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287B1 -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287B1
KR100709287B1 KR1020050022653A KR20050022653A KR100709287B1 KR 100709287 B1 KR100709287 B1 KR 100709287B1 KR 1020050022653 A KR1020050022653 A KR 1020050022653A KR 20050022653 A KR20050022653 A KR 20050022653A KR 100709287 B1 KR100709287 B1 KR 10070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rt
valve body
air supply
val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399A (ko
Inventor
다이스케 모리사와
토시키 오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6004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06Multiple-way valves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34Lift valves with fixed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31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su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9Suction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추기(抽氣)밸브 본체가 개폐시에 있어서, 그 최대유량의 정량화를 실현하고, 추기밸브 본체가 폐쇄시에 있어서, 소정량의 미소최저유량을 실현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밸브본체(120)에 토출연통포트(123)와, 크랭크(crank)실 연통포트(121d)와, 크랭크실 연통포트(126)과, 흡입연통포트(128)와, 토출연통포트(123)와 크랭크실 연통포트(121d) 사이에 배치되는 급기 밸브구멍(122)과,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와 흡입연통포트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추기 밸브구멍(125)과, 급기 밸브구멍을 완전 개방·약간 폐쇄, 완전 폐쇄가 가능하도록 개폐하는 급기밸브 본체(132a)와, 추기밸브구멍을 개폐 작동하는 추기밸브 본체(139)와, 급기밸브 본체와 추기밸브 본체를 개폐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를 구비한다. 제1상태에서, 급기밸브 본체를 완전 개방에서 추기밸브 본체에서는 최소의 유량을 확보한다. 제2상태에서, 급기밸브 본체를 완전 폐쇄에서 추기밸브 본체는 완전 개방으로 한다. 제1, 2상태의 중간상태에 있어서는, 제어전류값에 따라 급기밸브 본체는 약간 폐쇄에서 완전 폐쇄가 되도록 하고, 추기밸브 본체에서는 그 개방각도에 관계없이 일정 유량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어밸브본체, 토출연통포트, 크랭크실 연통포트, 흡입연통포트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CONTROL VALVE FOR VARIABLE CAPACITY COMPRESSOR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도2는 동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개략적인 설명도.
도3은 동 제어밸브의 작동 설명도.
도4는 동 제어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는 주요부단면도.
도5는 실시예2에 관한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도6은 실시예2에 관한 제어밸브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d: 토출냉매압 Pc: 크랭크실 냉매압
Ps: 흡입 냉매압 1: 흡입관로
2: 토출관로 3: 흡입실
4: 토출실 5: 프론트 하우징
6: 리어 하우징 8: 제어밸브용 공간
9: 흡입관 연통로 9a: 크랭크(crank)실 연통로
10: 토출관 연통로 11: 회전축
12: 크랭크실 13: 풀리
13a: 구동 벨트 14: 요동판
15: 실린더 17: 피스톤
18: 로드 20: 가변용량형 압축기
40: 증발기 50: 응축기
100: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120: 제어밸브본체
121: 급기밸브실 121b: 급기밸브 시트부
121c: 급기밸브 폐쇄스프링 121d:(유출측의)크랭크실 연통포트
122: 급기 밸브구멍 123: 토출연통포트
124: 밸브봉 지지부 125: 추기밸브구멍
126: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 127: 추기밸브 시트부
128: 흡입연통포트 130: 솔레노이드 여자부
130a: 플런저 실 130b: 솔레노이드
131: 솔레노이드 하우징 132,132': 밸브봉
132a: 급기밸브 본체 132b: 가는 직경부
132c: 지지 받침부 132d: 추기밸브 폐쇄스프링
133: 플런저 133a: 플런저 스프링
133b: 추기밸브실 133c: 제1균압구멍
133d: 제2균압구멍 135: 솔레노이드부 지지통
137: 수용 구멍 138: 푸시로드
138a: 추기밸브 지지부 138b: 흡인자 미끄럼 접촉부
139,139': 추기밸브 본체 141: 흡인자
141a: 균압구멍 143: 하부수용 구멍
145: 감압부 145a: 감압실
146: 벨로즈 147: (상부의) 스토퍼
148:(하부의) 스토퍼 149: 플랜지
159: 벨로즈 지지스프링 159a: 스프링
160: 코일 어셈블리 S1,S2: 0링
L1: 추기밸브실의 깊이(높이) L2:추기밸브 본체의 길이(높이)
D1: 추기밸브구멍의 내경 D2: 밸브봉(132)의 외경(실시예1)
D2: 추기밸브 본체(139')의 외경(실시예2)
D3: 밸브봉(132')의 외경(실시예2)
A1: 추기밸브 본체의 유로단면적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적용되는 냉동사이클의 제어밸브에 관하며 특히 필요에 따라 토출압 영역에서 크랭크실내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의 공급과, 크 랭크실내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의 흡입측 영역으로의 배출을 제어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절 장치의 냉동사이클에 이용되는 압축기는 엔진에 벨트로 직결되어 있는 것으로 회전수 제어를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엔진의 회전수에 제약되지 않고 적절한 냉방 능력을 얻기 위해서 압축 용량(토출량)을 바꿀 수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가 이용되어 왔다.
이 가변용량형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흡입관로를 지나는 흡입실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를 지나는 토출실로 뿜어내고, 제어밸브로 냉매압제어되는 압력조절실(크랭크실)의 냉매압변화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이 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2002-303262호 공보에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흡입 냉매압Ps과 벨로즈의 반력과의 냉매압 밸런스에 의해 흡기측에 배치되는 밸브를 개폐하고, 토출통로(토출냉매압Pd)로부터 크랭크실(크랭크실 냉매압Pc)에 토출냉매를 유동시켜서 크랭크실 냉매압Pc을 제어하는 냉동사이클용의 제어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크랭크실 냉매압Pc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안정적인 작동을 실현하기 위해서 추기밸브 본체가 개방시에 있어서 최대유량의 정량화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최저토출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추기밸브 본체가 폐쇄시에 소정량의 미 소유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과제는 추기밸브 본체가 열릴 때 최대유량의 정량화를 실현하는 데에 있다. 또한 추기밸브 본체가 닫힐 때 소정량의 미소최저유량을 실현하는 것으로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안정적인 작동을 실현하는 데에 있다.
또한 제어밸브의 가공성을 쉽게 하고, 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 여자부에 대한 냉매온도의 영향을 적게 하여, 제어밸브, 특히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단을 강구했다. 즉
제1항 기재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는, 제어밸브본체(120)에 토출연통포트(123)와,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1d)와,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와, 흡입연통포트(128)와, 토출연통포트(123)와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1d) 사이에 배치되는 급기 밸브구멍(122)과,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와 흡입연통포트(128)사이에 배치되는 추기 밸브구멍(125)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급기 밸브구멍(122)을 완전 개방, 개방 및 완전 폐쇄가능하도록 개폐하는 급기밸브 본체(132a)와, 상기 추기 밸브구멍(125)을 개폐하는 추기밸브 본체(139)와, 상기 급기밸브 본체(132a)와 추기밸브 본체(139)를 개폐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를 구비하는 급기밸브 본체·추기밸브 본체 일체형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의 제어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작용에 의해,
제1상태에서 급기밸브 본체(132a)를 완전 개방으로 함과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139)에서는 최소의 유량을 확보하고, 제2상태에서 급기밸브 본체(132a)를 완전 폐쇄로 함과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139)는 완전 개방으로 하며 또한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의 중간상태에 있어서는 제어전류값에 따라 급기밸브 본체(132a)는 개방이 되도록 하고, 추기밸브 본체(139)에서는 그 개방각도에 관계없이 일정 유량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상기 추기 밸브구멍(125)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동 단면적이, 추기밸브 본체(139)가 전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그 유동 단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139)의 길이를 L2, 이 추기밸브 본체(139)가 배치된 추기밸브실(133b)의 깊이를 L1로 한 경우에, 상기 제1상태에 있어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139)는 상기 제어밸브본체(120)에 형성된 추기밸브 시트부(127) 사이에 L1-L2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을 갖고, 이 간극을 거쳐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로부터 흡입연통포트(128)로 소정량의 냉매가 흐르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139)는 플런저(133)의 상부에 형성된 추기밸브실(133b)내에 있어서, 플런저(133)와 일체인 푸시로드(138)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추기밸브실(133b)은 흡입연통포트(128)에 연통하고, 푸시로드(138)가 플런저 스프링(133a)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133)와 함께 위로 이동하여 상기 추기밸브 시트부(127)에 접촉하면, 추기밸브 본체(139)의 윗면부가 추기 밸브구멍(125)의 구멍을 소정 간극을 남기고 폐쇄로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139')는 플런저(133)의 상부에 형성된 추기밸브실(133b)내에 있어서, 플런저(133)와 일체인 푸시로드(138)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추기밸브실(133b)은 흡입연통포트(128)에 연통하고, 푸시로드(138)가 플런저 스프링(133a)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133)와 함께 위로 이동하여 밸브본체(120)의 추기밸브 시트부(127)에 접근하며 추기밸브 본체(139')의 윗면부가 추기 밸브구멍(125)에 삽입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흡입관로(1)를 지나는 흡입실(3)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2)를 지나는 토출실(4)로 뿜어냄과 동시에 플런저(133)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을 구비하는 제어밸브(100)에 의해 냉매압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내부에는 감압부(145)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에 의한 작동, 벨로즈(146)의 반력 및 흡입 냉매압Ps의 밸런스에 의해 상기 토출관로(2)와 상기 크랭크실(12) 사이에 배치된 급기밸브 본체(132a)와 크랭크실(12)과 흡입관로(1) 사이에 배치된 추기밸브 본체(139)를 개폐 제어시키며, 상기 제어밸브(100)의 하우징은 상하로 긴 통형상체로 형성되고, 그 통형상부에 형성되는 구멍부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에 연통하는 급기밸브실(121), 급기 밸브구멍(122), 토출연통포트(123), 밸브봉 지지부(124),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에 연통하는 추기 밸브구멍(125) 및 흡입연통포트(128)에 연통하는 플런저 실(130a)로서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에는 급기밸브실(121)에 위치하는 급기밸브 본체(132a)와 일체인 밸브봉(132)과, 상기 플런저 실(130a)에 배치된 플런저(133)와 일체인 푸시로드(138)가 배치되고, 이 푸시로드(138)에는 추기밸브 본체(13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흡입관로(1)를 지나는 흡입실(3)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2)를 지나는 토출실(4)로 뿜어냄과 동시에 플런저(133)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를 구비하는 제어밸브(100)에 의해 냉매압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내부에는 상기 감압부(145)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에 의한 작동, 벨로즈(146)의 반력 및 흡입 냉매압Ps의 밸런스에 의해 상기 토출관로(2)와 상기 크랭크실(12) 사이에 배치된 급기밸브 본체(132a)와 크랭크실(12)과 흡입관로(1) 사이에 배치된 추기밸브 본체(139)를 개폐 제어시키며, 상기 제어밸브(100)의 하우징은 상하로 긴 통형상체로서 형성되고 그 통형상체에 형성되는 구멍부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에 연통하는 급기밸브실(121), 급기 밸브구멍(122), 토출연통포트(123), 밸브봉 지지부(124),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에 연통하는 추기 밸브구멍(125) 및 흡입연통포트(128)에 연통하는 플런저 실(130a)로서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에는 급기밸브실(121)에 위치하는 급기밸브 본체(132a)와 일체인 밸브봉(132)이 배치되고, 이 밸브봉(132)에는 플런저 실(130a)에 배치된 플런저(133)이 일체로 설정되며 또한, 이 밸브봉(132)에는 추기밸브 본체(139')가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추기밸브 본체(139')의 외경D2을 추기 밸브구멍(125)의 내경D1보다 작게 하며, 추기밸브 본체(139')의 폐쇄시에 있어서의 미소유량의 흐름을 형성하도 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단의 각 기재에 있어서, 실시예와의 대응관계를 쉽게 하기 위해 도면부호를 붙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한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이용되는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도2는 동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개략적인 설명도, 도3은 동 제어밸브의 작동 설명도, 도4는 동 제어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는 주요부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표현을 사용하지만 이것은 도면상에서 설명하기 위한 편의상의 것으로 실제 위치관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실시예1의 제어밸브를 적용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부호20은 워블플레이트(wobble plate)타입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의 공기조절용 냉동사이클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냉매로서는 플론가스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적용해도 좋으며 냉매에 대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가변용량형 압축기(20)는 프론트 하우징(5)과, 이 프론트 하우징(5)과 일체인 리어 하우징(6)에 지지되어 있다.
부호11은 기밀하게 구성된 크랭크실(12)(압력조절실)내에 배치된 회전축으로, 엔진에 직결된 구동 벨트(13a)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13)의 축위치에 연 결되어 있으며, 회전축(11)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1)에 대하여 경사져서 크랭크실(12)내에 배치된 요동판(14)이 요동한다. 크랭크실(12)내의 주변부에 배치된 실린더(15)내에는 피스톤(17)이 왕복이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고 있으며, 로드(18)에 의해 피스톤(17)과 요동판(14)이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요동판(14)이 회전·요동하면, 피스톤(17)이 실린더(15)내에서 왕복이동하여, 흡입실(3)로부터 실린더(15)내에 저압(흡입 냉매압Ps)의 냉매가 흡입되고, 그 냉매가 실린더(15)내에서 압축되어, 고압(토출냉매압Pd)이 되며, 그 냉매가 토출실(4)로 뿜어져 나온다. 흡입실(3)에는 상류측의 증발기(40)측에서 흡입관로(1)을 경유하여 냉매가 보내지고, 토출실(4)에서는 그 하류측의 응축기(50)측으로 토출관로(2)을 경유하여 고압냉매가 보내지게 된다.
상기 요동판(14)의 경사각도는 크랭크실(12)내의 냉매압(크랭크 냉매압Pc)에 의해 변화되고, 그 요동판(14)의 경사각도에 의해 피스톤(17)의 스트로크의 길이가 변화되며, 실린더(15)로부터의 냉매의 토출량 (즉 압축 용량)이 변화된다. 토출량은 요동판(14)이 실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경사져 있을 때가 많으며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져 있지 않을 때는 적다. 그리고 요동판(14)이 회전축(11)에 대하여 수직이 되면 토출량은 0이 된다.
다음에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20)에 적용되는 제어밸브(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제어밸브(100)는 도2에 도시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20)의 리어 하우징(6)측에 배치되고, 이 리어 하우징(6)에 형성된 제어밸브용 공간(8)내에 0링 S1등을 통해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1,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토출관로(2)에는 토출관 연통로(10)를 통해 제어밸브(100)의 토출연통포트(123)가 연통되고, 또한 제어밸브(100)의 흡입연통포트(128)로부터 흡입관 연통로(9)를 통해 흡입관로(1)에 연통되며, 크랭크실(12)과는 크랭크실 연통로(9a,9a)를 거쳐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1d)와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가 연통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어밸브(100)는 제어밸브본체(120)와, 크랭크실(12)내의 냉매압Pc을 제어하여 가변압축 용량제어를 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와, 감압부(145)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제어밸브(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내측에는 감압부(145)가 배치되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상부에는 제어밸브본체(120)가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제어밸브본체(120)의 하부에 솔레노이드부 지지 통(135)을 통해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을 구비하고, 이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솔레노이드(130b)와, 이 솔레노이드(130b)의 여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133)와, 흡인자(141)를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133)를 배치한 플런저 실(130a)은 상기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에 형성된 흡입연통포트(128)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130b)에는 제어부(도면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는 여자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리드선이 코일 어셈블리(16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 지지통(135)의 내부에는 플런저(133)가 미끄럼접촉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133)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구멍(137)에는 푸시로드(138) 하부의 대경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그 하부의 흡인자 미끄럼 접촉부(138b)는 흡인자(141)에 형성된 구멍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감압실(145a)로 돌출한 상태로 배치되며, 이 하단은 벨로즈(146)상부의 플랜지(149)의 스토퍼(147)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133)와 상기 흡인자(141) 사이에는 플런저(133)를 흡인자(141)측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스프링(133a)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인자(141)에는 플런저 실(130a)과 감압실(145a)를 잇는 균압구멍(141a)이 뚫려 있다.
또한 흡인자 미끄럼 접촉부(138b)의 하부에는 감압실(145a)내에 배치되는 벨로즈(146) 상부의 스토퍼(147) 및 하부의 스토퍼(148)중, 스토퍼(147)측이 접촉, 분리가 자유롭도록 장착되며, 이 스토퍼(147)와 일체인 플랜지(149)와 상기 흡인자(141)측의 하부수용 구멍(143)사이에는 스토퍼(147)를 흡인자(141)측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9a)이 설치된다.
상기 감압부(145)는 솔레노이드(130b)의 내부에 배치된 감압실(145a)를 구비하고, 이 감압실(145a)에는 흡인자 미끄럼 접촉부(138b)등을 통해 상기 플런저(133)를 작동하는 벨로즈(146)와 벨로즈 지지스프링(159)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압실(145a)에는 플런저(133)에 형성된 제2균압구멍(133d) 및 플런저 실(130a)을 통해 흡입 냉매압Ps이 도입된다. 그리고 흡입 냉매압Ps의 대소에 따라 벨로즈(146)는 신축하고, 흡인자 미끄럼 접촉부(138b) 및 플런저(133)를 통해 푸시로드(138)를 상하이동하게 된다.
제어밸브는 도1,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흡입관로(1)를 지나는 흡입실(3)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2)를 지나는 토출실(4)로 뿜어냄과 동시에 플런저(133)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를 구비하는 제어밸브(100)에 의해 냉매압 제어를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어밸브(100)는 제어밸브본체(120)와, 크랭크실(12)내의 냉매압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와, 감압부(145)로 형성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는 제어밸브(100)의 하부위치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내측에는 상기 감압부(145)이 배치되며 또한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밸브본체(1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130), 벨로즈(146)의 반력 및 흡입 냉매압의 밸런스에 의해 토출관로(2)와 크랭크실(12) 사이에 배치된 급기밸브 본체(132a)와 크랭크실(12)과 흡입관로(1) 사이에 배치된 추기밸브 본체(139)를 개폐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제어밸브본체(120)는 상하로 긴 통형상체로, 그 코어부를 따라 형성되는 구멍부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로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1d)에 연통하는 급기밸브실(121), 급기 밸브구멍(122), 토출연통포트(123), 밸브봉 지지부(124),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126) 및 추기 밸브구멍(125)(내경D1)으로 형성되고, 플런저(133)측에 형성된 추기밸브실(133b)에 연통하고 있다. 이 추기밸브실(133b)은 솔레노이드 하우징(131)측에 형성되어 흡입연통포트(128)에 연통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의 구멍부에는 상하로 긴 밸브봉(132)(직경D2)이 배치되고 이 밸브봉(132)은 급기밸브실(121)에 위치하는 급기밸브 본체(132a)와, 상기 급기 밸브구멍(122) 및 토출연통포트(123)에 형성되는 가는 직경부(132b)와, 상기 밸브봉 지지부(124)에 지지되는 지지 받침부(132c)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밸브봉(132)의 동일 연장선상에는 플런저(133)와 일체의 푸시로드(138)가 상하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봉(132)의 하단과 푸시로드(138)의 상단부는 추기 밸브구멍(125)의 하단부, 즉 추기밸브 시트부(127)의 근방에서 탄성 접촉하고 있다.
도4의 추기밸브의 란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추기밸브 본체(139)(길이L2)는 원통형상으로 플런저(133)의 상부에 형성된 추기밸브실(133b)(깊이L1)내에 있어서, 푸시로드(138)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추기밸브실(133b)의 깊이L1는 추기밸브 본체(139)의 길이L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133)의 윗면이 추기밸브 시트부(127)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L1-L2]의 간극이 형성된다.
추기밸브실(133b)은 플런저(133)에 형성된 제1균압구멍(133c)을 통해 흡입연통포트(128)(흡입 냉매압Ps)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푸시로드(138)가 플런저 스프링(133a)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133)와 함께 위로 이동하여 밸브본체(120)의 추기밸브 시트부(127)에 닿으면 추기밸브 본체(139)의 윗면부가 추기 밸브구멍(125)의 구멍을 약간의 간극 [L1-L2]을 남기고 뚜껑을 덮은 상태로 폐쇄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작용에 의해 급기밸브 본체(132a)는 급기 밸브구멍(122)을 개폐한다. 이 개폐작용에 있어서, 급기 밸브구멍(122)은 단순히 완전 개방·완전만이 아니라, 완전 폐쇄에 앞서 약간의 폐쇄상태가 있다.
그리고 도4의 (a)란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어전류 오프에 있어서, 급기밸브 본체(132a)는 완전 개방으로 추기밸브 본체(139)는 약간의 폐쇄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급기밸브 본체(132a)는 문자 그대로 완전 개방이지만, 추기밸브 본체(139)는 [추기밸브실(133b)의 깊이L1-추기밸브 본체(139)의 길이L2]의 간극을 갖는 것으로 이 간극을 거쳐 추기 밸브구멍(125)로부터 추기밸브실(133b)로 냉매가 흐르게 된다. 즉 크랭크실 연통포트(126)로부터 흡입연통포트(128)로 소정(최소)유량의 냉매가 흐르는 구성이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밸브(100)의 작용에 대하여 가변용량형 압축기(20)의 작동과 함께 설명한다. 가변용량형 압축기(20)가 운전상태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로의 통전이 오프인 상태(제1상태)에서는, 도4(a란 참조)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급기밸브 본체(132a)는「완전 개방」, 추기밸브 본체(139)는「약간 폐쇄」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토출냉매압Pd 및 흡입 냉매압Ps의 변동에 따른 크랭크실 냉매압Pc의 냉매압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 급기밸브 본체(132a)는 문자그대로 완전 개방이지만, 추기밸브 본체(139)는 [추기밸브실(133b)의 깊이L1 - 추기밸브 본체(139)의 길이L2]의 간극(유로단면적A1)을 갖기 때문에 이 간극을 거쳐 추기 밸브구멍(125)으로부터 추기밸브실(133b)로 냉매가 흐르게 된다. 즉 크랭크실 연통포트(126)로부터 흡입연통포트(128)로 소정(최소)유량의 냉매가 흐르게 된다.
솔레노이드 여자부(130)로 통전되어 제어가 개시되면(중간상태), 도4(b란 참조)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전량에 따라 밸브봉(132)이 소정길이 아래로 이동하고, 급기밸브 본체(132a)는「완전 개방」에서「개방」으로 또한 추기밸브 본체(139)는 「약간 폐쇄」에서 「개방상태」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전자력이 소정 상태(제어 상태)에서는 급기밸브 본체(132a)는 흡입 냉매압Ps의 변동에 따라 개방각도가 조정되고 또한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139)도 푸시로드(138)를 통해 급기밸브 본체(132a)(개폐)와 같은 상하이동에 의한 개방각도조정(개폐)이 행해진다. 이 사이에 있어서 흡입 냉매압Ps이 상승하면 추기밸브 본체(139)는 하강하고, 급기밸브 본체(132a)는「폐쇄」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139)도「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급기밸브 본체(132a)와 추기밸브 본체(139)와의 공동적인 작용에 의해, 신속한 크랭크실 냉매압Pc의 하강이 실현된다.
또한 반대로 이 사이에 있어서, 흡입 냉매압Ps이 하강하면 스토퍼(147)는 상승하고, 급기밸브 본체(132a)는「개방」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139)도 밸브봉(132)을 통해「폐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급기밸브 본체(132a)와 추기밸브 본체(139)와의 공동적인 작용에 의해 신속한 크랭크실 냉매압Pc의 상승이 실현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130b)로의 통전 전류치를 변화시켜서 제어밸브(100)의 전자력을 바꾸면 그에 대응하여 크랭크실 냉매압Pc이 변화되고, 압축 용량(토출량)이 변경되어 흡입 냉매압Ps이 다른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가 된다.
즉 제어밸브(100)의 전자력이 작아지면 플런저(133)가 플런저 스프링(133a)의 스프링력 및 벨로즈(146)의 반력에 의해 소정량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푸시로드(138) 및 밸브봉(132)이 위로 이동하고, 급기밸브 본체(132a)가 위로 이동한(더욱, 「개방」이 된다) 결과, 토출연통포트(123)로부터 급기밸브실(121)로의 냉매유량이 증대하고, 추기밸브 본체(139)가 위로 이동한(더욱,「폐쇄」가 된다)결과, 크랭크실 연통포트(126)로부터 흡입연통포트(128)로의 냉매유량이 감소하며, 이 급기밸브 본체(132a)와 추기밸브 본체(139)와의 공동적인 동작에 의해 크랭크실 냉매압Pc이 신속히 상승하고, 요동판(14)이 회전축(11)에 대해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다가가 냉매의 토출량이 신속하게 적어진다 (도2참조).
제어밸브(100)의 전자력이 최대가 되면 (제2상태·도4의 c란참조), 플런저(133)가 흡인자(141)의 흡인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밸브봉(132)의 하이동에 의해 급기밸브 본체(132a)가 아래로 이동하여 완전 폐쇄가 되는 결과, 토출연통포트(123)로부터 급기밸브실(121)로의 냉매유량이 0이 되고, 추기밸브 본체(139)가 아래로 이동하여 완전 개방이 되는 결과, 크랭크실 연통 포트(126)로부터 흡입연통포트(128)로의 냉매유량이 증대하고, 크랭크실 냉매압Pc이 신속히 하강하며, 요동판(14)이 회전축(11)에 대해 경사각도가 작아져 냉매의 토출량이 많아진다.
또 솔레노이드(130b)에 통전하는 전류치의 제어는, 엔진, 차실내외의 온도, 증발기 센서, 그 외 각종 조건을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CPU등을 내장하는 제어부에 입력되어, 그 연산 결과를 기초로 제어신호가 제어부로부터 솔레노이드(130b)에 보내져 행해진다. 솔레노이드(130b)의 구동회로는 도시가 생략되고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130b)로의 통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도4(a)란참조), 제어밸브(100)의 밸브봉(132)을 가압하는 급기밸브 폐쇄스프링(121c)과 플런저 스프 링(133a)의 가압력의 차이로부터, 급기밸브 본체(132a)가 급기밸브 시트부(121b)로부터 떨어져서 완전 개방상태가 된다.
그러면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랭크실 냉매압Pc이 상승하고 요동판(14)이 회전축(11)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려고 하지만, 그 앞에서 추기밸브 본체(139)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추기밸브 본체(139)가 도4(a)란과 같이, 미소유량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가변용량형 압축기(20)는 최저유량운전을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여자부(130)의 솔레노이드(130b)로의 통전을 멈췄을 때(통전 오프), 가변용량형 압축기(20)가 최저유량 운전상태가 되므로, 가변용량형 압축기(20)를 운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회전축(11)을 회전 구동시킨 상태 그대로에 해 둘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은, 클러치가 없는 가변용량형 압축기(20)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상기 급기밸브 폐쇄스프링(121c)의 가압력은, 급기밸브 본체(132a)를 제어오프할 때「개방」으로 하기 위해 플런저 스프링(133a)의 가압력보다도 작지만, 이들의 가압력의 설계는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1의 제어밸브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흡입 냉매압Ps을 감지하는 것으로 2개의 밸브 본체를 작동시키고 토출관로의 냉매(토출냉매압Pd)를 크랭크실(크랭크실 냉매압Pc)에 유동시켜서 (급기측)크랭크실 냉매압Pc을 조정함과 동시에 크랭크실의 냉매를 흡입관로(흡입 냉매압Ps)로 유출시켜 (추기측)크랭크실 냉매압Pc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양 조정에 의해 크랭크실 냉매압Pc의 조정제어 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토출관로로부터 크랭크실로의 냉매의 쓸데없는 유동을 저감하여 제어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추기밸브 본체(139)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추기밸브 본체(139)를 도4(a)란과 같이 미소유량의 흐름을 확보하는 구조이므로 회전축(11)을 회전 구동시킨 상태 그대로 해 둘 수 있다.
또한 추기밸브 본체(139)가 열릴 때, 최대유량을 추기 밸브구멍(125)의 유로단면적(AD1-AD2)을 추기밸브 본체(139)부분의 유로단면적(A1)보다 작게하는 것으로 추기밸브 본체(139)의 개방상태에 상관없이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정한 유량으로 할 수 있었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해 도5,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그 제어밸브의 종단면도, 도6은 그 작동 설명도이며, 도6의 (a), (b) 및 (c)란은, 도4의 (a'),(b') 및 (c')란에 대응하고 있다. 또 그 설명에 있어서 실시예1과 동일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4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에서는 실시예1과 비교하여 밸브봉(132)과 푸시로드(138)를 일체로 하고(일체물을「밸브봉(132)'」이라고 칭한다) 또한 원통형상의 추기밸브 본체(139')를 밸브봉(132')(직경D3)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제조를 간략화하며 또한 플런저(133)의 상단면보다 추기밸브 본체(139')의 상단면을 높은 위치에 형성함과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139')의 외경D2을 추기 밸브구멍(125)의 내경D1보 다 작게 간극을 형성하고, 추기밸브 본체(139')의 약간 폐쇄시(제1상태, 도6(a’)란 참조)에 있어서 추기밸브 본체(139')의 상부를 추기 밸브구멍(125)내로 돌입시켜 상기 간극(단면적A1=AD1-AD2)에 의해 미소유량의 흐름을 실현하는 것으로 가변용량형 압축기(20)의 최저유량운전 상태를 실현하고, 가변용량형 압축기(20)를 운전할 필요가 없는 경우라도 회전축(11)(도2참조)을 회전 구동시킨 상태 그대로로 해 둘 수 있다.
또한 추기밸브 본체(139')가 약간 완전 개방(중간상태, 도6(b')란참조) 혹은 완전 개방(제2상태, 도6(c')란 참조)에 있어서는, AD1-AD2은 추기밸브 본체(139')부분의 유로단면적A1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 있어서는, 추기밸브 본체(139')를 통과하는 냉매유량은 추기밸브 본체(139')의 개방각도에 관계없이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에 있어서, 추기밸브 본체가 열릴 때 최대유량의 정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추기밸브 본체가 닫힐 때 소정량의 미소최저유량을 실현하는 것으로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최저토출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밸브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 여자부에 대한 냉매온도의 영향을 적게 하여,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제어밸브본체에, 토출연통포트와,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와,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와, 흡입연통포트와, 토출연통포트와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급기 밸브구멍과,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와 흡입연통포트사이에 배치되는 추기 밸브구멍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급기 밸브구멍을 완전 개방, 개방 및 완전 폐쇄가능하도록 개폐하는 급기밸브 본체와, 상기 추기 밸브구멍을 개폐하는 추기밸브 본체와, 상기 급기밸브 본체와 추기밸브 본체를 개폐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비하는 급기밸브 본체·추기밸브 본체 일체형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작용에 의해, 제1상태에서 급기밸브 본체를 완전 개방으로 함과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에서는 최소의 유량을 확보하고, 제2상태에서 급기밸브 본체를 완전 폐쇄로 함과 동시에 추기밸브 본체는 완전 개방으로 하며 또한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의 중간상태에 있어서는 제어전류값에 따라 급기밸브 본체는 개방이 되도록 하며, 추기밸브 본체에서는 그 개방각도에 관계없이 일정 유량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기 밸브구멍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동 단면적이, 추기밸브 본체(139)가 전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그 유동 단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의 길이를 L2, 이 추기밸브 본체가 배치된 추기밸브실의 깊이를 L1로 한 경우에, 상기 제1상태에 있어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는 상기 제어밸브본체에 형성된 추기밸브 시트부 사이에 L1-L2의 폭에 상당하는 간극을 갖고, 이 간극을 거쳐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로부터 흡입연통포트로 소정량의 냉매가 흐르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는 플런저의 상부에 형성된 추기밸브실내에 있어서, 플런저와 일체인 푸시로드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추기밸브실은 흡입연통포트에 연통하며, 푸시로드가 플런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와 함께 위로 이동하여 상기 추기밸브 시트부에 접촉하면, 추기밸브 본체의 윗면부가 추기 밸브구멍의 구멍을 소정 간극을 남기고 폐쇄로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기밸브 본체는 플런저의 상부에 형성된 추기밸브실내에 있어서, 플런저와 일체인 푸시로드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추기밸브실은 흡입연통포트에 연통하고, 푸시로드가 플런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와 함께 위로 이동하여 밸브본체의 추기밸브 시트부에 접근하며 추기밸브 본체의 윗면부가 추기 밸브구멍에 삽입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6.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관로를 지나는 흡입실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를 지나는 토출실로 뿜어냄과 동시에 플런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비하는 제어밸브에 의해 냉매압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내부에는 감압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에 의한 작동, 벨로즈의 반력 및 흡입 냉매압의 밸런스에 의해 상기 토출관로와 상기 크랭크실 사이에 배치된 급기밸브 본체와 크랭크실과 흡입관로 사이에 배치된 추기밸브 본체를 개폐 제어시키며,
    상기 제어밸브의 하우징은 상하로 긴 통형상체로서 형성되고, 그 통형상부에 형성되는 구멍부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 크랭크실 연통포트에 연통하는 급기밸브실, 급기 밸브구멍, 토출연통포트, 밸브봉 지지부,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에 연통하는 추기 밸브구멍 및 흡입연통포트에 연통하는 플런저 실로서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에는 급기밸브실에 위치하는 급기밸브 본체와 일체인 밸브봉과, 상기 플런저 실에 배치된 플런저와 일체인 푸시로드가 배치되고, 이 푸시로드에는 추기밸브 본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7. 제 5 항에 있어서,
    흡입관로를 지나는 흡입실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를 지나는 토출실로 뿜어냄과 동시에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비하는 제어밸브에 의해 냉매압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내부에는 상기 감압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에 의한 작동, 벨로즈의 반력 및 흡입 냉매압의 밸런스에 의해 상기 토출관로와 상기 크랭크실 사이에 배치된 급기밸브 본체와 크랭크실과 흡입관로(1) 사이에 배치된 추기밸브 본체를 개폐 제어시키며,
    상기 제어밸브의 하우징은 상하로 긴 통형상체로서 형성되고 그 통형상체에 형성되는 구멍부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 유출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에 연통하는 급기밸브실, 급기 밸브구멍, 토출연통포트, 밸브봉 지지부,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에 연통하는 추기 밸브구멍 및 흡입연통포트에 연통하는 플런저 실로서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에는 급기밸브실에 위치하는 급기밸브 본체(132a)와 일체인 밸브봉이 배치되고, 이 밸브봉에는 플런저 실에 배치된 플런저가 일체로 설정되며, 이 밸브봉에는 추기밸브 본체가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추기밸브 본체의 외경을 추기 밸브구멍의 내경보다 작게 하며, 추기밸브 본체가 닫힐 때 미소유량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8. 제 4 항에 있어서,
    흡입관로를 지나는 흡입실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로를 지나는 토출실로 뿜어냄과 동시에 플런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여자부를 구비하는 제어밸브에 의해 냉매압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의 내부에는 감압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여자부에 의한 작동, 벨로즈의 반력 및 흡입 냉매압의 밸런스에 의해 상기 토출관로와 상기 크랭크실 사이에 배치된 급기밸브 본체와 크랭크실과 흡입관로 사이에 배치된 추기밸브 본체를 개폐 제어시키며,
    상기 제어밸브의 하우징은 상하로 긴 통형상체로서 형성되고, 그 통형상부에 형성되는 구멍부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 크랭크실 연통포트에 연통하는 급기밸브실, 급기 밸브구멍, 토출연통포트, 밸브봉 지지부, 유입측의 크랭크실 연통포트에 연통하는 추기 밸브구멍 및 흡입연통포트에 연통하는 플런저 실로서 형성되며,
    상기 구멍부에는 급기밸브실에 위치하는 급기밸브 본체와 일체인 밸브봉과, 상기 플런저 실에 배치된 플런저와 일체인 푸시로드가 배치되고, 이 푸시로드에는 추기밸브 본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KR1020050022653A 2004-03-25 2005-03-18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KR100709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8471 2004-03-25
JP2004088471A JP4456906B2 (ja) 2004-03-25 2004-03-25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399A KR20060044399A (ko) 2006-05-16
KR100709287B1 true KR100709287B1 (ko) 2007-04-19

Family

ID=348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653A KR100709287B1 (ko) 2004-03-25 2005-03-18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8304B2 (ko)
EP (1) EP1582742B1 (ko)
JP (1) JP4456906B2 (ko)
KR (1) KR100709287B1 (ko)
CN (1) CN100356059C (ko)
DE (1) DE6020050013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114A (ja) * 2005-01-12 2006-07-27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714626B2 (ja) * 2006-04-13 2011-06-29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4695032B2 (ja) * 2006-07-19 2011-06-08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4925800B2 (ja) * 2006-11-30 2012-05-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の制御弁
ES2421283T3 (es) * 2006-12-06 2013-08-30 Rheavendors Services S.P.A. Máquina de preparación y dispensación de bebida y método
JP5424397B2 (ja) * 2009-12-04 2014-02-26 サンデン株式会社 制御弁及び制御弁を備えた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5699259B2 (ja) * 2011-01-07 2015-04-0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KR101258342B1 (ko) * 2011-05-23 2013-04-25 주식회사 두원전자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CN103547804B (zh) * 2011-05-23 2016-03-09 学校法人斗源学院 用于可变容量压缩机的控制阀及用于制造该控制阀的方法
WO2013058598A2 (ko) * 2011-10-20 2013-04-25 학교법인 두원학원 압축기용 제어밸브
JP5641031B2 (ja) * 2012-01-16 2014-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アクチュエータ
US20150068628A1 (en) * 2012-05-24 2015-03-1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KR101336160B1 (ko) * 2012-08-13 2013-12-03 (주)신한전기 가변용량압축기용 용량제어밸브
JP6064132B2 (ja) * 2012-10-09 2017-01-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複合弁
JP6355617B2 (ja) * 2015-12-16 2018-07-1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500185B2 (ja) * 2016-02-25 2019-04-1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6500186B2 (ja) * 2016-02-25 2019-04-1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6714274B2 (ja) * 2016-06-13 2020-06-24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CN107489791B (zh) 2016-06-13 2020-12-04 株式会社Tgk 可变容量压缩机用控制阀
KR101892186B1 (ko) * 2016-07-01 2018-08-28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6632503B2 (ja) * 2016-09-30 2020-01-22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2192996B1 (ko) * 2017-03-28 2020-12-18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JP6924476B2 (ja) * 2017-04-07 2021-08-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DE102017117280B4 (de) * 2017-05-17 2018-1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es Kupplungsbetätigungssystem mit Staubschutz
US11536389B2 (en) 2017-08-28 2022-12-27 Eagle Industry Co., Ltd. Electromagnetic valve
KR102100294B1 (ko) * 2018-11-19 2020-04-13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이물질 끼임 방지를 위한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821B1 (ko) * 1997-01-21 2002-02-28 이시카와 타다시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1121B2 (ja) * 1988-03-31 1997-10-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可変容量型コンプレッサ
US5051631A (en) * 1990-07-16 1991-09-24 Spx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olenoid valve with variable force motor
JP3490557B2 (ja) * 1995-10-31 2004-01-2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容量可変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3432994B2 (ja) * 1996-04-01 2003-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3585148B2 (ja) * 1996-12-16 2004-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4160669B2 (ja) * 1997-11-28 2008-10-0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3728387B2 (ja) * 1998-04-27 2005-12-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制御弁
JP2000161234A (ja) * 1998-11-27 2000-06-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容量可変型圧縮機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3583951B2 (ja) * 1999-06-07 2004-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制御弁
JP2001073939A (ja) * 1999-08-31 2001-03-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
JP2001099060A (ja) * 1999-10-04 2001-04-10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4205826B2 (ja) * 1999-11-30 2009-01-0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2221153A (ja) * 2001-01-23 2002-08-09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3925091B2 (ja) * 2001-02-28 2007-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及び同制御弁の調整方法
JP4829419B2 (ja) * 2001-04-06 2011-12-0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0858604B1 (ko) * 2001-11-30 2008-09-17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JP4195633B2 (ja) * 2002-04-25 2008-12-10 サンデン株式会社 容量制御弁を有する可変容量圧縮機
US6848475B2 (en) * 2002-11-20 2005-02-01 Caterpillar Inc. Electro-hydraulic valve and system
EP1589223B1 (en) * 2003-01-22 2019-04-24 Valeo Japan Co., Ltd.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821B1 (ko) * 1997-01-21 2002-02-28 이시카와 타다시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그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028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2742A3 (en) 2005-12-28
US20050211939A1 (en) 2005-09-29
US7128304B2 (en) 2006-10-31
CN100356059C (zh) 2007-12-19
DE602005001338D1 (de) 2007-07-26
KR20060044399A (ko) 2006-05-16
JP4456906B2 (ja) 2010-04-28
DE602005001338T2 (de) 2008-02-14
CN1673531A (zh) 2005-09-28
JP2005273548A (ja) 2005-10-06
EP1582742B1 (en) 2007-06-13
EP1582742A2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287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의 제어밸브
KR101139062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3942851B2 (ja) 容量制御弁
EP1602828A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422512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KR19980064124A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WO2006137270A1 (ja) 容量制御弁
JP4547332B2 (ja)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弁
US20150275874A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swash plate compressor
KR20060049566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60050534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90096345A (ko) 사판식 압축기
US6682314B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KR101607708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밸브
JP4418309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WO2004061304A1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の制御装置
JP200431642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2006125292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KR10099377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밸브 어셈블리
JP2006118508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4173073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2007218168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KR101580266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JP2005076451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KR20110072487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