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392B1 -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392B1
KR100713392B1 KR1020000069547A KR20000069547A KR100713392B1 KR 100713392 B1 KR100713392 B1 KR 100713392B1 KR 1020000069547 A KR1020000069547 A KR 1020000069547A KR 20000069547 A KR20000069547 A KR 20000069547A KR 100713392 B1 KR100713392 B1 KR 10071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message
destination
tasks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752A (ko
Inventor
유병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3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6Message passing systems or structures, e.g. que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타스크간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시스템의 개발 시간을 단축하며, 시스템 내부 타스크간 밀결합을 이루면서도 변경이 용이하고,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발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정 장치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벤트 발생 시 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발신 타스크들과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타스크들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시스템의 메시지 전달부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발신 타스크들로부터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검사하여 목적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검사 결과 목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 메시지를 해당하는 목적지들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예외 루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 신된 데이터에 따라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타스크간 이벤트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 사용한다.
타스크간 메시지 전달, 이벤트 전달, 교환 시스템.

Description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VENT BETWEEN TASK}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 타스크들과 타스크들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부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전달부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메시지 전달 시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시스템과 같이 복잡한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 시스템, 전송 시스템, 기지국 시스템 및 기지국 제어기 등의 시스템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고 운용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시스템들은 프로세서간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정보를 처리하는 타스크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타스크들은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게 되며, 특정한 경우에는 발생된 이벤트를 다른 프로세서의 소정 타스크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알리거나 다른 타스크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각 타스크간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는 경우는 프로세서가 많아지는 경우 더욱 빈번해지게 된다. 이러한 타스크간 이벤트의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각 타스크간 주고 받는 메시지의 양식을 설정하고, 그에 맞도록 프로그램의 변경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각 이벤트에 대하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세서에 탑재되는 프로그램들을 수정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프로세서의 종류가 많아질수록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는 이유는 각 타스크간 밀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환 시스템과 같이 많은 프로세서를 실장하는 시스템에서는 이벤트의 정보를 전달할 경우 많은 프로세서의 프로그램들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으로 시스템의 프로그램 재 설계라는 문제와 함께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 시스템과 같이 많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각 타스크간 이벤트 정보를 간편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 시스템과 같이 많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시스 템에서 타스크간 전달되는 메시지에 의한 시스템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각 타스크간 이벤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 장치들의 동작의 상태 및 하위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를 출력하는 발신 타스크들을 구비하는 상기 각 프로세서들과, 상기 각 발신 타스크들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시지 전달부를 구비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메시지 전달부에 의해 메시지를 전달받을 각 타스크들이 구동하는 프로세서 및 장치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달부의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갱신하기 위한 운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목적지 갱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 장치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벤트 발생 시 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발신 타스크들과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타스크들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시스템의 메시지 전달부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발신 타스크들로부터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검사하여 목적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검사 결과 목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 메시지를 해당하는 목적지들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예외 루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 타스크들과 타스크들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부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스크들의 동작 및 메시지 전달부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신 제1타스크(11)와, 발신 제2타스크(12)는 서로 다른 프로세서에 실장되어 운용되는 타스크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프로세서에 실장되어 운용되는 타스크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서로 다른 프로세서에서 이벤트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하므로 서로 다른 프로세서에 실장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각 타스크들이 교환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서에 실장되는 경우 각 프로세서(도 1에서는 프로세서를 도시하지 않음)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신 제1타스크(11)와 발신 제2타스크(12)는 소정의 루틴을 수행하며, 각기 자신에게 이벤트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실장된 카드의 타입에 따른 장애를 검출하거나 또는 링크들의 타입에 따른 장애를 검출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장애 및 통신 장애 등으로 각종 장애 등을 검출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타스크를 구비한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타스크들은 이벤트를 검출하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전달할 목적지의 타스크로 직접 전달하지 않고 이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 전달부(21)로 전달한다. 즉, 발생된 장애의 정보만을 메시지 전달부(21)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발송 타스크들은 수신하는 측의 타스크 즉,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시스템에 포함시킨다. 이를 통해 각 이벤트들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게 되며, 메시지 전달부(21)에서 읽어와 목적지의 타스크에 포함된다. 이때 송신 타스크가 생성하는 예를 표로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이벤트-카테고리 이벤트-이름 Location State OnOff
Operations OAM&P_OperStateChange STM_1 Function_Fail ON
Operations OAM&P_AdminStateChange STM_1 Function_fail ON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벤트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벤트 카테고리에 따라 이벤트의 이름과 위치 및 상태의 구분을 정의하여 놓으면 이를 메시지 전달부(21)에서 읽어가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표 1>과 같은 형태의 데이터를 "이벤트 정의 메시지"라 칭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장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장애 정보마다 전달한 타스크에 대한 목적지 주소의 데이터 베이스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장은 미리 테이블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의 초기화 시에 각 타스크들이 시스템에 포함할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이를 읽어와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정의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에 이를 읽어와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의 변경은 운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장애 정보를 전달해야하는 타스크별 목적지 주소의 테이블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목적지 전송 테이블"이라 칭하며, 이를 예로 도시하면 하기 <표 2>과 같다.
이벤트 이름 이벤트 목적지
카드타입-1 장애 Fault 기능 CLI 기능 GUI 기능 Log 기능 -
카드타입-2 장애 Fault 기능 CLI 기능 GUI 기능 - -
링크타입-1 장애 Fault 기능 CLI 기능 GUI 기능 - -
링크타입-2 장애 Fault 기능 CLI 기능 GUI 기능 - -
프로세서 장애 Alarm 기능 CLI 기능 GUI 기능 - -
통신장애 Alarm 기능 CLI 기능 GUI 기능 - -
상기 <표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벤트의 이름에 대응하여 각각 해당 이벤트를 송신할 타스크들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도시되어 있는 <표 2>에는 타스크의 이름에 대응하는 기능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경우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인 OMP(Operation & Maintenance Processor)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소정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목적지 전송 테이블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된 이벤트에 따라 전송할 목적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된 타스크들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수신 제1타스크(31)와 수신 제2타스크(32), …, 수신 제N타스크(33)가 각각 목적지 주소에 대응하는 타스크들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 발신 타스크와 수신 타스크가 밀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벤트를 추가해서 송신할 타스크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송신 타스크와 수신 타스크를 모두 수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각각 실장되는 프로그램들을 전체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수신 타스크는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도록 하며, 발신 타스크는 장애를 검출하는 종류만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하고, 검출된 장애는 메시지 전달부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메시지가 또 다른 타스크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메시지 전달부(21)의 목적지 전송 테이블에 타스크를 추가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발신 타스크들은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발생돈 이벤트에 대하여 각 수신 타스크들로 하나씩 검사하는 시간적인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 전달부(21)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달에 따른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전달부에서 수행되는 이벤트 메시지 전달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메시지 전달부에서 이벤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100단계예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대기 상태는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상태이다. 즉, 상기 도 1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발신 타스크들이 자신의 검출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시스템에 포함하기 위해 상술한 이벤트 정의 메시지를 읽어와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구성한 상태이거나 또는 시스템의 구성 시 미리 설정된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가져와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한 대기상태에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102단계로 진행하여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이벤트 데이터의 수신은 상기 도 1의 송신 타스크들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검사결과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1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즉, 10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목적지 전송 테이블 데이터의 갱신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 신호는 운용자가 입력하는 것으로 도 1에는 연결관계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교환 시스템의 경우 MMP(Man Machine Processor)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MMP의 소정 타스크에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104단계에서 상기한 방법을 통해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 요구가 있는 경우 1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목적지 갱신 요구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106단계에서 상기 MMP로부터 수신된 목적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갱신한다. 즉, 목적지의 삭제 또는 추가 또는 변경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갱신한 후 100단계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어 102단계에서 1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상기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읽어온 후 상기 수신된 이벤트의 목적지를 검사한다. 즉,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의 타입별, 링크의 타입별, 프로세서의 장애 및 통신 장애 등의 종류에 따라 이를 알리기 위한 수신 타스크들을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1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사결과 목적지에 해당하는 수신 타스크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즉 목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1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시지 전달부(21)는 목적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사되면, 즉, 112단계로 진행하면 해당하는 목적지들로 상기 발생된 이벤트 메시지를 전달한다. 반면에 해당하는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11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예외 루틴에 이를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한 처리를 수행한 후 1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 시스템과 같이 많은 프로세서에 각 타스크간 전달되는 메시지를 메시지 전달부에서 수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변경이 용이해지며, 개발의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타스크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시간이 줄어들게 됨으로 시스템의 부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각 타스크간 이벤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 장치들의 동작의 상태 및 하위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를 출력하는 발신 타스크들을 구비하는 상기 각 프로세서들과,
    상기 각 발신 타스크들로부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시지 전달부를 구비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메시지 전달부에 의해 메시지를 전달받을 각 타스크들이 구동하는 프로세서 및 장치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의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갱신하기 위한 운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목적지 갱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스크간 이벤트 수신 장치.
  3. 소정 장치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벤트 발생 시 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발신 타스크들과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타스크들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시스템의 메시지 전달부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 타스크들로부터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목적지 전송 테이블을 검사하여 목적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목적지 검사 결과 목적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 메시지를 해당하는 목적지들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예외 루틴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 갱신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목적지 전송 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방법.
KR1020000069547A 2000-11-22 2000-11-22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071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547A KR100713392B1 (ko) 2000-11-22 2000-11-22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547A KR100713392B1 (ko) 2000-11-22 2000-11-22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752A KR20020039752A (ko) 2002-05-30
KR100713392B1 true KR100713392B1 (ko) 2007-05-04

Family

ID=1970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547A KR100713392B1 (ko) 2000-11-22 2000-11-22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35B1 (ko) * 2006-02-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의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113157461B (zh) * 2020-01-22 2023-09-26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在执行任务单过程中传送消息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752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648B1 (ko) 커먼 컨트롤 중복 스위치 방법
KR100713392B1 (ko) 타스크간 이벤트 전달 장치 및 방법
US8108736B2 (en) Multi-partition computer system, failure handl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8264948B2 (en) Interconnection device
JP4061153B2 (ja) ループ型伝送路の障害監視システム
KR100241557B1 (ko) 이중화 네트워크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 방법
JP2580113B2 (ja) 仮想計算機システム
JPH0865331A (ja) 監視制御装置
EP0507540A2 (en)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ed computer system to minimize data conversion overhead
JP3753496B2 (ja) データ通信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検出装置及び方法
KR1003189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상태 관리 방법
KR100605998B1 (ko) 교환 시스템의 아이피씨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유지 보수 방법
JPS60217445A (ja) 通信制御装置切替方式
KR012197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통 버스를 관리하는 방법
KR100630172B1 (ko) 교환 시스템의 통화로계 장비 경보 감사 장치
JPS6160042A (ja) ノ−ドの配列順序識別方式
KR10029905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제어 데이터 변경 및 복구 방법
JPH0253171A (ja) 分散システムの障害対応方式
JPS63204457A (ja) 分散処理システム制御方式
KR20000013254A (ko) 씨디엠에이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애 조사방법
JPH06103251A (ja) 情報処理装置の監視制御方式
KR20040009268A (ko) 네트워크 결함관리시스템
JPS60136448A (ja) 通信システム
JP2000184062A (ja) ネットワーク障害検出方式
JPH05153140A (ja) ネツ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