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001B1 - 복귀 액추에이터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귀 액추에이터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001B1
KR100710001B1 KR1020047004800A KR20047004800A KR100710001B1 KR 100710001 B1 KR100710001 B1 KR 100710001B1 KR 1020047004800 A KR1020047004800 A KR 1020047004800A KR 20047004800 A KR20047004800 A KR 20047004800A KR 100710001 B1 KR100710001 B1 KR 100710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lever
pulley
hous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415A (ko
Inventor
리우잔타오
스탈바우어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970,268 external-priority patent/US669185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005,662 external-priority patent/US668844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005,725 external-priority patent/US6637575B2/en
Application filed by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filed Critical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4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47C7/46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by pulling an elastic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B60N2/938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ulley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인체공학 장치 액추에이터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며, 견인 부재를 당기기에 적합한 풀리(6),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풀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록킹 클러치(3,4)를 포함한다. 구동 클러치(11,10)는 상기 록킹 클러치를 통해 상기 풀리(6)를 구동한다. 상기 하우징(1,2)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12)는 상기 구동 클러치(3,4)를 구동한다. 상기 풀리(6)에 고정되는 견인 케이블(80)은 인체공학 장치와 연결된다.
액추에이터, 견인 부재, 풀리, 록킹 클러치, 구동 클러치, 구동 샤프트, 견인 케이블, 인체 공학 장치

Description

복귀 액추에이터용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TURN ACTUATOR}
본 출원은 2001년 10월 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09/970,268호, 2001년 11월 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10/005,662호, 2001년 11월 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10/005,725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출원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 액추에이터, 구체적으로는 특히 자동차용 또는 가구에 사용되는 럼버 서포트(lumbar support)와 같은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에 사용되는 인장 또는 견인 장치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럼버 서포트와 같은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은 통상적으로 소정의 비용이 드는 모터에 의해, 그리고 비용이 덜 드는 레버, 핸드휠(hand wheel) 등에 의해 작동 및 제어될 수 있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 분야에서, 단순성, 내구성, 및 비용 제한에 대한 지속적인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은 공통적으로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 반복 사용자가 선택하는 특정한 세팅(settings)을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조절의 유지는 흔히 견인 케이블과 같은 것으로 럼버 서포트와 같은 장치를 가압 상태 또는 인장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세팅은 로딩 및 언로딩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유지될 필요 가 있으며, 이는 그 세팅을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또는 록킹을 필요로 한다. 연속적인 조절이 가능하여야 하며, 이는 해제, 분리, 또는 클러칭을 필요로 한다.
자동차나 가구와 같은 수요가 큰 시장에서는 이러한 다중 부품의 조립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조립을 단순화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간단한 레버가 바람직한 조절 장치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럼버 서포트와 같은 장치에 대한 위치를 설정한 경우 해당 레버의 위치가 자주 불편한 각도로 돌출하게 된다. 자동차의 경우, 특히 이러한 레버가 통상적으로 장착되는 좌석으로 뒤로 돌출하는 레버 상에 의복, 좌석 벨트 등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럼버 서포트와 같은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을 작동하고, 상기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의 선택된 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이 최소한으로 침입하는 홈 위치 내로 유지될 수 있는 레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는 조립된 액추에이터의 크기 및 외관을 줄이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간소화(streamline)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액추에이터로 조립될 부품의 수를 줄여서 궁극적으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오버런 클러치(overrunning clutch) 및 레버 복귀 메커니즘을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버런 클러치는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09/970,268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참조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히 럼버 서포트와 같은 선택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 능한 인체공학적 장치를 제동하는(ratcheting) 록킹 클러치 액추에이터이다. 상기 실시예는 미리 선택된 수의 각도로 기어가 걸려 있는 샤프트를 구동하는 신규한 매달린 가위형 제동기 및 레버를 사용하는데, 상기 실시예는 구동 후 레버를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구동 방향은 한 쌍의 대향 제동기 톱니멈춤쇠(pawls)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레버의 홈 복귀는 바이어스형 스프링(biasing spr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가위형 제동기는 착탈 가능한 오버런 클러치 및 록킹 조립체와 결합된다.
제동기 암 또는 하우징이 상기 가위형 제동기를 구동 샤프트로부터 오프셋시킨다. 레버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어와 동축이며, 또한 클러치를 구성하는 유지 링 및 편심 허브(eccentric hub)와 동축이다. 클러치의 허브는 풀리 하우징 내의 풀리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동축 관계로 구성된다. 풀리는 인장 케이블의 한 단부와 견인 방식으로 결합된다. 인장 케이블의 다른 쪽 단부는 럼버 서포트와 같은 인체공학적 장치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를 미리 정해진 아크를 따라 일회 이상 회전시키면 상기 인장 케이블을 선택된 위치로 당기도록 풀리를 한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록킹 허브가 풀리 케이블을 선택된 위치에 유지시키는 동안, 제동기/스프링 조립체는 레버를 홈으로 복귀시킨다.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구동 기어와 샤프트가 반대로 역회전하여, 록킹 클러치 허브를 해제시켜 케이블을 반대로 회전하는 풀리를 통해 제 2 선택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풀어내어, 상기 제 2 위치가 다시 클러치 허브에 의해 록킹되고 레버는 다시 바이어스형 스프링에 의해 홈으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된 액추에이터의 크기를 줄인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동 기어 및 구동 휠이 결합된다. 클러치 링은 그 외부 표면이 제동기 톱니멈춤쇠를 스텝핑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은 레버 암을 복귀시키 위해 겹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 대체된다. 제동기 톱니멈춤쇠는 핀 조립체와 함께 대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방향은 양방향 클러치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레버의 홈 복귀는 바이어스형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양방향 클러치와 홈 복귀 레버는 착탈 가능한 오버런 클러치 및 록킹 조립체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복귀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통상적인 인체공학적 장치(럼버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동기 액추에이터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제 3도는 제동기 액추에이터를 이등분한 측면도이다.
제 4도는 레버 암이나 케이블이 장착되지 않은 조립된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등척도(isomertric view)이다.
제 5도는 가위형 제동기의 배치 및 구동 기어와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해 레버 암 하우징이 제거된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등척도이다.
제 6도는 레버 암이 장착되지 않은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제 7도는 조립된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측면도이다.
제 8도는 베이스 하우징 및 풀리의 확대도이다.
제 9도는 가위형 제동기의 분해도이다.
제 10도는 록킹 클러치의 평면도이다.
제 11도는 록킹 클러치의 분해도이다.
제 12도는 본 발명의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얇은 외형(thin profile)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제 13도는 상기 얇은 외형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베이스 하우징 및 풀리의 확대도이다.
제 14도는 상기 얇은 외형을 보여주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가위형 제동기의 평면도이다.
제 15도는 상기 얇은 외형을 보여주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록킹 클러치의 평면도이다.
제 16도는 상부 하우징이 제거된 상기 얇은 외형의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제 17도는 상기 얇은 외형의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록킹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제 18도는 상부 하우징 및 제동기 암이 제거된 상기 얇은 외형의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제 19도는 본 발명 이중 클러치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제 20도는 이중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측면도이다.
제 21도는 레버 암이나 케이블이 장착되지 않은 조립된 이중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등척도이다.
제 22도는 복귀 휠의 배치를 보여주기 위해 레버 암 하우징이 제거된 이중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등척도이다.
제 23도는 양방향 클러치 및 복귀 스프링을 보여주기 위해 레버 암, 하우징, 및 복귀 휠이 제거된 이중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등척도이다.
제 24도는 레버 암이 장착되지 않은 이중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제 25도는 양방향 클러치 및 복귀 스프링을 보여주기 위해 레버 암, 하우징, 및 복귀 플레이트가 제거된 이중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제 26도는 록킹 클러치의 평면도이다.
제 27도는 베이스 하우징 및 풀리의 분해도이다.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의 동작-종래기술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 제 1도는 본 발명의 복귀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통상적인 인체공학적 장치(럼버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럼버 서포트(50)는 고정부(52) 및 아칭부(54)를 갖는다. 가이드 레일(56)은 장착 메커니즘(58)과 함께 시트 프레임(seat frame: 미도시)에 장착된다. 복수의 측면 부재(60)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럼버 서포트의 아칭 가능한 부분에 걸쳐 있고, 측면 부재(62)는 또한 상기 럼버 서포트의 고정부(52)를 횡단한다.
가이드 레일(56) 상에는 또한 고정 하부 브라켓(64)과 슬라이딩 상부 브라켓(66)으로 구성된 2개의 브라켓이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아칭 가능한 가압면(68)(본 실시예에서는 금속봉(metal rod))은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평평한 상태일 때는 대체로 가이드 레일(56)과 평행하다. 아칭 가능한 가압봉(68)은 피봇 장착부(70)에서 상부 브라켓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부 브라켓(66)이 하부 브라켓(64) 쪽으로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이루어질 때 가압봉(68)은 휘어져서 측면 부재(60)를 시트 착석자 쪽으로 아치 형상을 만들어 아치형의 허리를 지지하는 면을 생성한다.
장착 브라켓(64, 66)을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는데 사용되는 가장 흔한 메커니즘의 하나는 견인 케이블이다. 특히 흔한 것으로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우든 케이블이다. 보우든 케이블은 외부의 가요성 슬리브(74)로 구성되며, 가요성 슬리브는 와이어(80)를 가요성 슬리브(74) 내에 보유하고 제어하며, 상기 와이어(80)는 상기 가요성 슬리브의 내부로 그리고 가요성 슬리브로부터 동축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74)는 보우든 케이블 장착 브라켓(78)에서 하부 브라켓(64)에 장착되는 단부(76)를 갖는다. 보우든 케이블 장착 브라켓(78)은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 단부(76)에 대한 걸림부(stop)로서의 기능을 하지만,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하여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는 견인 케이블 장착점(82)에서 상부 슬라이딩 브라켓(66)에 장착될 때까지 수직 방향으로 상부 쪽으로 전진한다. 반대쪽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 단부(84)는 액추에이터(86)에 장착된다. 액추에이터(86)는 시트 착석자가 레버(88)를 회전시킬 때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에 견인력을 인가한다. 대안적으로 레버는 핸드휠 또는 기계적인 장점을 갖는 기타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견인력이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를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74)를 관통하여 당기면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가 제 1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 단부(76) 쪽으로 슬라이딩 상부 브라켓(66)을 잡아당기도록 하는데, 도 1의 경우에는 슬라이딩 상부 브라켓(66)을 가이드 레일(56)을 따라 하부 브라켓(64) 쪽으로 아래로 잡아당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66)을 하부 브라켓(64) 쪽으로 견인하여 움직이면 허리를 지지하는 아치 내에서 바깥 쪽으로 가압봉(68)을 휘어지게 한다.
가압봉(68)은 평평한 위치 쪽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에 대한 견인력이 없으면, 럼버 서포트(50)의 아칭 가압면(54)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안정 위치(rest position)로 복귀한다.
따라서, 모든 액추에이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를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74)를 통해 당기는 것이다. 만일 예를 들어 스탬프형 금속 플레이트, 또는 몰드형 플라스틱 "바스켓" 또는 리벳형 금속 밴드 격자와 같은 대안적인 가요성(flexible) 가압면이 아치형을 이루면, 보우든 케이블은 여전히 그 가압면의 양 단부를 서로 당기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대안적인 견인 장치가 설계상의 선택으로 선정되면, 액추에이터의 가장 기초적인 기능은, 견인 부재가 봉이든, 케이블이든, 또는 기타 다른 것이든 관계 없이, 인체공학적 메카니즘을 작동시키도록 견인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견인 부재를 당겨야 한다. 본 발명은 이 러한 모든 견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설계상의 선택으로, 아칭 가능한 면을 휘어지게 하는데 압축력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압축 방식의 메카니즘을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동기 액추에이터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동기 액추에이터(86)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제 3도는 가위형 제동기(11) 및 록킹 롤러와 스프링(7,8)을 제외한 모든 부재를 보여주는 제 2도의 제동기 액추에이터를 이등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3도에 도시된 모든 부재는 동축이다.
베이스 하우징(1)은 그 내부에 풀리(6), 편심 허브(4), 및 링(3)을 수용한다. 링(3)은 내부 표면(18)을 갖는다. 편심 허브(4)는 3개의 돌출부를 갖되 그 돌출부의 외부 에지는 링(3)의 내부 표면(18)과 회전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된다. 돌출부는 자신들 사이에 3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들 공간 내의 편심 허브(4)의 에지는 캠이다. 링(3)과 조립되는 경우, 편심 허브(4)의 캠 에지와 링(3)의 내부 표면(18) 사이의 공간은 제한 채널을 형성한다. 조립체 내에서, 3쌍의 강철 롤러(7) 및 고무 덧고리(8)가 편심 허브(4) 및 링(3) 사이의 3개의 공간 각각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립체의 상부에 하향 돌출 핑거를 갖는 디스크(5)가 위치되며, 상기 핑거는 또한 편심 허브(4) 및 링(3) 사이의 3개의 공간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허브(4), 링(3), 롤러(7), 덧고리(8), 및 디스크(5)의 조립체는 록킹 오버런 클러치(또는 일방향 록킹 클러치)를 구성하며, 상기 록킹 오버런 클러치는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록킹 오버런 클러치 조립체는 베이스 하우징(1)을 구비한 상부 하우징(2)의 덮개(closure)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부 하우징(2)의 상부에는 홈 복귀 스프링(9)이 배치되고, 그 위에 구동 기어(10)와 레버 암 하우징(12)이 배치된다. 레버 암 하우징(12)은 톱니형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톱니형 샤프트 상으로 레버 암(88)(미도시)이 고정된다. 가위형 제동기(11)가 포스트(미도시)에 의해 레버 암 하우징(12)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구동 기어(10)의 중심은 이하 기술되는 구동 디스크의 6각형 볼트 연장부의 장착을 수용하기 위한 6각형 너트이다.
와셔(16) 또는 볼트를 구비한 스크루(17)(제 2도에는 도시되지 않음), 리벳 또는 기타 고정 장치는 레버 암 하우징(12)의 하부 샤프트 연장부와 함께 베이스 하우징(1)을 지지한다.
제 4도는 레버 암이나 보우든 케이블이 장착되지 않은 제 1도의 제동기 액추에이터(86)가 조립된 상태의 등척도이다.
제 5도는 가위형 제동기(11)의 배치 및 구동 기어(10)와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해 레버 암 하우징(12)이 제거된 제동기 액추에이터(86)의 등척도이다.
제 6도는 레버 암이 장착되지 않은 제동기 액추에이터(86)의 평면도이다. 제 6도는 레버 암이 시트 착석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아크의 각도를 개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버(88)는 어느 쪽 방향으로도 45˚ 회전이 가능하다.
제 7도는 조립된 제동기 액추에이터(86)의 측면도이다.
베이스 하우징 및 풀리 조립체
제 8도는 베이스 하우징(1) 및 풀리(6)의 확대도이다. 보우든 케이블(미도시)은 풀리(6) 및 베이스 하우징(1)과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슬롯(100A,100B)은 양자 모두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또는 기타 견인 와이어)는 베이스 하우징(1) 내로의 삽입을 허용한다. 슬롯(100)의 광폭부(102A,102B)는 케이블 와이어 단부 걸림부(stop)의 삽입을 허용한다. 출구 구멍(104)은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의 이동을 위한 통로 및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 단부(84)의 걸림부로서의 두 가지 기능을 한다. 베이스 하우징(1)의 대향 측면 상의 대응하는 대향 슬롯 및 출구 구멍(100B, 102B, 104B)은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의 역방향 장착을 허용하여, 운전자측 시트 및 조수석 시트 양자의 외측 상에 거울 대칭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는데 유용한 것과 같은 시트 설계의 유연성(flexibility)을 수용하기 위해 제동기 액추에이터가 시계 방향 견인 또는 반시계 방향 견인을 작동시키도록 장착될 수 있다.
풀리(6)는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 및 걸림부의 장착을 수용하는 노치(106)를 갖는다. 보우든 와이어 케이블(80)은 부분적으로 풀리 둘레에 감겨서 어느 하나의 출구 구멍(104)을 통해 나온다. 이러한 구성에서, 풀리(6)를 회전시키면 보우든 케이블(80)을 풀리(6) 둘레에 추가로 더 감게 되어 보우든 케이블(80)의 반대쪽 단부에서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가 짧아지게 된다.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가 짧아지면 또한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74)를 통해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를 당기게 되어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의 타단부 및 보우든 케이블 슬리브(74)가 부착되는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에 원하는 견인력을 인가한다.
풀리(6)는 또한 실린더형 연장부(108)를 록킹 허브(4)와 함께 회전 방식으로 고정된 풀리(6) 조립체에 대해 록킹 허브(4) 내의 중심 구멍에 대응하는 노치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동기 및 클러치 조합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예를 들어 랙 및 피니언 또는 캠 및 푸시 로드(push rod)와 같은 풀리 및 케이블 이외의 메커니즘에 의해 견인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복귀 액추에이터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 1도 및 제 2도를 다시 참조하면, 동작시 시트 착석자는 레버 암(88)을 돌리게 되고, 이에 의해 레버 암 하우징(12)이 회전하게 된다. 레버 암 하우징(12)이 회전하면, 아치형 경로를 따라 가위형 제동기(11)를 이동시켜 제동기의 톱니가 구동 기어(10)와 결합하도록 해준다. 구동 기어(10) 내의 6각형 구멍은 디스크(5)의 6각형 너트 연장부와 결합하여, 디스크(5)를 구동 기어(1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디스크(5)의 아래 방향으로 배치된 핑거는 편심 허브(4)의 돌출부와 결합하여, 편심 허브(4)를 디스크(5) 및 구동 기어(10)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편심 허브(4)는 풀리(6)의 노치를 갖는 연장부(108)를 통해 풀리(6)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풀리(6)를 회전시키면,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를 안으로 당기거나 밖으로 풀리게 하여,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가 베이스 하우징(1)의 구멍(10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풀리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기게 한다. 따라서,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에 대한 인장력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그에 따라 럼버 서포트(50) 상의 장착 브라켓(66,64) 사이의 공간을 좁히거나 넓혀서, 가압봉(68)의 아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가위형 제동기
제 9도는 제 2도의 가위형 제동기(11)의 분해도이다. 레버 암 하우징(12)은 구동축(120), 및 상기 구동축(120)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가위형 제동기 포스트 축(122)을 구비한다. 레버 암 하우징(12)은 레버 암(88)(미도시)의 고정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톱니를 갖는 구동축 상부 샤프트(124)를 구비한다. 레버 암 하우징(12)은 또한 제동기 액추에이터(86)의 모든 동축 구동축 부재를 통해 연장되고 이들 모든 동축 구동축 부재를 스크루(17)(제3도) 및 와셔(16)(제3도)에 의해 고정하는 구동축 하부 샤프트(126)을 구비한다. 구동축(120) 상에 그리고 레버 암 하우징(12) 및 상부 하우징(2) 사이에 구동 기어(10) 및 홈 복귀 스프링(9)이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기타 다른 바이어스형 메커니즘이 레버를 중립 위치로 바이어스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포스트(미도시)는 제동기 축(122)을 따라 레버 암 하우징(12)의 구멍(128) 내에 배치된다. 이 포스트 상에 가위형 제동기(11)의 여러 가지 부품이 배치되며, 이들 부품 모두는 톱니형 록와셔(lockwasher)(15)에 의해 제 위치에 지지된다. 상기 포스트는 구동 기어(20), 상부 하우징(2), 또는 기타 다른 부품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배치하면 포스트가 아크를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위형 제동기(11)는 2개의 제동기 톱니멈춤쇠(11A,11B), 2개의 핀(13A,13B) 및 스프링(14)으로 구성된다. 제동기 톱니멈춤쇠(11A,11B)는 그 톱니가 대향 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거울 대칭이다. 각 톱니멈춤쇠(11A,11B)는 톱니 멈춤쇠 포스트 상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 포스트 단부(130A,130B)를 각각 갖는다. 톱니멈춤쇠 포스트 단부(130A,130B)는 상보 방식(complementary fashion)으로 단차부를 이루어 톱니멈춤쇠가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된다. 또한, 구동 기어(10)도 동일 평면 내에 있다. 따라서, 제동기 톱니멈춤쇠의 톱니(132A,132B)는 구동 기어(10)의 톱니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14)은 또한 제동기 포스트 상에 배치되어, 제동기 톱니멈춤쇠의 톱니(132A,132B)를 바이어스하여 구동 기어(10)의 톱니와 결합시킨다. 스프링(14)은 각 제동기 톱니멈춤쇠(11A,11B) 내의 노치(134A,134B)와 각각 결합시키는 단부를 구비한다. 가위형 제동기(1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 기어(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이 제동기 톱니멈춤쇠(11A,11B) 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해제하도록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13B)을 상부 하우징(2) 상의 대응하는 단차부와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각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13B)은 각각의 대응하는 제동기 톱니멈춤쇠(11A,11B)의 톱니형 단부 내의 대응 구멍(136A,136B) 내로 삽입된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13B)은 대응 구멍(136A,136B) 내로 삽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13B)은 구동 기어(10)의 두께보다 더 길다. 따라서,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13B)은 상부 하우징(2) 상의 단차부와의 결합 내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하우징(2)은 2개의 하부 단차부(138A,138B)와 하나의 상부 단차부(140)를 갖는다. 스프링(14)의 바이어싱 동작은 제동기 톱니멈춤쇠의 톱니형 단부(132A,132B) 중 하나가 구동 기어(10)의 톱니와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13B)과 상부 하우징(2)의 단차부(138,140) 간의 슬라이딩 접촉을 유지한다. 레버 암 하우징(12)이 회전하면, 제동기 톱니멈춤쇠의 톱니형 단부(132A,132B)가 구동 기어(10)의 톱니와의 결합을 구동하도록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위형 제동기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레버 암 하우징의 제동기 축(122)의 아치형 왕복 운동이 대향하는 가위형 제동기 톱니멈춤쇠(11)의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을 하부 단차부(138)를 따라 상기 핀이 만나서 결합하여 상부 단차부(140)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구동될 때까지 슬라이드시키도록, 단차부(138,140)의 아치형 거리가 미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시트 착석자가 제 9도의 조립체 상에서 내려다 보아 시계 방향으로 레버를 밀면, 제동기 톱니멈춤쇠(11A)는 해당 톱니멈춤쇠의 톱니(132A)가 구동 기어(10)의 톱니와 결합하도록 한다. 동시에, 제동기 톱니멈춤쇠(11A)가 결합하면, 해당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A)이 해당 톱니와의 결합을 허용하는 치수를 갖는 하부 단차부(138A)와 결합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은 스프링(14)의 바이어싱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동일한 크기의 회전은, 대향하는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B)이 상부 단차부(140)와 결합할 때까지,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B)을 대향하는 하부 단차부(138B)를 따라 슬라이드시킨다. 상부 단차부(140)는 구동축(120)으로부터의 반경이 하부 단차부(138)의 반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부 단차부(140)는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13B)과 제동기 톱니멈춤쇠(11B)를 구동축(1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바이어스하여 구동 기어(10)의 톱니와의 결합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바이어스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의 장점들 중의 하나는 레버(88)가 구동 기어(10)를 구동한 후에 자연스럽게 "홈" 위치로 복귀한다는 점이다. 레버 암(88)은 레버 암 하우징(12)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홈으로 복귀"된다. 레버 암 하우징(12)과의 록킹 고정을 통해 레버(88)와 레버 암 하우징(12)은 일체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제동기 액추에이터는 임의의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지만, 레버 암(88)의 홈 위치는 거의 시트의 뒤쪽에 평행하게 편리하게 배치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레버 암 하우징(12)은 홈 스프링(9)에 의한 구동 회전 후에 홈 위치로 구동된다. 홈 스프링(9)은 상부 하우징(2)의 상부 및 상부 하우징 원형 연장부(142) 둘레에 배치된다. 스프링(9)의 대칭 가압 암(144)이 상부 돌출부(146) 어느 한쪽 및 레버 암 하우징 돌출부(148)의 어느 한쪽 상에 배치된다. 레버 암(88) 및 레버 암 하우징(12)이 홈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46,148)가 구동축(120)으로부터 동일 반경을 따라 정렬된다. 이 위치에서 스프링(9)은 인장력이 없는 자연 상태로 놓여 있다. 시트 사용자가 레버 암(88) 및 레버 암 하우징(12)을 회전시키면, 레버 암 하우징 돌출부(148)는 상부 하우징 돌출부(146)와의 반경 방향 정렬을 벗어나 회전하여 스프링(9)의 가압 암(144)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촉한다. 레버 암 하우징(12)의 회전은 스프링(9)을 동적 인장 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시트 착석자가 레버 암 하우징(12)을 원하는 아크를 따라 돌린 다음 레버 암(88)에 가한 압력을 해제한 후, 스프링(9)은 레버 암 하우징을 상부 하우징 돌출부(146)와 정렬 상태로 다시 밀기 위해 레버 암 하우징 돌출부(148)에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레버 암 하우징(12)과 레버 암(88)을 회전시키면 홈 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진다.
평면도인 제 6도는 본 발명이 레버 암(88)을 어느 쪽으로든 45˚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는 보우든 케이블(80)이 바람직한 실시예 내에 수용되는 반경으로, 풀리(6)가 아치형으로 8mm 회전하는 것에 대응한다.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의 전체 왕복 이동 거리는 32mm로 제한된다. 따라서, 보우든 케이블(80) 및 럼버 서포트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레버 암을 전체 32mm의 4번의 완전한 45˚로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45˚의 제한은 걸림부 핀(13A 또는 13B)에 의해 상부 하우징 하부 단차부(138)의 왕복 운동 단부 걸림부, 즉 걸림부(150)에서 이루어진다.
록킹 클러치 조립체
제 10도는 본 발명의 조립된 록킹 허브와 오버런 클러치의 평면도이다. 상부 하우징(2)과 그 하우징(2) 상부의 부품이 제거되어 있다. 제 10도의 베이스 하우징(1), 허브(4), 강철 롤러(7), 고무 덧고리(8) 및 링(3)에 도시되어 있다. 풀리(6)는 록킹 허브(4) 및 링(3) 아래에 놓여 있다. 도 10에는 풀리(6)의 상부 샤프트 연장부(108)만을 볼 수 있다. 샤프트 연장부(108)의 노치는 허브(4)와 맞물린다.
허브(4)는 바람직하게는 3개의 돌출부(160)를 구비한다. 임의 수의 돌출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돌출부의 상부는 허브(4)의 외부 반경을 구성하는데, 이 허브(4)는 링(3)의 내부 표면(18)과 회전 및 슬라이딩 협력 관계로 배치된다. 돌출부(160) 사이의 허브(4)의 에지(162)는 허브(4)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 거리를 갖는데, 이 반경 거리는 돌출부(160)의 외부 또는 상부 표면보다 짧다. 조립이 이루어지면, 허브(4)의 에지(162)의 내부 표면은 링(3)의 내부 표면(18)과 결합하여 제한 공간(164)을 형성한다. 이들 공간 내에는 고무 덧고리(8), 강철 롤러(7), 및 구동 디스크(5)의 하향 돌출 핑거(166)(제 11도 참조)가 배치된다. 허브 에지(162)는 바람직하게는 아치형이지만, 링(3)과 조립될 때 형성되는 공간이 제한 채널일 경우 대체로 평평한 모양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링(3)의 내부 표면(18)은 편심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링(3)을 완전히 제거하고, 동작 가능한 공간을 정해주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을 사용하는 것이다.
제 10도에서, 공간(164)은 시계 방향으로의 극단 지점에서 보다 반시계 방향으로의 극단 지점에서 더 좁다. 고무 덧고리(8)는 공간(164)의 시계 방향 극단 지점에 배치되는데, 이 지점에서 고무 덧고리(8)는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60)의 측벽 내의 대응하는 볼록면(convexity) 내로 수용된다. 고무 덧고리(8)와 강철 롤러(7)가 공간(164) 내에 배치된 후 반시계 방향으로 각 공간(164)을 따라 전진하면, 구동 디스크(5)의 핑거(166)가 뒤따른다. 시계 방향의 극단 지점에서, 공간(164)은 강철 롤러(7) 또는 고무 덧고리(8)의 직경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넓다. 따라서, 허브(4)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공간(164)은 각 공간(164)의 반시계 방향 극단 지점에서 강철 롤러(7)의 직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좁다. 따라서, 허브(4)가 공간(164)의 시계 방향의 극단 지점과 공간(164)의 반시계 방향의 극단 지점(164)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강철 롤러(7)는 허브(4)의 내부 표면 에지(162)와 링(3)의 내부 표면(18) 사이에서 고정될 수 없다. 이러한 지점에서, 강철 롤러는 허브 및 허브에 부착된 모든 부품, 특히 풀리(6)를 잼(jam) 또는 "록킹"하여 허브 및 그 부품이 시계 방향으로 추가로 전진하지 못하도록 회전을 방지한다. 이것이 허브(4) 및 링(3) 클러치 조립체의 록킹 특성이다.
허브(4)는 제 11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디스크 핑거(166)에 의해 회전된다.
롤러(7)가 록킹하는 지점은 고무 덧고리(8)와 구동 디스크 핑거(166) 사이의 임의의 지점이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지점은 클러치가 신속한 록킹 응답 및 "풀림"이 거의 없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의 자유 또는 안정 위치에 근접해 있다.
고무 덧고리(8)는 돌출부(160) 및 강철 롤러(7)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의 목적은 강철 롤러가 허브(4)를 록킹하여 허브(4)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는 공간(164) 내의 해당 지점 쪽으로 강철 롤러를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이어싱은 시트 착석자가 레버 암(88)을 해제한 후에 조립체의 바람직하지 않은 역회전을 방지한다. 강철 롤러(7)가 록킹하는 지점까지 또는 그 록킹 지점 근처까지 강철 롤러(7)를 바이어싱하면, 레버 암(88)의 구동 회전 후에 역회전 또는 "풀림"을 최소화한다. 이것은 레버 암(88)의 구동 아크의 유용한 부분을 최대화한다. 비록 고무 덧고리가 스프링으로 바람직하지만, 코일형 스프링, 겹판 스프링, 또는 기타 형태의 스프링이 대안적인 균등물이 될 수 있다. 비록 볼 베어링과 같은 다른 형상이 대안적인 균등물이 될 수 있지만, 고무 덧고리(8) 및 강철 롤러(7)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디스크(5)는 핑거(166)를 가지며 이 핑거(166)는 또한 공간(164) 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 핑거는 고무 덧고리 반대쪽 돌출부 측 상에서 돌출부(16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동작시, 레버 암(88)이 반시계 방향으로 시트 착석자에 의해 회전이 되면, 구동 디스크(5)의 핑거(166)는 돌출부(160)와 구동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력은 허브(4)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여, 강철 롤러(7)에 대한 갭(164)을 확장하여 강철 롤러를 해제한다. 구동 디스크(5)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제동기 액추에이터(86)를 아치형으로 회전시켜 허브(4)와 풀리(6)를 밀어 낸다. 회전 아크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45˚에 도달하면, 시트 착석자가 레버 암(88)을 해제할 때 압력이 구동 디스크(5)의 핑거(166)로부터 해제된다. 럼버 서포트의 인장력이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 및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가 부착되는 풀리(6)를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한다. 그러나, 조립체를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록킹 허브 에지(162) 및 링(3)의 내부 표면(18) 사이에 있는 강철 롤러의 거의 즉각적인 록킹에 의하여 정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착석자는 럼버 서포트의 바람직한 아칭이 이루어질 때까지 액추에이터를 계속 제동할 수 있다. 그 후 레버는 스프링(9)에 의해 홈으로 복귀하고, 록킹 허브(4)와 풀리(6)는 강철 롤러(7)에 의해 제 자리에 머물게된다.
시트 착석자의 몸무게가 럼버 서포트를 평평한 위치로 바이어스하여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를 인장 상태로 유지한다. 시트 착석자가 아칭된 럼버 서포트를 평평하게 하기 위해, 레버 암(88)은 반대 방향으로 밀려져야 한다. 이것은 구동 디스크(5)의 핑거(16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핑거(166)는 강 철 롤러(7)와 접촉하여 핑거(166)를 록킹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힘을 가하여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의 기존의 인장력이 허브(4)의 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풀리(6)의 풀림(unwinding)을 일으키도록 하는데, 이러한 풀림은 구동 디스크(5)의 핑거(166)가 강철 롤러(7)에 시계 방향의 압력을 유지하고 있는 한, 강철 롤러(7)의 록킹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물론 조수석 착석자는 레버를 밀어냄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허브(4)가 이러한 배향으로 장착되며,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는 구멍 및 슬롯 조립체(100A,102A,104A)를 통해 풀리(6)에 부착된다. 배향을 반대로 하는 것은 단순히 허브(4)를 조립하는 동안 거꾸로 뒤집고, 풀리(6) 내의 노치(106)를 회전시키며,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를 대향 슬롯(106B, 102B,104B)를 통해 장착하면 된다. 이러한 제 2 배향에 있어서, 시계 방향은 구동 방향이며 반시계 방향은 록킹된 방향이다.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가 풀리 둘레로 전체 이동하는 거리는 제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디스크(5)의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단차부(170)의 걸림부(168) 및 상부 하우징(2)의 아래쪽 상에 위치되는 대응 걸림부(미도시)에 의해 제한된다.
구동 디스크(5)는 상방향으로의 연장 샤프트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샤프트는 샤프트의 6각면을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0)와 맞물려 구동 가능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하우징(2) 내의 중심 구동 축 구멍을 통해 연장되거나, 구동 디스크(5)는 이중 클러치 실시예에서와 같이 또는 제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이러한 샤프트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얇은 외형의 실시예(Thin Profile Embodiment)
제 12도는 본 발명의 제동기 액추에이터의 얇은 외형(thin profile)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조립된 부품은 베이스 하우징(201) 및 상부 하우징(202) 사이에서 둘러싸여 있다. 베이스 하우징(201)은 풀리(206)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갖는다. 케이블(미도시)이 풀리(206)에 부착되며, 출구 구멍(304A 또는 304B)에서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나온다. 이러한 베이스 하우징 풀리 조립체가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구조와 함께 동작한다.
제 13도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하의 실시예는 또한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209)을 수용하기 위한 아치형 채널(318)을 갖는다. 지지 시트(320)는 채널(318)의 어느 한쪽 단부에서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209)을 약간의 압축만으로도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채널 구조는 코일 스프링(209)이 단지 채널 (318) 내에 위치되면 되므로, 코일 스프링과 결합되는 경우 조립이 간편하다. 겹판 스프링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동기 암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과 같은) 통상 2개의 다른 부품이 조립되는 동안, 2개의 다른 부품 사이에서 제 자리에 유지된다.
시트(320)는 코일 스프링(209)의 직경보다 더 얇은 슬롯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슬롯은 시트 착석자가 레버(미도시)를 회전시킬 때 제동기 암 핑거(322)를 수용하며, 그 결과 제동기 암(22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동기 암 핑거(322)를 스프링(209)의 압축으로 옮기는 작용에 의해 스프링의 로딩이 이루어진다. 시트 착석 자가 레버를 해제하면, 스프링(209)은 확장하여 핑거(322)를 밀어내고 그 결과 제동기 암(220)을 홈 위치로 복귀시킨다.
허브(204), 강철 롤러(207), 및 고무 덧고리(208)와 링(203)의 내부 표면(218) 간의 상호 작용에 있어서 허브(204), 강철 롤러(207), 및 고무 덧고리(208)의 동작은 록킹 클러치 조립체에 대한 이전에 기술한 것과 동일하며, 제 12도 내지 제 18도에서 더 얇은 실시예 하우징과 함께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링(203)은 외관상으로 3개의 돌출부(230)를 갖는다. 이들 돌출부는 베이스 하우징(201) 내의 수용 오목부(232)에 대응한다. 일단 조립되면, 오목부(232)는 링(203)을 고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더 얇은 실시예에 있어서, 링 돌출부(230)는 또한 톱니멈춤쇠(211A,211B)의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단차부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 14도 및 제 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0)는 가위형 제동기 톱니멈춤쇠(211A,211B)를 가위형 톱니멈춤쇠 핀(213A,213B)과의 슬라이딩 접촉을 통해 결합하고 해제한다. 링(203)의 돌출부(230)는 비구동 상태의 가위형 톱니멈춤쇠 암을 구동 기어(210) 상의 구동 기어 톱니로부터 멀어지도록 유지함으로써 비구동 상태의 가위형 톱니멈춤쇠 암을 해제하는 높은 단차부가 되고, 또 다른 가위형 톱니멈춤쇠는 구동 상태로 구동 기어(210)의 톱니와 연결된다. 해제 상태는 높은 단차부(230)의 더 큰 직경에 의해 유지된다. 링(203)은 돌출부(230)의 어느 한쪽 상에서 오목부(238A,238B)를 갖는다. 이들 오목부가 낮은 단차부를 구성한다. 구동 상태의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은 낮은 단차부(238A 또는 238B)와 슬라이딩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링(3)의 높은 단차부(230)와 낮은 단차부(238A,238B) 및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213A,213B) 간의 접촉은 링(3)의 수용부를 베이스 하우징(201) 위로 상승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 하우징 수용부의 오목부(232)는 링(203)을 수용한다. 그러나, 베이스 하우징 수용부의 오목부(232)는 링(203)의 높이만큼 깊지 않다. 따라서, 링(203)의 높이는 베이스 하우징(201)의 높이보다 위로 연장된다. 링(203)은 외부 표면 부품, 높은 단차부(230) 및 낮은 단차부(238A,238B)를 톱니멈춤쇠 핀(213A,213B)과 슬라이딩 접촉하기에 충분한 높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동기 톱니멈춤쇠의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단차부를 갖는 중간 하우징이 완전히 제거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제동기 톱니멈춤쇠 액추에이터의 외형을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제동기 톱니멈춤쇠 액추에이터의 크기는 제 12도 내지 제 1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실시예의 구동 휠 및 구동 기어를 단일 부품으로 조합함으로써 추가로 감소된다. 구동 기어(210)는 제동기 톱니멈춤쇠(211A,211B)와의 구동 결합을 수용하도록 둘레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일한 구동 기어(210)로부터 핑거(366)가 아래로 형성되는데, 이 핑거는 아래로 연장되어 록킹 클러치 조립체의 록킹 허브(204), 롤러(207), 및 덧고리(208)와 동작 상태로 결합한다.
이러한 동작 상태의 모양을 더 적은 부품으로 조합하여 부품을 제거하면, 본 발명의 개선된 제동기 톱니멈춤쇠 액추에이터의 비용을 감소시키며,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전체 크기를 감소시킨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213A,213B)의 설계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이 더욱 더 용이하게 된다. 이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은 대칭이다. 이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213A,213B)을 구비한 조립체에서, 이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은 대칭 상태로 유지된다.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213A,213B)은 제동기 톱니멈춤쇠(211A,211B)의 위 및 아래로 동일한 거리로 연장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제동기 톱니멈춤쇠 핀의 좌우를 구별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본 발명의 가위형 제동기 톱니멈춤쇠 조립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동기 톱니멈춤쇠 중 하나를 뒤집으면 된다. 가위형 제동기 톱니멈춤쇠가 제동기 암(220)의 포스트(222) 상에 배치된다. 가위형 제동기 톱니멈춤쇠는 록킹 와셔(216)에 의해 제 자리에 유지된다. 톱니멈춤쇠 바이어싱 스프링(214)은 밴드 스프링의 존재에 의해 종래 구현예에 비해 본 발명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종래의 겹판 스프링은 톱니멈춤쇠(211A,211B)가 또한 포스트(222) 상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니멈춤쇠 포스트(222) 상으로 자신을 삽입시킨 후에 톱니멈춤쇠(211A,211B)와 동시 결합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개선된 톱니멈춤쇠 액추에이터는 제동기 톱니멈춤쇠(211)를 포스트(222) 상으로 슬라이딩시키고, 후에 밴드 스프링(214)를 제 위치에 스냅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제동기 암(220)은 레버 암(미도시)에 대한 고정된 부착을 수용하도록 상부 하우징(202) 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224)를 갖는다. 매달리는 가위형 제동기 톱니멈춤쇠에 대한 서포트를 내부로 수용하면 이들 이동 부품이 잼되거나, 간섭을 받거나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동기 암(220)은 베이스 하우징(201)을 포함하여 부품의 축을 관통하여 앵커용 스크루(anchoring screw)(미도시)를 수용하는 위치까지 아래로 연장되는 샤프트(226)를 갖는다. 베이스 하우징(201) 상의 탭(240)은 최종 조립을 위해 상부 하우징(202) 내의 슬롯(242) 내로 스냅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 포스트(244)는 상부 하우징 포스트 구멍(246)과 결합하여 제동기 톱니멈춤쇠의 조립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움직이는 가위형 톱니멈춤쇠를 둘러싼다.
동작시, 시트 착석자는 레버 암(미도시)을 회전시키고, 이 레버 암은 제동기 암(220)을 회전시키며, 톱니멈춤쇠 암은 가위형 톱니멈춤쇠 포스트(222)를 통해 제동기 톱니멈춤쇠(211A)를 기어(210)와 구동 결합되도록 한다. 바이어싱 스프링(214)은 제동기 톱니멈춤쇠 포스트(213A)를 링(203)의 하부 단차부(238A)와 슬라이딩 결합 상태로 유지한다. 대향하는 제동기 톱니멈춤쇠(211B)는 포스트(213B)를 링(203)의 높은 단차부(230)와 슬라이딩 결합시킴으로써 구동 기어(210)의 톱니로부터 해제된 위치 내에 유지된다. 기어(210)의 구동 회전은 구동 기어 핑거(366)가 록킹 허브(204)의 돌출부(360)에 대해 덧고리(208) 및 롤러(207)를 밀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풀리(206)를 회전시키고, 풀리(206)는 록킹 허브(204)와 고정 결합 상태에 놓이게 된다. 풀리(206)를 회전시키면 케이블(206)(미도시)이 출구 구멍(304A 또는 304B)을 관통하도록 케이블을 잡아당긴다.
삭제
제동기 암(220)을 회전시키면 또한 제동기 암 핑거(322)를 구동시켜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209)을 압축한다. 시트 착석자가 레버 암(미도시)을 해제할 때, 록킹 허브(204)의 캠 표면의 록킹 웨지 작용(locking wedge action)은 레버 암으로 시트 착석자가 선택한 회전 각도로 록킹 허브 및 풀리(6)를 지탱한다. 그러나, 제동기 암(220)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209)의 팽창 작용에 의해 홈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동되는데,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209)은 제동기 암 핑거(322)와의 팽창 결합을 통해 제동기 암(220)을 홈으로 밀어낸다.
이중 클러치 실시예
제 19도를 참조하면, 시트 착석자가 구동 샤프트(432)를 회전시키는 레버 암(미도시)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구동 샤프트(432)는 디스크(405)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 클러치를 통해 구동한다.
아래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크(405)의 핑거(440)는 편심 허브(404)의 돌출부를 결합하고, 또한 편심 허브를 디스크(405) 및 구동 샤프트(432)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구동한다. 편심 허브(404)는 풀리(406)의 노치를 구비한 연장부(508)를 통해 풀리(406)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한다. 풀리(406)를 회전시키면, 베이스 하우징(421)의 구멍(504) 중 하나를 통해 풀리(406)의 둘레로 부분적으로 감기는 보우든 와이어 케이블(80)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밖으로 풀어낸다. 따라서,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에 대한 인장력이 증가 또는 감소되고 그에 대응하여 럼버 서포트(50)의 장착 브라켓(66,64) 사이의 공간을 좁히거나 넓히게 되고, 그 결과 가압봉(68)의 아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제 1도).
복귀 휠(430)은 스프링(409)을 홈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구동 회전 후에 홈 위 치로 구동된다. 탭(418)을 구비한 홈 복귀 휠(430)의 구동 회전은 스프링(409)을 동적 인장 상태로 놓이게 한다. 시트 착석자가 레버 및 구동 샤프트(432)를 원하는 아크를 따라 돌린 다음 레버 암에 가한 압력을 해제한 후, 스프링(409)은 복귀 휠(430), 구동 샤프트(432), 및 레버를 홈 위치로 다시 밀기 위해 복귀 휠(430)의 탭(418)에 압력을 인가한다. 스프링(409)은 스프링(409)을 채널(510) 내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된다. 시트(512)는 스프링(409)을 지지하고, 탭(418)을 복귀 휠(430) 상에서 시트(512)를 통과하여 스프링(409)을 압축하도록 허용하는 슬롯을 갖는다.
제 6도에 예시된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현재 실시예는 레버 암(88)이 어느 방향으로도 90˚ 회전을 허용하도록 미리 구성된다. 이는 보우든 케이블(80)이 바람직한 실시예 내에 수용되는 반경으로, 풀리(406)가 아치형으로 16mm 회전하는 것에 대응한다. 보우든 케이블 와이어(80)의 전체 왕복 이동 거리는 32mm로 제한된다. 따라서, 보우든 케이블(80) 및 럼버 서포트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레버 암을 전체 32mm의 2번의 완전한 90˚로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90˚의 제한은 상부 하우징(1) 상의 걸림부(42)에 의해 이루어진다.
록킹 허브 클러치
록킹 클러치 조립체는 상기 개시된 구성에 따라 동작한다. 제 26도 및 제 27도는 이중 클러치의 실시예의 베이스 하우징(401) 내에 장착된 록킹 클러치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 샤프트(432)를 회전시키면, 또한 핑거(418) 중 하나를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409)의 압축 상태로 구동한다. 시트 착석자가 레버 암(미도시)을 해제하면, 록킹 허브의 캠 표면의 록킹 웨지 작용에 의해 레버 암으로 시트 착석자가 선택한 회전 각도로 록킹 허브와 풀리(406)를 지탱한다. 그러나, 상부 클러치 및 구동 샤프트(432)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409)의 팽창 작용에 의해 홈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동되는데, 복귀 바이어싱 코일 스프링(209)은 복귀 휠(430) 상의 탭(418)을 홈으로 밀어낸다.
상부 클러치
상부 클러치는 하부 클러치와 유사하게 캠 및 블록 방식(cam and block fashion)으로 동작하지만, 양방향으로 동작한다. 제 19도를 참조하면, 구동 디스크(405)는 상부 클러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축방향 시트(414)를 갖는다. 구동 샤프트(432)는 하부 구동 샤프트(412)가 관통하여 연장되며, 그루브가 형성된 상부 구동 샤프트(432)가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디스크(405) 내에 장착된다. 구동 디스크(405)의 평면 상에, 그리고 구동 디스크(405)의 시트(414) 내에 구동 샤프트 캠 표면(411)이 존재한다.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 캠 표면(411)은 3개의 로브(lobe)를 갖는다. 또한, 구동 디스크(405)의 시트(414) 내에는 캠 블록(402A,402B)이 존재한다.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3쌍의 캠 블록이 존재한다. 각 쌍의 캠 블록 사이에 고무 덧고리(413)가 배치된다. 각 쌍의 캠 블록 사이에 공간(428)이 존재한다. 공간(428)은 홈복귀 휠(43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 클러치 핑거(410)를 수용한다.
제 23도 및 제 25도를 참조하면, 동작시 상부 클러치는 구동 샤프트(432)에 고정되는 레버 암(미도시)을 통해 시트 착석자로부터의 회전력을 수용한다. 시트 착석자가 시계 방향 회전을 선택한 경우, 각 샤프트 캠 로브(411)는 캠 블록(402A) 상에 압력을 가한다. 가압된 캠 블록(402A)은 덧고리(413)를 압축하고 캠 블록(402B)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 회전력은 구동 샤프트 캠 로브(411) 및 구동 디스크(405)의 내부 표면(416) 사이에 발생되는 웨지 내로 향하여, 구동 디스크(405)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 디스크(405)에 대한 회전력은 구동 디스크(405)의 하부 핑커(440)에 전달되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부 록킹 클러치를 동작 결합 상태로 놓이게 한다.
상부 클러치의 설계가 각 캠 블록 쌍(402A,402B) 및 각 캠 블록 쌍의 구동 샤프트 캠 로브(411)와의 상호 작용에 대해 대칭이기 때문에, 클러치의 동작은 양방향이다. 따라서, 동작시 반시계 방향의 힘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시계 방향의 예로 되돌아 가면, 복귀 플레이트(430)는 시트 착석자에 의해 구동 샤프트에 가해지는 시계 방향 운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는 핑거(410)가 캠 블록(402B)과의 접촉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동 회전은 복귀 플레이트(430)의 스프링 탭(418) 중 하나를 시트(512) 내의 슬롯을 통해 스프링 탭(418) 중 하나를 압축하고 있는 복귀 코일 스프링(409)과 결합하도록 해준다. 시트 착석자가 구동 샤프트에 대한 시계 방향의 힘을 해제하는 경우, 복귀 코일 스프링(409)에 대한 압축 작용도 해제되어 복귀 코일 스프링(409)이 팽창하도록 한다. 복귀 코일 스프링(409)의 팽창은 복귀 휠 탭(418)을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내고, 복귀 휠 탭(418)은 다시 복귀 휠(430)과 핑거(410)를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낸다. 핑거(410)에 대한 반시계 방향의 힘은 구동 샤프트 캠 로브(411) 및 구동 디스크 내부 표면(416) 사이에 형성되는 웨지 내의 잼 위치로부터 웨지형 캠 블록(402B)을 언로딩한다. 캠 블록(402B) 및 구동 디스크(405) 간의 압력을 언로딩하면, 구동 디스크는 시트 착석자가 하부 록킹 클러치에 의해 현재 록킹된 위치를 제 자리에 정지 및 선택하거나, 또는 레버를 다시 회전시켜 인체공학적 서포트 면을 더 전진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는 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으며, 그에 따라 당업자가 본 발명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장 잘 사용하게 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으며, 특정 용도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변형예가 고려될 수 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조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Claims (26)

  1. 복귀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 방식으로 연결되며, 견인 부재를 당기기에 적합한 풀리
    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풀리가 상기 견인 부재에 의해 상기 풀리에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록킹하도록 상기 풀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일방향 록킹 클러치;
    상기 일방향 록킹 클러치를 통해 상기 풀리와 회전 방식으로 구동 연결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의 톱니와 구동 결합되는 제동기; 및
    상기 제동기가 상기 구동 기어의 상기 톱니와 구동 결합하기 위해 매달려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 회전 방식으로 고정되는 레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록킹 클러치는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허브,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롤러,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핸드휠(hand wheel)인 복귀 액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이 상기 견인 부재의 와이어를 상기 견인 부재의 슬리브(sleeve)를 통해 축방향으로 당기는 복귀 액추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는 상기 레버가 회전할 때,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되는 인체공학적 장치(ergonomic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부재는 압축 부재인 복귀 액추에이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는
    레버 하우징 돌출부;
    상기 레버가 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 하우징 돌출부에 근접한 하우징 돌출부; 및
    상기 레버 하우징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 돌출부를 상기 근접한 위치 쪽으로 바이어스하도록 배치된 홈 복귀 스프링
    을 추가로 포함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복귀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인 복귀 액추에이터.
  12. 복귀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레버;
    견인 케이블 부착물;
    견인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레버에 동작을 인가하는 견인 부재(traction element); 및
    상기 레버를 홈 위치로 복귀시키는 홈 복귀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 부재는 일방향 클러치 및 양방향 클러치 조립체를 관통하고, 상기 홈 복귀 스프링은 상기 레버 및 상기 양방향 클러치를 구동 회전 후에 상기 홈 위치로 홈 복귀시키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견인 케이블을 상기 구동 회전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홈 위치 내로 록킹하며,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는
    링;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을 갖는, 상기 링 내의 중심 허브;
    상기 중심 허브와 상기 링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을 포함하는 하부 오버런 클러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사이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로 배치되는 핑거를 구비하며, 또한 벽을 갖는 시트(seat)를 구비한 구동 디스크; 및
    구동 캠;
    상기 구동 캠 및 상기 시트의 상기 벽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캠 블록;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캠 블록 각각의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내에 있는 구동 클러치
    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13. 복귀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레버;
    견인 케이블 부착물;
    견인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어주도록 상기 레버에 동작을 인가하는 견인 부재(traction element); 및
    상기 레버를 홈 위치로 복귀시키는 홈 복귀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 부재는 일방향 클러치 및 양방향 클러치 조립체를 관통하고, 상기 홈 복귀 스프링은 상기 레버 및 상기 양방향 클러치를 구동 회전 후에 상기 홈 위치로 홈 복귀시키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견인 케이블을 상기 구동 회전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홈 위치 내로 록킹하며,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는
    스프링 결합부 및 적어도 하나의 견인 부재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견인 부재를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풀리;
    디스크;
    구동 샤프트;
    적어도 한 쌍의 캠 블록;
    적어도 한 쌍의 캠 블록 스프링;
    적어도 한 쌍의 홈 복귀 핑거; 및
    상기 홈 복귀 핑거를 갖는 홈 복귀 브라켓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풀리와 록킹 결합하며,
    상기 일방향 클러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을 갖는 허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폐쇄된 상태로 회전 연결되는 링;
    적어도 하나의 롤러;
    적어도 하나의 롤러 스프링;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핑거
    를 포함하되,
    상기 링은 내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내부 표면은 상기 링의 상기 내부 표면과 상기 허브의 상기 캠 표면 사이에 제 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공간은 제 1의 넓은 부분과 제 1의 좁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공간의 상기 제 1의 좁은 부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를 록킹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공간의 상기 제 2의 넓은 부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허브의 회전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 스프링은 상기 롤러를 상기 제 1 공간의 상기 제 1의 좁은 부분 쪽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제 1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핑거는 상기 롤러를 상기 제 1 공간의 상기 제 1의 넓은 부분 쪽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제 1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핑거를 구비하며, 또한 내부 표면을 갖는 시트(seat)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는 상기 레버에 의해 구동되기에 적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캠 로브(cam lobe)를 가지되, 상기 캠 로브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 로브 및 상기 시트의 상기 내부 표면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넓은 부분과 적어도 2개의 제 2의 좁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캠 블록은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인가되는 토크가 상기 캠 로브와 상기 한 쌍의 캠 블록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토크에 의해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 2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캠 블록 스프링은 상기 제 2 공간의 상기 제 2의 좁은 부분 쪽으로 상기 캠 블록을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한 쌍의 캠 블록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홈 복귀 핑거는, 상기 홈 복귀 핑거가 상기 구동 샤프트에 토크가 인가될 때 상기 캠 블록 쌍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제 2 공간의 상기 제 2의 좁은 부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홈 복귀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스프링 결합부 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홈 복귀 스프링이 상기 홈 복귀 핑거, 상기 캠 블록, 및 상기 캠 로브를 통해 상기 구동 샤프트를 상기 홈 위치 쪽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홈 복귀 브라켓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귀 액추에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상기 레버 하우징, 상기 구동 샤프트, 상기 디스크, 상기 링, 상기 허브, 및 상기 풀리는 동축인 복귀 액추에이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은 제 1 반경 및 제 2 반경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복귀 액추에이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상기 캠 표면 각각은 대체로 중간 영역의 제 2 반경의 어느 일측면 상에서 적어도 2개의 제 1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반경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반경 중 어느 것 보다도 상기 허브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큰 복귀 액추에이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편심 형상을 갖는 복귀 액추에이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내부 표면은 편심 형상을 갖는 복귀 액추에이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상기 시트의 상기 내부 표면은 편심 형상을 갖는 복귀 액추에이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 스프링은 고무제의 실린더형인 복귀 액추에이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스프링은 고무제의 실린더형인 복귀 액추에이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랙(rack)인 견인 부재를 결합하기에 적합한 피니언인 복귀 액추에이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부재는 상기 풀리의 회전이 상기 견인 부재를 당기도록 상기 풀리에 고정되는 단부를 구비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부재는 보우든 케이블인 복귀 액추에이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액추에이터는 상기 풀리의 회전이 상기 견인 부재를 당기도록 상기 풀리에 고정되는 상기 견인 부재의 제 1 단부, 및 인체공학적 장치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견인 부재의 제 2 단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복귀 액추에이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공학적 장치는 럼버 서포트인 복귀 액추에이터.
KR1020047004800A 2001-10-03 2002-10-03 복귀 액추에이터용 장치 및 방법 KR100710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70,268 US6691851B2 (en) 2001-10-03 2001-10-03 Apparatus and method for ratchet actuator
US09/970,268 2001-10-03
US10/005,725 2001-11-07
US10/005,662 US6688443B2 (en) 2001-11-07 2001-11-07 Apparatus and method for double clutch actuator
US10/005,725 US6637575B2 (en) 2001-10-03 2001-11-07 Apparatus and method for thin profile ratchet actuator
US10/005,662 2001-11-07
PCT/US2002/031766 WO2003029043A1 (en) 2001-10-03 2002-10-03 Apparatus and method for return actu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415A KR20040048415A (ko) 2004-06-09
KR100710001B1 true KR100710001B1 (ko) 2007-04-20

Family

ID=2735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800A KR100710001B1 (ko) 2001-10-03 2002-10-03 복귀 액추에이터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432594B1 (ko)
KR (1) KR100710001B1 (ko)
CN (1) CN100420588C (ko)
AT (1) ATE334015T1 (ko)
CA (1) CA2462656C (ko)
DE (1) DE60213437T2 (ko)
ES (1) ES2269760T3 (ko)
MX (1) MXPA04003168A (ko)
WO (1) WO2003029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6423B2 (en) * 2005-01-25 2012-03-20 Schukra of North America Co. Multiple turn mechanism for manual lumbar support adjustment
EP2715754B1 (en) * 2011-05-31 2015-07-29 Linak A/S Actuator
DE102011051238B4 (de) * 2011-06-20 2014-03-27 Kokinetics Gmbh Verstellmechanismus zum Verstellen eines Verstellgetriebes
US20140157939A1 (en) 2011-12-09 2014-06-12 Grand Rapids Controls Company, Llc Release mechanism
US20140144278A1 (en) * 2011-12-09 2014-05-29 Mark G. Tomandl Release mechanism
DE102013106710B3 (de) * 2013-06-26 2014-12-11 Grammer Ag Fahrzeugsitz und Nutzkraftfahrzeug mit wenigstens einem Fahrzeugsitz
KR101614694B1 (ko) * 2014-12-30 2016-04-29 최동규 피로파괴 방지구조가 구비된 코일리스 클러치의 토오크링
WO2016134746A1 (en) * 2015-02-24 2016-09-01 Schukra Gerätebau Gmbh Actuator and method of actuating a latch
CN106545592A (zh) * 2015-09-17 2017-03-29 郑祥云 一种自动传动离合装置
KR101873277B1 (ko) * 2017-01-12 2018-08-02 (주)리얼감 클러치 유닛
KR102117145B1 (ko) * 2017-04-15 2020-06-01 이용재 기어 회전 제어의 브레이크
CN108263260B (zh) * 2018-02-09 2024-02-23 广州汽车集团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靠背腰托控制装置
CN108324005A (zh) * 2018-04-02 2018-07-27 宁波梦神床垫机械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复合材料床垫
CN109398172B (zh) * 2018-12-10 2024-05-07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调角器以及调角器的复合棘轮、成型方法
CN112677839B (zh) * 2021-01-06 2022-09-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靠背角度调节手柄锁止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1584A (en) * 1995-04-24 1997-07-29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US5794479A (en) * 1995-05-19 1998-08-18 Schwarzbich; Joerg Adjusting mechanism
US5865285A (en) * 1995-02-03 1999-02-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Manual driv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to produce a rotary movement, more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1335C2 (de) * 1993-06-26 1997-06-05 Daimler Benz Ag Verstellvorrichtung
US5681005A (en) * 1995-08-11 1997-10-28 Ligon Brothers Manufacturing Company Lever actuator
WO1999005000A1 (en) * 1997-07-25 1999-02-04 Lea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tive seat position adjustment and locking
DE29802055U1 (de) * 1998-02-10 1999-06-10 Schwarzbich Joerg Sitzversteller
FR2809999B1 (fr) * 2000-06-08 2002-09-2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e regl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5285A (en) * 1995-02-03 1999-02-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Manual driv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to produce a rotary movement, more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US5651584A (en) * 1995-04-24 1997-07-29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US5794479A (en) * 1995-05-19 1998-08-18 Schwarzbich; Joerg Adjusting mechanis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제5651584호(1997.7.29) *
미국특허공보 제5794479호(1998.8.18) *
미국특허공보 제5865285호(1999.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2594B1 (en) 2006-07-26
ATE334015T1 (de) 2006-08-15
DE60213437D1 (de) 2006-09-07
EP1432594A1 (en) 2004-06-30
CA2462656C (en) 2008-05-27
KR20040048415A (ko) 2004-06-09
WO2003029043A1 (en) 2003-04-10
CN1564761A (zh) 2005-01-12
MXPA04003168A (es) 2004-07-27
DE60213437T2 (de) 2007-01-04
ES2269760T3 (es) 2007-04-01
CA2462656A1 (en) 2003-04-10
CN100420588C (zh)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01B1 (ko) 복귀 액추에이터용 장치 및 방법
US6691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tchet actuator
US69456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uble clutch actuator
US5881854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a rotary member by means of a pivoting handle, and a seat fitted with such a mechanism
US66375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in profile ratchet actuator
US7258219B2 (en) Planetary gear actuator apparatus and method
US4235046A (en) Window operating mechanism
US7798572B2 (en) Manual adjustment of a back support on a vehicle seat
JPH10500596A (ja) 可変頂点を備える背部支持体
US20060201267A1 (en) Multiple turn mechanism for manual lumbar support adjustment
JPH0234443A (ja) 直線座席傾け器
US6422651B1 (en) Stepping mechanism for an automobile seat
JP4258796B2 (ja) 座席、とくに自動車座席における操作装置のための手動レバー駆動装置
EP1568539A1 (en) Actuation mechanism for bowden cables
EP1706008B1 (en) Silent actuator for ergonomic supports
US69575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aking ergonomic support actuator
US4884825A (en) Means for adjusting a belt deflection fitting for a safety belt
JPS62160940A (ja) 安全ベルトのストラツプ戻し素子の位置調節装置
GB2162890A (en) Seat reclining angle adjustment device
JPH07502707A (ja) 多重に調節可能な背もたれの操作のための駆動装置
US7165810B2 (en) Low cost lever acutator apparatus and method
US20030062441A1 (en) Cable winding drum
JPS5922566B2 (ja) フイルタ−プレスの送り装置
MXPA01009574A (es) Un mecanismo de ajuste manual para un vehiculo
JPH0662191U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ウェイトバー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