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035B1 -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035B1
KR100715035B1 KR1020000050392A KR20000050392A KR100715035B1 KR 100715035 B1 KR100715035 B1 KR 100715035B1 KR 1020000050392 A KR1020000050392 A KR 1020000050392A KR 20000050392 A KR20000050392 A KR 20000050392A KR 100715035 B1 KR100715035 B1 KR 10071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scanning
transverse
vehicle
prob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200A (ko
Inventor
이흥수
Original Assignee
이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수 filed Critical 이지수
Priority to KR102000005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0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프루브 카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및 장치에서 교통 정보 수집 영역 확장에 의해 수집용 교통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출력 전류값 조절에 따라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도록 복수의 스캐닝 센서들을 프루브 카에 장착시키고, 그에 따라 프루브 카의 인접 차선 및 인접 차선의 옆 차선 등의 복수의 횡측 차선들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에 따라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속도를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주행 차선 및 속도에 따라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교통 정보 관제 센터 등으로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에 따라 출력 전류값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하여 스캐닝 센서들의 감지 감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캐닝 센서, 프루브 카, 출력 전류값, 감지 거리, 횡측 통과 차량

Description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도 1은 프루브 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도 1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의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a 송신부의 개략적 내부 구성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5a는 도 4의 센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5a의 송신부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a의 송신부 내부 구성 회로도.
도 7은 도 5a 송신부에서 발생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8a는 도 5a의 수신부 내부 구성 회로도.
도 8b는 도 8a의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b는 도 4의 센서부에 의한 횡측 통과 차량의 반사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센서부 내 스캐닝 센서들의 송수신 감도차에 따른 반사 신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센서 감지 거리 조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센서 감지 거리 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클럭 발생기 402 : 펄스 발생기
404 : 카운터 410 : 센서부
412 : 제1 스캐닝 센서 414 : 제2 스캐닝 센서
420 : 신호 처리부 430 : 메모리부
440 : 전송부
본 발명은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 정보 수집 영역 확장에 의해 수집용 교통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인구 증가에 비해 차량의 증가는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그에 따른 교통 체증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통 체증이 발생하는 지역을 파악하여 교통 체증이 발생한 지역으로 다른 차량들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우회로 등으로 차량을 분산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교통 체증 등의 교통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루프 감지기를 일정 도로에 설치한 후 루프 감지기로부터 측정되는 교통 정보에 의해 교통 상황을 파악하였다.
즉, 제1 루프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차량이 제2 루프 감지기에 다시 감지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시간을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고, 교통 관제 센터는 그 시간을 가공 및 분석함에 의해 차량의 속도 등을 감지하여 교통 상황을 파악한다.
또한, 루프 감지기에 의해 하나의 차량이 측정된 후 다른 차량이 측정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시간을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함에 의해 교통 정보 관제 센터는 전송된 측정 시간에 의해 차량의 정체 상태를 파악한다.
한편, 본 출원인은 프루브 카를 이용한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1999년 11월 24일자(특허출원 제99-31742호)로 출원하였다.
본 출원인에 의한 프루브 카를 이용한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에 따른 프루브 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은 프루브 카를 이용한 횡측 스캐닝 방법으로 프루브 카의 횡측 방향으로 통과하는 차량(이하, 횡측 통과 차량이라 칭함)들의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에 따른 상기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 의하면, 프루브 카에 설치된 스캐닝 센서를 이용하여 횡측 통과 차량을 검지하고, 스캐닝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신호를 상기 프루브 카에 설치된 단말기에서 분석하여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한 수집용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수집된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하는 수집용 교통 정보는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되고, 교통 관제 센터에서 상기 산출된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로 가공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프루브 카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횡측 스캐닝 센서를 장착한 후 주기적으로 전용 차선을 이용하는 차량 즉, 버스 등의 대중 교통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 센서는 상기 프루브 카의 적어도 한 측면에 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발명에 따른 프루브 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루브 카(100)의 제1 센서(SE-A)는 프루브 카(100)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에 바로 인접한 차선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110)을 검지하고 있는데 반하여 프루브 카(100)의 제2 센서(SE-B)는 하나 건너편에 있는 차량(120)을 검지하고 있다.
이때, 프루브 카에 장착되는 제1 센서(SE-A)는 도 2a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데, 제1 센서(SE-A)는 일반적인 적외선 센서로서, 횡측 통과 차량(200)에 적외선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1개의 송신부(212) 및 송신부(212)의 적외선 감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1개의 수신부(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송신부(21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가 'A'인 적외선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송신부(212)의 내부 구성 회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송신부 내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송신부(212)는 적외선 발생 저항(R1), 전압 분배 저항(Rb),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300) 및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부(212)의 적외선 발생 저항(R1)과 전압 분배 저항(Rb)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300)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조절한다. 이때,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300)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은 도 2b와 같이 적외선 발생 저항(R1) 값에 따라 정해진 일정 신호 레벨(A)로 조절되고, 일정 주파수 예를 들어, 초당 5000회를 갖도록 발생된다.
이때, 일정 신호 레벨을 갖도록 조절되어 발생된 적외선 신호에 따른 검지 영역은 프루브 카(100)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인접 차선으로 제한된다.
여기서, 제2 센서(SE-B)는 제1 센서(SE-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SE-A) 및 제2 센서(SE-B)의 검지 영역이 서로 다른 경우, 제1 센서(SE-A) 및 제2 센서(SE-B)로부터 얻어지는 신호가 서로 다른 차량에 의한 것이므로, 이에 기초하여 산출된 횡측 통과 차량의 속도는 오류가 포함되므로, 제1 센서(SE-A) 및 제2 센서(SE-B)에 의해 감지되는 물체는 동일 차선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어야 한다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감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두 센서의 검지 거리 차이에 의해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잘못된 오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므로 센서 설치시 센서의 감도(검지거리)를 항상 동일하게 설정한 후 고정시켜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하나의 신호 레벨을 갖는 적외선의 검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통과 차량을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통과 차량까지의 거리에 무관하게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송수신하는 센서에 의해 교통 정보 수집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거리를 갖는 센서의 감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루브 카를 이용하여 프루브 카의 횡측 통과 차량에 대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수단은 프루브 카에 설치되어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송신부, 송신부에서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수신부로 구성되고, 차량 감지 수단의 반사 스캐닝 펄스에 따라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전송 수단으로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특징은 프루브 카의 횡측 통과 차량에 대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수단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 복수개 저항의 저항값을 조합하여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 제어부의 출력 전류에 따른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광 다이오드, 스캐닝 펄스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의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되고, 차량 감지 수단의 반사 신호에 따라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 생성 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전송 수단으로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특징은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프루브 카의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프루브 카의 적어도 일 측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스캐닝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복수 횡측 차선의 횡측 통과 물체의 차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횡측 통과 물체가 차량인 경우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진행 차선 및 상대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대 속도 및 프루브 카의 속도에 의해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스캐닝 센서들은 프루브 카 횡측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감지 거리를 갖는 복수의 감지 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고, 도 5a는 도 4의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송신부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루브 카(100)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교통 정보 수집 장치는 클럭 발생기(400), 펄스 발생기(402), 카운터(404), 센서부(410), 신호 처리부(420), 메모리부(430) 및 전송부(440)로 구성된다.
즉,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클럭 신호(CLK)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400), 프루브 카(100)의 속도 산출을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402), 클럭 신호 및 펄스 신호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404),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여 복수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10), 카운터(404) 및 센서부(4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복수 횡측 차선에 위치한 횡측 통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그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420), 신호 처리부(420)에서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30) 및 신호 처리부(420)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메모리부(430)에 저장되어 있던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정보 관제 센터(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는 전송부(4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410)는 프루브 카(10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로 구성되는데, 제1 스캐닝 센서(41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루브 카(100)의 횡측 차선을 주행하는 횡측 통과 차량(200)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송신부(502), 발생된 스캐닝 펄스가 횡측 통과 차량(200)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5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스캐닝 센서(414)가 제1 스캐닝 센서(412)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구성됨은 자명하다.
제1 스캐닝 센서(412)의 송신부(502)에서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루브 카(100)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복수 횡측 차선 즉, 인접 차선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 레벨(A1) 및 인접 차선의 옆 차선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 레벨(A2)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횡측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송신부의 내부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고 병렬 연결된 복수 저항(R2,R3), 복수 저항(R2,R3)에 병렬 연결된 전압 분배 저항(Rb), 복수 저항(R2,R3)에 의해 조절된 출력 전류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는 트랜지스터(602) 및 트랜지스터(60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을 갖고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광 다이오드(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 저항(R2,R3)은 와이어드-오어(Wired-OR)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럭 발생기(400)는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카운터(404)로 출력하고, 펄스 발생기(402)는 프루브 카(100)의 바퀴가 회전할 때마다 일정 횟수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카운터(404)로 출력한다.
카운터(404)는 클럭 신호 및 펄스 신호를 입력받고, 두 신호들을 카운팅하여 신호 처리부(420)로 출력한다.
센서부(410)의 제1 스캐닝 센서(412)는 프루브 카(100)의 주행 차선의 인접 차선 및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고, 발생된 스캐닝 펄스가 횡측 통과 차량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420)로 출력한다.
이때, 센서부(410)의 제2 스캐닝 센서(414)는 제1 스캐닝 센서(412)와 동일한 동작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캐닝 센서(412) 내 송신부(502)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502)는 입력 전압(VIN)에 대한 저항(R2)에 따라 출력 전류를 조절하고, 조절된 출력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602)가 스위칭 동작됨에 따라 감지 신호 발광 다이오드(600)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 신호 레벨(A1)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일정 시간 동안(T1) 출력한다. 이때, 제1 신호 레벨(A1)은 프루브 카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인접 차선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 레벨이고, 일정 시간(T1)은 약 5 ㎲이다.
또한, 저항(R2)에 따른 스캐닝 펄스를 발생한 후 일정 시간(T2) 후 입력 전압(VIN)에 대한 저항(R3)에 따라 출력 전류를 조절하고, 그 출력 전류에 의해 트랜 지스터(602)가 스위칭 동작됨에 따라 감지 신호 발광 다이오드(600)는 도 7에서와 같은 제2 신호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신호 레벨(A2)은 인접 차선의 옆 차선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 레벨이고, 일정 시간(T2)은 제1 신호 레벨(A1)을 갖는 스캐닝 펄스가 발생되어 횡측 통과 차량에 의해 반사된 후 반사 스캐닝 펄스가 제1 스캐닝 센서(412)의 수신부(504)에서 수신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으로서, 일정 시간(T2)은 130 내지 170 ㎲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구성하는 회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502)는 제1 신호 레벨(A1) 및 제2 신호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는 일정 주기로 발생하거나 또는 랜덤(random) 하게 발생하며, 이때 주기가 짧을수록 측정하는 속도의 오차는 적어진다.
한편, 수신부(504)는 복수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가 횡측 통과 차량에 반사되는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데, 복수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의 발생 시간차에 의해 복수 신호 레벨(A1,A2)을 갖는 반사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를 구분하여 수신한다.
즉, 송신부(502)에서 일정 레벨(A1)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기 시작하여 130 내지 170 ㎲ 내에 수신부(504)에 수신되는 신호는 일정 레벨(A1)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신호로서, 인접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에 반사된 후 되돌아오는 반사 스캐닝 펄스이다.
한편, 수신부(504)는 송신부(502)에서 일정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기 시작하여 130 내지 170 ㎲ 내에 수신부(504)에 수신되는 신호는 일정 레 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신호로서,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한 후 되돌아오는 반사 스캐닝 펄스이다.
여기서,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는 A1,A2의 신호 레벨 외에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고, 그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여 인접 차선 및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 외에 복수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504)의 내부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수신부(504)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502)에서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반사 신호 수광 다이오드(800), 수신된 반사 스캐닝 펄스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802) 및 일정 레벨로 증폭된 반사 스캐닝 펄스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부(420)로 출력하는 수신 제어부(8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증폭부(802)는 반사 신호 수광 다이오드(800)를 통해 입력되는 반사 스캐닝 펄스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데 그 신호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증폭부(802)에서 출력되는 반사 스캐닝 펄스(S')는 송신부(502)에서 발 생된 스캐닝 펄스(S)가 횡측 통과 차량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일정 시간의 지연 시간차를 갖는다.
수신 제어부(804)는 증폭부(802)에서 출력되는 S' 신호 중 A1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S1') 및 A2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 (S2')를 신호 처리부(420)로 출력한다. A1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S1')는 빛의 속도로 전달되므로 A1 스캐닝 펄스의 송출 즉시 수신되며, A2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의 경우도 같다. 반사 스캐닝 펄스의 도착 시간은 A1 및 A2 신호 레벨의 스캐닝 펄스가 송출되는 시간 간격에 비해 현저히 짧기 때문에 신호 처리부는 S1' 및 S2'를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송신부(502)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인접 차선 및 인접 차선의 옆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라 수신부(504)에서 출력되는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a는 횡측 통과 차량이 인접 차선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송신부(502)에서 출력되는 감지 거리가 인접 차선인 제1 신호 레벨(A1)을 가지는 스캐닝 펄스 및 감지 거리가 인접 차선의 옆 차선인 제2 신호 레벨(A2)을 가지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 인접 차선에 위치한 횡측 통과 차량이 감지되어 그에 따라 수신부(504)의 수신 제어부(804)는 복수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1',S2')를 출력한다.
여기서, 복수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1',S2')는 송신부(502)에서 발생되는 복수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 발생 시간차에 따른 시간 간격을 갖는다.
또한, 도 9b는 횡측 통과 차량이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감지 거리가 인접 차선인 제1 신호 레벨(A1)을 가지는 스캐닝 펄스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할 수 없고, 감지 거리가 인접 차선의 옆 차선까지인 제2 신호 레벨(A2)을 가지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서만 횡측 통과 차량이 감지되므로, 제2 신호 레벨(A2)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만 수신부(504)에 수신되므로 수신 제어부(804)는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2')만을 출력한다.
또한, 도 9c는 두 대의 횡측 통과 차량이 인접 차선 및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차례로 위치하는 경우로서, 프루브 카(100)의 인접 차선에 첫 번째의 횡측 통과 차량이 위치하고, 제1 및 제2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감지 영역을 첫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이 벗어나기 전에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두 번째의 횡측 통과 차량이 위치하는 경우로서, 첫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은 제1 및 제2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 감지되고, 두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은 제2 신호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 감지되므로, 수신 제어부(804)는 제1 및 제2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1',S2')를 출력하다가 두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는 제2 신호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2')만을 출력한다.
또한, 도 9d는 두 대의 횡측 통과 차량이 인접 차선의 옆 차선 및 인접 차선에 차례로 위치하는 경우로서, 프루브 카(100) 인접 차선의 옆 차선에 첫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이 위치하고, 첫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이 감지 영역을 벗어나기 전에 인접 차선에 두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이 위치하는 경우로서, 첫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은 제2 신호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 감지되고, 두 번째 횡측 통과 차량은 제1 및 제2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 모두 감지되므로, 수신 제어부(804)는 제2 신호 레벨(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2')만 출력하다가 제1 및 제2 신호 레벨(A1,A2)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1',S2')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센서부(410)의 제1 및 제2 스캐닝 센서(412,414)는 하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송신부를 복수개 구성하고, 각각의 송신부는 서로 다른 감지 거리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10)는 복수개의 스캐닝 펄스에 따른 복수의 반사 스캐닝 펄스를 하나의 수신부에 의해 감지하거나 또는 하나의 반사 스캐닝 펄스만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신부에 의해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캐닝 센서들 예를 들어, 도 4의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들로 구성된다.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는 일정 간격으로 프루브 카에 설치되므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동일한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캐닝 센서(412,414)의 송수신 감도 차이가 발생하면, 횡측 통과 차량의 동일 영역을 감지시 제1 및 제2 스캐닝 센서(412,414)는 서로 다른 형태로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의 감도차에 의해 다음 도면과 같은 반사 신호를 출력한다.
도 10은 센서부 내 스캐닝 센서들의 송수신 감도차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의 출력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410)를 구성하는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의 송수신 감도차가 적은 경우에는 제1 스캐닝 센서(412)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A')와 제2 스캐닝 센서(414)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B')의 출력시간인 A 및 B가 거의 동일하거나 그 차가 0.1∼1msec 이내로 아주 적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의 송수신 감도차가 큰 경우에는 제1 스캐닝 센서(412)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A')와 제2 스캐닝 센서(414)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SB')의 출력시간인 A 및 B의 차가 현저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캐닝 센서들의 감도차에 따른 감지 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정확하게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각각 스캐닝 센서들의 신호 레벨을 조절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센서 감지 거리 조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와이어드-오어 형태로 병렬 연결된 복수 저항(R1,R2,...,Rn),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 저항(R1,R2,...,Rn)에 선택적으로 입력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1100), 복수 저항(R1,R2,...,Rn)에 병렬 연결된 전압 분배 저항(Rb), 조절된 출력 전류값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1102) 및 트랜지스터(110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104)로 구성된다.
즉, 제어부(1100)는 출력 핀에 접속된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복수 저항(R1,R2,...,Rn)들 중 원하는 레벨의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기 위해 입력 전압을 복수 저항(R1,R2,...,Rn)에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출력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104)를 통해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의 신호 레벨을 조절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센서 감지 거리 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전압(Ref.)에 대한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0), 제어부(1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 전압(Ref.)에 대한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변환부(1202), 전류 변환부(1202)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는 트랜지스터(1204) 및 트랜지스터(120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원하는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206)로 구성된다.
즉, 제어부(120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206)에서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여 감지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기준 전압(Ref)에 대한 원하는 출력 전류를 갖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류 변환부(1202)는 제어신호에 따라 원하는 출력 전류를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206)로 출력함에 따라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206)는 원하는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도록 조절하므로,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의 감지 거리 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프루브 카(100)에 장착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는 센서부(410)의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에 의해 프루브 카(100)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물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부(420)로 출력한다(S1300).
이때,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는 복수의 신호 레벨에 따른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프루브 카(100)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인접 차선, 인접 차선의 옆 차선 또는 그 외 복수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20)는 차량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서부(410)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에 따라 횡측 통과 물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1302). 즉, 센서부(410)의 제1 스캐닝 센서(또는 제2 스캐닝 센서)(412)에 의해 감지된 물체가 제2 스캐닝 센서(또는 제1 스캐닝 센서)(414)에 의해 다시 감지되기 전에 감지가 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차량인지 또는 전봇대, 가로등, 나무, 보행자인지를 판단한다.
위의 단계(S1302)에서 횡측 통과 물체가 차량인 경우에는 센서부(410)로부터의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신호 및 카운터(404)로부터 입력되는 카운팅된 펄스 신호에 따라 횡측 통과 차량의 진행 차선 및 속도를 산출한다(S1304).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 는 복수의 신호 레벨에 따라 감지 거리가 복수개인 스캐닝 펄스를 프루브 카(100)의 횡측 차선 즉, 횡측 통과 차량 감지 영역으로 전송하고,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에 따라 반사되는 반사 스캐닝 펄스를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의 수신부에서 감지한다.
이때, 수신부에서 감지되는 반사 스캐닝 펄스는 감지 거리가 다름에 따른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갖는 신호이고, 신호 처리부(420)는 반사 스캐닝 펄스의 입력 시간차에 따라 횡측 통과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횡측 차선을 산출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420)는 프루브 카와 횡측 통과 차량의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1 스캐닝 센서(412) 및 제2 스캐닝 센서(414)로 입력되는 반사 신호의 시간 간격, 카운터(404)로부터의 카운팅된 클럭 신호 및 제1 및 제2 스캐닝 센서의 거리에 의해 횡측 통과 차량의 상대 속도를 산출하고, 프루브 카(100)의 운행에 의해 발생되어 카운터(404)에서 카운팅된 펄스 신호에 따라 프루브 카의 속도를 산출하여, 횡측 통과 차량의 상대 속도 및 프루브 카(100)의 속도를 합하여 횡측 통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한다.
이어, 산출된 횡측 통과 차량의 속도를 기초로 횡측 통과 차량의 대수, 프루브카의 위치, 시각, 대기 행렬 길이 등의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부(430)에 저장한다(S3106).
위의 단계(S1306)에서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 또는 메모리부(43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관제 센터 등으로 전송한다(S1308).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은 프루브 카의 일 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캐닝 센서를 가지고, 각각의 스캐닝 센서는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여 프루브 카가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인접 차선, 인접 차선의 옆 차선 및 그 외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수집하므로, 수집된 교통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의해 감지 신호 발생을 위한 출력 전류값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하므로 스캐닝 센서의 감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프루브 카의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여 복수 차선의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부;
    상기 스캐닝 펄스가 상기 횡측 통과 차량에 반사된 반사 스캐닝 펄스에 따라 적어도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속도를 포함하는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상기 복수 횡측 차선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발생된 스캐닝 펄스에 따른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스캐닝 펄스가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을 갖고 발생된 스캐닝 펄스에 따른 반사 스캐닝 펄스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격은 130 내지 170 ㎲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서로 다른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도록 복수개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각각의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도록 복수개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복수 횡측 차선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 발생을 위한 복수개의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부;
    상기 전류값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부는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
    상기 복수개 저항을 조합하여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전류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부는
    상기 감지 신호 발생을 위한 출력 전류 조절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준 전압에 대한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변환부:
    상기 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환부는 D/A 컨버터로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12. 프루브 카를 이용하여 상기 프루브 카의 횡측 통과 차량에 대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수단은
    상기 프루브 카에 설치되어 복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발생되는 스캐닝 펄스에 따른 상기 횡측 통과 차량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수신부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반사 스캐닝 펄스에 따라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전송 수단으로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13. 프루브 카의 횡측 통과 차량에 대한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수단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저항,
    상기 복수개 저항의 저항값을 조합하여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전류에 따른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갖는 스캐닝 펄 스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광 다이오드,
    상기 스캐닝 펄스에 따른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 감지 수단의 반사 스캐닝 펄스에 따라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속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전송 수단으로 출력하는 메모리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14.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프루브 카의 교통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 카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
    상기 프루브 카의 적어도 하나의 횡측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스캐닝 펄스에 의해 상기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 감지를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복수 차선의 횡측 통과 차량의 주행 차선 및 상대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펄스 신호에 의해 프루브 카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상대 속도 및 상기 프루브 카의 속도에 따라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횡측 통과 차량에 따른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전송부로 출력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
  15. 수집용 교통 정보를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프루브 카의 교통 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 카의 적어도 일 측면에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스캐닝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복수 횡측 차선에 위치하는 횡측 통과 물체의 차량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횡측 통과 물체가 차량인 경우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횡측 통과 차량의 진행 차선 및 상대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대 속도 및 상기 프루브 카의 속도에 의해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수집용 교통 정보를 상기 교통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스캐닝 센서들은 상기 프루브 카 횡측의 복수 차선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레벨을 갖는 감지 신호에 따른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6. 시간에 따라 최대 감지 거리가 다른 스캐닝 펄스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펄스가 횡측 통과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 스캐닝 펄스를 분석하여 횡측 통과 물체에 관련된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펄스 및 상기 반사 스캐닝 펄스는 차량의 횡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부착된 적어도 2개의 스캐닝 센서에서 발생 및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펄스는
    제1 감지 거리를 갖는 제1 스캐닝 기간;
    상기 제1 스캐닝 기간에 이어지는 제1 휴지 기간;
    제2 감지 거리를 갖는 제2 스캐닝 기간;
    상기 제2 스캐닝 기간에 이어지는 제2 휴지 기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휴지 기간은 상기 반사 스캐닝 펄스를 수신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KR1020000050392A 2000-08-29 2000-08-29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071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392A KR100715035B1 (ko) 2000-08-29 2000-08-29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392A KR100715035B1 (ko) 2000-08-29 2000-08-29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200A KR20020017200A (ko) 2002-03-07
KR100715035B1 true KR100715035B1 (ko) 2007-05-09

Family

ID=1968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392A KR100715035B1 (ko) 2000-08-29 2000-08-29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19B1 (ko) * 2009-05-19 2011-08-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자가발전을 이용한 도로정보 표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421B1 (ko) * 2022-12-08 2023-06-28 주식회사 케이비텍 컨버터 출력전류를 이용한 전류조절기가 구비된 led 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712A (ko) * 1999-08-02 2001-03-05 이흥수 프루브 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KR20010045683A (ko) * 1999-11-06 2001-06-05 이흥수 프루브 카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712A (ko) * 1999-08-02 2001-03-05 이흥수 프루브 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KR20010045683A (ko) * 1999-11-06 2001-06-05 이흥수 프루브 카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19B1 (ko) * 2009-05-19 2011-08-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자가발전을 이용한 도로정보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200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3236B2 (ja) 通過人数の計数方法
US7791714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istance-measuring images
WO1991013418A1 (en) Traffic flow monitor apparatus
KR100715035B1 (ko)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JP2003217077A (ja) 走行車両識別装置
KR100414358B1 (ko) 프루브 카를 이용한 대기 행렬 길이를 포함한 교통 정보수집 방법
KR100804159B1 (ko) 주차 차량 감지 방법,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시스템
JP2839335B2 (ja) 走行車両の車種判別及び速度計測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装置
KR20010045683A (ko) 프루브 카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장치
JP3171767B2 (ja) 衝突予知システム
JP3530982B2 (ja) 車載用車速計測装置
JPH07282384A (ja) 車種判別装置
KR100338458B1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교통 정보 생성 방법
JPH04100200A (ja) 走行車両の車種判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76143B2 (ja) 超音波式車両通過検知システム
JP2001208844A (ja) 光学式車両感知装置および光学式車両感知方法
JP2627960B2 (ja) 車種判別装置
KR100312211B1 (ko) 초음파 교통량 검지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획득 방법
JPH0628595A (ja) 交通流計測方法
JP2852844B2 (ja) 路面反射追従による車両感知方法
JPH055153B2 (ko)
JPH1183684A (ja) 走行車両の試験方法
EP1391851A9 (en) Coin selection device and method
JP2867552B2 (ja) 交通流変動監視装置
JP3363568B2 (ja) 光位相差式車両感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