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218B1 - 기판홀더 - Google Patents

기판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218B1
KR100712218B1 KR1020050098721A KR20050098721A KR100712218B1 KR 100712218 B1 KR100712218 B1 KR 100712218B1 KR 1020050098721 A KR1020050098721 A KR 1020050098721A KR 20050098721 A KR20050098721 A KR 20050098721A KR 100712218 B1 KR100712218 B1 KR 10071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lding plate
weight
substrate hold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764A (ko
Inventor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2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기판을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기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으로, 진공증착장치에 사용되는 기판홀더에 있어서, 홀딩플레이트; 및 상기 홀딩플레이트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를 제공한다.
홀딩플레이트, 수용성접착제, 양면테이프

Description

기판홀더 {The Panel Holder}
도 1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평면도.
도 3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평면도.
본 발명은 기판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CD, PDP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등과 같은 평판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재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 등의 기판을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각 공정 간의 이동시에도 기판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판홀더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주로 유리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을 증착 공정 등이 포함되는 일련의 공정을 통과시키며 제조된다. 이 기판은 기판홀더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여러 종류의 증착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기판홀더는 증착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지지해야 한다. 이러한 홀딩작업은 정밀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홀딩상태에서는 기판이 양호한 평면도를 유지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기판은 작업성 및 작업시간 단축을 위해 착탈이 용이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종래에는 평판 기판을 홀딩하기 위한 방법으로 진공 척(vacuum chuck)을 사용하거나 또는 정전 척(electrostatic chuck)을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진공 척은 기판에 흡착반을 대고 평판 기판의 뒤쪽에서 흡착판의 공기를 흡입하여 기압 차이를 이용해 평판 기판을 홀딩하는 방법으로서, 대부분 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증착 공정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평판표시장치는 먼지, 수증기, 산소 등의 이물질이 불량률 상승에 주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진공상태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바, 진공 척은 진공 장비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정전 척은 평판 기판의 뒤쪽에 전류를 흘려서,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이 유리등의 재질로 된 기판을 대전시켜 정전기력에 의해 평판 기판을 홀딩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진공 중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나 후술하는 몇 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정전 척은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기판을 홀딩하기 위해서는 큰 전기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소비전력이 늘어나게 되고, 여러 종류의 증착공정을 거치는 동안 계속 전류를 공급해주기 위해 복잡한 기계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전류에 의해 기판에 형성된 전기장이 평판 기판에 올려질 물질 즉 증착화학물질 등에 영향을 미쳐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특히, 기판을 분리하기 위하여서는 전류공급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대전된 평판 기판에 형성된 전하가 즉시 제거되지 않고 계속하여 잔류하게 되어 분리가 어려운 문제를 수반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기판을 양호한 평면도를 유지시키면서 홀딩 할 수 있고, 또한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기판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진공증착장치에 사용되는 기판홀더에 있어서, 홀딩플레이트; 및 상기 홀딩플레이트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상태의 평판기판을 형성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판(10)상에 홀딩플레이트(12)가 형성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는 접착제를 전체적으로 도포 또는 부착함으로서 기판(10)과 합착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와 상기 접착제(11)는 기판홀더를 구성한다.
상기 기판(10)은 유리,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평판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이 가볍고 쉽게 휘지 않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의 두께는 4~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의 두께가 4㎜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기판(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또한 상기 홀딩플레이트(12)의 두께가 15㎜이상일 경우에는 기판이송장치의 지지대(미도시)의 처짐 현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는 상기 기판(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조 공정 중에 마스크 등을 상기 기판(10)에 고정할 때 이정표 역할을 하는 얼라인 마크(17)를 가리지 않기 위해서이다.
상기 접착제(11)는 수용성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상기 홀딩플레이트(12)가 상기 기판(10)과 마주 닿는 면 전체에 도포되어 있고, 폴리비닐알코올 10~15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3중량%, 산촉매 0.2~0.3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1.5중량%, 0.1N가성소다 0.2~0.3중량%, 에어로실 0.5~0.8중량%, 글라스 버블 1.5~2 중량%, 라우릴에테르 2~2.5중량%, 용제(solvent) 50~60 중량% 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상에 홀딩플레이트가(12)가 위치한다.
상기 기판(10)상에 얼라인 마크(17)가 표시 되어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17)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공정 중에 마스크(미도시)등이 고정될 때 알맞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표시이다.
전술한 기판의 구조대로 진공상태에서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합착할 때 수용성 접착제를 전체적으로 도포할 경우, 기판은 홀딩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서 제조 공정 중에 기판의 늘어짐이나 휨 등의 손상 없이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봉지공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수증기나 물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분해하여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를 전체적으로 부착하여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합착할 경우, 기판은 홀딩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서 제조 공정 중에 기판의 늘어짐이나 휨 등의 손상 없이 진행할 수 있으며, 봉지공정이 완료된 이후 양면테이프를 제거하면 되므로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평판기판홀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제 1 실시 예인 기판홀더의 홀딩플레이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접착제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이다.
진공상태의 기판을 형성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판(10)상에 홀딩플레이트(22)가 형성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22)는 상기 기판(10)의 가장자리와 중심부만 상기 기판(10)과 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11)에 의해 기판과 평판 플레이트가 합착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12)와 상기 접착제(11)는 기판홀더를 구성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22)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이 가볍고 쉽게 휘지 않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딩플레이트(22)의 두께는 4~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플레이트(22)의 두께가 4㎜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기판(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15㎜이상인 경우에는 기판이송장치의 지지대(미도시)의 처짐 현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홀딩플레이트(22)는 상기 기판(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조 공정 중에 마스크 등을 상기 기판에 고정할 때 이정표 역할을 하는 얼라인 마크(17)를 가리지 않기 위해서이다.
상기 접착제(11)는 수용성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11)는 상기 기판(10)과 상기 홀딩플레이트(12)의 마주 닿는 면의 30% 이상 도포되어야 한다. 상기 접착제(11)가 30%미만으로 도포될 경우 기판의 늘어짐이나 휨 현상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 10~15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3중량%, 산촉매 0.2~0.3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1.5중량%, 0.1N가성소다 0.2~0.3중량%, 에어로실 0.5~0.8중량%, 글라스 버블 1.5~2 중량%, 라우릴에테르 2~2.5중량%, 용제(solvent) 50~60 중량% 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기판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상에 홀딩플레이트가(22)가 위치한다. 상기 기판(10)상에 얼라인 마크(17)이 표시 되어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17)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공정 중에 마스크(미도시)등이 고정될 때 알맞은 위치로 고정되도록 이끌어 주는 표시이다.
전술한 기판의 구조대로 진공상태에서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합착할 때 제 2 실시예의 홀딩플레이트의 구조는 홀딩플레이트가 기판과 마주 닿는 면을 줄여, 접착제의 양을 적게 사용하면서 기판의 늘어짐이나 휨 현상 등의 손상을 없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또한 봉지공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수증기나 물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분해하여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를 30%이상 부분적으로 부착하여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합착할 경우, 기판은 홀딩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서 제조 공정 중에 기판의 늘어짐이나 휨 등의 손상 없이 진행할 수 있으며, 봉지공정이 완료된 이후 양면테이프를 제거하면 되므로 기판과 홀딩플레이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판홀더는 수용성 접착제 및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기판을 홀딩플레이트에 합착시킴으로서 기판의 양호한 평면도를 유지할 수 있고, 홀딩플레이트와 기판을 손쉽게 착탈을 가능하게 해준다.

Claims (6)

  1. 진공증착장치에 사용되는 기판홀더에 있어서,
    홀딩플레이트; 및
    상기 홀딩플레이트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수용성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플레이트는 피홀딩 기판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플레이트의 두께는 4~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홀딩플레이트의 면적의 30~100% 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 10~15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 1~3중량%, 산촉매 0.2~0.3중량%, 벤즈알데하이드 1~1.5중량%, 0.1N가성소다 0.2~0.3중량%, 에어로실 0.5~0.8중량%, 글라스 버블 1.5~2 중량%, 라우릴에테르 2~2.5중량%, 용제(solvent) 50~60 중량% 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홀더.
KR1020050098721A 2005-10-19 2005-10-19 기판홀더 KR10071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21A KR100712218B1 (ko) 2005-10-19 2005-10-19 기판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21A KR100712218B1 (ko) 2005-10-19 2005-10-19 기판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64A KR20070042764A (ko) 2007-04-24
KR100712218B1 true KR100712218B1 (ko) 2007-04-27

Family

ID=3817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21A KR100712218B1 (ko) 2005-10-19 2005-10-19 기판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2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319A (ko) * 1995-12-28 1997-07-31 이시다 아키라 기판홀더
JPH11272207A (ja) * 1998-03-24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KR20020064956A (ko) * 1999-12-22 2002-08-10 스테그 마이크로테크 게엠베하 기판 홀더
KR20030027059A (ko) * 2001-07-02 2003-04-03 올림파스 고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홀딩장치
KR20040023853A (ko) * 2002-09-12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319A (ko) * 1995-12-28 1997-07-31 이시다 아키라 기판홀더
JPH11272207A (ja) * 1998-03-24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KR20020064956A (ko) * 1999-12-22 2002-08-10 스테그 마이크로테크 게엠베하 기판 홀더
KR20030027059A (ko) * 2001-07-02 2003-04-03 올림파스 고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홀딩장치
KR20040023853A (ko) * 2002-09-12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홀더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53319
1020020064956
1020030027059
1020040023853
11272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64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088B1 (ko) 점착 척 장치
WO2010079688A1 (ja) ガラス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29523B2 (ja) ガラス積層体、支持体付き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2372834B1 (ko) 증착 마스크, 프레임 부착 증착 마스크, 증착 마스크 준비체, 증착 패턴 형성 방법, 유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JP4930161B2 (ja) 薄板ガラス積層体、薄板ガラス積層体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支持ガラス基板
CN102944973B (zh) 表膜构件框体、表膜构件和表膜构件框体的使用方法
JP4125776B1 (ja) 粘着チャック装置
JP4637053B2 (ja) ペリクルおよびペリクル剥離装置
WO2007129554A1 (ja) 薄板ガラス積層体、薄板ガラス積層体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支持ガラス基板
JP2021004416A (ja) 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蒸着マスク準備体、フレーム付き蒸着マスク準備体、蒸着マスク、フレーム付き蒸着マスク、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TW201332768A (zh) 電子裝置之製造方法
US10199295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06301525A (ja) ペリクルフレーム
JPWO2010110087A1 (ja) 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6062055A (ja) ペリクルフレームおよびペリクル
CN104204943B (zh) 表膜构件和表膜构件框体以及表膜构件的制造方法
KR100712218B1 (ko) 기판홀더
CN103325705A (zh) 半导体器件的检查方法、制造方法以及检查用夹具
KR101383281B1 (ko) 기판 분리 장치
CN105270909B (zh) 层叠体的剥离装置和剥离方法及电子器件的制造方法
JP6003604B2 (ja) 積層板の加工方法、加工された積層板
WO2021238060A1 (zh) 柔性基板及其机械剥离方法
KR20140119400A (ko) 커버기판 제조방법, 캐리어기판 분리장치 및 디스플레이패널 제조방법
KR101458473B1 (ko) 기판 분리 방법
JP2003241160A (ja) 基板の組立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