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372B1 -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 Google Patents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372B1
KR100712372B1 KR1020060087016A KR20060087016A KR100712372B1 KR 100712372 B1 KR100712372 B1 KR 100712372B1 KR 1020060087016 A KR1020060087016 A KR 1020060087016A KR 20060087016 A KR20060087016 A KR 20060087016A KR 100712372 B1 KR100712372 B1 KR 10071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stone
discharge port
underwater structur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6008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10Placing gravel or light material under water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의 보호를 위하여 바지선을 이용해 수중 구조물 위에 사석을 투하할 경우, 사석이 투하코자 하는 수중 구조물 위에 정확히 투하될 수 있도록 하여 누름 사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석의 무게에 의하여 바지선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이로 인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는, 해상에 부유하며 중앙에 사석이 투하될 수 있는 투하구가 구비된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를 기준으로 바지선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석 적재를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그 하부에는 개폐장치 작동에 따라 사석이 아래로 투출되는 사석 투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 하방의 바지선 상에 각각 구비되어 호퍼를 통해 투출된 사석을 상기 바지선을 투하구 측으로 운반하는 콘베에이어와,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 측에서 수중으로 연장되어 투하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하되는 사석을 수중 구물조로 안내하는 투하안내관;을 포함한다.
수중 구조물, 사석, 바지선, 호퍼, 콘베이어

Description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BASE SAND DROPPING MACHINE FOR PROTECTING UNDERWATER BUILD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중 구조물 10 : 바지선
11 : 투하구 20 : 호퍼
22 : 개폐장치 24 : 투출구
30 : 콘베이어 40 : 투하안내관
41,42,43 : 관 44 : 승강기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구조물의 보호를 위하여 바지선을 이용해 수중 구조물 위에 사석을 투 하할 경우 사석이 투하코자 하는 수중 구조물 위에 정확히 투하될 수 있도록 하여 누름 사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석의 무게에 의하여 바지선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이로 인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는 케이블과 통신선 등을 보호하는 관거 및 송수관, 송유관 등 각종 수중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중 구조물은 수중 바닥면 상에 그대로 노출될 경우 수류에 의한 세굴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때문에, 수중에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는 반드시 누름 사석을 투하하여 수중 구조물이 보호되도록 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중(하천, 바다)에 수중 구조물(1)(고압 전기 케이블 등)이 설치된 경우, 바지선(2)에 누름 사석(S)을 적재하고, 바지선(2)에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3)를 탑재하여, 중장비(3)에 의해 수상에서 사석(S)을 수중으로 투하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누름사석 투하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바지선(2)에 적재된 누름 사석(S)이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 바지선의 무게중심이 흐뜨러져 사석이 물속으로 유실될 우려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바지선이 전복될 우려가 있다.
또한, 사석(S)의 투하가 사석(S)의 자중에만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류 의 영향으로 일부 사석(S)이 수중 구조물(1) 위에 제대로 투하되지 못하여 결국 사석(S)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누름 사석 투하를 위해 별도의 중장비가 동원되므로 작업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할 경우 사석 투하 후 수중 고르기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름 사석을 적재한 바지선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어 기울거나 이로 인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구조물의 보호를 위하여 수중 구조물 위에 사석을 투하할 때 사석이 투하코자 하는 수중 구조물 위에 정확히 투하될 수 있도록 하여 누름 사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크레인이나 크램셀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 없이도 사석을 투하할 수 있어 작업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며 중앙에 사석이 투하될 수 있는 투하구가 구비된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를 기준으로 바지선 양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사석 적재를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그 하부에는 개폐 장치 작동에 따라 사석이 아래로 투출되는 사석 투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 하방의 바지선 상에 각각 구비되어 호퍼를 통해 투출된 사석을 상기 바지선을 투하구 측으로 운반하는 콘베에이어와;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 측에서 수중으로 연장되어 투하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하되는 사석을 수중 구물조로 안내하는 투하안내관;을 포함하는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는, 해상에 부유하며 중앙에 사석(S)이 투하될 수 있는 투하구(11)가 구비된 바지선(10)과, 바지선(10) 상에 장착되며 사석(2)을 적재하는 호퍼(20)와, 호퍼(20) 하방의 바지선(10) 상에 각각 구비되어 호퍼를 통해 투출된 사석(S)을 상기 바지선(10) 투하구(11) 측으로 운반하는 콘베에이어(30) 및, 상기 바지선(10)의 투하구(11) 측에서 수중으로 연장되어 투하구(11)를 통해 수중으로 투하되는 사석(S)을 수중 구물조 위로 안내하는 투하안내관(40)으로 구성된다.
바지선(10)은 수상을 부유하며 예인선에 의해 운행하거나 자체 동력에 의해 운행할 수 있으며, 투하구(11)는 바람직하게 바지선(10)의 중앙에 형성된다.
호퍼(20)는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11)를 기준으로 바지선(10)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석(S) 적재를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그 하부에는 개폐장치(22) 작동에 따라 사석(S)이 아래로 투출되는 사석 투출구(24)가 형성된다. 개폐장치(22)는 도 면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형 개폐구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콘베이어(30)는 구동드럼과 종동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들을 감싸면서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한 일반적인 벨트 콘베이어이다. 이와 같은 콘베이어(30)는 상기 호퍼 하측 바지선(10) 상에 구비되어 호퍼를 통해 투출된 사석을 상기 바지선 투하구(11) 측으로 운반한다. 따라서 투하구(11) 측으로 운반된 사석은 이 투하구(11)를 통해 수중으로 투하될 수 있다.
투하안내관(40)은 바지선(10)의 투하구(11) 측에서 수중으로 연장되어 투하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하되는 사석(S)을 수중 구물조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하안내관(40)은 수심 변화에 상관없이 사석(S)을 수중 구조물(1) 위에 투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관(41,42,43)(도면에는 3개만 도시됨), 관(41,42,43)을 신축시키는 승강기(44)로 이루어진다. 관(41,42,43)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에 각각 걸림턱(41a,42a)이 구비되고, 승강기(44)는 권취드럼(44a), 권취드럼(44a)에 감기며 일단이 최하단의 관(43)에 연결되는 와이어(44b) 및 권취드럼(44a)을 감는 모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44b)는 사석(S)에 의해 끊어지지 않는 체인 등이 바람직함과 아울러 관(41,42,43)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석(S)을 바지선(10)에 적재한 후, 수중 구조물(1)의 설치 장소로 이동한 다.
수중 바닥에 홈 등을 파내어 상기 홈에 수중 구조물(1)을 넣은 후 다시 되메우기를 하여 수중 구조물(1)을 설치한다.
그 후, 수심에 맞춰 투하안내관(4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 때, 투하안내관(40)의 길이는 승강기(44) 조작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승강기(44)가 구동하면, 와이어(44b)가 서서히 풀리면서 투하안내관(40)이 수중으로 신장된다. 이 경우, 상기 투하안내관(40) 중 최하단의 제3관(43)부터 하강하고, 제3관(43)의 하강이 완료되면 제2관(42)이 하강된다. 마찬가지로 제2관(42)의 하강이 완료되면 제1관(41) 하강된다. 즉, 수심에 따라 승강기(44) 구동량을 조절하여 전체적인 투하안내관(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하안내관(40)을 3단 신축으로 구성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일 뿐, 수심에 따라 3단 이상 다단 신축관을 이용할 수 있다.
투하안내관(40)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호퍼(20)를 개방함과 동시에 콘베이어(30)를 구동시켜 수중 구조물(1) 상에 사석을 투하한다. 이 경우, 개방된 호퍼(20)를 통해 배출된 사석(S)은 호퍼 하방에 구비된 콘베이어(30)를 타고 투하구(11) 측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운반된 사석(S)은 투하구(11)를 통해 투하안내관(40)에 투입되어 수중 구조물(1) 위로 정확히 투하될 수 있다. 따라서, 투하된 사석(S)은 수중 구조물(1)을 누름으로써 수중 구조물(1)의 세굴 등을 방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지선 중앙에 사석 투하를 위한 투하구 가 형성되고 투하구를 중심으로 사석이 적재되는 호퍼가 바지선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바지선의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어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그에 따른 바지선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하구로부터 연장되는 투하안내관을 통해 사석은 수중 구조물 위로 정확히 투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석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사석 투하 후 별도의 고르기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에 의하면, 바지선 중앙에 사석 투하를 위한 투하구가 형성되고 투하구를 중심으로 사석이 적재되는 호퍼가 바지선 상에 배치됨으로써 바지선의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지선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하여 사석이 물속으로 유실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석이 투하안내관을 통해 수중 구조물 위에만 투하되어 사석의 손실이 없어짐으로써 사석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석의 투하를 위한 장비가 바지선에 전용으로 장착되어 불필요한 중장비를 탑재하지 않고 자동으로 사석을 투하할 수 있으므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해상에 부유하며 중앙에 사석이 투하될 수 있는 투하구가 구비된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를 기준으로 바지선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석 적재를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그 하부에는 개폐장치 작동에 따라 사석이 아래로 투출되는 사석 투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 하방의 바지선 상에 각각 구비되어 호퍼를 통해 투출된 사석을 상기 바지선을 투하구 측으로 운반하는 콘베에이어와; 상기 바지선의 투하구 측에서 수중으로 연장되어 투하구를 통해 수중으로 투하되는 사석을 수중 구물조로 안내하는 투하안내관;을 포함하여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에 있어서,
    상기 투하안내관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되는 단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관과;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며 일단이 상기 관 중 최하단의 관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권취드럼을 감는 모터로 구성된 승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2. 삭제
KR1020060087016A 2006-09-08 2006-09-08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KR10071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16A KR100712372B1 (ko) 2006-09-08 2006-09-08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16A KR100712372B1 (ko) 2006-09-08 2006-09-08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372B1 true KR100712372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16A KR100712372B1 (ko) 2006-09-08 2006-09-08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3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205B1 (ko) * 2008-07-08 2008-12-19 정미진 수중 작업용 조성재 투하기
KR101516246B1 (ko) * 2013-10-18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인 가이드 장치
KR101842665B1 (ko) * 2010-09-23 2018-03-27 싱글 뷰이 무어링스 인크. 신축 가능한 체인 연결 장치
CN110093925A (zh) * 2019-06-18 2019-08-06 中国港湾工程有限责任公司 水下抛石装置
KR102074685B1 (ko) * 2019-03-05 2020-02-07 김종설 체인 타입 해저 공사용 사석 투하장치
NO20181539A1 (no) * 2018-11-29 2020-06-01 Moi As Apparat for utlegging av et dekkelag av løsmasse på en undersjøisk grunn, samt en lekter som omfatter nevnte appara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531A (en) 1980-11-11 1982-05-21 Kazushige Okusak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foundation for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caisson
US4338043A (en) * 1977-12-23 1982-07-0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Method for depositing material on the ocean be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S645373A (en) * 1987-06-24 1989-01-10 Seiko Instr & Electronics Surge motor driving circuit
JPH02106486A (ja) * 1988-10-17 1990-04-18 Daiho Constr Co Ltd 作業台船
JPH02186012A (ja) * 1989-01-12 1990-07-20 Kumagai Gumi Co Ltd 水中盛土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8043A (en) * 1977-12-23 1982-07-0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Method for depositing material on the ocean be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S5781531A (en) 1980-11-11 1982-05-21 Kazushige Okusak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foundation for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caisson
JPS645373A (en) * 1987-06-24 1989-01-10 Seiko Instr & Electronics Surge motor driving circuit
JPH02106486A (ja) * 1988-10-17 1990-04-18 Daiho Constr Co Ltd 作業台船
JPH02186012A (ja) * 1989-01-12 1990-07-20 Kumagai Gumi Co Ltd 水中盛土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205B1 (ko) * 2008-07-08 2008-12-19 정미진 수중 작업용 조성재 투하기
KR101842665B1 (ko) * 2010-09-23 2018-03-27 싱글 뷰이 무어링스 인크. 신축 가능한 체인 연결 장치
KR101516246B1 (ko) * 2013-10-18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인 가이드 장치
NO20181539A1 (no) * 2018-11-29 2020-06-01 Moi As Apparat for utlegging av et dekkelag av løsmasse på en undersjøisk grunn, samt en lekter som omfatter nevnte apparat
KR102074685B1 (ko) * 2019-03-05 2020-02-07 김종설 체인 타입 해저 공사용 사석 투하장치
CN110093925A (zh) * 2019-06-18 2019-08-06 中国港湾工程有限责任公司 水下抛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372B1 (ko)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CN105672623B (zh) 超高层建筑垃圾回收系统
EP2449214A1 (en) Forming a shaft for an underground mine
KR20150140757A (ko) 해저 수직 호이스팅 시스템 및 방법
CN108502110A (zh) 落管抛石船
KR100758732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US20090000916A1 (en) Aggregate Reclaimer Device and Method
FR2503209A1 (fr) Dispositif de levage pour une construction off-shore
KR20100069035A (ko)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AU20193033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into and out of a hollow
RU2039280C1 (ru) Выемочно-погрузоч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ткрытых горных работ
KR20110034375A (ko) 연속식 하역장치
JP5339991B2 (ja) 立坑形成方法
KR101763520B1 (ko) 피복석 모듈화 시공 장치
KR200431865Y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KR100684346B1 (ko) 수중 구조물 보호용 누름사석 투하기
GB2428080A (en) Laying of elongate flexible articles
JP2008184262A (ja) 搬送装置及び除塵機
JP5339992B2 (ja) 立坑及び立坑形成方法
KR200342489Y1 (ko)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 장치
CA2040716C (en) Mine shaft sinking
US20220228342A1 (en) System for the dradging of underwater sea-beds
KR200285154Y1 (ko) 교각 기초부분의 세굴방지구조
KR100744415B1 (ko) 원료 높이 감지스위치의 상승 및 하강장치
JP2007113340A (ja) 立坑掘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