1 true KR100715700B1 (ko) 2007-05-07

Family

ID=3827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30A KR100715700B1 (ko) 2006-05-09 2006-05-09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65Y1 (ko) * 2010-01-19 2011-12-20 유철상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KR101326762B1 (ko) 2012-06-11 2013-11-08 유철상 조명 푸쉬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469B1 (ko) 1996-05-29 2002-10-18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푸쉬록스위치장치
KR200326686Y1 (ko) 2003-07-01 2003-09-13 임광빈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판스프링 구조
KR200408899Y1 (ko) 2005-12-05 2006-02-14 (주)카마다코리아 푸시락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469B1 (ko) 1996-05-29 2002-10-18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푸쉬록스위치장치
KR200326686Y1 (ko) 2003-07-01 2003-09-13 임광빈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판스프링 구조
KR200408899Y1 (ko) 2005-12-05 2006-02-14 (주)카마다코리아 푸시락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65Y1 (ko) * 2010-01-19 2011-12-20 유철상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KR101326762B1 (ko) 2012-06-11 2013-11-08 유철상 조명 푸쉬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8912B2 (en) Nail gun which fires nails stably
AU675847B2 (en) Spring actuated fastener driving tool
JP2007159127A (ja) 携帯端末機用スライド開閉装置
EP1681699A4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715700B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US6419140B1 (en) Nail-driving gun having a single shot operation and a continuous shooting operation which can be selected by controlling acutation order of two members
KR200423399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US6598776B2 (en) Staple gun
KR101322365B1 (ko) 조명 푸쉬스위치
CN217429406U (zh) 一种伞具的电子控制结构
KR200326686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판스프링 구조
US20120248951A1 (en) Casing for receiving an extractible hard drive and including a rocking cam for extracting said hard drive
US3417908A (en) Tacker with attachment for outward clinch
CA3092049C (en) High efficiency torsion spring tacker
CN101480791B (zh) 省力型手动钉枪
EP1512442B8 (fr) Fixation de surf des neiges
CN210563814U (zh) 锁芯
KR20140125581A (ko) 도어 개폐장치
KR200309298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101326762B1 (ko) 조명 푸쉬스위치
KR102076776B1 (ko) 푸쉬 스위치
KR200311693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200170538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용기 장착장치.
KR102460697B1 (ko)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CN107740638B (zh) 钥匙柄自动滑出式peps钥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