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684B1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Google Patents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4684B1 KR100704684B1 KR1020060025187A KR20060025187A KR100704684B1 KR 100704684 B1 KR100704684 B1 KR 100704684B1 KR 1020060025187 A KR1020060025187 A KR 1020060025187A KR 20060025187 A KR20060025187 A KR 20060025187A KR 100704684 B1 KR100704684 B1 KR 100704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ll booth
- shock
- impact
- toll
- absorb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27—Traffic control kio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및 유료 도로의 차량 진출입로에 설치되는 톨부스(tollbooth)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통행권을 발급 받거나 통행료를 정산하기 위해 톨부스에 근접시 상기 톨부스의 경계턱에 부착된 충격방지대를 운전자가 쉽게 인지하여 충돌 가능성을 예방하며, 설령 상기 충격방지대에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차량, 인명 및 경계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톨부스용 충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llbooth installed in a toll gate of a highway and a toll road entrance, and more particularly, a boundary of the toll booth when the driver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toll booth to obtain a toll or settle a toll.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y the driver easily recognizes the impact guard attached to the jaw, and even to the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toll booths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human life and boundary jaws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impact guard. It is about.
이러한 본 발명은 완충력을 갖는 고무재를 원소재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완충부재를 돌출 형성시킨 충격방지대를 구비하도록 하고,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protector that protrudes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rubber material having a buffer force as an raw material,
상기 충격방지대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기초콘크리트의 경계턱에 고정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It is made by devising a technique for fixing the impact guard to the boundary jaw of the foundation concrete using a fixing mean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톨부스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toll boot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방지대 및 고정수단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mpact guard and 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충격방지대의 일부 확대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ck protector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의해 충격방지대가 결합되는 상태의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hock guard is coupled by 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의한 충격방지대의 설치상태 정단면도Figure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mpact guard by 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충격방지대의 내측면도Figure 6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ck protecto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고정수단이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ck absor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고정수단이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일부 확대사시도Figu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shock protecto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고정수단에 의한 충격방지대의 설치상태 정단면도Figure 9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mpact guard by the fixing mean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완충부재가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is applied;
도 11은 본 발명 도 10의 평면도Figure 11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완충부재가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is applied;
도 13은 본 발명 도 12의 외측면도Figure 13 is an outer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완충부재가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is applied;
도 15는 본 발명 도 14의 평면도15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도 1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완충부재가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is applied;
도 17은 본 발명 도 16의 평면도Figure 17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도 1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완충부재가 적용된 충격방지대의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is applied;
도 19는 본 발명 도 18의 평면도19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톨부스 3: 경계턱1: toll booth 3: boundary
10: 충격방지대 11: 완충부재10: shock protector 11: shock absorbing member
12: 보조고정판 14: 보조완충판12: auxiliary fixing plate 14: auxiliary buffer plate
16: 완충홈 20: 고정수단16: buffer groove 20: fixing means
21: 삽지홈 22: 지지구21: insertion groove 22: support
23: 앵커판 24: 삽지돌기23: anchor plate 24: inserting protrusions
본 발명은 고속도로의 톨게이트 및 유료 도로의 차량 진출입로에 설치되는 톨부스(tollbooth)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통행권을 발급 받거나 통행료를 정산하기 위해 톨부스에 근접시 상기 톨부스의 경계턱에 부착된 충격방지대를 운전자가 쉽게 인지하여 충돌 가능성을 예방하며, 설령 상기 충격방지대에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차량, 인명 및 경계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톨부스용 충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llbooth installed in a toll gate of a highway and a toll road entrance, and more particularly, a boundary of the toll booth when the driver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toll booth to obtain a toll or settle a toll.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by the driver easily recognizes the impact guard attached to the jaw, and even to the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toll booths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human life and boundary jaws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impact guar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고소도로의 톨케이트 또는 유료화 도로의 차량 진출입로에는 도 1과 같이 통행료를 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톨부스(1)가 설치되고, 상기 톨부스(1)의 진입로 전방에는 운전자가 통행권을 발급 받을 수 있도록 통행권 자동발급기가 설치되며, 상기 톨부스(1) 및 통행권 자동발급기는 진출입로의 노면보다 높게 타설된 기초콘크리트(2)의 상부에 입설된다.In general, a toll booth 1 is installed in a toll gate on a toll road or a toll road in order to settle a toll as shown in FIG. 1, and a driver may be issued a pass right in front of the toll booth 1. The toll ticket issuing machine is installed so that the toll booth 1 and the toll ticketing machine ar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따라서 운전자는 고속도로 또는 유료화 도로를 주행할 경우 우선적으로 통행권 자동발급기로부터 통행권을 발급 받은 후 고속도로에 진입하며, 도착지에 도달하면 톨부스(1)에서 통행에 따른 통행료를 정산하게 된다.Therefore, when driving on a highway or toll road, the driver first enters the highway after receiving a right of ticket from the automatic ticket issuing machine, and upon reaching the destination, the toll booth 1 calculates the toll according to the traffic.
이때 통상 통행권을 발급 받거나 요금정산을 위해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톨부스(1) 및 통행권 자동발급기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이동하여야만 한다.In this case, the driver must move the vehicl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toll booth 1 and the toll ticket issuing machine for issuance of a general ticket or a fare settlement.
그러나 종래에는 기초콘크리트(2)의 양측이 진출입로의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턱(3)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근접시킬 때 상기 경계턱(3)에 충돌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차량 및 경계턱(3)이 파손됨은 물론 충돌에 따른 충격이 심할 경우 운전자 및 동승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both sides of the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2) 및 경계턱(3)은 일반적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됨으로써 노면과 확연하게 구분되는 식별력이 없어 차량의 진출입 또는 근접시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없어 차량의 충돌사고 횟수는 더욱더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foundation concrete (2) and the boundary jaw (3) is formed by pouring the general concrete, there is no distinguishing power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road surface, the driver can not easily recognize this when entering or entering the vehicle or the number of collision accidents of the vehicle Is becoming more and more weigh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톨부스 및 통행권 자동발급기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의 경계턱에 식별력을 갖는 충격방지대를 고정 설치하도록 운전자가 상기 충격방지대를 쉽게 인지하여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차량의 근접시 발생되는 충돌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차량 및 경계턱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river easily recognizes the impact guard to install a shock guard having a discriminating force on the boundary jaw of the foundation concrete installed with the toll booth and toll pass issuing machine, the field of view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ollisions occurring when the vehicle is in close proximity, and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boundary jaw even when a collision occurs due to a driver's carelessness.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충력을 갖는 고무재를 원소재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완충부재를 돌출 형성시킨 충격방지대를 구비하도록 하고,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desired object is provided with a rubber shock-absorbing rod protruding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rubber material having a buffer force as an raw material,
상기 충격방지대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기초콘크리트의 경계턱에 고정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함으로써 이루어진다.It is made by devising a technique for fixing the impact guard to the boundary jaw of the foundation concrete using a fixing means.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effectively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개략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톨부스(1)가 입설된 기초콘크리트(2)의 양측 경계턱(3)에 고정 설치되는 충격방지대(10)와, 상기 경계턱(3)에 앵커판(23)을 매개로 충격방지대(10)를 일체화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톨부스(1)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충돌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 구성요소인 충격방지대(10)는 톨부스(1)의 경계턱(3)에 차량이 충돌됨에 따른 파손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완충력을 구비한 고무재 등을 원소재로 하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완충부재(11)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완충부재(11)는 기본적으로 도 2 내지 3과 같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방지대(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상태로 형성된다.The
이러한 충격방지대(10)는 기본적으로 경계턱(3)의 측면에 밀착됨에 더하여 밀착시 뛰어난 고정력을 갖도록 경계턱(3)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는 보조고정판(12)이 상부 일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충격방지대(10)는 전체적으로 경계턱(3)의 측면 및 상부면을 동시에 경유하면서 감싸도록 밀착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이 향상된다.Therefore, the
상기 충격방지대(10)를 경계턱(3)에 일체화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0)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충격방지대(10)의 내면측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상, 하부로 연통하는 삽지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지홈(21)에는 다수의 지지구(22)로 관통하여 경계턱(3)의 측면에 부착되는 앵커판(23)의 상,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4)가 끼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ixing means 20 for integrally fixing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우선적으로 상기 앵커판(23)을 경계턱(3)의 측면에 지지구(22)로 관통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앵커판(23)의 결합돌기(24)에 충격방지대 (10)의 삽지홈(21)을 끼워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면 경계턱(3)에 충격방지대(10)의 설치가 완료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이때 상기 충격방지대(10)의 삽지홈(21)에는 슬라이딩 이송시 돌출된 지지구(22)의 머리부가 마찰됨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홈(25)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될 경우 충격에 의해 충격방지대(10)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앵커판(23)으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도 6과 같이 차량의 진출입로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삽지홈(21)과 같이 개방되지 않고 밀폐된 상태의 스토퍼(26)가 형성된다.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즉 상기 삽지홈(21)은 차량의 진출입로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가 밀폐됨으로써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상기 스토퍼(26)에 의해 충격방지대(10)가 후방으로 밀림을 방지하여 앵커판(23)과 분리되는 최악의 상태를 막을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고정수단(20)은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앵커판(23)이 충격방지대(10)에 일체로 매설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충격방지대(10) 및 보조고정판(12)의 내면부를 경유하여 앵커판(23)이 일체로 매설되며, 상기 보조고정판(12)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2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공(27)과 앵커판(23)을 동시에 지지구(22)로 관통하여 경계턱(3)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8 to 9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이때 상기 지지구(22)에 의한 충격방지대(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체결공(27)에는 밀폐캡(28)을 끼워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됨을 방지하며, 외관상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충격방지대(10)가 완충의 기능을 수행 함은 물론 전체적인 형상이 특이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들어옴은 물론 이를 인지하기가 매우 수월하여 운전자 스스로 안전운행을 하면서 차량의 충돌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up of such a configuration, the
더욱이 고정수단(20)의 앵커판(23)을 이용하여 충격방지대(10)를 경계턱(3)에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하는 작업의 편의성 및 파손에 따른 유지, 보수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Moreover, the
본 발명은 상기 충격방지대(10)를 구성하는 완충부재(11)의 형상 및 기능에 따라 도 10 내지 도 19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0 to 19 according to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도 10 및 도 11에 의하면 충격방지대(10)의 완충부재(11)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의 완충부재(11)는 충격방지대(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진출입로의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10 and 1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tially, the
또한, 본 발명의 도 12 및 도 13에 의하면 충격방지대(10)의 완충부재(11)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의 완충부재(11)는 충격방지대(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진출입로의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s 12 and 1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도 14 및 도 15에 의하면 충격방지대(10)의 완충부재(11)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의 완충부재(11)는 충격방지대(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면상 진출입로의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완충부재(11)와 대칭으로 보조완충판(14)이 추가로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FIGS. 14 and 1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도 16 및 도 17에 의하면 충격방지대(10)외 완충부재(11)는 골폭(15)이 좁은 굴곡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완충부재(11)는 중앙에 완충홈(16)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s 16 and 1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도 18 및 도 19에 의하면 충격방지대(10)의 완충부재(11)는 도16 및 도 17의 충격방지대(10)에 비해 골폭(15)이 넓은 굴곡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완충부재(11) 중앙에는 충돌시 완충력을 배가시키는 완충홈(16)이 형성된다.Meanwhile, according to FIGS. 18 and 19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완충부재(11)는 본 발명에서 실시된 것에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다만 차량의 충돌에 따른 완충기능 및 식별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상기 완충부재(11)의 형상을 달리하는 것 만으로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The
본 발명은 식별력을 갖는 형상 및 완충력을 구비한 충격방지대가 진출입로의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턱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운전자가 경계턱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여 차량을 톨부스 및 통행권 자동발급기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킬 때 충돌발생에 따른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차량 및 경계턱의 파손을 방지하며, 사고발생으로 인한 인명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having the shape and the shock absorbing force having the discriminating force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undary jaw bordering the road surface of the entrance and exit roa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jaw so that the vehicle is close to the toll booth and the pass ticket dispenser. When moving, it effectively prevents safety accidents due to collisions, prevents damage to vehicles and boundary jaws, and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s caused by accidents.
또한, 상기 충격방지대는 경계턱에 부착되거나 또는 충격방지대에 일체로 매설된 앵커판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파손시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hock protector can be fixed by a simple method using an anchor plate attached to the boundary jaw or integrally embedded in the shock protector, as well as easily replace it in case of breakag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maintenance and repair. do.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187A KR100704684B1 (en) | 2006-03-20 | 2006-03-20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187A KR100704684B1 (en) | 2006-03-20 | 2006-03-20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7341U Division KR200417918Y1 (en) | 2006-03-20 | 2006-03-20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4684B1 true KR100704684B1 (en) | 2007-04-12 |
Family
ID=3816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5187A KR100704684B1 (en) | 2006-03-20 | 2006-03-20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46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00119A (en) * | 2017-05-24 | 2017-08-29 | 庄海冰 | High speed toll collection lanes anticollision device |
IT201800007906A1 (en) * | 2018-08-07 | 2020-02-07 | Marino Papurello | HIGH DEFORMATION SHOCK ABSORBER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5815Y1 (en) | 2001-08-31 | 2001-12-13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Guard wall for a tunnel's road |
KR20020033331A (en) * | 2000-10-30 | 2002-05-06 | 정희종 | Prevention device for foot fall of subway station |
US6551010B1 (en) | 1999-09-28 | 2003-04-22 | Metso Minerals Industries, Inc. | Energy absorbing impact system |
KR200350107Y1 (en) | 2004-02-04 | 2004-05-10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Apparatu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passenger train and access platforms |
KR20050098693A (en) * | 2004-04-08 | 2005-10-12 | 유승복 | Safety foot-plate for platform of train |
-
2006
- 2006-03-20 KR KR1020060025187A patent/KR1007046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51010B1 (en) | 1999-09-28 | 2003-04-22 | Metso Minerals Industries, Inc. | Energy absorbing impact system |
KR20020033331A (en) * | 2000-10-30 | 2002-05-06 | 정희종 | Prevention device for foot fall of subway station |
KR200255815Y1 (en) | 2001-08-31 | 2001-12-13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Guard wall for a tunnel's road |
KR200350107Y1 (en) | 2004-02-04 | 2004-05-10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Apparatu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passenger train and access platforms |
KR20050098693A (en) * | 2004-04-08 | 2005-10-12 | 유승복 | Safety foot-plate for platform of trai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00119A (en) * | 2017-05-24 | 2017-08-29 | 庄海冰 | High speed toll collection lanes anticollision device |
IT201800007906A1 (en) * | 2018-08-07 | 2020-02-07 | Marino Papurello | HIGH DEFORMATION SHOCK ABSORBER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4396B1 (en) | Crash cushion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terminal | |
AU2012262645B2 (en) | Improved barrier construction | |
KR100704684B1 (en)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
KR101542365B1 (en) |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 |
KR101080182B1 (en) | Shock absorba for guide rail | |
KR20090039325A (en) | Guardrail device having a terminal part impact absorbing function | |
KR100619545B1 (en) | The buffer installed in the inside of a tunnel | |
KR100584083B1 (en) | Guard rail for impact absorption using road | |
KR200417918Y1 (en) | Impact protection apparatus for toll booth | |
KR101250343B1 (en) | Guard rail | |
KR101022863B1 (en) |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 |
EP2772585A2 (en) | Removable base for vertical street furniture elements | |
KR101411424B1 (en) |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equipped with brake pad for crash barrier | |
KR20160004718A (en) |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 |
KR100634825B1 (en) | An apparatus of impact absorption using road | |
KR102110051B1 (en) | Safety device on boundary stone | |
KR20160030670A (en) |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 |
KR100673306B1 (en) | Median strip for road | |
KR101146746B1 (en) | Shock absorption apparatus at road | |
KR20090032901A (en) | Safety block for the protective wall of a bridge | |
KR20160044076A (en) | Accessories for bus route guidance devices | |
KR100515988B1 (en) | Buffer pillar for safety guard fence | |
KR200268107Y1 (en) | Safety fence of a road | |
KR200268915Y1 (en) | Buffering structure for a borderblock on a bridge and an overpass | |
KR101548685B1 (en) | Protection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