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411B1 -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411B1
KR100704411B1 KR20040104102A KR20040104102A KR100704411B1 KR 100704411 B1 KR100704411 B1 KR 100704411B1 KR 20040104102 A KR20040104102 A KR 20040104102A KR 20040104102 A KR20040104102 A KR 20040104102A KR 100704411 B1 KR100704411 B1 KR 10070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termination
service
cal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286A (ko
Inventor
임용신
Original Assignee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너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제너시스템즈
Priority to KR2004010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4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통화 종료시 상대방에게 통상의 듣기 거북한 통화종료음 또는 묵음 대신에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종료시에 가입자가 설정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어, 가입자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기업이나 개인의 광고에도 활용할 수 있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call ending contents and system theref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 통화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음 전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2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시스템의 일 구성도,
도 6a는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의 일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6b는 각 컨텐츠 식별자에 해당하는 실제 컨텐츠의 예들을 나타내는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 제 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요청하는 경우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11b, 11c, 11d, 20a, 20b : 통신 단말기
30a, 30b, 30c, 30c : 교환 시스템
40a, 40b, 40c, 40d : 시스템
50 : 무선망 60 : HLR
70 : 인터넷망 80 : PC
본 발명은 통화 종료음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의 종료시에 통상의 통화 종료음 대신에 가입자가 지정한 혹은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의 종료시에 통신 시스템이나 먼저 통화를 종료한 단말기 측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뚜뚜뚜'와 같은 통화 종료음이 상대방에게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 통화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음 전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1a 또는 11b)와 제2 단말기(11c)의 통화 도중 제1 단말기(11a 또는 11b) 또는 제2 단말기(11c)가 먼저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 통화의 상대방에게는 교환기(12)나 먼저 통화를 종료한 단말기 측에서 송출되는 '뚜뚜뚜'와 같은 듣기 거북한 통화 종료음이 제공된다.
상술한 종래의 듣기 거북한 통화 종료음 대신에, 일부 이동통신망에서는 통화 종료음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통화 중에 어느 일방이 먼저 통화 종료를 요청한 경우 상대방에게 듣기 거북한 통화종료음이 제공되거나, 혹은 통화 종료음이 들리지 않아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화 종료시에 가입자에 따른 개성을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통화 종료시 통상의 듣기 거북한 통화 종료음을 대신 하거나, 통화종료음이 없어 전화기 사용을 종료할 때까지 생기는 공백 기간에 가입자의 개성에 따라 설정해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전달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면에 따르면, 통화 종료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서비스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면에 따르면, 통화 종료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서킷 채널을 통하여 통화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패킷 채널을 통하여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제2 단말기로의 서킷 채널을 해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 패킷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패킷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면에 따르면, 교환 시스템과 연계된 시스템에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킷 채널을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중인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상대방 단말기인 제2 단말기로 패킷 채널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형성된 패킷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면에 따르면, 교환 시스템과 연계되어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호 처리부;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로부터 소정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송출부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면에 따르면,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호 처리부; 상기 호 처리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가입자 관리부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패킷 채널 형성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로부터 상기 단말기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형성된 패킷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송출부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면에 따르면,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 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된 통화 종료 컨텐츠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단말기 혹은 상기 제2 단말기의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는 서킷망(circuit-based network)에서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서킷망의 교환 시스템(30a)은 호 처리에 사용되는 시그널링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과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통화 미디어를 전송하는 경로를 모두 가지고 있어 신호 및 미디어가 모두 교환 시스템(30a)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시스템(40a)에서 제공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역시 교환 시스템(30a)을 거쳐 단말기로 제공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가 통화 중 상태에서, 어느 한 측(도 3에서는 제1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함)이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 통화 종료 요청을 수 신한 교환 시스템(30a)은 서비스 시스템(40a)으로 통화종료컨텐츠 서비스 요청을 한다. 서비스 요청을 받은 서비스 시스템(40a)은 "아빠 오늘도 힘내세요"와 같이 제1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교환 시스템(30a)을 통하여 상대방(제2 단말기)으로 제공한다.
반면,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는 패킷망(packet-based network)에서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패킷기반망의 교환 시스템(30b)은 시그널링 처리만 하고 통화 미디어 경로는 단말기들(20a, 20b) 간에 직접 개설된다. 따라서, 통화종료 컨텐츠 역시 서비스 시스템(40b)에서 교환 시스템(30b)을 거치지 않고 단말기로 직접 제공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가 통화 중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a)가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 통화 종료 요청을 수신한 교환 시스템(30b)은 서비스 시스템(40b)으로 통화종료컨텐츠 서비스 요청을 한다. 서비스 요청을 받은 서비스 시스템(40a)은 "아빠 오늘도 힘내세요"와 같이 제1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교환 시스템(30b)을 거치지 않고 상대방(제2 단말기)으로 직접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서킷망(circuit-based network)과 패킷망(packet-based network)이 결합된 통신망에서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가 통화 중 상태에서, 제1 단말기(20a)가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 통화 종료 요청 신호는 서킷망의 교환 시스템(30c)으로 전송될 뿐 만 아니라, 패킷망에 연결된 서비스 시스템(40c)으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기들(20a, 20b)와 서비스 시스템(40c)은 기지국 제어기(미도시), 패킷망의 PDSN(Packet Data Service Node)과 같은 라우터 노드(미도시)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교환 시스템(30c)은 통상의 교환 시스템처럼 통화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교환 시스템(30c)과 제2 단말기(20b) 간의 통화 채널을 해제한다. 한편,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시스템(40c)은 제1 단말기(20a)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를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면 "아빠 오늘도 힘내세요"와 같이 제1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대방(제2 단말기)으로 직접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 때, 통화 종료 컨텐츠는 패킷 채널을 통하여 서비스 시스템(40c)에서 제2 단말기 (20b)로 제공된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서킷망(circuit-based network)과 패킷망(packet-based network)이 결합된 통신망에서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가 통화 상태일 때 통화 종료 컨텐츠가 제공되어 단말기에 저장되고, 이후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통화 종료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말기(20a)의 사용자가 상대방(여기서는,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키를 누름으로써 제2 단말기(20b)와의 통화를 요청하면, 혹은 그 반대 로 제2 단말기(20b)에서 제1 단말기(20a)와의 통화를 요청하면, 통화 요청 신호가 서킷망의 교환 시스템(30d)으로 전달된다. 교환 시스템(30d)은 통상의 교환 시스템처럼 통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20a)과 제2 단말기(20b) 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즉, 교환 시스템(30d)에 의해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 간에 서킷 기반의 통화 채널이 형성된다.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 제1 단말기(20a)는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내부적으로 자동 생성하여, 패킷망에 연결된 서비스 시스템(40d)으로 전송한다. 단말기들(20a, 20b)와 서비스 시스템(40d)은 기지국 제어기(미도시), 패킷망의 PDSN(Packet Data Service Node)과 같은 라우터 노드(미도시)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시스템(40d)은 제1 단말기(20a)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를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면 "아빠 오늘도 힘내세요"와 같이 제1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대방(제2 단말기)으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 때, 통화 종료 컨텐츠는 패킷 채널을 통하여 서비스 시스템(40d)에서 제2 단말기 (20b)로 제공된다. 그러면, 제2 단말기(20b)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제2 단말기(20b)에 저장된 통화 종료 컨텐츠는 제1 단말기(20a) 혹은 제2 단말기(20b)의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제2 단말기(20b)에서 재생된다.
제2 단말기(20b) 역시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 경우, 제1 단말기(2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단말기(20a)와 제2 단말기(20b)간에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제2 단말기(20b) 역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내부적으로 자동 생성하여 서비스 시스템(40d)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비스 시스템(40d)은 제2 단말기(20b)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를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면 제2 단말기(20b)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대방(제1 단말기)으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한다. 제1 단말기(20a)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1 단말기(20a) 혹은 제2 단말기(20b)의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통화 채널과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채널이 분리된다. 즉, 통화 서비스는 서킷망을 통해 제공되고, 통화종료 컨텐츠는 패킷망을 통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화 통화하면서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SVD(Simultaneous Voice & Data)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서, 제1 및 제2 단말기(20a, 20b)는 유선 단말기일 수도 있고, PDA,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교환 시스템(30a, 30b, 30c, 30d) 역시, 물리적인 하나의 교환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유/무선 교환기를 포함하는 교환망을 의미한다.
또한,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서비스 시스템(40a, 40b, 40c, 40d)에서 제2 단말기(20b)로 제공되는 통화 종료 컨텐 츠는 아빠 오늘도 힘내세요로서 오디오 컨텐츠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그리고 이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교환 시스템(30) 및 서비스 시스템(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망의 교환 시스템(30)과 서비스 시스템(40)이 연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a, 20b)로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에서의 교환 시스템(30) 및 서비스 시스템(40)은 도 2a에 도시된 교환 시스템(30a) 및 서비스 시스템(40a)일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교환 시스템(30b) 및 서비스 시스템(40b)일 수도 있으며,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교환 시스템(30c, 30d) 및 서비스 시스템(40c, 40d)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a, 20b)는 무선망(50) 및 교환시스템(30)을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가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만을 도시하고, 이들을 각각 제1 및 제2 단말기(20a, 20b)로 칭한다.
무선망(50)은 기지국(미도시), 기지국 제어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이동통신망이다.
교환 시스템(30)은 무선망(50)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인터넷망, PSPDN(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과 같은 타사업자 혹은 다 른 종류의 통신망 사이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교환 시스템(30)은 또한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통화 종료 요청을 한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함)에 가입한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가입 단말기이면, 서비스 시스템(40)으로 서비스 처리 요청을 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가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시스템(40)은 교환 시스템(30)의 서비스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통화 종료 컨텐츠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비스 시스템(40)의 상세한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서비스 시스템(40)은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시스템(40)에 직/간접적으로 접속하여 자신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설정하고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인터넷망(7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서비스 가입자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PC(80)등을 통하여 서비스 시스템(40)에 접근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들-서비스 프로파일 및 통화 종료 컨텐츠의 설정, 수정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HLR(Home Location Register)(60)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교환 시스템(30)은 교환 시스템(30) 내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 혹은 HLR(60)에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문의함으로써, 통화 종료 요청을 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시스템의 일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40)은 호 처리부(41), 서비스 제어부(42),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43), 자원 관리부(44), 미디어 처리부(45), 컨텐츠 저장부(46) 및 가입자 관리부(47)를 포함한다.
호 처리부(41)는 교환 시스템(30) 혹은 단말기(20a, 20b)과의 호 처리 시그널링(signalling) 업무를 수행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호 처리부(41)는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후술하는 서비스 제어부(42)로 서비스 처리를 요청한다. 이 경우는 서비스 시스템(40)이 교환 시스템(30)으로부터 서비스 처리 요청을 받는 경우이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호 처리부(41)는 단말기(20a, 20b)로부터의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통화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후술하는 가입자 관리부(47)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을 한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 확인 요청을 한다. 가입자 관리부(47)는 호 처리부(41)로부터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유효한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이면 후술하는 서비스 제어부(42)로 서비스 처리를 요청한다. 이 경우는 서비스 시스템(40)이 단말기(20a, 20b)로부터 직접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받는 경우이다.
서비스 제어부(42)는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43)로부터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 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한다.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43)는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한다.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은 각 가입자의 서비스 속성-예를 들어,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요일별로 컨텐츠를 다르게 할 것이지, 시간대별로 다르게 할 것인지, 통화 상대별로 다르게 할 것인지,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하여 제공할 것인지 혹은 단일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등- 및 설정된 서비스 속성에 따라 실제로 제공될 통화 종료 컨텐츠에 대한 정보, 즉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는 식별자 외에 통화 종료 컨텐츠의 속성-예를 들어, 통화 종료 컨텐츠가 오디오 컨텐츠인지 비디오 컨텐츠인지 혹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인지를 나타내는 값-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의 일 예가 도 6a에 도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속성 테이블의 일 예 및 컨텐츠 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서비스 속성 테이블(610)은 제1 단말기(20a) 가입자의 서비스 속성이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0a) 가입자의 서비스 속성은 요일별로 서로 다른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설정된 서비스 속성에 따라 제공될 통화 종료 컨텐츠에 대한 정보(식별자)는 컨텐츠 정보 테이블(620)에 나타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20a) 가입자의 경우, 월요일 에는 '0001'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화요일에는 '0002'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그리고 일요일에는 '0007'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통화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각 컨텐츠 식별자에 해당하는 실제의 통화 종료 컨텐츠는 컨텐츠 저장부(46)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도 6b는 각 컨텐츠 식별자에 해당하는 실제 컨텐츠의 예들을 나타내는 테이블(630)이다. 이를 참조하면, 컨텐츠 식별자 '0001', '0002' 및 '0007'에 각각 대응해서는 활기찬 한 주 되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및 즐거운 휴일이 저장되어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어부(42)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43)로부터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면, 자원 관리부(44)에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전달하고 서비스 처리 요청, 즉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을 한다. 즉, 서비스 제어부(42)는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송출하도록 자원 관리부(44)를 제어한다. 자원 관리부(44)는 서비스 제어부(42)의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에 응답하여 이를 수행할 미디어 처리부(45)의 자원을 할당하고 해제하는 등 미디어 처리부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미디어 처리부(45)는 자원 관리부(44)로부터 지시를 받아 컨텐츠 저장부(46)의 해당 컨텐츠, 즉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한다. 미디어 처리부(45)는 또한 컨텐츠 저장부(46)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종료 컨텐츠의 포맷과 상대방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이 다른 경우 서로 다른 포맷 간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 처리부(45)는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저장부(46)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종료 컨텐츠의 코덱을 변환하거나 해상도를 바꾸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원 관리부(44) 및 미디어 처리부(45)는 상대방 단말기로 제공될 통화 종료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46)에서 추출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실제 송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도 4에 도시된 무선망(50) 및 교환 시스템(30)을 통하여 상호 통화하는 도중에 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통화 종료 요청을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말기가 먼저 통화 종료 요청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의 통화종료 키를 누름으로써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S710), 통화 종료 요청 신호가 무선망(도 4의 50)을 통하여 교환 시스템(30)으로 전달된다(S712). 교환 시스템은 제1 단말기의 통화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통화 종료 요청을 한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이하,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교환 시스템은 VLR 혹은 HLR 에 제1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문의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이면, 교환 시스템은 서비스 시스템으로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에는 제1 단말기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단말기의 통화 상대방인 제2 단말 기의 정보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는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부에 전달된다. 호 처리부에서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처리 요청이 있음을 확인하고, 서비스 제어부로 서비스 처리 요청을 한다(S718).
서비스 제어부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요청한다(S720).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는 서비스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서비스 제어부로 제공한다(S724). 서비스 제어부는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통화 상대방인 제2 단말기로 제공해야 할 통화 종료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요청할 수 있다(S724). 그러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는 해당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어부로 응답한다(S726). 예를 들어,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이 요일별로 다른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면, 서비스 제어부는 현재의 요일을 판단하여, 현재의 요일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요청하여 얻을 수 있다(S724, S726).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 종료 컨텐츠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말기로 제공되어야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얻어지면, 서비스 제어부는 자원 관리부로 서비스 처리 요청, 즉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을 한다(S728).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자원 관리부로 전달된다. 통화 종료 컨텐츠를 송출하기 위하여 자원 관리부는 미디어 처리부의 자 원을 할당한다(S730). 그러면, 미디어 처리부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실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요청하여 추출하고(S732, S734),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제2 단말기로 제공한다(S736, S738).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시스템에서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가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제2 단말기로 제공되는 단계들(S736, S738)은 교환 시스템이 서킷기반 교환 시스템인 경우에 바람직한 처리 플로우이다. 교환 시스템이 패킷 기반 교환 시스템인 경우에는 서비스 시스템에서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는 교환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제2 단말기로 직접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의 통화종료 키를 누름으로써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S810), 통화 종료 요청 신호가 서킷의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되고(S812), 또한 패킷망과 연계된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가 전달된다(S814). 이 때,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는 제1 단말기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단말기의 통화 상대방인 제2 단말기의 정보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교환 시스템은 제1 단말기의 통화 종료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단말기로 통화 채널을 해제함으로써 통화를 종료한다(S816). 한편,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부는 제1 단말기의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가입자 관리부로 제1 단말기(통화 종료 요청을 한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즉,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 확인 요청을 한다(S818).
그러면, 가입자 관리부는 자체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하거나 시스템 외부의 HLR로 서비스 가입자인지 문의하여, 제1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 즉 제1 단말기가 서비스 중지, 해지 등이 아닌 유효한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를 확인하고(S820), 확인 결과 제1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이면, 가입자 관리부는 서비스 제어부로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822). 서비스 처리 요청을 받은 서비스 제어부는 제 2단말기로 통화 종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호 처리부를 통해 제2 단말기로 패킷 채널 형성 요청을 한다(S823-1, S823-2). 그러면 제2 단말기는 패킷 채널 형성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채널 형성 승락 등의 응답 신호를 호 처리부로 제공하고(S823-3), 호 처리부는 다시 응답 신호를 서비스 제어부로 전달한다(S823-4). 그 다음 단계들(S824 ~ S840)은 도 7에 도시된 단계들(S720 ~ S738)과 거의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어부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요청한다(S824).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는 서비스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서비스 제어부로 제공한다(S826). 서비스 제어부는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요청하고(S828). 그러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는 해당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어부로 응답한다(S830).
제2 단말기로 제공되어야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얻어지면, 서비스 제어부는 자원 관리부로 서비스 처리 요청, 즉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을 한다(S832).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자원 관리부로 전달된다. 통화 종료 컨텐츠를 송출하기 위하여 자원 관리부는 미디어 처리부의 자원을 할당한다(S834). 그러면, 미디어 처리부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실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요청하여 추출하고(S836, S838),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한다(S840). 이 때 통화 종료 컨텐츠는 교환 시스템에 의해 해제된 서킷 채널 대신에, 단계 S823-1 내지 S823-4에서 생성된 패킷 채널을 통하여 미디어 처리부로부터 제2 단말기로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여기서는, 제2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 키를 누름으로써 제2 단말기와의 통화를 요청하면, 통화 요청 신호가 서킷망의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된다(S902). 그러면, 교환 시스템은 제2 단말기로 통화 요청을 하고(S904), 이에 응답하여 제2 단말기가 교환시스템으로 통화 응답 신호를 전송하면(S906), 교환 시스템은 제1 단말기로 통화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S908).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에 교환 시스템을 경유한 통화로가 개설된다(S910).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에 통화로(즉, 서킷 통화 채널)가 개설되면, 쌍방간 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통화로가 개설되면 제1 단말기는 패킷망과 연계된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914). 이를 위하여, 제1 단말기에는 통화로 개설을 인식하고, 통화로가 개설되 면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종료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종료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단말기에 내장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후에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통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는 제1 단말기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단말기의 통화 상대방인 제2 단말기의 정보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의 호 처리부는 제1 단말기의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가입자 관리부로 제1 단말기(통화 종료 요청을 한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 단말기(즉,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 확인 요청을 한다(S918). 그러면, 가입자 관리부는 자체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하거나 시스템 외부의 HLR로 서비스 가입자인지 문의하여, 제1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 즉 제1 단말기가 서비스 중지, 해지 등이 아닌 유효한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를 확인하고(S920), 확인 결과 제1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이면, 가입자 관리부는 서비스 제어부로 서비스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922). 서비스 처리 요청을 받은 서비스 제어부는 제 2단말기로 통화 종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호 처리부를 통해 제2 단말기로 패킷 채널 형성 요청을 한다(S923-1, S923-2). 그러면 제2 단말기는 패킷 채널 형성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채널 형성 승락 등의 응답 신호를 호 처리부로 제공하고(S923-3), 호 처리부는 다시 응답 신호를 서비스 제어부로 전달한다(S923-4). 서비스 제어부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요청한다(S924).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는 서비스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서비스 제어부로 제공한다(S926). 서비스 제어부는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에 요청하고(S928). 그러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는 해당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어부로 응답한다(S930). 제2 단말기로 제공되어야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얻어지면, 서비스 제어부는 자원 관리부로 서비스 처리 요청, 즉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을 한다(S932). 통화 종료 컨텐츠 송출 요청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자원 관리부로 전달된다. 통화 종료 컨텐츠를 송출하기 위하여 자원 관리부는 미디어 처리부의 자원을 할당한다(S934). 그러면, 미디어 처리부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실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부에 요청하여 추출하고(S936, S938),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한다(S940). 이 때 통화 종료 컨텐츠는 단계 S923-1 내지 S923-4에서 생성된 패킷 채널을 통하여 미디어 처리부로부터 제2 단말기로 제공된다.
제2 단말기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S942). 제2 단말기에 저장된 통화 종료 컨텐츠는 제1 단말기 혹은 제2 단말기의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제2 단말기에서 재생된다. 도 9에 도시된 예는 제2 단말기에서 먼저 통화 종료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이다.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2 단말기의 통화종료 키를 누름으로써 통화 종료를 요청하면(S944), 제2 단말기는 교환 시스템으로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946), 한편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한다(S948).
제1 단말기에서 먼저 통화 종료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의 절차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에서 먼저 통화 종료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가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된다(S1002, S1004). 그러면, 교환 시스템은 제2 단말기로 통화 종료 요청을 한다(S1004).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단말기는 통화 종료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교환 시스템에 전송하고(S1008), 아울러 내부 메모리에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한다(S1010).
도 9및 도 10에서는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 종료 컨텐츠가 제2 단말기로 제공되어 재생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2 단말기도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 경우에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개설되면, 제2 단말기 역시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할 것이다. 즉, 제1 단말기의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들과 동일한 절차들이 제2 단말기의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통화 종료 컨텐츠가 제1 단말기로 제공되어 저장된다. 그러면, 제1 단말기 혹은 제2 단말기의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단말기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종료시에 통상의 통화 종료음 대신에 가입자가 설정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통화종료음으로 인한 거북함이나, 종료음이 발생하지 않아 생기는 공백을 대신하여 가입자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을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이나 개인의 광고에도 활용할 수 있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통화 종료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서킷 채널을 통하여 통화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패킷 채널을 통하여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제2 단말기로의 서킷 채널을 해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 패킷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패킷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내부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문의하는 단계 및 외부 HLR에 문의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5. 교환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킷 채널을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중인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상대방 단말기인 제2 단말기로 패킷 채널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형성된 패킷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은
    서비스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 및 상기 서비스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여 통화 종료 컨텐츠가 미리 저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은
    요일, 시간대 및 통화 상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다른 통화 종료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는
    영상, 이미지,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3 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삭제
  11.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별 서비스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호 처리부;
    상기 호 처리부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가입자 관리부의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호 처리부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패킷 채널 형성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부로부터 상기 단말기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는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서비스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형성된 패킷 채널을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제공하는 컨텐츠 송출부
    를 포함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송출부는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송출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미디어 처리부의 자원을 관리하는 자원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통화 종료 컨텐츠의 코덱(codec) 변환, 해상도 변환 및 포맷 변환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14. 통화 종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기로부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이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통화 종료 컨텐츠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기에 제공된 통화 종료 컨텐츠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1 단말기 혹은 상기 제2 단말기의 통화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의 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통화 종료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14항 내지 제 1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40104102A 2004-12-10 2004-12-10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4102A KR100704411B1 (ko) 2004-12-10 2004-12-10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4102A KR100704411B1 (ko) 2004-12-10 2004-12-10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86A KR20060065286A (ko) 2006-06-14
KR100704411B1 true KR100704411B1 (ko) 2007-04-05

Family

ID=3716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04102A KR100704411B1 (ko) 2004-12-10 2004-12-10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906B1 (ko) * 2007-02-05 2008-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종료효과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WO2011071905A2 (en) * 2009-12-08 2011-06-16 Brockett Muir Iii Communication link termination indication signal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promotional content
KR101233721B1 (ko) * 2012-08-21 2013-02-18 캐쉬벨 컴퍼니 리미티드 캐쉬벨쓰리이펙트와 원샷캐쉬벨쿠폰을 통한 전화발신·전화수신·통화 종료 상에서의 포이펙트형 캐쉬벨 광고표출장치 및 방법
KR101793783B1 (ko) 2015-09-11 2017-11-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180A (ko) * 2003-09-17 2005-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가 종료되면 종료음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180A (ko) * 2003-09-17 2005-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가 종료되면 종료음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86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007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EP1692892B1 (en) Method for setting substitute ringback tone of calling party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1159906B (zh) 呼叫提示信息播放方法及系统
CN1964396B (zh) 实现彩铃复制的方法、系统及装置
KR101117657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05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connection messaging and output
KR100747450B1 (ko) 통화 연결 대기용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CN104105080A (zh) 一种视频媒体播放方法、装置及系统
CN100446587C (zh) 一种实现多媒体彩铃音业务的系统及方法
WO2010003352A1 (zh) 一种彩铃选择方法、系统及相关装置
US201003092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video messages
KR100704411B1 (ko)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457772A (zh) 信息显示方法及设备
CN101931614B (zh) 一种呼叫过程中呈现用户状态信息的方法及系统
KR20060117163A (ko)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CN101511127A (zh) 一种实现多媒体彩铃音业务的系统及方法
WO2009076881A1 (zh) 设置回铃业务的方法、实现回铃业务的方法、系统及装置
CN1984353B (zh) 一种实现混音的方法和装置
JP2008518524A (ja) 移動通信電話の通話中に背景音を挿入する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045236A1 (fr) Procede permettant de joindre un fond sonore a une communication mobile
KR100553342B1 (ko) 지능망 교환시스템에서 회의통화 기능을 이용한통화내용의 자동 녹음 및 조회/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075640A (zh) 一种实现增强呼叫的方法及系统及综合业务开放网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