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163A -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163A
KR20060117163A KR20050100720A KR20050100720A KR20060117163A KR 20060117163 A KR20060117163 A KR 20060117163A KR 20050100720 A KR20050100720 A KR 20050100720A KR 20050100720 A KR20050100720 A KR 20050100720A KR 20060117163 A KR20060117163 A KR 20060117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all
video
termina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혁
엄수형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163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대기 시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이 발신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신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미리 서버에 등록하면, 발신자가 착신 단말기로 호 시도를 수행할 때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소정 절차를 거쳐 그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 화면에는 착신자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통화 대기에 따른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발신 단말기의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통화대기, 멀티미디어 영상

Description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PROVIDING MUTIMEDIA IMAGE SERVICE WHEN CALL WAITING AND THE SYSTEM THEREOF}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간의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발신 단말기에서의 제어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시까지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티어 영상을 발신측에 통화연결음 및 통화연결화면으로 나타내도록 한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단말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증대되면서, 단말기에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착신이 있을 때 출력되는 벨 소리나 화면, 통화대기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미지 등의 차별화를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통화대기음(RBT: Ring Back Tone) 서비스는 발신측 중심의 서비스로써, 발신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착신자가 지정한 통화연결음이 발신측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일명 컬러링 서비스로서 대부분의 유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통화 직전의 시점에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양한 통화대기음이 자동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컬러링 통화대기음(CRBT: Coloring Ring Back Tone) 서비스는 통화 연결음을 기존의 단순한 기계음이 아닌 음악이나 음향 효과음으로 대체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이동 통신 단말기도 화면이 점점 커지면서 컬러수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필 요성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그 화면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접목시키는 활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활용의 한 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화면은 그 효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동화상 디스플레이까지 제공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음악, 멜로디, 목소리, 노래, 효과음 등 오디오와 관련된 통화연결음 지정을 통해서만 충족되는 실정이므로, 착신자가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이용해서는 본인의 개성을 표현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즉, 통화 연결 시 발신측 단말기에서 단순히 통화대기음이 출력되거나 통화연결 상태를 알리는 통화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뿐이며,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영상에 따라 발신 단말기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변하지는 않았다.
한편,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영상과 음성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영상 통화에 필요한 정보 교환 과정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영상과 음성을 전달하기 위해 H.324m negotiation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한다.
이와 같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의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간의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에 의해 통화 연결이 시도되면 발신 단말기(10)는 10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20)로 발호 요구(Call Set up)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2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105단계에서 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기(30)에 전달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20)는 110단계에서 그 절차 상태를 알리는 호 절차(Call Proceed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에 전달한다. 그리고나서 코어 네트워크(20)는 115단계에서 착신 단말기(30)로부터 호 확인(Call Confirm) 메시지를 전달받고, 이어 120단계에서 알림(Alerting)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125단계로 진행하여 그 알림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에 전달한다.
한편, 착신 단말기(30)는 13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20)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착호에 응답한 통화 연결(Connect)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2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코어 네트워크(20)가 135단계에서 통화 연결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에 전송함으로써 140단계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에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통화 연결 과정이 시작된다. 이 때, 통화 연결 과정이 수행됨과 동시에 145단계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기(10)는 코어 네트워크(20)를 통해 착신 단말기(30)와의 영상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통화 연결 시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30) 간의 영상 및 음성의 전송은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과정을 거쳐야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신자는 지정된 통화대기음 밖에는 청취할 수 없다, 게다가 기존의 통화대기음을 제공하는 서버에서도 오디오 와 관련된 통화연결음을 지원하는 기능만이 구현되어 있을 뿐, 멀티미디어 영상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대기 서비스가 오디오와 관련된 통화연결음만으로 제한되므로 착신자가 다른 사람들과 보다 차별되게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통화 대기 시 착신자가 뮤직비디오,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이용해서는 자신의 취향을 개성적으로 알릴 수 없다. 또한, 통화연결음을 멀티미디어 영상으로 대체하고자 하더라도 H.324m negotiation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 한해서만 표출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 대기 시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발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착신자가 원하는 형태로 능동적인 개성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 대기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가 착신번호로 발호(Call Set up) 요구 시 대응하는 알림(Alert)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알림 메시지를 분석하여 통화 대 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접속 요구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상기 서버와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 직전까지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 직전까지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지정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하면 착신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통화 대기 시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이 발신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신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미리 서버에 등록하면, 발신자가 착신 단말기로 호 시도를 수행할 때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소정 절차를 거쳐 그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 화면에는 착신자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통화 대기에 따른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통화 대기 시간 동안 발신 단말기의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화통화를 위해 발신하는 발신 단말기(200)와 그 발신에 대응하는 호를 착신하는 착신 단말기(210)로 구분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200), 착신 단말기(210), 기지국(BS: Base Transceiver Station/Base Station Controller)(215),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220),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25), 이동통신망(230), 서버(240) 및 데이터베이스(DB: Databse)(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지국(215)은 각 단말기(200, 210)와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200, 210)와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220)는 각 단말기(200, 210)로부터 발/수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이동교환국과 망연동을 하고, 홈위치등록기(225)로 단말기 사 용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교환국(220)은 발신 단말기(200)에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알림(Alert) 메시지의 소정 필드에 특정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00)에 전송됨으로써,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이 특정값을 인식하여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40)에 접속하여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홈위치등록기(225)는 단말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215), 이동교환국(220) 및 홈위치등록기(225)를 합쳐서 코어 네트워크(230)라고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코어 네트워크(230)라고 한다.
그리고 서버(240)는 코어 네트워크(230)와 연동하여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연결음 대신에 가입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사별로 통화 연결음은 컬러링, 링투유, 필링, 링고 등의 브랜드로 서비스되는데, 이중 최초 서비스되어 널리 알려진 '컬러링'으로 통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영상컬러링 서비스라고 지칭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240)는 영상컬러링 서버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서버(240)는 H.324m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착신 단말기(210)에 의해 설정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에 관한 정보를 DB(235)에 저장한다. 이 때, 서버(240)와 연결되는 DB(235)는 유무선 통신사 또는 통화 대기 영상 제작업체 등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식의 영상을 저장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영상의 예로서는 뮤직비디오, 아바타, 동영상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DB(235)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착신 단말기(210)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즉, 서버(240)는 각각의 착신 단말기에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매칭하여 DB(235)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240) 이외에 별도의 영상사서함 서버(도시하지 않음)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사서함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촬영된 영상 또는 사용자가 만들어낸 영상 등 사용자의 특화된 욕구에 부합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등록받는다. 영상사서함 서버는 착신자가 접속하면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제공하고, 착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영상 정보를 소정 DB에 저장해둔다. 이 DB는 착신자에 의해 사전에 만들어진 다수의 멀티미디어 영상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착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영상 정보를 저장해두게 된다.
이후 발신 단말기(200)가 착신 단말기(210)로 전화를 걸게 될 경우, 코어 네트워크(230)는 영상사서함 서버로 접속 경로를 설정하게 되고, 영상사서함 서버는 착신자가 전화를 받을 때까지 착신 단말기(210)에서 설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전송해주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착신자는 자신이 직접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신만의 독특하고 개성있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발신측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착신자가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일 경우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착신자의 설정에 따라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240)에 연결되거나 영상사서함 서버에 연결된다. 즉, 착신자가 어떠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어느 서버에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지가 결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서버(24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뮤직비디오, 아바타 등의 멀티미디어 영상 중 해당 영상이 표시되거나 영상사서함 서버에서 제공하는 착신자가 만들어낸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서버(240)와 영상사서함 서버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의 종류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서버(240)와 영상사서함 서버는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영상사서함 서버를 하나의 서버로 통합하여 구현할 경우 서버(240)에서도 DB(235)에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영상으로서 뮤직비디오, 아바타, 동영상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직접 만들어진 영상도 미리 등록 과정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서는 멀티미디어 영상으로서 뮤직비디오, 아바타, 동영상 등을 예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또는 유무선 통신사별, 통화대기 영상 제작업체 등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은 통화 대기 영상 제작업체 등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일종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영상은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동영상이거나 만들어 낸 영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영상사서함 서버에 미리 통화 대기 영상으로 등록시켜 놓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버(240)는 발신 단말기(200)로부터의 발호 요구 시 코어 네트워크(230)를 통해 그 발신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이 때, 서버(240)는 코어 네트워크(230)로부터 착신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버(240)는 발신 단말기(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착신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 예컨대, 착신번호에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DB(235)에서 검색한다. 그리고나서 검색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발신 단말기(200)에 전달함으로써,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착신 단말기(210)에서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설명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200) 및 착신 단말기(210)의 내부 블록 구성도는 동일하며, 각 구성부에서의 동작도 동일하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 시 발신측을 기준으로 발신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의 역할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각 단말기(200, 2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 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200)의 제어부(300)는 통화 연결 직전까지 발신 단말기 상에 착신자가 원하는 형태의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300)는 발신자로부터 착신번호를 입력받아 발신을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300)는 코어 네트워크(23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메시지 내의 소정 필드에 특정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서버(240)와 H.324m negotiation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서버(240)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표시부(320) 및 음성 처리부(350)를 제어한다. 즉, 멀티미디어 영상 실행에 따라 표시부(320) 상에는 해당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음성 처리부(350)의 스피커를 통해서는 해당 영상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착신자가 영상사서함 서버에 미리 등록한 자신이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들 중 하나를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해 놓은 경우 제어부(300)는 코어 네트워크(230)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메시지(Alert Mesage)를 근거로 서버(240)에 접속하는 대신 영상사서함 서버에 접속할 수도 있다. 만일 영상사서함 서버에 접속되면, 제어부(300)는 착신자가 직접 미리 등록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320) 상에는 착신자가 직접 촬영하거나 만들어 낸 영상 등 착신자의 특화 욕구가 부여된 개성있는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31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32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각 단말기(200, 210)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31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310)에는 통화 연결 직전까지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영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키입력부(320)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320)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32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30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30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키입력부(320)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위해 착신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3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330)는 각 단말기(200, 21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210)내의 메모리부(330)에는 착신자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영상이 착신자에 의해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자에 의해 편집된 멀티미디어 영상은 통신을 통해 서버(240)로 업로드 가능함은 물론이다.
무선부(34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안테나(ANT)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230)와 RF신호를 송/수신하며, 본 발명에 따라 발호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230)로 전달하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부(340)는 코어 네트워크(230)를 통해 서버(240)와의 멀티미디어 영상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35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하고,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통화 대기 시 서버(240)로부터 전달된 멀티미디어 영상이 실행될 때 그 멀티미디어 영상에 음성, 음악 등의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 음악 등이 출력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 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의 메시지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인 도 4를 참조한다.
먼저, 발신 단말기(200)는 발신자에 의해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통화연결키가 눌리면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통화연결키가 입력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단말기(200)는 400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230)로 착신 단말기(210)에 대한 발호 요구 메시지(Call Set up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 면 코어 네트워크(230)는 405단계에서 발신 단말기(200)로 호 절차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단말기(200)와 코어 네트워크(230) 간에는 채널이 형성되는데, 이 때 코어 네트워크(230)는 410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240)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의 포맷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그 포맷은 프로토콜 식별자(PD: Protocol Discriminator: PD) 필드(500), 트랜스액션 아이디(TI:Transaction Identification) 필드(510), 전송되는 메시지가 알림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타입(MT: Message Type) 필드(520), 부가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유용(Facility)필드(530), 네트워크에서 진행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 소정값이 설정되는 진행 지표(Progress Indicator)필드(540), 착신 단말기의 알림 메시지에서 포함된 경우에 전달되는 사용자(User-user) 필드(5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알림 메시지에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240)와의 접속 요청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포맷 중 진행 지표(540) 필드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진행 지표(540) 필드는 발호 요구시 서버(240)에 접속하라는 요청이 포함되는 필드이다. 이러한 진행 지표(540) 필드에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위한 서버(240) 접속 요청에 따라 고유의 코드값이 부여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의 도면부호 56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고유의 코드값을 나타내는 플래그값이 'TRUE'로 설정되면 발신 단말기(200)는 서버(240)와의 H.324m negotiation 과정을 거쳐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와 반대로 도면부호 57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플래그값이 'FALSE'로 설정된 경우 발신 단말기(200)는 통상적인 통화 연결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410단계에서 전달된 알림 메시지의 진행 지표 필드에 소정값이 설정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그러면, 발신 단말기(200)는 415단계에서 서버(240)와 H.324m 프로토콜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는 420단계에서와 같이 서버(240)에 접속한 상태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아 화면에 착신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영상일 경우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멀티미티어 영상이 발신 단말기(200)에 통화연결음 및 통화연결화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신 단말기(200)에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코어 네트워크(230)는 425단계에서 착신 단말기(210)에 호 착신을 알리는 발호 요구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기(210)는 430단계에서 호 확인 메시지(Call Confirm Message)에 이어 435단계에서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를 전송한다. 이후, 호 착신을 인지한 착신자에 의해 통화연결키가 눌려지면 440단계에서 통화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코어 네트워크(230)로 전달하고, 코어 네트워크(230)는 445단계에서 이 통화 연결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발신 단말기(200)는 착신 단말기(210)와 통화 연결되었 음을 인지하여 450단계에서 H.324m 프로토콜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종료함으로써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던 서버(240)와의 접속을 끊는다. 그리고나서 발신 단말기(200)는 착신 단말기(210)와의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450단계에서 다시 H.324m 프로토콜에 따른 통화 연결을 시작하여 455단계에서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발신 단말기에서의 제어흐름도이다.
발신측 단말기(200)에서의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발신측 단말기(200)는 (600)단계에서 발신자로부터 통화를 위한 착신 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나서 발신 단말기(200)는 (610)단계에서 통화연결키가 입력되는지 즉, 발신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610)단계에서 발신이 있으면 발신 단말기(200)는 620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에 대응하여 코어 네트워크(230)로부터 응답 메시지 즉,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기(200)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알림 메시지 내의 진행 지표(Progress Indicator) 필드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는 64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진행 지표 필드에 설정된 플래그값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예컨대, 플래그값이 'TRUE'인 경우 발신 단말기(200)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서버(240)와 접속해야 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는 서버(240)와 H.324m negotiation을 수행하여 서버(240)로부터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650단계에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나서 발신 단말기(200)는 660단계에서 착신 단말기(210)와의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와 달리 660단계에서 착신 단말기(210)와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즉, 착신측에서 전화를 받게 되면, 발신 단말기(200)는 서버와 연결된 H.324m 연결을 끊고, 착신 단말기(210)와 다시 H.324m negotiation을 시작하여, 실제적인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착신자가 직접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하여 발신 단말기(200)에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 수행을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서버(240)에서는 유무선 통신사 또는 통화 대기 영상 제작업체 등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며, 영상사서함 서버(250)는 착신자에 의해 직접 촬영된 영상 또는 착신자가 만들어낸 영상 등 착신자의 특화된 욕구에 부합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한다.
도 7에서 착신자가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착신자는 미리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자신이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을 등록해놓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설명하면, 자신이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착신자는 우선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접속한다.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접속한 상태에서 착신자는 자신이 직접 만들어서 등록해놓은 멀티미디어 영상들을 착신 단말기(210)를 통해 모니터링하면서 원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선택한다. 그러면 영상사서함 서버(250)는 착신 단말기(210)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면 도 7을 설명하면, 발신 단말기(200)는 발신자에 의해 착신 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입력되어 호 시도가 요청되면 코어 네트워크(230)를 통해 착신 단말기(210)와의 호 설정을 요청한다. 이를 호 설정 요청을 위해 발신 단말기(200)는 700단계에서 발호 요구 메시지(Call Set up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230)는 705단계에서 발신 단말기(200)로 호 절차 메시지(Call Proceeding Message)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200)와 코어 네트워크(230) 간에는 채널이 형성된다. 이 때, 코어 네트워크(230)에서는 착신 단말기(210)가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특히 착신 단말기(210)가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라도 서버(240) 및 영상사서함 서버(250) 중 어느 서버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했는지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230)에서는 발신 단말기(200)에게 어느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지를 알려주게 된다. 이는 코어 네트워크(230)가 착신 단말기별로 지정된 해당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함을 전제로 한다.
만일 착신 단말기(210)가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이면서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등록해 놓은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설정해 놓은 단말기인 경우 코어 네트워크(230)는 410단계에서 발신 단말기(200)로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접속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설정된 알림 메시지(Alert Message)를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코어 네트워크(230)는 알림 메시지의 소정 필드에 서버(240)에 접속할 것인지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접속할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를 알림 메시지의 소정 필드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포맷 중 진행 지표(540) 필드에 서버(240)에 접속할 것인지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접속할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써, 진행 지표(540)에 고유의 코드값을 나타내는 플래그값을 'TRUE'로 설정하여 서버(240)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나타낼 수 있고, 플래그값을 'FALSE'로 설정하여 영상사서함 서버(250)에 접속하라는 요청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서는 진행 지표(540)에 어느 서버에 접속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한다고 예시하였지만, 알림 메시지 내의 다른 필드에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와 통화 대기음 서비스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만이 제공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진행 지표(540)에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200)에서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알림 메시지 내의 정보를 근거로 어느 서버로 접속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가 영상사서함 서버(250)일 경우에도 도 4의 415단계 내지 460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715단계 내지 760단계에서의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대기 시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착신자 자신만의 개성있는 통화 대기 서비스를 발신측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WCDMA 영상 단말기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표준 프로토콜을 준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익 창출의 효과가 있다.
또한, 착신자는 자신이 직접 만든 멀티미디어 영상을 통화 대기 영상으로 미리 등록해 놓음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하고 개성있는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발신자측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가 착신번호로 발호(Call Set up) 요구 시 대응하는 알림(Alert)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알림 메시지를 분석하여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접속 요구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상기 서버와의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 직전까지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H.324m negotiation을 수행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의 접속 요구가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알림 메시지 내의 PI(Progress Indicator) 필드에 설정된 플래그값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플래그값이 있는 경우 상기 서버와의 접속 요구가 있음을 인지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착신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미리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 실행 도중에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통화 연결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종료 후 상기 착신 단말기와 H.324m negotiation을 시작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을 상기 발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은
    상기 서버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뮤직비디오, 아바타, 동영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져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 직전까지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받아 실행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통화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지정된 통화 대기 영상 서 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접속하면 착신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무선 통신사 및 통화 대기 영상 제작업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은
    뮤직비디오, 아바타, 동영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영상 중 상기 착신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을 미리 설정하는 착신 단말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통화 대기 영상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영상을 등록받아 저장하는 영상사서함 서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알림 메시지 수신 시 소정 필드를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접속할 것인지 상기 영상사서함 서버에 접속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사서함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에 의해 미리 지정된 멀티미디어 영상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을 상기 발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20050100720A 2005-05-12 2005-10-25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60117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9917 2005-05-12
KR1020050039917 2005-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163A true KR20060117163A (ko) 2006-11-16

Family

ID=3770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0720A KR20060117163A (ko) 2005-05-12 2005-10-25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16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21B1 (ko) * 2006-04-24 2007-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100797373B1 (ko) * 2007-03-15 2008-0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101330910B1 (ko) * 2007-03-02 2013-1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호 대기시간에서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4600B1 (ko) * 2007-03-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연결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425820B1 (ko) * 2009-02-26 2014-08-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0944144A (zh) * 2019-11-27 2020-03-31 深圳明心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配置视讯终端接入视讯系统的方法和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21B1 (ko) * 2006-04-24 2007-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101330910B1 (ko) * 2007-03-02 2013-1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호 대기시간에서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7373B1 (ko) * 2007-03-15 2008-01-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101414600B1 (ko) * 2007-03-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연결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425820B1 (ko) * 2009-02-26 2014-08-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0944144A (zh) * 2019-11-27 2020-03-31 深圳明心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配置视讯终端接入视讯系统的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295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olor ring selecting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47212A1 (en) Network support for customized automatic call answering and holding
KR100754581B1 (ko)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60117163A (ko)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US201002039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g services by short message service
JP200731868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JP4354875B2 (ja) サービス提供モードが指定されたデータサービスを実施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827337B1 (ko) 발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1268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1008978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9486B1 (ko) 전화 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41668B1 (ko) 착신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1092829B1 (ko) 그룹 지정 본인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1658A (ko) 착신응답 대기시간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0757008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335994B1 (ko) 차세대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호출하는 폰투피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38785B1 (ko) 통신시스템에서 앤써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842415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