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605A -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605A
KR20050040605A KR20030076061A KR20030076061A KR20050040605A KR 20050040605 A KR20050040605 A KR 20050040605A KR 20030076061 A KR20030076061 A KR 20030076061A KR 20030076061 A KR20030076061 A KR 20030076061A KR 20050040605 A KR20050040605 A KR 2005004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exchange
mobile communication
cal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율
Original Assignee
엔엠비커뮤니케이션즈(주)
박상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비커뮤니케이션즈(주), 박상율 filed Critical 엔엠비커뮤니케이션즈(주)
Priority to KR2003007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0605A/ko
Publication of KR2005004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605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교환기와 발신 교환기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FOR PROVIDING SAID MULTIMEDIA SERVI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개선과,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무선 전송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진, 멀티미디어 동영상, 그림, 애니메이션, 게임, 벨소리, 음원 데이터등과 같은 각종 무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성행하고 있고,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또한, 현재 서비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망에서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면, 종래의 링백톤을 대체하여 착신 가입자가 선택한 소리를 발신자에게 들려주는 서비스(일명 "컬러링 서비스")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92089호에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되는 구체적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종래에 착신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착신 가입자를 제어하는 착신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단말기로 ITU-T 스펙에 따라 획일적으로 들려주던 링백톤을 대체하는 소리를 착신 가입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녹음하여 두었다가 발신자 쪽으로 들려주도록 한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0071893호에는,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전화의 신호음이 들리는 대신에 광고를 삽입하여 발신자에게 지루함을 덜어 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들에 기재된 기술들은, 해당 가청음을 (링백톤을 대체하여)발신자쪽으로 들려주는 것이므로 컨텐츠 서비스 분야가 소리에만 한정되어 버려, 가입자들이 쉽게 싫증을 느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공보들에 기재된 기술들의 주된 관심은 링백톤을 대체하는 것으로만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 통화를 하며 전화를 끊는 전체 과정에 있어서, 링백톤이 출력되는 동안은 일부일 뿐이다. 따라서, 링백톤을 대체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하는데 미흡한 점이 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전화 통화 과정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정지영상/동영상/사진/애니메이션/그래픽/음원 신호등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플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착안하게 되었다.
나아가, 전화 통화 과정에 있어서, 가입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컨텐츠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방안에는 링백톤이 출력되는 동안 외에도 전화 통화 상태등과 같은 새로운 방안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화 통화 과정 중(예:링백톤, 전화 통화 상태)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데 있어서, 착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전화 서비스에 가입된 자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회사, 사무소, 고객센터등에 설치된 일반 유선 전화기로 호 발신을 시도하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사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선 전화기를 대상으로 하는 자(개인, 회사)들도 가입이 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착안은 많은 기업체들이 자사를 홍보하고 제품을 광고 하는데 있어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0071893호는 발신자(개인)가 광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를 위주로 하고 있고 링백톤에 한정되므로,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전술한 본 발명의 착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당업자가 이로부터 본 발명의 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이 용이하지가 않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92089호는 착신자가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이나 착신자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로 한정하고 있어(물론, 링백톤에 한정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전술한 본 발명의 착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당업자가 이로부터 본 발명의 착안을 도출해 내는 것이 용이하지가 않다.
다른 한편,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제조되지가 않았다. 이는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 모뎀 칩이 서킷망과 패킷망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지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만간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예:퀄컴사에서 제조한 무선 모뎀 칩이 탑재된)는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앞으로 출시될 동시 접속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하여, 가입자에게 새롭고 경쟁력 있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조만간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예:퀄컴사에서 제조한 무선 모뎀 칩이 탑재된)가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는 점에 착안하여, 가입자에게 새롭고 경쟁력 있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전화 통화 과정에 있어서, 정지영상/동영상/사진/애니메이션/그래픽/음원 신호등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플레이 될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전화 통화 과정(링백톤 및 전화통화상태)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전화 통화 과정(링백톤 및 전화통화상태)에 있어서,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교환기와 발신 교환기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대체한 가청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재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발신 교환기의 호 연결 요청 단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유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제공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선 전화기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여, 유선 전화기 가입자가 신청한 자사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멀티미디어로 플레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구현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와 발신 교환기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가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통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가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통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해당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광고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해당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해당 착신 교환기 간의 공지의 착신호 설정 절차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광고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해당 착신 교환기 간의 공지의 착신호 설정 절차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광고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공지의 링백톤을 송신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착신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링백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착신 가입자가, 일반 전화 가입자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중계되어 전송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통화로 연결이 절단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착신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착신 가입자가, 일반 전화 가입자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중계되어 전송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공지의 링백톤을 송신하는 시점에서 지능망 교환기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상기 지능망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지능망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링백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통화로 연결이 절단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착신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망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수행되는 착신호 설정 절차의 일 예이고, 도 2는 유선 전화망과 착신 유선 단말기간에 수행되는 착신호 설정 절차의 일 예이다.
상기 도 1과 도 2는 착신 교환기와 착신 단말기 간의 착신호 절차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지된 기술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교환기(101)가 예컨대, 발신 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ISU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IAM 신호가 됩니다)를 수신하면, 착신 교환기(101)와 착신 기지국(103)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간에는 예컨대 107 단계 내지 131 단계가 수행되며, 착신 교환기(101)는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ISU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ACM 신호가 됩니다)를 예컨대 발신 교환기로 송신하며, 링백톤(Ring Back Tone)을 발신 단말기측으로 송출한다(133).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착신 교환기(101)가 착신 기지국(103)과 연동하여 해당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를 페이징(149 참조)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까지의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151 참조)는 의미는, 예컨대 107 단계 내지 131 단계가 수행되는 데 있어서 착신 교환기(101)의 관점에서 표현한 것이다.
한편, 착신 기지국(103)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간에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되었으므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 자체에 저장된 벨소리를 재생할 것을 착신 기지국(103)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135). 그러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상기 요구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의미의 MS Ack Order(137)를 착신 기지국(103)으로 송신하고, 자체에 저장된 벨소리를 착신 벨소리로써 재생하게 된다(138).
착신 기지국(103)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로부터 Connect Order 메시지를 수신하면(139), BS Ack Order 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송신하며(141), Connect Order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101)로 송신한다(143).
그러면, 착신 교환기(101)는 통화 연결 응답 신호(ISU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ANM 신호가 됩니다)를 예컨대 발신 교환기로 송신하고, 링백톤 송출을 중단한다(145).
그리고, 착신 교환기(101)는 예컨대 발신 교환기와 연동하여 통화로를 연결한다(147).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착신 교환기(201)가 예컨대, 발신 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ISU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IAM 신호가 됩니다)를 수신하면(205), 착신 교환기(201)는 착신 유선 전화기(203)가 벨이 울리도록 하고(207), 착신 교환기(201)는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ISU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ACM 신호가 됩니다)를 예컨대 발신 교환기로 송신하며, 링백톤(Ring Back Tone)을 발신 단말기측으로 송출한다(209).
그리고, 착신 교환기(201)는 예컨대 발신 교환기와 연동하여 통화로를 연결한다(215).
그리고, 착신 교환기(201)는 착신 유선 전화기(203)로부터 착신자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211), 착신 교환기(201)는 통화 연결 응답 신호(ISUP 프로토콜의 경우에는 ANM 신호가 됩니다)를 예컨대 발신 교환기로 송신하고, 링백톤 송출을 중단한다(213).
상기 도 1과 도 2의 호 설정 절차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일 예로써 도시한 각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절차도 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307)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가 착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315), 발신 교환기(309)가 착신 교환기(313)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319); 상기 착신 교환기(313)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기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로 송신하는 단계(323);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305)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로 송신하는 단계(331);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도시하지 않음), 상기 착신 교환기(313)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3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335);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337); 및 상기 착신 교환기(313)와 발신 교환기(309)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3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발신 교환기(309)는 이동통신 단말기(307)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착신 교환기(313)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311)로 문의하게 되는데(317 참조), 이때, 발신 교환기(309)는 예컨대 착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착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합니다). HLR(311)에는 모든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HLR(3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여부가 저장된다.
발신 교환기(309)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해당 착신 교환기(313)로 송신하게 되는데(319), 이때, 발신 교환기(309)는 착신자가 서비스에 가입한 자임을 알리는 정보를 착신 교환기(313)로 송신할 수가 있다. 부연하면, 발신 교환기(309)는 ISUP 통신 프로토콜에 규정된 IAM 신호에 착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자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특별코드를 더 붙여서 송신할 수가 있다.
착신 교환기(313)는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319 참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한다. 착신 교환기(313)와 착신 단말기 간의 통상의 착신호 절차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착신 교환기(313)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로 송신한다(323).
한편, 참조부호 321 단계는 착신 교환기(313)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하는 통상의 신호 송신 절차이다.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323 참조)하기 전에, 착신 교환기(313)가 321 단계를 수행하나, 착신 교환기(313)는 상기 321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323 단계를 수행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링백톤에 대응되는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307)에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착신 교환기(313)는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통신 채널이 설정된 후 착신 기지국(103)으로부터 (채널)할당이 완료되었다는 신호(상기 도 1의 131 참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착신 유선 전화기(203)가 통화 상태가 아님을 확인하고 전화벨이 울리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상기 도 2의 207 참조)한 후에,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 교환기(313)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는 예를 들어, NO 7 프로토콜 신호 라인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323 참조),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305)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로 송신한다(331).
상기 331 단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당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331 단계를 구현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331 단계를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킷망 접속 버튼이 눌러지거나 또는 전원이 켜지면 자동적으로, 기지국(예: 기지국 전송 시스템(901), 기지국 제어기(903))에 마련되는 패킷망 장비(예:AP(909), APC(911))를 통해서 PDSN(Packet Data Serving Node)(919)에 접속한다. 그러면, PDSN(919)은 라우터(921)를 통해 인증서버(923)로 라우팅을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등을 검사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정상적이면, PDSN(911)은 IP를 할당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 IP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고 패킷망을 통한 서비스 이용은 이 IP를 기반으로 이루어 진다. 이렇게 패킷망에 접속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아이콘 클릭하면, 도메인 서버(925)를 통해 URL을 획득하여 해당 서비스 서버로 연결되어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장소로 이동해서 FA(Foreign Agent)(상기 도 9에 도시하지 않음)에 등록하게 되면, FA는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임시 IP를 할당한다. 즉, PDSN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IP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920)는 라우터(921), PDSN(919), APC(911) 및 AP(909)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라우터(921), PDSN(919), APC(911) 및 AP(909)가 패킷망 연동 시스템(910)이 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착신 교환기(313)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도 1의 143단계와 상기 도 2의 211 단계에 대응됩니다), 착신 교환기(313)는 멀티미디어 서버(3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335).
한편, 참조부호 333 단계는 착신 교환기(313)가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에 대응하여, 발신 교환기(309)로 응답하는 통상의 신호 송신 절차이다.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종료 신호를 송신(335 참조)하기 전에, 착신 교환기(313)가 333 단계를 수행하나, 착신 교환기(313)는 상기 333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335 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상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335 참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한다(337).
이후에, 착신 교환기(313)와 발신 교환기(309)는 통화로를 연결한다(339).
호 설정 절차에 있어서, 발신 교환기(309)와 착신 교환기(313) 간에 통화로를 연결하는 동작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백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는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305)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에 구예받지 않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는,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개선과,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무선 전송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진, 멀티미디어 동영상, 그림, 애니메이션, 게임, 벨소리, 음원 데이터등과 같은 각종 무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이미 성행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대체한 가청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재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가 상기 착신 교환기(313)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32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301)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325);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301)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9)로 송신하는 단계(327);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305)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와 접속하는 단계(3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로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의 일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301)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307)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소의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 이른바, 왑-푸쉬 서비스가 널리 성행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된 341 단계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이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이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도 3과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신 교환기(409, 상기 도 3의 발신 교환기(309)에 대응됩니다)의 호 연결 요청 단계(419, 상기 도 3의 319단계에 대응됩니다)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07, 상기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307)에 대응됩니다)가 착신 유선 단말기(상기 도 4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도 3의 착신 단말기와 대응됩니다)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419), 상기 발신 교환기(409)가 해당 착신 (유선)교환기(417)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419)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417)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427/429, 상기 도 3의 323단계에 대응됩니다)가, 상기 착신 교환기(417)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상기 도 4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제공 유선부 서버(415)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로 송신하는 단계(429/429)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417)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 송신 단계(441/443, 상기 도 3의 335단계에 대응됩니다)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유선부 서버(415)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로 송신하는 단계(441, 44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교환기(409)는 이동통신 단말기(407)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신호가 수신되면(419), 해당 착신 교환기(417)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411)로 문의한다. 이때부터, 발신 교환기(409)와 착신 교환기(417)는 서로 간에 연동하여 통상의 호 착신 설정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423, 425, 439, 447단계 참조).
이때, 유/무선 관문국(413)은 이동통신망의 발신 교환기(409)와 일반 전화망의 착신 교환기(417)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이동통신망과 일반 전화망 사이에서, 유/무선 관문국(413)의 동작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착신 교환기(417)는 발신 교환기(409)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423), 착신 교환기(417)는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착신 교환기(417)가 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 예컨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착신 교환기(417)는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착신 교환기(417)가 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의 식별정보가 더 저장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식별정보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 교환기(417)는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415)로 송신한다(427).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415)는 유선 전화망의 각 교환기와 연결되며, 교환기(417)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으로 전달한다(429).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415)는 유선 전화망측(즉, 착신 교환기(417))에서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로 서비스 요청 신호,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등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착신 교환기(417)와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415)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요청 신호의 전달을 위한 기술적 구성과,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415)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 사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요청 신호의 전달을 위한 기술적 구성은 널리 공지된 일반적인 통신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가능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429 참조),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505)을 통하여,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07)로 송신한다(437).
상기 437 단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당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437 단계를 구현할 수가 있다.
한편, 착신 교환기(417)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상기 도 4에 도시하지 않음), 착신 교환기(417)는 멀티미디어 제공 유선부 서버(415)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버(4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41, 443).
상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443 참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한다(445).
이후에, 착신 교환기(417)와 발신 교환기(409)는 통화로를 연결한다(447).
물론, 상기 도 3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가 상기 착신 교환기(417)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429),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401)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431);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401)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09)로 송신하는 단계(433);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403)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405)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07)와 접속하는 단계(4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3에서 미설명된 341 단계와 상기 도 4의 449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는 통상의 링백톤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307, 407)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이 중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 교환기(313, 417)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0, 4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335, 441/443),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 403)가 이동통신 단말기(307, 407)로 신호 송신을 종료하게 된다(337, 445). 이러한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 종료를 위한 절차가 네트워크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예가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07, 407)가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을 종료할 수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307, 407)는 자체적으로 통화가 연결되는 시점을 인식할 수가 있다(339, 437단계 참조). 따라서, 이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307)는 멀티미디어 신호의 송신 종료를 요구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303)로 송신한다(341, 449).
이런 경우, 상기 335(443) 단계와 337(445) 단계는 생략 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307, 407)에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즉 멀티미디어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약간의 프로그램이 추가가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절차도 이다. 이하,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507)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가 착신 단말기(상기 도 5에 도시하지 않음)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515), 발신 교환기(509)가 착신 교환기(513)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519); 상기 착신 교환기(513)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상기 도 5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발신 교환기(509)와 착신 교환기(513)가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519, 521, 523, 525 참조); 상기 착신 교환기(513)가,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로 송신하는 단계(527);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505)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로 송신하는 단계(535);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513)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543);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5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교환기(509)는 이동통신 단말기(507)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신호가 수신되면(515), 해당 착신 교환기(513)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511)로 문의하며(517 참조), 이때, 발신 교환기(509)는 예컨대 착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착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합니다). HLR(511)에는 모든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HLR(5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여부가 저장된다.
발신 교환기(509)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해당 착신 교환기(513)로 송신하게 되는데(519), 이때, 발신 교환기(509)는 착신자가 서비스에 가입한 자임을 알리는 정보를 착신 교환기(513)로 송신할 수가 있다.
착신 교환기(513)는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519 참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인지한다(상기 도 5에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착신 교환기(513)는 발신 교환기(509)와 연동하여,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한다.(519, 521, 523, 525 참조).
참조부호 521 단계는 착신 교환기(513)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519 참조)에 대응하여 응답하는 통상의 신호 송신 절차이다.
참조부호 523 단계는 착신 교환기(313)가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상기 도 5에 도시하지 않음), 통화로 연결을 위해 발신 교환기(509)로 송신하는 통상의 신호 송신 절차이다.
참조부호 525 단계는 착신 교환기(313)와 발신 교환기(509)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통상의 절차이다.
그리고, 착신 교환기(513)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로 송신한다(527).
착신 교환기(513)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는 예를 들어, NO 7 프로토콜 신호 라인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527 참조),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505)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로 송신한다(535).
상기 535 단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535 단계를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착신 교환기(313)는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543).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전화를 끊으면, 착신 교환기(513)와 발신 교환기(509)는 통상의 호 절단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착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런 경우, 착신 교환기(513)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를 끊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다(상기 도 5에 도시하지 않음). 그러면, 착신 교환기(513)는 호 절단 요청 신호를 발신 교환기(509)로 송신한다(537). 이동통신 단말기(507)의 사용자도 전화를 끊게 되면, 발신 교환기(509)는 호 절단 확인 신호를 착신 교환기(513)로 송신한다(541).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는 경우의 호 절단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통화상태가 해제되면, 착신 교환기(513)는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로 송신한다(543).
상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543 참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한다(545).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통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는,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개선과,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무선 전송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진, 멀티미디어 동영상, 그림, 애니메이션, 게임, 벨소리, 음원 데이터등과 같은 각종 무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이미 성행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대체한 가청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재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가 상기 착신 교환기(513)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527),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1)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529);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1)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9)로 송신하는 단계(531);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505)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와 접속하는 단계(5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로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의 일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1)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507)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소의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 이른바, 왑-푸쉬 서비스가 널리 성행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된 547 단계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이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이다. 이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신 교환기(609, 상기 도 5의 발신 교환기(509)에 대응됩니다)의 호 연결 요청 단계(623, 상기 도 5의 519단계에 대응됩니다)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607, 상기 도 5의 이동통신 단말기(507)에 대응됩니다)가 착신 유선 단말기(상기 도 6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도 5의 착신 단말기와 대응됩니다)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619), 상기 발신 교환기(609)가 해당 착신 (유선)교환기(617)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623)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617)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631/633, 상기 도 5의 527단계에 대응됩니다)가, 상기 착신 교환기(617)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상기 도 6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6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제공 유선부 서버(615)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로 송신하는 단계(631, 633)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617)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 송신 단계(649/651, 상기 도 5의 543단계에 대응됩니다)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유선부 서버(615)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로 송신하는 단계(649, 65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교환기(609)는 이동통신 단말기(607)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신호가 수신되면(619), 해당 착신 교환기(617)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611)로 문의한다. 이때부터, 발신 교환기(609)와 착신 교환기(617)는 서로 간에 연동하여 통상의 호 착신 설정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623, 625, 627, 629 단계 참조).
이때, 유/무선 관문국(613)은 이동통신망의 발신 교환기(609)와 일반 전화망의 착신 교환기(617)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이동통신망과 일반 전화망 사이에서, 유/무선 관문국(413)의 동작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착신 교환기(617)는 발신 교환기(609)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623), 착신 교환기(617)는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착신 교환기(617)가 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 예컨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착신 교환기(617)는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착신 교환기(617)가 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의 식별정보가 더 저장될 수가 있다.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식별정보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 교환기(617)는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착신 교환기(617)와 발신 교환기(609)가 통화로를 연결한 시점에서,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6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615)로 송신한다(631).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615)는 유선 전화망의 각 교환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교환기(617)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으로 전달한다(63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615)는 유선 전화망측(즉, 착신 교환기(617))에서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로 서비스 요청 신호,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등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착신 교환기(617)와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615)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요청 신호의 전달을 위한 기술적 구성과,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615)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 사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요청 신호의 전달을 위한 기술적 구성은 널리 공지된 일반적인 통신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633 참조),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605)을 통하여,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607)로 송신한다(641).
상기 641 단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당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641 단계를 구현할 수가 있다.
착신 교환기(617)는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615)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649, 651).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전화를 끊으면, 착신 교환기(617)와 발신 교환기(609)는 통상의 호 절단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착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런 경우, 착신 교환기(617)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를 끊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다(상기 도 6에 도시하지 않음). 그러면, 착신 교환기(617)는 호 절단 요청 신호를 발신 교환기(609)로 송신한다(643). 이동통신 단말기(607)의 사용자도 전화를 끊게 되면, 발신 교환기(609)는 호 절단 확인 신호를 착신 교환기(617)로 송신한다(647).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는 경우의 호 절단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통화상태가 해제되면, 착신 교환기(617)는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615)를 통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로 송신한다(649, 651).
상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651 참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한다(653).
물론, 상기 도 5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가 상기 착신 교환기(617)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631, 63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601)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635);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601)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607)로 송신하는 단계(637);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603)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605)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607)와 접속하는 단계(6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5에서 미설명된 547 단계와 상기 도 6의 655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에,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플레이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상태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이 중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착신 교환기(513, 617)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 6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543, 649/651),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 603)가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로 신호 송신을 종료하게 된다(545, 653). 이러한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 종료를 위한 절차가 네트워크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예가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가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을 종료할 수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는 자체적으로, 통화 상태가 해제되는 시점을 인식할 수가 있다(539, 645단계 참조). 따라서, 이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는 멀티미디어 신호의 송신 종료를 요구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503, 603)로 송신한다(547, 655).
이런 경우, 상기 543(649, 651) 단계는 생략 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507, 607)에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즉 멀티미디어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약간의 프로그램이 추가가 필요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이다. 이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707)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가 착신 단말기(상기 도 7에 도시하지 않음)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717), 발신 교환기(709)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713)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721); 상기 지능망 교환기(713)가 해당 착신 교환기(715)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723); 상기 지능망 교환기(713)가 상기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725), 상기 지능망 교환기(713)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송신하는 단계(729);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707)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705)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로 송신하는 단계(737);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수신되면(739), 상기 지능망 교환기(713)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743);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745); 및 상기 지능망 교환기(713)가 상기 발신 교환기(709)와 착신 교환기(715)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74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교환기(709)는 이동통신 단말기(707)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착신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711)로 문의하게 되는데(719 참조), 이때, 발신 교환기(709)는 예컨대 발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HLR(711)에는 모든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HLR(7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링백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여부가 저장된다.
발신 교환기(709)는 상기 HLR(711)로부터 제공받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서 지능망 교환기(713)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721).
지능망 교환기(713)는 발신 교환기(709)와 착신 교환기(715) 사이에서 통상의 호 설정 절차에 필요한 신호를 중계한다. 즉, 지능망 교환기(713)는 발신 교환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721), 지능망 교환기(713)는 착신 교환기(715)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723). 또한,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721 참조)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725), 지능망 교환기(713)는 상기 착신 교환기(715)로부터의 응답신호(725 참조)를 발신 교환기(709)로 중계한다(727).
또한, 지능망 교환기(713)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수신되면(739), 상기 신호(739)를 발신 교환기(709)로 중계한다(741).
또한, 지능망 교환기(713)는 상기 발신 교환기(709)와 착신 교환기(715)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한다(747).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가입자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709)와 착신 교환기(715) 사이에 지능망 교환기(713)를 두어 호 설정 절차를 중계하도록 하는 기법은, 본 발명의 출원되기 이전에 간행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0-71893호(도 4 참조)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지능망 교환기(713)의 이러한 호 설정 절차를 중계하는 동작 그 자체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능망 교환기(713)는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721 참조)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725), 지능망 교환기(713)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송신한다(729).
지능망 교환기(713)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는 예를 들어, NO 7 프로토콜 신호 라인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729 참조),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705)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로 송신한다(737).
상기 737 단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당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737 단계를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739), 지능망 교환기(713)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743).
상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743 참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한다(745).
이후에, 지능망 교환기(713)는 착신 교환기(715)와 발신 교환기(709) 사이에 통화로를 연결한다(747).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는,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개선과,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무선 전송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진, 멀티미디어 동영상, 그림, 애니메이션, 게임, 벨소리, 음원 데이터등과 같은 각종 무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이미 성행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대체한 가청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재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713)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729),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701)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731);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701)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로 송신하는 단계(733);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705)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와 접속하는 단계(7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로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의 일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701)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707)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소의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 이른바, 왑-푸쉬 서비스가 널리 성행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미설명된 참조부호 749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는 통상의 링백톤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707)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이 중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신 교환기(715)로부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지능망 교환기(713)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743),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가 이동통신 단말기(707)로 신호 송신을 종료하게 된다(745). 이러한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 종료를 위한 절차가 네트워크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예가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707)가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을 종료할 수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707)는 자체적으로, 통화가 연결되는 시점을 인식할 수가 있다(747 단계 참조). 따라서, 이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707)는 멀티미디어 신호의 송신 종료를 요구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703)로 송신한다(749).
이런 경우, 상기 743 단계와 745 단계는 생략 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707)에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즉 멀티미디어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약간의 프로그램이 추가가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이다. 이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807)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가 착신 단말기(상기 도 8에 도시하지 않음)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817), 발신 교환기(809)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813)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821); 상기 지능망 교환기(813)가 상기 발신 교환기(809)와 해당 착신 교환기(815) 간의 공지의 착신호 설정 절차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809)와 착신 교환기(815)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823, 825, 827, 829, 831, 833); 상기 지능망 교환기(813)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송신하는 단계(835);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807)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805)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로 송신하는 단계(843);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813)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85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 교환기(809)는 이동통신 단말기(807)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신호가 수신되면(817), 해당 착신 교환기로의 라우팅 정보를 찾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811)로 문의하게 되는데(819 참조), 이때, 발신 교환기(809)는 예컨대 발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HLR(811)에는 모든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HLR(8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여 각 이동통신 가입자들의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여부가 저장된다.
발신 교환기(809)는 상기 HLR(711)로부터 제공받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서 지능망 교환기(813)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821).
지능망 교환기(813)는 발신 교환기(809)와 착신 교환기(815) 사이에서 통상의 호 설정 절차 및 호 절단 절차에 필요한 신호를 중계한다. 즉, 지능망 교환기(813)는 발신 교환기(809)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821), 지능망 교환기(813)는 착신 교환기(815)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823). 또한, 착신 교환기(815)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821 참조)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825), 지능망 교환기(813)는 상기 착신 교환기(815)로부터의 응답신호(825 참조)를 발신 교환기(809)로 중계한다(827).
또한, 지능망 교환기(813)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착신 교환기(815)로부터 수신되면(829), 상기 신호(829)를 발신 교환기(809)로 중계한다(831).
또한, 지능망 교환기(813)는 상기 발신 교환기(809)와 착신 교환기(815)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한다(833).
또한, 지능망 교환기(813)는 착신 교환기(815)로부터의 호 절단요청 신호(845 참조)를 발신 교환기(809)로 중계하고(847), 발신 교환기(809)로부터의 호 절단확인 신호(851)를 착신 교환기(815)로 중계한다(853).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가입자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809)와 착신 교환기(815) 사이에 지능망 교환기(813)를 두어 호 설정 절차와 호 절단 절차를 중계하도록 하는 기법은, 본 발명의 출원되기 이전에 간행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0-71893호(도 4 참조)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지능망 교환기(813)의 이러한 호 설정 절차를 중계하는 동작 그 자체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지능망 교환기(813)는 상기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833 참조)에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송신한다(835). 지능망 교환기(813)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는 예를 들어, NO 7 프로토콜 신호 라인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835 참조),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805)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로 송신한다(843).
상기 843 단계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당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843 단계를 구현할 수가 있다.
지능망 교환기(813)는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855).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전화를 끊으면, 착신 교환기(815)와 발신 교환기(809)는 통상의 호 절단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지능망 교환기(813)는 공지의 호 절단 절차 신호의 중계를 담당한다. 상기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착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런 경우, 지능망 교환기(813)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를 끊었음을 알리는 호 절단 요청 신호를 착신 교환기(815)로부터 수신한다(845). 그러면, 지능망 교환기(813)는 호 절단 요청 신호를 발신 교환기(809)로 중계한다(847).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사용자도 전화를 끊게 되면(849), 발신 교환기(809)는 호 절단 확인 신호를 지능망 교환기(813)로 송신하며(851), 그러면 지능망 교환기(813)는 상기 호 절단 확인 신호를 발신 교환기(809)로 중계한다(853).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는 경우의 호 절단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통화상태가 해제되면, 지능망 교환기(813)는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송신한다(855).
상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855 참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한다(857).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따라,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는,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개선과,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무선 전송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진, 멀티미디어 동영상, 그림, 애니메이션, 게임, 벨소리, 음원 데이터등과 같은 각종 무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이미 성행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대체한 가청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재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813)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83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801)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837);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801)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로 송신하는 단계(839);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805)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와 접속하는 단계(8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 양상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로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의 일 예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801)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807)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주소의 해당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 이른바, 왑-푸쉬 서비스가 널리 성행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에 해당되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미설명된 참조부호 859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에,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플레이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807)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상태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이 중단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지능망 교환기(813)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851),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가 이동통신 단말기(807)로 신호 송신을 종료하게 된다(857). 이러한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 종료를 위한 절차가 네트워크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예가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807)가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을 종료할 수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807)는 자체적으로, 통화 상태가 해제되는 시점을 인식할 수가 있다(849단계 참조). 따라서, 이 시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807)는 멀티미디어 신호의 송신 종료를 요구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803)로 송신한다(859).
이런 경우, 상기 851 단계는 생략 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807)에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즉 멀티미디어 신호의 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약간의 프로그램이 추가가 필요하다.
도 10은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간의 프로토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VOD 플레이어와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하는 소정의 서버간의 프로토콜 절차는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에 해당한다.
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URL 접속을 하는 상황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VOD 플레이어(1001)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에 접속을 하면(1005),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는 전송할 컨텐츠의 정보를 VOD 플레이어로 송신한다(1007). 그러면, VOD 플레이어(1001)는 셋업 명령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로 송신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는 응답신호를 VOD 플레이어(1001)로 송신한다(1011).
VOD 플레이어(1001)는 플레이 명령을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로 송신한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VOD 플레이어(1001)로 송신한다(1015).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의 종료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먼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가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것이다. 즉,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가 착신 교환기 또는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상기 도 10에 도시하지 않음),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며(1017), 이에 따라 VOD 플레이어(1001)는 신호 송신 종료에 대한 응답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로 송신한다(1019).
다음으로, VOD 플레이어(1001)가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을 종료하는 것이다. 즉, VOD 플레이어(1001)가 통화상태 진입 또는 통화상태 해제를 인지하면(상기 도 10에 도시하지 않음), 멀티미디어 신호 수신을 종료하며(1021),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003)는 신호 수신 종료에 대한 응답신호를 VOD 플레이어(1001)로 송신한다(1023).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는 링백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와 통화중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로 구분되며, 상기 각 서비스는 착신 가입자 서비스와 발신 가입자 서비스로 나뉘어 질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는 통신부(1117)와 제어부(1119)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DB(1121) 및 고객관리 DB(1123)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통신부(1117)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P 서버(1115)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113)를 통해 CP 서버(1115)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7)는 통신사 고객관리 서버(1111)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면, 각 가입자들을 위해 통신망(이동통신망, 일반 전화망)의 해당 구성요소(예:HLR, 착신 교환기, 지능망 교환기등)들의 해당되는 동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통신사 고객관리 서버(1111)에는 가입자들의 정보가 입력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신부(1117)는 통신사 고객관리 서버(1111)와 연결되어 각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를 수신할 수가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통신부(1117)에 웹서버 기능이나 ARS 기능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들로부터 직접 가입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상기 도 11에 도시하지 않음).
또한, 통신부(1117)는 이동통신 단말기(상기 도 11에 도시하지 않음)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패킷망 연동 시스템(1117)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URL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통신부(1117)는 단문 메시지 센터(1109)와 연결될 수 있다.
착신 가입자가 발신자에게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하는 착신 가입자 서비스의 경우에는, 통신부(1117)는 착신 교환기(1101)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일반 전화망의 착신 가입자를 위해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1103)와 연결될 수 있다. 멀티 미디어 유선부 서버(1103)는 유선 전화망 사업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사업화 하고자 하는 업체에 의해 설치될 수가 있다.
또한 발신 가입자가 자신에게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하는 발신 가입자 서비스의 경우에는, 통신부(1117)는 지능망 교환기(1105)와 연결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DB(1121)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에는 링백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또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저장된다.
고객관리 DB(1123)에는 가입 정보로서, 착신 가입자 서비스를 위해 착신자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착신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의 식별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식별정보는 고객관리 DB(1123)에 저장되지 않고 통신망측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착신자가 지정한 발신자 식별정보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당 발신자에게만 착신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를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발신자별로 멀티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발신자에게 특정 멀티미디어를 서비스 할 수 있다.
또한, 고객관리 DB(1123)에는 가입 정보로서, 발신 가입자 서비스를 위해 발신자 식별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발신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의 식별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식별정보는 고객관리 DB(1123)에 저장되지 않고 통신망측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에 구비되는 제어부(111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서버(1125)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CP 서버(1115)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DB(1121)에 저장한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고객관리 DB(1123)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공지의 링백톤을 송신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1101)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패킷망 연동 시스템(1107)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1101)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19)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9)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착신 가입자는 일반 전화 가입자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1101)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는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1103)를 통해 중계되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로 전송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1101)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패킷망 연동 시스템(1107)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상기 통화로 연결이 절단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1101)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19)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9)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착신 가입자는 일반 전화 가입자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1101)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는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1103)를 통해 중계되어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로 전송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공지의 링백톤을 송신하는 시점에서 지능망 교환기(1105)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패킷망 연동 시스템(1107)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1101)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19)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9)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지능망 교환기(1105)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패킷망 연동 시스템(1107)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제어부(1119)는 통신부(1117)를 통해, 통화로가 해제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1101)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19)는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1125)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단문 메시지 센터(1109)에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대체한 가청음으로 한정되지 않고 현재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에서는 더 많은 회원을 유치시키고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유선 전화기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여, 유선 전화기 가입자가 신청한 자사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멀티미디어로 플레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구현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통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나 유선 전화기 가입자(회사등)를 대상으로 하여, 착신 가입자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통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음성 통화 호 설정 도중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링백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또한, 음성 통화 상태의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시에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할 수가 있어 기존에 음성통화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와는 차별되며, 종래와 같이 링백톤을 사용하여 가청음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가 있으며, 이때 공지의 패킷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구현에 어려움이 없으며, 광고주가 설정한 자사(신)의 홍보나 특정 제품의 광고등이 멀티미디어로 발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플레이 되도록 하여, 특정 개인(발신 가입자)을 타겟으로 하여 광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망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수행되는 착신호 설정 절차의 일 예.
도 2는 유선 전화망과 착신 유선 단말기간에 수행되는 착신호 설정 절차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절차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절차도.
도 9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전송하는 망 구성도의 일 예.
도 10은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간의 프로토콜의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

Claims (34)

  1.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교환기와 발신 교환기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신 교환기의 호 연결 요청 단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유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5.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와 발신 교환기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신 교환기의 호 연결 요청 단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유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9.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가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신 교환기의 호 연결 요청 단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유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가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설정한 해당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발신 교환기의 호 연결 요청 단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유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이고;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간에 통상의 착신호 절차를 수행하되,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 송신 단계가,
    상기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7.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해당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0.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해당 착신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링백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에 응답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3.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해당 착신 교환기 간의 공지의 착신호 설정 절차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통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서비스 종료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6. 음성통화 채널과 패킷 통신 채널을 동시에 설정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발신을 하면, 발신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해당하면, 해당 지능망 교환기로 음성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와 해당 착신 교환기 간의 공지의 착신호 설정 절차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교환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패킷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에 해당하는 통화중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종료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정지영상,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음원 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지능망 교환기로부터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단문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 주소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29.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공지의 링백톤을 송신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착신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링백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일반 전화 가입자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중계되어 전송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
  31.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통화로 연결이 절단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착신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착신 가입자가,
    일반 전화 가입자이며;
    상기 착신 교환기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전용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유선부 서버를 통해 중계되어 전송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
  33.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공지의 링백톤을 송신하는 시점에서, 착신 교환기와 발신 교환기 사이의 신호 송신을 중계하는 지능망 교환기로부터의 링백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상기 지능망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지능망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링백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링백 멀티미디어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서버.
  34.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의 신호 전송을 중계하는 지능망 교환기로부터의 통화중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발신 가입자가 지정한 해당 멀티미디어를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공지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통화로 연결이 절단되는 시점에서, 상기 지능망 교환기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 송신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송신을 종료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지능망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CP 서버로부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를 저장하는 상기 통화중 멀티미디어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
KR20030076061A 2003-10-29 2003-10-29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050040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6061A KR20050040605A (ko) 2003-10-29 2003-10-29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6061A KR20050040605A (ko) 2003-10-29 2003-10-29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605A true KR20050040605A (ko) 2005-05-03

Family

ID=3724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6061A KR20050040605A (ko) 2003-10-29 2003-10-29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0605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30A (ko) * 2004-01-17 2005-07-22 (주)디노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592049B1 (ko) * 2004-07-16 2006-06-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KR100608282B1 (ko) * 2004-04-13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646343B1 (ko) * 2004-07-12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 코덱 설정 방법 및시스템
KR100646376B1 (ko) * 2004-06-28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측 교환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69994B1 (ko) * 2004-12-29 2007-01-16 (주)제너시스템즈 상호 작용형 rb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04263B1 (ko) * 2005-08-03 2007-04-10 (주)제너시스템즈 3g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32321B1 (ko) * 2006-04-24 2007-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100742210B1 (ko) * 2004-06-24 2007-07-24 주식회사 유시드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7712B1 (ko) * 2006-02-07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10041322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 통화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US8103254B2 (en) 2004-06-28 2012-01-24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receiver-side switching center
KR101425230B1 (ko) * 2006-03-13 2014-11-04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30A (ko) * 2004-01-17 2005-07-22 (주)디노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608282B1 (ko) * 2004-04-13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742210B1 (ko) * 2004-06-24 2007-07-24 주식회사 유시드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46376B1 (ko) * 2004-06-28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측 교환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103254B2 (en) 2004-06-28 2012-01-24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receiver-side switching center
KR100646343B1 (ko) * 2004-07-12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 코덱 설정 방법 및시스템
KR100592049B1 (ko) * 2004-07-16 2006-06-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KR100669994B1 (ko) * 2004-12-29 2007-01-16 (주)제너시스템즈 상호 작용형 rb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04263B1 (ko) * 2005-08-03 2007-04-10 (주)제너시스템즈 3g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47712B1 (ko) * 2006-02-07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425230B1 (ko) * 2006-03-13 2014-11-04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100732321B1 (ko) * 2006-04-24 2007-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통화 시도 중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20110041322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 통화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3937B (zh) 与移动电话相关的间接通信系统和方法
JP3695563B2 (ja) データ網通信通話の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網通信通話処理用ネットワークノード
CN100531265C (zh) 一种在被叫用户终端上显示主叫信息的方法
KR100683026B1 (ko) 가상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2038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specifying and instantly transmitting and representing/displaying call data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85665A1 (en) Method and server/module for service configurations test
WO2010003352A1 (zh) 一种彩铃选择方法、系统及相关装置
KR20050040605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CA2454886A1 (en) Short text messaging-based incoming call termination control
US20030185203A1 (en) Integrated high bandwidth communications system
CN100455047C (zh) 一种实现被叫播放主叫定制的振铃媒体的方法
KR1005918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타 통신중의 음성통화 요청에 대한음성통신 전환 방법 및 그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0704828B1 (ko) 발신정보표시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US20020128003A1 (en) Telecommunication gateway between a private network and mobile network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100831034B1 (ko) 국제 로밍 컬러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528281B1 (ko) 다중 매체간의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08285B1 (ko) 화상전화 시도시 발신 그룹별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서비스 방법
KR100644391B1 (ko) 호 설정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4374A (ko) 홈 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5815B1 (ko)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61669B1 (ko) 화상 전화망에서의 대체 동영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