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040B1 - 차량용 서모스탯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모스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040B1
KR100709040B1 KR1020050040118A KR20050040118A KR100709040B1 KR 100709040 B1 KR100709040 B1 KR 100709040B1 KR 1020050040118 A KR1020050040118 A KR 1020050040118A KR 20050040118 A KR20050040118 A KR 20050040118A KR 100709040 B1 KR100709040 B1 KR 10070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upper housing
wax
chamber case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670A (ko
Inventor
박희완
Original Assignee
고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4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냉각수공급관(10)을 갖는 상부하우징(12)이 엔진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관(14)과 바이패스(16)를 갖는 하부하우징(18)으로 구성되며, 상부하우징(12)과 하부하우징(18) 사이의 유로(20)내에서 상부하우징(12)의 저면측에 밸브시이트(2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0)내에는 팽창성 왁스(30)가 수용된 왁스챔버케이스(28)와 왁스챔버케이스(28)에 착설되어 상부하우징(12)의 밸브시이트(22)에 대하여 접촉하는 메인밸브(34)로 구성되는 밸브조립체(42)가 배치되며, 밸브조립체(42)에는 상부에서 왁스챔버케이스(28)측으로 삽입된 피스턴(48)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50)가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부하우징(12)의 내측으로 지지관(56)을 연장하여 그 하측으로 피스턴(48)의 상단부(50)이 삽입되고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 밸브조립체(42)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부(50)가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피스턴(48)을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관(56)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작용하는 작동롯드(58)를 갖는 작동수단(52)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서모스탯, 밸브조립체, 피스턴, 왁스챔버케이스, 작동롯드, 작동수단.

Description

차량용 서모스탯 {THERMOSTA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형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 상부하우징 18... 하부하우징
20... 유로 28... 왁스챔버케이스
30... 팽창성 왁스 34... 메인밸브
42... 밸브조립체 48... 피스턴
50... 상단부 52... 작동수단
56... 지지관 58... 작동롯드
100... 전열작동부 200... 부스터작동부
300... 솔레노이드작동부
본 발명은 차량용 서모스탯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수평형온도를 높게 설정한 차량의 냉각시스템에서 신속한 응답성을 가지고 엔진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냉각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모스탯은 이러한 서모스탯에 의하여 개폐작동하는 밸브가 폐쇄챔버내에 수용되어 냉각순환수의 온도에 감응하는 팽창성 왁스의 작용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서모스탯에 있어서는 냉각순환수에 의한 왁스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서모스탯작동온도의 범위가 85~95℃ 사이에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엔진 냉각시스템에서 이러한 서모스탯작동온도의 상한을 높게 설정하여 엔진의 평균온도를 높일 경우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서모스탯이 95~105℃의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온도범위의 상한은 냉각순환수의 비점에 가까우므로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냉각순환수의 오버히팅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 냉각순환수 온도의 이상상승에 작동하여 엔진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가구성이 요구된다.
종래 이와 같이 냉각순환수 온도의 이상상승에 작동하여 엔진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는 냉각순환수의 이상온도를 감지하여 왁스챔버의 체적을 가변시켜 냉각수유로를 제어하는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응답성이 느려 원활한 냉각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냉각수 유로를 개폐하는 메인밸브를 가진 기존의 서모스탯의 구조에 부가하여 메인밸브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기존 서머스탯의 피스턴에 냉각순환수의 이상온도감응시 신속히 부가장치를 작동시켜 그 피스턴의 스트로크를 추가시켜 주므로서 증가된 냉각수 유량이 효과적으로 엔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각수공급관을 갖는 상부하우징이 엔진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관과 바이패스를 갖는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연통하여 냉각수가 유통되는 유로내에서 상부하우징의 저면측에 밸브시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내에는 팽창성 왁스와 고무슬리이브가 수용된 왁스챔버케이스와 왁스챔버케이스에 착설되어 상부하우징의 밸브시이트에 대하여 접촉하는 메인밸브로 구성되는 밸브조립체가 배치되며, 밸브조립체에는 상부에서 왁스챔버케이스내의 왁스측으로 삽입된 피스턴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가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용 서모스탯을 제공한다. 이것은 기존의 공지된 차량용 서모스탯의 구조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부가하여, 상부하우징의 내측으로 지지관을 연장하여 그 하측으로 피스턴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단부의 하측으로 환상턱을 형성하여 지지관의 하단에 지지되어 피스턴의 상향이동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부하우징의 상측에 밸브조립체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부가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피스턴을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턴의 상단부에 작용하는 작동롯드를 갖는 작동수단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전열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열작동부, 유압 또는 공압등에 의하여 작동되는 부스터작동부, 또는 솔레노이드작동부 중의 하나이다.
전열작동부는 상부하우징의 상측에서 유로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역"U"자형의 왁스챔버케이스로 구성되고 이 왁스챔버케이스로부터 하측으로 피스턴형태의 작동롯드가 연장되며 이 작동롯드가 상부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으로 삽입되어 밸브조립체로부터 연장된 피스턴의 상단부에 접촉결합되고, 왁스챔버케이스내에 수용된 왁스를 전열에 의하여 가열팽창시킬 수 있도록 왁스챔버케이스의 상측외부에 발열체가 배치되며 이 발열체는 케이싱의 외부에 착설된 콘넥터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스터작동부는 상부하우징의 상측에서 유로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되며 이 다이아프램에는 중앙의 하측으로 작동롯드가 연결되고 상부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으로 연장되어 이 지지관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피스턴의 상단부에 접촉결합된다.
솔레노이드작동부는 상부하우징의 상측에서 유로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내에 수용되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이 솔레노이드 코일에 대하여 작동하는 작동블록으로 구성되며 이 작동블록으로부터 중앙의 하측으로 작동롯드가 연결되고 상부하우징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으로 연장되어 이 지지관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피스턴의 상단부에 접촉결합되며, 솔레노이드 코일에는 케이 싱의 외부에 착설된 콘넥터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그 개요가 도 1에서 설명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서모스탯은 라지에이터로부터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관(10)을 갖는 상부하우징(12)과, 엔진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관(14)과 바이패스(16)를 갖는 하부하우징(18)으로 구성되며, 상부하우징(12)과 하부하우징(18)이 연통하여 냉각수가 유통되는 유로(20)내에서 상부하우징(12)의 저면측에 밸브시이트(22)가 형성되어 있고 바이패스(16)의 상부면에도 밸브시이트(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20)내에는 캡(26)이 착설된 왁스챔버케이스(28)가 배치되고 이 왁스챔버케이스(28)의 내부에는 팽창성 왁스(30)가 수용되어 있고 고무슬리이브(3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왁스챔버케이스(28)에 착설된 캡(26)의 주연에는 상부하우징(12)의 밸브시이트(22)에 대하여 접촉하는 메인밸브(34)가 착설되고 왁스챔버케이스(28)의 하측으로는 밸브스템(36)이 연장되고 그 하측에 바이패스(16)의 밸브시이트(24)에 대하여 작용하는 바이패스밸브(38)가 스프링(40)에 의하여 하향탄지된 상태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캡(26)을 포함하는 왁스챔버케이스(28)와 메인밸브(34)는 밸브조립체(42)를 구성하며 이러한 밸브조립체(42)는 유로(20)의 하측에 착설되는 케이지(44)상에서 이 케이지(44)와 메인밸브(34)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6)에 의하여 상향탄지됨으로서 메인밸브(34)가 상부하우징(12)의 밸브시이트(22)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조립체(42)에는 상부에서 캡(26)을 통하여 피스턴(48)이 삽입되어 그 하단부가 왁스챔버케이스(28)내에서 왁스(30)로 둘러싸인 고무슬리이브(32)내에 배치되고 피스턴(48)의 상단부(50)는 고정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밸브조립체(42)는 잘 알려져 있는 구성으로서 엔진측으로 연장된 냉각수순환관(14)과 바이패스(16)를 통하여 순환하는 냉각순환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메인밸브(34)를 개방하여 라지에이터로부터 연장된 냉각수공급관(10)을 통하여 저온의 냉각수를 엔진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냉각수"라는 용어는 라지에이터를 통하여 냉각된 상태의 냉각수를 의미하며 "냉각순환수"는 엔진내에서 엔진의 냉각을 위하여 순환하는 냉각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냉각순환수는 상대적으로 라지에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보다 온도가 높다.
이와 같은 밸브조립체(42)로 구성되는 서모스탯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잘 알려진 구성이다. 이러한 서모스탯은 정상운전조건, 즉 엔진의 운전시 일정온도까지는 조기워밍업이 되도록 메인밸브(34)가 유로(20)의 밸브시이트(2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냉각수공급관(10)으로부터의 냉각수공급을 차단하고 냉각순환수가 냉각수순환관(14)으로부터 엔진을 통하여 다시 바이패스(16)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엔진가동이 연속되어 엔진의 온도가 신속히 상승하는 경우 바이패스(16)를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순환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온도상승은 밸브조립체(42)의 왁스챔버케이스(28)내에 수용되어 있는 팽창성 왁스(30)를 팽창시키며 이러한 왁스(30)의 팽창력이 고무슬리이브(32)를 통하여 피스턴(48)에 전달된다. 피스턴(48)은 그 상단부(50)가 고정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스턴(48)에 작용하는 왁스(30)의 팽창력은 반작용으로 피스턴(48)에 대하여 밸브조립체(42)가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서 메인밸브(34)가 유로(20)의 밸브시이트(22)로부터 분리되어 냉각수공급관(10)의 냉각수가 냉각수순환관(14)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순환수에 공급됨으로서 냉각순환수의 온도를 낮추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밸브조립체(42)에 의한 냉각수의 유량제어는 엔진의 정숙운전상태에서 유량의 약 60~70% 선에서 온도평형을 이룬다. 그러나, 급격한 온도상승을 유발하는 운전조건에서 오버히팅까지의 여유가 없기 때문에 신속한 냉각수 유량의 증가를 필요로 하나 이러한 밸브조립체(42)의 작동만으로는 기존시스템의 응답성이 느려 대응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유량을 약 50~60%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각수평형온도를 100~105℃로 높게 유지하여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나타나는 오버슈팅의 운전조건이나 열악한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신속한 응답성을 가지고 냉각수가 추가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부가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밸브조립체(42)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부(50)가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피스턴(48)을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수단(52)이 배치된다. 이러한 작동수단(52)은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피스턴(48)의 상단부(50)는 그 하측에 환상턱(54)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하우징(12)의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관(56)으로 피스턴(48)의 상단부(50)가 삽입되고 환상턱(54)이 지지 관(56)의 하단에 지지되어 피스턴(48)의 상향이동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수단(52)은 지지관(56)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작용하는 작동롯드(58)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에 작동수단(52)이 작동하여 작동롯드(58)가 하측으로 신장되게 함으로서 피스턴(48)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밸브조립체(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메인밸브(34)의 개방량을 증가시킨다. 이로서 냉각수의 유량이 신속히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부가구성되는 작동수단(52)은 그 구체적인 구성을 도 2, 도 3 및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열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열작동부(100), 유압 또는 공압등에 의하여 작동되는 부스터작동부(200), 또는 솔레노이드작동부(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체적인 작동수단(5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열작동부(100)
도 2에서, 전열작동부(100)는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서 유로(20)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110)내에 수용된다. 이 케이싱(110)내에는 밸브조립체(42)의 왁스챔버케이스(28)의 구성과 같은 구조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케이싱(110)에는 캡(112)이 결합되는 역"U"자형의 왁스챔버케이스(114)가 배치되고 왁스챔버케이스(114)내에 팽창성 왁스(116)와 고무슬리이브(118)가 수용되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턴형태의 작동롯드(58)가 캡(112)을 통하여 내부의 고무슬리이브(118)에 결합되어 있다. 이 작동롯드(58)는 상부하우징(12)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56)으로 삽입되어 밸브조립체(42)로부터 연장된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접촉결합된다. 왁스챔버케이스(114)내에 수용된 왁스(116)를 전열에 의하여 가열팽창시킬 수 있도록 왁스챔버케이스(114)의 상측외부에 발열체(120)가 배치되며 이 발열체(12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착설된 콘넥터(122)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열작동부(100)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에 콘넥터(122)를 통하여 발열체(12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발열체(120)가 발열하도록 한다. 발열체(120)의 발열은 왁스챔버케이스(114)내의 왁스(116)를 팽창시켜 고무슬리이브(118)를 압착함으로서 작동롯드(58)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피스턴(48)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서 밸브조립체(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메인밸브(34)의 개방량을 증가시켜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열작동부(100)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구성한다.
부스터작동부(200)
도 3에서,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부스터작동부(200)는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서 유로(20)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210)내에 수용된다. 이 케이싱(210)의 상부에는 커버(212)가 덮이며 케이싱(210)의 내부에서 이 케이싱(210)과 커버(212) 사이에 스프링(214)으로 상향탄지된 다이아프램(216)이 배치되어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을 하부공간(218)과 상부공간(220)으로 구획한다. 이 다이아프램(216)에는 중앙의 하측으로 작동롯드(58)가 연결되고 상부하우징(12)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56)으로 연장되어 이 지지관(56)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접촉결합된다. 또한 상부공간(220)에는 커버(212)를 통하여 유압 또는 공압원에 연결되는 호스(222)가 연결되고 하부공간(218)에는 케이싱(210)을 통하여 부압원 또는 대기중에 연결되는 호스(224)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부스터작동부(200)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에 유압 또는 공압원으로부터 호스(222)를 통하여 상부공간(220)으로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됨으로서 다이아프램(216)이 하측으로 편향되어 작동롯드(58)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피스턴(48)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서 밸브조립체(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메인밸브(34)의 개방량을 증가시켜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부스터작동부(200)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구성한다.
솔레노이드작동부(300)
도 4에서,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작동부(300)는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서 유로(20)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310)내에 수용된다. 이 솔레노이드작동부(300)는 솔레노이드 코일(312)과 이 솔레노이드 코일(312)에 대하여 작동하는 작동블록(314)으로 구성되며 이 작동블록(314)으로부터 중앙의 하측으로 작동롯드(58)가 연결되고 상부하우징(12)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56)으로 연장되어 이 지지관(56)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접촉결합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코일(312)에는 케이싱(310)의 외부에 착설된 콘넥터(316)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작동부(300)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에 콘넥터(316)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코일(312)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이를 여자시킴으로서 이에 결합된 작동블록(314)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작동롯드(58)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피스턴(48)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서 밸브조립체(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메인밸브(34)의 개방량을 증가시켜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작동부(300)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냉각수 유로를 개폐하는 메인밸브를 가지고 왁스가 수용된 왁스챔버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왁스의 팽창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그 반작용력으로 왁스챔버케이스가 직선운동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메인밸브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피스턴을 냉각순환수의 이상온도감응시 신속히 작동시켜 엔진에 증가된 유량으로 냉각수의 효과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을 제공한다.

Claims (5)

  1. 냉각수공급관(10)을 갖는 상부하우징(12)이 엔진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순환관(14)과 바이패스(16)를 갖는 하부하우징(18)으로 구성되며, 상부하우징(12)과 하부하우징(18)이 연통하여 냉각수가 유통되는 유로(20)내에서 상부하우징(12)의 저면측에 밸브시이트(2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0)내에는 팽창성 왁스(30)와 고무슬리이브(32)가 수용된 왁스챔버케이스(28)와 왁스챔버케이스(28)에 착설되어 상부하우징(12)의 밸브시이트(22)에 대하여 접촉하는 메인밸브(34)로 구성되는 밸브조립체(42)가 배치되며, 밸브조립체(42)에는 상부에서 왁스챔버케이스(28)내의 왁스(30)측으로 삽입된 피스턴(48)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50)가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2)의 내측으로 지지관(56)을 연장하여 그 하측으로 피스턴(48)의 상단부(50)가 삽입되고 상단부(50)의 하측으로 환상턱(54)을 형성하여 지지관(56)의 하단에 지지되어 피스턴(48)의 상향이동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 밸브조립체(42)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부(50)가 고정위치에 배치되는 피스턴(48)을 냉각수의 이상온도감응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관(56)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작용하는 작동롯드(58)를 갖는 작동수단(52)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52)이 전열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열작동부 (100), 유압 또는 공압등에 의하여 작동되는 부스터작동부(200), 또는 솔레노이드작동부(300) 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
  3. 제2항에 있어서, 전열작동부(100)가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서 유로(20)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110)내에 수용되는 역"U"자형의 왁스챔버케이스(114)로 구성되고 이 왁스챔버케이스(114)로부터 하측으로 피스턴형태의 작동롯드(58)가 연장되며 이 작동롯드(58)가 밸브조립체(42)로부터 연장된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접촉결합되고, 왁스챔버케이스(114)내에 수용된 왁스(116)를 전열에 의하여 가열팽창시킬 수 있도록 왁스챔버케이스(114)의 상측외부에 발열체(120)가 배치되며 이 발열체(12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착설된 콘넥터(122)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
  4. 제2항에 있어서, 부스터작동부(200)가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서 유로(20)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210)내에 수용되어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다이아프램(216)으로 구성되며 이 다이아프램(216)에는 중앙의 하측으로 작동롯드(58)가 연결되고 상부하우징(12)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56)으로 연장되어 이 지지관(56)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접촉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
  5. 제2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작동부(300)가 상부하우징(12)의 상측에서 유로(20)의 종축선상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케이싱(310)내에 수용되는 솔레노이드 코일(312)과 이 솔레노이드 코일(312)에 대하여 작동하는 작동블록(314)으로 구성되며 이 작동블록(314)으로부터 중앙의 하측으로 작동롯드(58)가 연결되고 상부하우징(12)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관(56)으로 연장되어 이 지지관(56)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피스턴(48)의 상단부(50)에 접촉결합되며, 솔레노이드 코일(312)에는 케이싱(310)의 외부에 착설된 콘넥터(316)를 통하여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모스탯.
KR1020050040118A 2005-05-13 2005-05-13 차량용 서모스탯 KR10070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118A KR100709040B1 (ko) 2005-05-13 2005-05-13 차량용 서모스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118A KR100709040B1 (ko) 2005-05-13 2005-05-13 차량용 서모스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670A KR20060117670A (ko) 2006-11-17
KR100709040B1 true KR100709040B1 (ko) 2007-04-18

Family

ID=3770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118A KR100709040B1 (ko) 2005-05-13 2005-05-13 차량용 서모스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061A (zh) * 2012-06-25 2012-10-03 曲阜天博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双控式调温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25B1 (ko) * 2012-10-08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써모스탯
KR101714228B1 (ko) * 2015-09-23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필터 가열장치
KR102506944B1 (ko) * 2018-09-18 2023-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통합 라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CN110185533A (zh) * 2019-06-26 2019-08-30 曲阜天博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冷却系统用具有对向设计结构的调温器
CN113027591B (zh) * 2021-03-31 2022-10-2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节温器主阀门运动的设备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5A (ja) * 1997-06-13 1999-01-06 Ricoh Co Ltd データ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5A (ja) * 1997-06-13 1999-01-06 Ricoh Co Ltd データ送受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329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5061A (zh) * 2012-06-25 2012-10-03 曲阜天博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双控式调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670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040B1 (ko) 차량용 서모스탯
US6820817B2 (en) Adjustable electronic thermostat valve
JP3859307B2 (ja) 内燃機関の冷却制御装置
KR20040041003A (ko) 히터가 부착된 포핏밸브
CN103201476A (zh) 内燃机的冷却装置
JP2007100767A (ja) サーモスタット装置
US20150275739A1 (en) Exhaust gas heat recovery apparatus
KR20060092336A (ko) 전자제어식 서모스탯
EP1382813B1 (en) Thermostat device
KR20200100295A (ko) 온도 반응 가변식 워터펌프 및 엔진 냉각 시스템
KR20130113824A (ko) 써모스탯
KR101875625B1 (ko) 써모스탯
KR101875622B1 (ko) 탄성부재를 구비한 써모스탯
CN111886433B (zh) 用于冷却系统的恒温器装置和包括所述恒温器装置的冷却系统
JP4687115B2 (ja) 燃料電池の冷却システム
CN112413169B (zh) 温控阀及温控装置
SE540767C2 (en) A thermostat device for a cooling system
JP2011089561A (ja) 流体制御弁
KR100718091B1 (ko) 수온조절기 및 그 설치구조
CN109844278B (zh) 冷却系统的恒温器装置和包括所述恒温器装置的冷却系统
KR101733707B1 (ko) 온도조절밸브
KR100410329B1 (ko) 자동차의 냉각 시스템용 서모스텟 구조
JP7455361B2 (ja) ワックスサーモアクチュエーター
KR100219454B1 (ko) 서모스탯(thermostat)
KR102575176B1 (ko) 차량의 서모스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