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321B1 -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321B1
KR100732321B1 KR1020060036522A KR20060036522A KR100732321B1 KR 100732321 B1 KR100732321 B1 KR 100732321B1 KR 1020060036522 A KR1020060036522 A KR 1020060036522A KR 20060036522 A KR20060036522 A KR 20060036522A KR 100732321 B1 KR100732321 B1 KR 10073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packe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 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호가 시도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시도된 음성 호 처리를 위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을 할당한 후,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의 설정 경로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업로드 중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신된 착신 응답에 따라 상기 시도된 음성 호를 처리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Method for Uploading Data During Call Origin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업로드 서버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신 단말 20 : 착신 단말
110, 160 : 기지국(BTS) 120, 150 : 기지국 제어기(BSC)
130, 140 : 교환기(MSC) 170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180 : 데이터 코어망(DCN) 190 : 데이터 업로드 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음성 통화가 연결되는 동안 발신 단말이 점유하고 있지만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이동 통신망의 유,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데이터를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발신자가 호를 시도한 후 음성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 발신 단말은 교환기로부터의 수신 경로를 통해 안내멘트나 링백톤을 듣게 된다. 이 때,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까지의 송신 경로에는 자원이 할당되어 있지만, 발신 단말은 아무런 트래픽도 송신하지 않으며, 착신 단말이 응답을 하면 이 송신 경로로 음성 트래픽을 전송하게 된다.
즉, 발신자가 호를 시도한 후 착신 단말이 응답하기 전에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까지의 할당 자원은 활용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수많은 이동 통신 가입자들이 호를 시도하고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의 시간과, 활용 가능한 이동 통신망의 자원 한계를 고려하여 볼 때, 망 자원의 심각한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현재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서비스의 다양화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통신 경로를 이용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량이 음성 통화에 따른 음성 패킷의 송수신량에 비하여 점차 증대되는 추세에 있으나, 망 자원의 한계에 대처하기 위하여 심야 시간대를 활용하는 등의 시간상 트래픽 분배 방안만이 제안될 뿐, 자원이 할당되어 있으나 사용되지는 않고 있는 경우를 고려한 자원 활용 방법 은 제안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단말이 호를 시도한 후 호가 셋업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까지 자원만 할당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송신 경로 중 발신 단말로부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간의 경로를 활용하여, 발신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의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자동 업로드함으로써, 이동 통신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발신 가입자가 데이터 업로드를 위하여 별도로 할애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호가 시도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시도된 음성 호 처리를 위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을 할당한 후,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달하는 제2단계와; 상 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의 설정 경로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업로드 중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신된 착신 응답에 따라 상기 시도된 음성 호를 처리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호가 시도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시도된 음성 호 처리를 위한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이 할당되면,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업로드 중단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진행중인 데이터 패킷의 업로드를 중단하고, 다음 음성 호 시도 시 상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 중 기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 이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수신한 착신 응답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거나 호를 종료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업로드 서버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으로서, 특정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음성 호 시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특정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와 기지국 제어기 간에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해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통해 특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해당 이동 통신 단말의 정보와 연동하여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해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의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해제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데이터 업로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발신 단말: 10, 착신 단말: 20)과의 무선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TS, 110, 160), 상기 기지국(110, 160)을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의 채널카드 자원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 20)로 할당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120, 150), 음성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MSC, 130, 140) 간 음성 호 셋업 처리 중에, 상기 발신 단말(10)로부터 기지국 제어기(120)까지의 상향 송신 경로를 이용하되, 데이터 패킷 송수신 경로에 있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170) 및 데이터 코어망(DCN, 180)을 경유하여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단말(10)의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발신 단말(10)이 착신 단말(20)로 호를 시도하면,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발신 단말(10)로 기지국의 채널 카드 자원을 할당하게 되며, 이후 상기 호 시도 정보를 수신한 교환기(130)는 착신측의 교환기(140), 기지국 제어기(150) 및 기지국(160)을 통해 착신 단말(20)로 착신 요청 즉, 음성 호 셋업 과정을 수행하며, 이 때 상기 발신 단말(10)은 발신측 교환기(130)로부터 송출되는 링백톤을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착신 단말(20)이 응답하기 이전까지 상기 발신 단말(10)과 기지국 제어기(120) 간에 설정된 상향 송신 경로와 하향 수신 경로 중 상기 링백톤 송출 경로인 하향 수신 경로만이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착신 단말(20)이 응답하기 이전까지 상기 상향 송신 경로는 채널 자원만이 할당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음성 호 셋업 과정이 수행 되는 중, 상기 발신 단말(10)에 할당된 채널카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발신 단말(10)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발신 단말(10)은 상기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업로드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패킷의 업로드는 상기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기 전까지의 비활용 채널카드 자원을 단지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발신 단말(10)은 상기 착신 단말(20)로부터의 호 수락 또는 거절 등과 같은 응답이 있는 경우, 즉시 현재 수행중인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중단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신 단말(10)이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의 종류로는, 상기 발신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GPS 정보), 상기 발신 단말(10) 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메모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및 착발신 이력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의 종류 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도 종류 별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가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업로드 받고,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별도의 타 서버로 전달하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체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서비스 과정을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의 흐름도를 통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은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단말 및 데이터 업로드 서버 간의 연동으로 이루어지나, 각각의 업로드 수행 과정을 명확히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에는 기지국 제어기의 업로드 과정을, 도 3에는 이동 통신 단말의 업로드 과정을, 도 4는 데이터 업로드 서버에서의 업로드 과정을 나타내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 제어기(120)는 발신 단말(10)로부터 호가 시도되면(S201),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을 할당하고 음성 호 경로 설정을 시작한 후(S203), 상기 발신 단말(10)에 대해 할당된 후 음성 호가 완전히 셋업되기 전까지 사용되지 않는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의 상향 경로를 활용하기 위하여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경로를 설정한다(S205). 이때, 상기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의 할당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의 패킷 제어 기능 블록(PCF; Packet Control Function)에 의해 수행된다.
이후, 상기 발신 단말(10)로부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S207),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임을 인지하여 이를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달한다(S209).
상기와 같이 발신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계속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달하는 중,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로 착신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S211),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설정되어 있는 경로를 해제함과 아울러, 상기 발신 단말(10)로 업로드 중단 신호를 전송한다(S213).
업로드 중단 신호를 수신한 발신 단말(10)은 즉시 현재 수행중인 데이터 패킷 업로드 과정을 중단하게 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착신 응답에 따라 착신 단말(20)이 호를 수락한 경우에는 상기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호를 설정하고, 착신 단말(20)로부터 응답이 없는 등 호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호를 해제한다(S215).
다음, 발신 단말(10)의 데이터 업로드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10)은 호를 시도한 후(S301),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이 할당되면(S303), 기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 제어기(120)를 통해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송한다(S305).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의 데이터 패킷 전송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로부터 업로드 중단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지속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로부터 상기 업로드 중단 신호가 수신되면(S307), 현재 진행중인 데이터 업로드를 중단하고(S309), 업로드를 완료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기억한다(S311). 이러한 정보의 기억은, 추후 상기 발신 단말(10)이 다른 호를 시도한 경우 이전에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수행된다.
한편, 업로드할 데이터 파일의 사이즈가 큰 경우, 상기 발신 단말(10)은 해당 데이터 파일을 일정한(미리 지정된) 사이즈의 단위 파일로 분할하여 업로드해야 하며, 이 경우 하나의 데이터 파일에서 일부 단위 파일이 전송된 상태에서 업로드가 중단되었다면, 상기 발신 단말(10)은 업로드 미완료된 데이터 파일의 정보와, 해당 데이터 파일에서 업로드 완료된 단위 파일의 인덱스 정보를 기억해두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10)은 다음 업로드 과정에서 업로드 미완료된 데이터 파일 중 상기 업로드 완료된 단위 파일의 인덱스의 다음 인덱스에 해당하는 단위 파일부터 업로드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 단말(10) 및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는 전송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발신 단말(10)은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값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10)이 내부적으로 계산한 값과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가 계산한 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유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검증값을 현재 전송할 데이터에 대하여 계산하고, 계산된 무결성 검증값을 상기 현재 전송할 데이터 패킷에 첨부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전송한다(S305).
상기 무결성 검증값으로서 대표적인 값으로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이 있으며, CRC 값을 이용한 에러 검증 방식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데이터 비트 마지막에 프레임의 실제 내용에 의해 계산되는 프레임 체크 시퀀스를 추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집단 에러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은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식이며 CRC 값의 계산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하여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무결성 검증값 계산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기억한 상기 발신 단말(10)은 이후, 기지국 제어기(120)가 수신한 착신 응답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거나 호를 종료하게 되며(S313), 이후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가 상기 무결성 검증값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 패킷의 에러 유무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10)로 전송하면(S315), 상기 발신 단말(10)은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에 따라 기 업로드 완료된 것으로 기억된 데이터 중 오류가 있는 데이터 패킷의 업로드 완료 여부 정보를 수정하여 다음 과정에서 재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S317).
마지막으로, 도 4를 통해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는 특정 발신 단말(10)의 음성 호 시도에 따라 해당 발신 단말(10)로 채널카드 자원을 할당한 기지국 제어기(120)와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설정하며(S401), 상기 발신 단말(10)로부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통해 특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해당 이동 통신 단말의 정보와 연동하여 저장한다(S403). 이때,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0)이 계산한 무결성 검증값이 첨부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발신 단말(10)로부터 데이터 업로드가 이루어지던 중, 상기 발신 단말(10)에 의해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로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의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해제한다(S405).
이후,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는 상기 발신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상기 무결성 검증값을 산출하고(S407), 산출한 무결성 검증값과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첨부되어 있던 무결성 검증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에러 유무를 검증하며(S409), 상기 발신 단말(10)이 정상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10)로 전송한다(S411).
만약, 특정 수신 데이터 패킷에 에러가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190)는 해당 데이터 패킷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발신 단말(10)로 에러가 있는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알리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에러 유무에 관계 없이 에러 유무 검증 결과를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에러 유무 검증 과정에 의하여, 상기 발신 단말(10)은 정상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비정상 완료된 데이터 패킷을 이후의 호 시도시 재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에 의하면, 발신 단말이 호를 시도한 후 호가 셋업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발신 단말로부터 교환기까지 자원만 할당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송신 경로 중 발신 단말로부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간의 경로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발신 가입자가 데이터 업로드를 위하여 별도로 할애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호가 시도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시도된 음성 호 처리를 위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을 할당한 후,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의 설정 경로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업로드 중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수신된 착신 응답에 따라 상기 시도된 음성 호를 처리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수신된 착신 응답이 착신 단말에 의해 음성 호가 수락된 경우에 해당하는 응답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음성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수신된 착신 응답이 착신 단말에 의해 음성 호가 수락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응답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할당된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메모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및 착발신 이력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5.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호가 시도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시도된 음성 호 처리를 위한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이 할당되면,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업로드 중단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진행중인 데이터 패킷의 업로드를 중단하고, 다음 음성 호 시도 시 상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 중 기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 이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수신한 착신 응답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거나 호를 종료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값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계산한 값과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가 계산한 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유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검증값을 현재 전송할 데이터에 대하여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무결성 검증값을 상기 현재 전송할 데이터 패킷에 첨부하여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전송한 무결성 검증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계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유무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에 따라 기 업로드 완료된 것으로 기억된 데이터 중 오류가 있는 데이터 패킷의 업로드 완료 여부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은 이전의 데이터 패킷 업로드에 따라 기억된 업로드 완료 데이터 패킷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 중 기 업로드 완료된 데이터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가입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패킷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메모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및 착발신 이력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10.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음성 호가 연결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업로드 서버에서의 데이터 업로드 방법으로서,
    특정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음성 호 시도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특정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기지국 채널카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와 기지국 제어기 간에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해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통해 특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해당 이동 통신 단말의 정보와 연동하여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해 시도된 음성 호에 대한 착신 응답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의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해제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수신된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값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계산한 값과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가 계산한 값의 비교를 통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유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검증값이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첨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가 상기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상기 무결성 검증값을 계산하는 제4단계와;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가 계산한 무결성 검증값을 상기 데이터 패킷에 첨 부된 무결성 검증값과 비교하여 해당 데이터 패킷의 에러 유무를 검증하고,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정상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업로드 서버는,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 수신한 데이터 패킷 중 에러가 있는 데이터 패킷의 정보만을 상기 에러 유무 검증 결과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이동 통신 단말 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메모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및 착발신 이력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1020060036522A 2006-04-24 2006-04-24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10073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522A KR100732321B1 (ko) 2006-04-24 2006-04-24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522A KR100732321B1 (ko) 2006-04-24 2006-04-24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321B1 true KR100732321B1 (ko) 2007-06-25

Family

ID=3837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522A KR100732321B1 (ko) 2006-04-24 2006-04-24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3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785A (ko) * 2003-07-23 2005-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전송을 통한 정보시각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0605A (ko) * 2003-10-29 2005-05-03 엔엠비커뮤니케이션즈(주)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050074765A (ko) * 2004-01-14 2005-07-19 (주) 엘지텔레콤 통화채널을 이용한 수신자 정보 데이터 전달 방법
KR20060025875A (ko) * 2004-09-17 200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60117163A (ko) * 2005-05-12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785A (ko) * 2003-07-23 2005-01-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전송을 통한 정보시각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0605A (ko) * 2003-10-29 2005-05-03 엔엠비커뮤니케이션즈(주)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050074765A (ko) * 2004-01-14 2005-07-19 (주) 엘지텔레콤 통화채널을 이용한 수신자 정보 데이터 전달 방법
KR20060025875A (ko) * 2004-09-17 200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60117163A (ko) * 2005-05-12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515B1 (ko) 이동-대-이동 비디오 능력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JP414965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閉じたユーザグループの音声メールサービス
US72488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calling party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1803444B (zh) 无线通信网络中的服务等级(gos)区分
CN101925151A (zh) 接入控制方法、设备及系统
EP12491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calling party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5240633B2 (ja) 地震、津波警戒システム及びその主要な通知メッセージの転送方法
CN109495875B (zh) Sim卡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A2918352A1 (en) Telephone network system and method
CA236490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parallel calls
US9326113B2 (en) Network device, called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third-party call
CN103313207B (zh) 数字集群系统中话权申请的方法及系统、设备
CN111010677A (zh) 回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492391B1 (ko)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 비 실-시간 임계 메시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155119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of a mobile terminal
CN100362874C (zh) 一种短消息的传输方法
JPH08506230A (ja) 移動局に補助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とシステム
KR10073232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CN107454273A (zh) 一种呼叫控制方法和装置
CN112770107B (zh) 一种承载的修改方法及相关装置
EP1718099A2 (en)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priority in radio communication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ntrol apparatus, terminal unit and core network
US20120320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short messages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ingle-mode dual-standby terminal
KR100493108B1 (ko) 통화 혼잡 상태에서의 호 처리 서비스 방법
KR2008009324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JP2001045554A (ja) 無線加入者システム、無線加入者システムの回線接続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