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110B1 -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 Google Patents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110B1
KR100709110B1 KR1020060093880A KR20060093880A KR100709110B1 KR 100709110 B1 KR100709110 B1 KR 100709110B1 KR 1020060093880 A KR1020060093880 A KR 1020060093880A KR 20060093880 A KR20060093880 A KR 20060093880A KR 100709110 B1 KR100709110 B1 KR 10070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oundproof
forest
side walls
pl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9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6Live wall, e.g. interlaced tw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external support, e.g. wall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에 기립된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수직벽체 상단부 내측에는 하단에 배수공을 갖고 덩굴식물과 같은 소목이 토사로 식재되는 소목식재부가 형성되며, 수직벽체 양단은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연장되되, 상협하광의 직각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는 수평으로 "ㄷ"형상의 체결봉 양단이 삽입되어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좌우측벽이 형성되고, 좌우측벽 하단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이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전도방지매립부가 형성되며, 좌우측벽과 수직벽체 사이의 공간부에 토사가 충전되어 중간측에는 스트로보, 잣나무, 사철나무와 같은 중목이 식재되고, 하부측에는 상록수, 사철나무와 같은 대목이 식재되는 중대목식재부가 형성되는 방음림벽체와; 일단은 상기 방음림벽체의 좌우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방음림벽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후방을 반대로 설치한 인접한 다른 방음벽체의 좌우측벽에 고정되어 통행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통행차단레일을 구비하는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경수를 이용하여서 방음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을 차단시키며, 우수한 통풍성 및 경관성을 확보하고, 강한 바람에도 견고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음림벽체, 소목식재부, 중대못식재부, 통행차단레일

Description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soundproofing walls using plant tree for housing development}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음림벽체 10 : 수직벽체
11 : 소목식재부 12 : 소목
12a : 배수공 13 : 좌측벽
14 : 우측벽 15 : 체결공
15a : 체결봉 15b : 체결너트
16 : 전도방지매립부 17 : 중대목식재부
18 : 중목 19 : 대목
20 : 통행차단레일
본 발명은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경수를 이용하여서 방음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을 차단시키며, 우수한 통풍성 및 경관성을 확보하고, 강한 바람에도 견고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이 도로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지역에서는 도로쪽 진행방향에 방풍, 방사(防砂)나 방설(防雪)을 위한 펜스를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기존의 펜스들은 통풍성이 없는 단순한 판체를 세워서 설치한 것이 대부분이며, 단순히 바람의 진입을 저지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펜스구조에서는 펜스의 안쪽을 따라 무풍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강풍시에는 펜스의 윗쪽으로 넘어간 바람이 무풍공간으로 역류하여 기류에 흐트러짐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방사나 방설의 기능을 거의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한 통풍성이 있는 펜스가 일부 개발되어 있으나, 이것 역시 바람이 약한 경우에는 어느 정도 모래나 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보여주 고 있지만,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에는 방사나 방설에 대한 큰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 대부분의 펜스들은 어느 정도의 통풍성은 가지고 있지만, 도로 등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들이 주변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시야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평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바람에는 적절한 지지강성을 발휘하지 못해 쉽게 쓰러지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경수를 이용하여서 방음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을 차단시키며, 우수한 통풍성 및 경관성을 확보하고, 강한 바람에도 견고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에는 기립된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수직벽체 상단부 내측에는 소목식재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목식재부 하단에는 배수공을 갖고 덩굴식물과 같은 소목이 토사로 식재되며, 수직벽체 양단에는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된 상협하광의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벽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벽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수평으로 "ㄷ"형상의 체결봉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너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벽 하단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이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전도방지매립부가 형성되며, 좌우측벽과 수직벽체 사이의 공간부에 토사가 충전되어 중간측에는 스트로보, 잣나무, 사철나무와 같은 중목이 식재되고, 하부측에는 상록수, 사철나무와 같은 대목이 식재되는 중대목식재부가 형성되는 방음림벽체와;
일단은 상기 방음림벽체의 좌우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방음림벽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후방을 반대로 설치한 인접한 다른 방음벽체의 좌우측벽에 고정되어 통행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통행차단레일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은, 소목(12)과 중대 목(18,19)이 위치에 따라 식재된 방음림벽체(1)와, 방음림벽체(1)와 다른 인접한 방음림벽체(1)를 연결하여 통행을 차단시키는 통행차단레일(20)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림벽체(1)는 콘크리트 재질의 벽체로, 중심에는 수직기립된 수직벽체(10)가 형성되고, 수직벽체(10) 상단부 내측에는 소목식재부(11)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목식재부(11) 하단에는 배수공(12a)을 갖고 덩굴식물과 같은 소목(12)이 토사로 식재되며, 수직벽체(10) 양단에는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된 상협하광의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벽(13,14)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벽(13,14)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수평으로 "ㄷ"형상의 체결봉(15a)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너트(15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5)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벽(13,14) 하단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이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전도방지매립부(16)가 형성되며, 좌우측벽(13,14)과 수직벽체(10) 사이의 공간부에는 토사가 충전되어 중간측에는 스트로보, 잣나무, 사철나무와 같은 중목(18)이 식재되고, 하부측에는 상록수, 사철나무와 같은 대목(19)이 식재되는 중대목식재부(17)가 형성된다.
상기 통행차단레일(20)은 상하측으로 다수개 삽입고정된 봉체로, 일단은 상기 방음림벽체(1)의 좌우측벽(13,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방음림벽체(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후방을 반대로 설치된 인접한 다른 방음벽체(1)의 좌우측벽(13,14)에 고정되어 사람들의 통행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방음림벽체(1) 상단의 소목식재부(11)의 덩굴식물과 같은 소목(12)이 수직벽체(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체결봉(15a)에 의지하여 점차로 하부로 연장되게 성장되어 외관이 친환경적이면서 미려하게 변화된다. 이렇게 수직벽체(10)의 후방측이 건축단지 내측을 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방음림벽체(1) 전방측의 중대목식재부(17)에 식재된 하부의 상록수, 사철나무와 같은 대목(29)과 중간측의 스트로보, 잣나무, 사철나무와 같은 중목(28)은 외부나 내부의 소리를 산란시켜 상쇄시키고, 나머지는 수직벽체(10)에 의해서 확실한 방음효과를 갖게 되고, 통행차단레일(20)로 차단된 바음림벽체(1)와 다른 방음림벽체(1) 사이의 공간으로 통풍성을 갖게 되며, 소목식재부(11)에 식재된 소목(12)과, 중대목식재부(17)에 식재된 대목(19)과 중목(18)으로 인해 우수한 경관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방음림벽체(1)의 소목(12)과 중목(18) 및 대목(19)은 강한 바람에도 견고하게 그 모습을 유지하면서 날아오는 모래나 눈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경수를 이용하여서 방음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바람에 의하여 날아오는 모래나 눈을 차단시키며, 우수한 통풍성 및 경관성을 확보하고, 강한 바람에도 견고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중심에는 기립된 수직벽체가 형성되고, 수직벽체 상단부 내측에는 소목식재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소목식재부 하단에는 배수공을 갖고 덩굴식물과 같은 소목이 토사로 식재되며, 수직벽체 양단에는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된 상협하광의 직각삼각형상인 좌우측벽이 각각 형성되되, 좌우측벽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수평으로 "ㄷ"형상의 체결봉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너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벽 하단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이 외측으로 수직절곡되는 전도방지매립부가 형성되며, 좌우측벽과 수직벽체 사이의 공간부에 토사가 충전되어 중간측에는 스트로보, 잣나무, 사철나무와 같은 중목이 식재되고, 하부측에는 상록수, 사철나무와 같은 대목이 식재되는 중대목식재부가 형성되는 방음림벽체와;
    일단은 상기 방음림벽체의 좌우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방음림벽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후방을 반대로 설치한 인접한 다른 방음벽체의 좌우측벽에 고정되어 통행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통행차단레일을 구비하는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KR1020060093880A 2006-09-27 2006-09-27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KR10070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880A KR100709110B1 (ko) 2006-09-27 2006-09-27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880A KR100709110B1 (ko) 2006-09-27 2006-09-27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110B1 true KR100709110B1 (ko) 2007-04-18

Family

ID=3818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880A KR100709110B1 (ko) 2006-09-27 2006-09-27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1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749A (ko) * 2000-07-31 2002-02-06 조남준 방음벽
KR20030020055A (ko) * 2001-08-29 2003-03-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749A (ko) * 2000-07-31 2002-02-06 조남준 방음벽
KR20030020055A (ko) * 2001-08-29 2003-03-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0-2002-10749호
공개특허공보 10-2003-20055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061B1 (ko) 도로 배수박스 그레이팅 구조
KR101361196B1 (ko) 화분 난간
CN102363950B (zh) 可绿化隔离护栏及其制造方法
KR100709110B1 (ko)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음림벽
KR100786734B1 (ko) 신도시용 환경 보도블록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0384351B1 (ko) 식물식재가 가능한 방음벽의 설치공법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200403541Y1 (ko) 도로의 녹화용 옹벽구조물
KR100721768B1 (ko) 친환경적인 도로 방음벽 구조
KR100491349B1 (ko) 방풍 및 방사ㆍ방설용 펜스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KR100515503B1 (ko)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방호벽의 설치 구조
KR200213554Y1 (ko) 식물 식재가 가능한 방음벽
KR100520888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조경울타리 설치구조
NL1036651C2 (nl) Begroeibaar gevelsysteem en gaaswerk.
JP2009250010A (ja) 緑化防音壁
KR100673387B1 (ko) 공동주택용 비탈면 보호시설 설치구조
FI96978C (fi) Melueste
JP3830458B2 (ja) 遮音壁
KR100537056B1 (ko) 조경단지 도로 방음벽
KR20090028988A (ko) 계단식 옹벽의 화단 구성 방법
JP3157332U (ja) 軟弱地盤地帯用の防風雪柵の基礎構造
JP3046555U (ja) 街路樹用のプロテクター
KR101773786B1 (ko) 도시 미관용 터널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