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990B1 -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990B1
KR100714990B1 KR20060018214A KR20060018214A KR100714990B1 KR 100714990 B1 KR100714990 B1 KR 100714990B1 KR 20060018214 A KR20060018214 A KR 20060018214A KR 20060018214 A KR20060018214 A KR 20060018214A KR 100714990 B1 KR100714990 B1 KR 10071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incineration
ascon
discharge pipe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정
Original Assignee
박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정 filed Critical 박무정
Priority to KR2006001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프라스틱이 포함된 폐자재를 불완전 소각하여 재활용 가능한 성형재를 만들어내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폐아스콘을 녹여 골재와 아스팔트로 분리시키며, 소각 및 분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공해물질을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에 있어서, 투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여 프라스틱류가 포함된 폐자재를 불완전소각하는 소각로(112),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열을 배출하는 가스배출관(114)을 형성한 폐자재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과, 가스배출관(122a)을 상단에 형성하고 회수관(122b)을 하단에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가스배출관(114)이 연결되는 케이싱(122)와, 케이싱(122)내에서 구동모터(125)에 의해 회전하며 폐아스콘이 투입/배출되도록 양측이 개구된 망분리기(124)를 형성한 아스콘추출부(120); 및, 상기 아스콘추출부(120)의 가스배출관(122a)이 연결되는 유입구(132a)와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2b)를 형성한 외부케이싱(132)와, 외부케이싱(132)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134)를 형성한 가스정화/배출부(130)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소각, 분리, 정화, 압출기, 여과재

Description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Construction waste and carpet scrap recycling treate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소각 및 골재추출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아스콘추출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가스정화/배출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소각 및 골재추출부, 112:소각로, 112a:투입구, 112b:배출구, 114:가스배출관,
114a:유입구, 116:압출기, 116a:스크류, 116b:풀리, 116c:벨트,
116d:구동모터, 118:송풍기, 118a:블로워, 118b:배출노즐, 118c:분사공,
119:분배기, 119a:제1배출지관, 119b:제2배출지관, 120:아스콘추출부,
122:케이싱, 122a:가스배출관, 122b:회수관, 123:냉각수관,
124:망분리기, 124a:나선스크류, 124b:걸림턱부, 125:구동모터, 126:노즐,
127:환수관, 128:안내관, 129:회수관, 130:가스정화/배출부,
132:외부케이싱, 132a:유입구, 132b:배출구, 133:유입공간, 134:여과재,
134a:제1여과재, 134b:제2여과재, 135:방출로, 136:원추형 안내판,
137:철망, 138:필터.
본 발명은 프라스틱이 포함된 폐자재를 불완전 소각하여 재활용 가능한 성형재를 만들어내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폐아스콘을 녹여 골재와 아스팔트로 분리시키며, 소각 및 분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공해물질을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너지 절약, 자원재활용 및 환경보호의 관점에서 도로포장의 리사이클링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60년대 말부터 경제발전에 필수적인 국가 중추 교통, 도로망의 확보라는 국가적인 사업의 일환인 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아 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아스콘)에 의한 도로포장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멩 따라 도로의 증설 및 보수작업이 요구되고 그에 따른 다량의 폐아스콘의 발생이 수반되었으며 그 발생량은 더욱 증가할 예정이다. 이때 발생하는 폐아스콘은 환경적인 독소를 가진 산업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일종으로 그에 대한 처리 및 처분이 사회/경제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폐아스콘의 대부분을 중간처리 업체가 단순 파쇄후 성토재, 기층재로 활용하거나 매립지에 폐기하고 극히 제한적으로 재생아스콘으로서 사용하고 잇으나 재생아스콘의 품질문제, 재활용에 대한 지침 및 체계의 미정립, 재생품에 대한 불신 등으로 활용도가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재생아스콘으로 사용되는 약5%의 폐아스콘은 이동식이나 고정식 재생장비를 사용하여 소규모 북구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성토재로 사용되는 양은 현장에서 약 30cm 미만의 규격으로 파쇄골재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기층골재로 사용되는 부분은 일부 업체에서 파쇄 및 선별하여 포장용 골재로 재활용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폐아스콘은 중간처리 업체를 통하여 단순 파쇄후 성토재, 기층재 등 골재로서 재활용되고 그 일부가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재생아스콘의 경우 공정상의 문제에 의하여 불량 아스콘이 생산되고 있으며, 인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 그 활용성이 높지 못하고, 골재롤 재생되는 경우에도 아스팔트의 분리 및 기타 활용성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호퍼를 통해 폐아스콘을 투입시켜, 프레임상의 회전수단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에 페아스콘을 수용하고, 적정 온도로 가열하여,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에 아스팔트유를 첨가하여 믹싱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폐아스콘 재생장치는 폐아스콘에서 아스팔트와 골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재생하는 방식이므로 재생아스팔트에 공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스팔트를 가열하고 아스팔트유를 믹싱하는 과정에서 증발되어 나오는 기름 증기로 인해 환경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수명을 다한 폐기 차량의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된 폐카페트가 다량 폐기되고 있지만 복합소재인 카폐트스크랩은 활용가치가 부족하여 자원화하기가 부적합한 폐기물로 인식될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한 도로 및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함과 더불어 이러한 폐기되는 자동차의 폐카페트의 재활용을 겸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성형재료를 용융할 수 있는 소각형 재활용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틱을 원재료로 하는 폐자재를 불완전 소각하여 재활용 가능한 성형재를 만들어내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폐아스콘을 녹여 골재와 아스팔트로 분리시키며, 소각 및 분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공해물질을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소각로 에서 불완전연소된 프라스틱을 포함한 폐자재들의 소각찌꺼기를 혼련하여 재활용 가능하게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아스콘추출부의 망분리기의 내측에 나선스크류를 형성하여 폐아스콘이 회전에 의해 이송되게 하고, 망분리기 내에 걸림턱부을 형성하여 폐아스콘이 이송중 혼합되어 열이 골고루 전달되게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아스콘추출부을 통과하는 가스배출관측에 냉각수관을 통과시켜 휘발성증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응결/환수되게 하여 폭발위험을 줄이는 효과와, 망분리기의 말단에서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를 하방으로 분사하여 골재로부터 아스팔트액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가스정화/배출부의 여과재로 시멘트 발포체와 활성탄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이 이중으로 여과되게 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 소각 및 골재추출부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이 여과재의 사이에 감겨지게 하여 열에 의해 여과재가 가열건조되게 함으로써 여과효과를 증대시키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에 있어서, 투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여 프라스틱류가 포함된 폐자재를 불완전소각하는 소각로,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열을 배출하는 가스배출관을 형성한 폐자재 소각 및 골재추출부;과, 가스배출관을 상단에 형성하고 회수관을 하단에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의 가스배출관이 연결되는 케이싱와, 케이싱내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폐아스콘이 투입/배출되도록 양측이 개구된 망분리기를 형성한 아스콘추출부; 및, 상기 아스콘추출부의 가스배출관이 연결되는 유입구와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 외부케이싱와, 외부케이싱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를 형성한 가스정화/배출부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의 가스배출관은 소각로의 내측에 감겨지며 하단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은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스크류와, 이 스크류들이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풀리와 벨트, 그리고 어느 하나의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압출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은 송풍용 블로워와, 일측이 블로워와 연결되고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하 여 상기 소각로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의 배출노즐로 이루어지는 송풍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은 가스배출관의 말단에 제1,제2배출지관을 갖는 분배기를 형성하며, 제1배출지관은 아스콘추출부의 케이싱에 연결되고, 제2배출지관은 가스정화/배출부의 여과재 사이에 권취된 다음 그 말단이 가스정화/배출부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분배기는 제1,제2배출지관의 입구에 필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망분리기는 내측에 나선스크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망분리기는 내측에 걸림턱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아스콘추출부은 케이싱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가스배출관의 하측에 형성되는 안내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안내관는 내부를 관통하는 냉각수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아스콘추출부은 케이싱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회수관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수 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아스콘추출부은 선단에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하여 망분리기의 후단내에서 하방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아스콘추출부은 가스배출관의 하단에 회수관으로 연통되는 환수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가스정화/배출부의 외부케이싱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여과재와 외부케이싱의 사이에 유입공간을 형성하고, 여과재 내부에 방출로을 형성하며, 외부케이싱의 유입구로 유입된 연기가 유입공간으로 유도되도록 여과재의 하단에 원추형 안내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여과재는 콘크리트 발포체인 제1여과재와, 활성탄인 제2여과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여과재는 유입공간측과 방출로측에 철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상기 콘크리트 발포체는 포틀랜드시멘트 50%, 중조 8.5%, 하이포 10%, 티오요소 5%, 은분 0.5%, 가성소다 1%, 물 25%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1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크게 프라스틱류를 포함하는 각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들을 불완전소각하여 그 잔재물로 성형재를 가공하게 하는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과,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으로부터 나오는 열을 이용해 폐아스콘을 골재와 아스팔트로 분리해내는 아스콘추출부(120)과, 소각 및 분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공해물질들을 정화하는 가스정화/배출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은 투입구(112a)와 배출구(112b)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폐재재를 소각하는 소각로(112)와, 소각로(112)의 외측에 감겨지며 하단에 흡입구(114a)가 형성되어 소각로(112)의 연기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관(114)과, 소각로(112)의 하단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도록 다수의 분사공(118c)을 형성하여 상기 소각로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의 배출노즐(118b)과 이 배출노즐(118b)의 일측에 연결되는 송풍용 블로워(118a)를 형성한 송풍기(118)와, 배출구(112b)의 하단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소각잔재물을 혼합 성형하는 압출기(116)와, 제1,제2배출지관(119a,119b)을 형성하고 제1,제2배출지관(119a,119b)의 입구에 각각 필터(119c)를 형성하여 가스배출관(114)의 말단에 형성되는 분배기(119)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압출기(116)는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스크류(116a)와, 이 스크류(116a)들이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풀리(116b)와 벨트(116c)와, 어느 하나의 스크류(116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6d) 및, 스크류(116a)의 하단에 형성되어 혼련된 재료를 일정모양으로 성형시키는 롤러(116e)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스콘추출부(120)은 연개배출관(122a)을 상단에 형성하고 회수관(122b)을 하단에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제1배출지관(119a)이 연결되는 케이싱(122)와, 내측에 나선스크류(124a)와 걸림턱부(124b)을 다수개 형성하고 구동모터(125)의 스프로킷(125a)과 체인(125b)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25)에 의해 케이싱(122)내에서 회전하는 양측이 개구된 망분리기(124)와, 상기 망분리기(124)가 케이싱(122)상에서 공회전하도록 하는 로울러(121)와, 케이싱(122)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128a)이 형성되어 가스배출관(122a)의 하측에 형성되며, 냉각수관(123)이 관통되는 안내관(128)와, 케이싱(122)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129a)이 형성되어 회수관(122b)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수부(129)와, 선단에 다수의 분사공을 형성하여 망분리기(124)의 후단내에서 하방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126)과, 가스배출관(122a)의 하단과 회수관(122b)을 연통시키는 환수관(127)을 형성한다.
상기 가스정화/배출부(130)은 상기 아스콘추출부(120)의 가스배출관(122a)이 연결되는 유입구(132a)와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2b)를 형성한 원통형의 외부케이싱(132)와, 콘크리트 발포체인 제1여과재(134a)와, 활성탄인 제2여과재(134b)로 이루어져 외부케이싱(132)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134)와, 여과재(134)와 외부케 이싱(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간(133)과, 여과재(134) 내부에 형성되는 방출로(135)와, 외부케이싱(132)의 유입구(132a)로 유입된 연기가 유입공간(133)으로 유도되도록 여과재(134)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추형 안내판(136)과, 상기 여과재(134)의 유입공간(133)측과 방출로(135)측에 형성되는 철망(137) 및, 유입공간(133)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필터(13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재(134a)인 콘크리트 발포체는 포틀랜드시멘트 50%, 중조 8.5%, 하이포 10%, 티오요소 5%, 은분 0.5%, 가성소다 1%, 물 25%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소각 및 골재추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아스콘추출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가스정화/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종 프라스틱류나 섬유, 종이, 나무조각등의 폐자재가 소각로(112)의 투입구(112a)로 투입되면 소각로(112)내에서 소각되며, 프라스틱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가 재료의 비점에 따른 연소성에 의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류의 소성유동에 의해 하단 배출구(112b)를 통해 흘러내리게 된다.
여기서, 송풍기(118)의 블로워(118a)를 통해 소각로(112)하단에 설치된 배출 노즐(118b)의 분사공(118c)으로 외부공기를 주입시켜 폐자재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그리고, 폐자재의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하단에 흡입공(114a)이 형성된 가스배출관(114)을 통해 배출되고, 소각열은 소각로내측에 감겨진 가스배출관(114)을 통과하는 연기를 가열시키게 되며, 가열된 연기는 가스배출관(114)의 말단에 설치된 분배기(119)를 통해 제1, 제2배출지관(119a,119b)으로 이송되며, 각각의 배출지관(119a,119b) 입구에 형성된 필터(119c)에 의해 그으름이나 재등이 걸러진다.
한편, 상기 소각로(112)에서 불완전소각된 폐자재는 소각로 하단의 배출구(112b)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며 배출구(112b)의 하단에 형성된 압출기(116)에 의해 혼합/성형된다.
이러한 압출기(116)는 벨트(116c)와 풀리(116b)에 의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모터(116d)에 의해 연동하는 한쌍의 스크류(116a)를 이용하여 배출구(112b)를 통해 흘러내리는 프라스틱 용융물과 완전 연소된 기타 잔재물을 서로 혼련(混練)시켜 재활용 프라스틱으로 가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116a)의 말단에서 혼련되어 배출되는 성형물은 롤러(119)를 이용해 압출하여 일정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성형물은 경량골재나 농작물의 지지대, 또는 저지대 메꿈용재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중 도 4는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폐아스콘의 골재와 아스팔트를 분리시키는 아스콘추출부(120)의 작용을 나타내 는 것이다.
케이싱(122)상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로울러(121)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125)의 스프로킷(125a)에 체인(125b)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망분리기(124)의 일측으로 폐아스콘을 투입하면, 회전하는 망분리기(124)의 내측에 다수 형성된 나선스크류(124a)에 의해 이 폐아스콘이 배출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망분리기(124)를 감싸고 있는 케이싱(122)의 일측 하부로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제1배출지관(119a)이 연결되어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으로부터 발생되는 약 300~500℃의 연기가 망분리기로 공급되어 폐아스콘을 녹이게 된다.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열에 의해 폐아스콘이 녹기 시작하면, 골재로부터 아스팔트가 분리되어 망분리기(124)의 망을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골재는 계속 나선스크류(124a)에 의해 배출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망분리기(124)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걸림턱부(124b)에 의해 폐아스콘이 뒤집혀 섞이면서 아스팔트가 골고루 녹아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망분리기(124)의 말단부에서는 선단에 분사공을 형성한 노즐(126)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골재에 붙어있는 녹은 잔여 아스팔트를 떨어뜨리도록 하여 분리효율을 증대시킨다.
이처럼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폐열에 의해 폐아스콘의 골재로부터 녹아내린 아스팔트액은 케이싱(122) 하부에 형성된 회수부(129)의 통공(129a)을 통해 흘러내려 회수관(122b)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골재는 망분리기(124)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면서 폐아스콘의 골재와 아스팔트액이 분리되며, 이러한 분리과정에서 발생 되는 휘발성증기와,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으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연기는 케이싱(122) 상측의 안내관(128)의 통공(128a)을 통해 가스배출관(122a)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안내관(128)에 관통설치된 냉각수관(123)에 의해 증기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휘발성분들이 액체상태로 응결되어 환수관(127)을 통해 회수관(122b)으로 흘려내려가게 되어 휘발성 증기의 배출이 방지되므로 폭발의 위험이 방지된다.
첨부도면중 도 5는 상기 아스콘추출부과 소각 및 골재추출부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가스정화/배출부(130)의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상하에 유입공(132a)과 분사공(132b)을 각각 형성한 외부케이싱(132)의 유입공(132a)에 상기 아스콘추출부(120)의 가스배출관(122a)이 접속되어 오염된 공기가 외부케이싱(123)내로 유입되면, 여과재(134) 하단에 형성된 원추형 안내판(136에 의해 필터(138)를 통과하면서 그을음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공간(133)으로 유도되며, 여기에서 철망(137)에 의해 감싸진 제1, 제2여과재(134a,134b)를 통과하면서 각종 공해성물질들이 여과되어 방출로(135)과 분사공(132b)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재(132)는 시멘트발포체로써, 포틀랜드시멘트 50%, 중조 8.5%, 하이포 10%, 티오요소 5%, 은분 0.5%, 가성소다 1%, 물 25%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멘트발포체는 그 성질상 공기중에서 수분은 흡수하고 그로인한 수화작용으로 생성된 수산화칼슘이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탄산석회를 만드는데 이때 시멘트의 입자는 이화합물의 피막으로 피복되며, 이러한 역할들은 다른 화학물질과 더불어 효과적인 중화작용을 하게 되어 맑은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하이포는 잔유염소계 물질의 제거하고, 티오요소는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의 불쾌한 질산에 의한 냄새와 부식성을 방지하게 하고, 중조는 정련(精練)의 역할로 공해성 물질들을 중화제거해준다.
나머지 기타물질들은 발포체를 만들기 위한 재료들이며, 상기 물질들을 시멘트 발포체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가열건조하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효과가 크다.
이를 위해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분배기(119)를 통해 분배된 제2배출지관(119b)이 제1,제2여과재(134a,134b)의 사이에 감겨져 여과재(134)를 가열하게 되며, 그 선단이 다시 가스정화/배출부(130)의 유입구(134a)측에 연결되어 여과재(134)를 가열한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연기는 다시 가스정화/배출부(130)의 여과재(134)를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제2여과재(134b)는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며, 제1여과재(134a)를 통과한 오염공기가 이 제2여과재(134b)를 통과하면서 제1여과재(134a)를 통과한 각종 오염물질들을 흡착하게 한다.
이처럼 오염공기는 가스정화/배출부(130)의 외부케이싱(132)내로 유입되어 필터(138)와 유입공간(133)과 철망(137)과 제1여과재(134a)와 제2여과재(134b) 그리고 다시 철망(137)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방출로(135)으로 이동되어 상단의 분사공(132b)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프라스틱을 포함한 폐자재를 불완전 소각하여 재활용 가능한 성형재를 만들어내고,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폐아스콘을 녹여 골재와 아스팔트로 분리시키며, 소각 및 분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공해물질을 정화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함으로써 각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들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다시 재활용하는 효과도 발생된다.
또한, 소각 및 골재추출부의 배출구에 압출기를 형성하여 불완전연소된 프라스틱류와 완전소각된 종이나 나무들의 재를 혼련한 다음 롤러에 통과시켜 압출/성형함으로써 폐자재의 재활용 용도를 다양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아스콘추출부의 망분리기의 내측에 나선스크류를 형성하여 폐아스콘이 회전에 의해 이송되게 하고, 망분리기 내에 걸림턱부을 형성하여 폐아스콘이 이송중 혼합되어 열이 골고루 전달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아스콘추출부을 통과하는 가스배출관측에 냉각수관을 통과시켜 휘발성증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응결/환수되게 하여 폭발위험을 줄이는 효과와, 망분리기의 말단에서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를 하방으로 분사하여 골재로부터 아스팔트액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는 가스정화/배출부의 여과재로 시멘트 발포체와 활성탄을 사용하여 오염물질이 이중으로 여과되 게 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 소각 및 골재추출부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이 여과재의 사이에 감겨지게 하여 열에 의해 여과재가 가열건조되게 함으로써 여과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8)

  1.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에 있어서,
    투입구(112a)와 배출구(112b)를 형성하여 프라스틱류가 포함된 폐자재를 소각하는 소각로(112)와, 이 소각로(112) 하방에 스크류(116a)로서 맞물려 연동하도록 풀리(116b),벨트(116c),구동모터(116d)를 구성한 압출기(116)와, 송풍용 블로워(118a)와 연결되고 다수의 분사공(118c)을 형성하여 상기 소각로(112)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의 배출노즐(118b)로 이루어진 송풍기(118)와, 가스배출관(114)으로 이루어진 폐자재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
    가스배출관(122a)을 상단에,회수관(122b)을 하단에, 일측에는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가스배출관(114)을 각각 연결하는 케이싱(122)과, 이 케이싱(122)내에서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회전/설치되고, 내측에 나선스크류(124a)와, 걸림턱부(124b)를 형성하여 페아스콘이 회전/분리되는 망분리기(124)와, 상기 케이싱(122)의 상단에 다수의 통공(128a)을 형성하여 상기 망분리기(124)를 통한 페가스가 배출되도록 가스배출관(122a)에 연통되는 안내관(128)을 형성하며, 가스배출관(122a)의 하단에서 회수관(122b)으로 연통되는 환수관(127)을 형성한 아스콘추출부(120); 및,
    상기 아스콘추출부(120)의 가스배출관(122a)이 연결되는 유입구(132a)를 통하여 오염가스가 정화/배출되는 가스정화/배출부(130)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 및 골재추출부(110)의 가스배출관(114)은 소각로(112)의 내측에 감겨지며 하단에 흡입구(11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
  3. 제 1항에 있어서,
    가스배출관(114)의 입구에 필터(119c)를 형성하되 말단에 제1,제2배출지관(119a,119b)으로 분기됨과 아울러 제1배출지관(119a)은 아스콘추출부(120)의 케이싱(122)에 연결되고, 제2배출지관(119b)은 가스정화/배출부(130)의 여과재(134) 사이에 감겨진 다음 그 말단이 가스정화/배출부(130)의 유입구(132a)에 연결되는 분배기(119)를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128)은 내부를 관통하는 냉각수관(12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콘추출부(120)는 케이싱(122)하측에 다수의 통공(129a)을 형성하고, 그 하방으로 회수부(12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 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콘추출부(120)는,
    선단에 다수 분사공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126)을 망분리기(124)의 후단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정화/배출부(130)는,
    하방 중심측에 유입공(132a)을, 상방 중심측으로 배출공(132b)을 이루며, 내부에 제1, 제2여과재(134a,134b) 및 철망(137)을 형성하되 중심부에 수직하게 대기방출로(135)를 형성하고, 그 저면에 원추형 안내판(136)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제2여과재들의 외측으로 연통 형성된 유입공간(133)으로 연결된 외부케이싱(1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132a)에 상기 아스콘추출부(120)의 가스배출관(122a)과, 제2배출지관(119b)이 연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 의 재활용 처리장치 .
KR20060018214A 2006-02-24 2006-02-24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71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8214A KR100714990B1 (ko) 2006-02-24 2006-02-24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8214A KR100714990B1 (ko) 2006-02-24 2006-02-24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178U Division KR200415383Y1 (ko) 2006-02-24 2006-02-24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990B1 true KR100714990B1 (ko) 2007-05-09

Family

ID=3826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8214A KR100714990B1 (ko) 2006-02-24 2006-02-24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605A (zh) * 2013-10-29 2014-02-19 林清辉 一种保温材料喷涂机的送料装置
KR20190043722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엔에스텍 자동차 폐카페트 재생 장치
KR20190143570A (ko) * 2018-06-21 2019-12-31 강기현 칩 분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187A (ja) * 1988-11-22 1990-06-01 Kyushu Nozawa Kk アスフアルト合材廃物処理装置
KR20020006222A (ko) * 2000-07-11 2002-01-19 황재도 폐아스콘을 이용한 아스팔트와 골재의 분리방법
KR200262427Y1 (ko) 2001-08-20 2002-03-18 주식회사 대산산업 폐아스콘 재생장치
JP2005330713A (ja) 2004-05-20 2005-12-02 Yozo Yamamoto アスファルトコンクリート再生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187A (ja) * 1988-11-22 1990-06-01 Kyushu Nozawa Kk アスフアルト合材廃物処理装置
KR20020006222A (ko) * 2000-07-11 2002-01-19 황재도 폐아스콘을 이용한 아스팔트와 골재의 분리방법
KR200262427Y1 (ko) 2001-08-20 2002-03-18 주식회사 대산산업 폐아스콘 재생장치
JP2005330713A (ja) 2004-05-20 2005-12-02 Yozo Yamamoto アスファルトコンクリート再生骨材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605A (zh) * 2013-10-29 2014-02-19 林清辉 一种保温材料喷涂机的送料装置
CN103590605B (zh) * 2013-10-29 2015-07-01 林清辉 一种保温材料喷涂机的送料装置
CN104775601A (zh) * 2013-10-29 2015-07-15 林清辉 一种带驱动机构二的保温材料喷涂机的送料装置
CN104847095A (zh) * 2013-10-29 2015-08-19 林清辉 一种改进的保温材料喷涂机的送料装置
KR20190043722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엔에스텍 자동차 폐카페트 재생 장치
KR20190143570A (ko) * 2018-06-21 2019-12-31 강기현 칩 분리기
KR102127739B1 (ko) * 2018-06-21 2020-07-09 강기현 칩 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289A (en) System for the clarification of waste water and utilization of waste products
US97025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energy from waste
US5024770A (en) Waste separating, processing and recycling system
HU215757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hulladékok hővel való kezelésére
EP25719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energy from waste
KR100714990B1 (ko)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0415383Y1 (ko) 건설폐기물 및 자동차 폐카페트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407539B1 (ko) 폐기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RU214235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зношенных шин
JP2001247874A (ja) 廃プラスチック油化装置及び油化方法
KR100530192B1 (ko)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KR100316152B1 (ko) 재생가능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46135B1 (ko) 악취제거 장치
CN209334434U (zh) 高含油土壤修复处理系统
KR100561216B1 (ko) 폐기물가공연료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의재생장치
KR200178486Y1 (ko) 폐기물 건조 용융시스템
KR101184973B1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RU278787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при утилизации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коммунальн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тходов
KR100900442B1 (ko) 이물질 제거용 스테인레스 스틸망 재생장치
KR100418412B1 (ko) 하수슬러지 소각처리장치
KR970006918B1 (ko)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100509113B1 (ko) 폐아스콘 처리 장치
JP2003183672A (ja) 混合プラスチック油化装置
KR101071746B1 (ko) 고형연료 제조를 위한 가연성 폐기물의 전처리 건조장치
KR20090030465A (ko) 폐 플라스틱 재생유 유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