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007B1 -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007B1
KR100632007B1 KR1020030077792A KR20030077792A KR100632007B1 KR 100632007 B1 KR100632007 B1 KR 100632007B1 KR 1020030077792 A KR1020030077792 A KR 1020030077792A KR 20030077792 A KR20030077792 A KR 20030077792A KR 100632007 B1 KR100632007 B1 KR 10063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back tone
multimedia
tone
multimedia ringba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043A (ko
Inventor
김석범
홍성용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와이더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더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더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007B1/ko
Priority to PCT/KR2004/002841 priority patent/WO2005043926A2/en
Publication of KR2005004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링백톤을 대신하여 제공하는 통화연결대기 상태표시 정보의 형태를 다양화함으로써 호 착신자의 개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채널로 단시간 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무선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의 호 접속요구를 수신하면,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는지 여부와 착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고 착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 시스템은 발신단말기를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에 라우팅함으로써, 기계적인 링백톤 대신에 해당 착신가입자가 사전에 설정해놓은 텍스트나, 사진 또는 아바타와 같은 정지영상, 동영상, 음향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요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발신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여 발신단말기에서 이에 상응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재생되게 한다.
링백톤, 통화연결음, 통화대기음, 멀티미디어, 영상, 화상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Ringback Tone Substitute Multimedia}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데이터의 포맷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착신측 교환기에서의 기본 호상태모형(T_BCSM)의 일 예를 보여주는 상태천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 및 명세서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신단말기
12: 착신단말기
20: 무선통신 시스템
22, 28: 기지국
24: O_MSC/VLR(Originating Mobil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발신측 교환기)
26: T_MSC/VLR(Terminating Mobil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착신측 교환기)
30: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위치 등록기)
40: IP(Intelligence Peripheral, 지능형 주변장치)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의 호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단말기에 링백톤으로 착신자가 사전에 선택한 바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연결대기 상태표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망에서 발신자가 호를 발신하면, 착신단말기를 관장하는 교환기는 착신자의 응답이전에 발신단말기에 대해 통화연결음 즉, 링백톤(Ringback Tone)을 제공하게 된다. 최근에는 일정한 주파수와 단속주기를 갖는 획일적인 톤대신에 착신자가 사전에 선택한 대체음을 들려주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도 이동전화 가입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대체음을 선택하여 등록함으로써 자신에게 착신되는 호에 대해 해당 대체음이 발신자에게 제공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따르면, 각 서비스 이용자가 획일적인 톤 대신에 고유의 대체음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개성이 부각될 수 있고 발신자가 착신자의 응답 이전에 오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각 이용자에 대한 대체음이 컨텐츠 제공자들이 편집한 음원들의 조합에서 선택되기 때문에 동일한 대체음을 이용하는 사람이 다수 존재하는 것이 통례이어서 각 이용자의 개성이 극대화된다고 볼 수가 없다. 한편, 현재의 링백톤 대체음은 통상적인 링백톤과 마찬가지로 소리 형태로 착신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발신자는 단말기 스피커를 계속 자신의 귀에 대고 대기해야 하는데 이러한 상태는 발신자 입장에서 통상적인 링백톤 수신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링백톤 대체음에 비주얼(Visual)한 요소를 도입하기 위해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데이터를 발신단말기에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존에 설정된 회선자원을 해제하고 다시 패킷 자원을 할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고 시스템 내에서 시간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도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링백톤을 대신하여 제공하는 통화연결대기 상태표시 정보의 형태를 다양화함으로써 호 착신자의 개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회선자원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시스템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구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발신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은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교환시스템을 구비하며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의 호 접속요구를 수신하면,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는지 여부와 착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고 착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 시스템은 발신단말기를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에 라우팅함으로써, 기계적인 링백톤 대신에 해당 착신가입자가 사전에 설정해놓은 텍스트나, 사진 또는 아바타와 같은 정지영상, 동영상, 음향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요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발신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여 발신단말기에서 이에 상응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재생되게 한다. 이후, 착신단말기가 응답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의 재생이 중단되고,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 간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정상통화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는 발신가입자가 착신가입자에게 전화를 시도한 후 발신단말기와 교환시스템 간에 할당되는 유무 선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즉,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음성호경로 이외의 별도 채널을 할당하는 대신에, 발신단말기 및 교환시스템간에 형성되는 음성호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가 발신단말기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호경로를 통해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와 음성호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중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가 짧은 시간 내에 발신단말기에 제공되어 영상이 자연스럽게 재생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을 구비한 발신단말기로부터 호접속 요구가 수신되는 때에는 교환시스템이 통상적인 음성호에 비해 넓은 대역폭을 해당 호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발신단말기로부터의 자원할당을 요구받은 기지국은 교환시스템과의 유선자원 할당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는 기종인지를 판단한 후, 재생능력 유무에 따라 채널 모드를 달리하여 재생능력이 없는 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 요구에 대해서는 음성통신에 적합한 통상적인 음성 모드(Voice Mode)의 유선자원을 할당하되 재생능력이 있는 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 요구에 대해서는 상기 음성 모드(Voice Mode)보다 용량이 큰 음성/데이터 모드(SVM Mode)의 유선자원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신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는 패킷 타입 식별자를 토대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패킷을 인식하고 이 데이터에 포함된 각 멀티미디어 요소를 구분하여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적재되어 실행 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서버 시스템은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텍스트,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와 음향이 결합된 형태로 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해둔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호접속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서버 시스템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 형성된 호경로를 통해 발신자에게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용자가 발신자로부터의 호에 응답하는 경우,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호해제 요청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호를 종료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음성 채널에 적합한 형태로 포맷팅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식별자를 부가하여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신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구성하는 멀티미디어 요소들에 대한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서버 시스템은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 이터를 무선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무선통신 시스템(20)은 ARIB, CWTS, ETSI, T1, TTA, TTC 등이 참여한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2002년 12월 발표한 "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CAMEL) Phase 4, CAMEL Application Part (CAP) Specification (Release 5)"에 규정된 규약이 적용되는 GSM 시스템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표준과 관계없이 그리고 CAMEL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여타의 시스템에서도 이를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무선통신 시스템(20)은 발신단말기(10)가 착신단말기(20)로 전화를 시도할 때, 발신단말기(10)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할 수 있는 기종이고 착신단말기(12)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착신단말기(20)가 응답할 때까지 발신단말기(10)에 대해서 통상적인 링백톤 대신에 착신단말기(20)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라 함은 '음향', '텍스트', 착신자의 아바타나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짧은 '동영상', 또는 이들의 결합을 말한다.
도 1의 무선통신 시스템(20)에 있어서, 기지국(22)은 발신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향 트래픽신호를 복조하여 발신측 교환기(24)에 제공하며, 발신측 교환기(24)로부터의 하향 트래픽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발신단말기(10)에 제공한다. 무선통신 시스템(20)이 2G 혹은 2.5G 시스템인 경우 기지국(22)과 발신측 교환기(24) 간의 최초 유선 자원할당 흐름은 IS-95 계열의 규격을 따르며, 무선통신 시스템(20)이 3G 시스템인 경우 기지국(22)과 발신측 교환기(24) 간의 최초 유선 자원할당 흐름은 AAL 시그널링 규격을 따른다. 기지국(28)는 마찬가지 방식으로 착신측 교환기(26)와 착신단말기(12)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한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단말기(10) 및 착신단말기(12) 각각에 대해서 하나의 교환기와 기지국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20)에는 다수의 교환기가 계층적으로 접속되고 기지국(28) 역시 다수가 설치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도 1에서 발신측 교환기(24) 및 착신측 교환기(26)의 역할이 서로 바뀔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교환기가 이 두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기지국 역시 마찬가지임을 유념해야 한다.
한편, HLR(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무선단말기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는 망내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갖는 레지스터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HLR(30)는 각 단말기에 대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가능 여부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여부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라우팅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발신측 교환기(24) 및 착신측 교환기(26)는 No.7 신호망을 매개하여 서로 접속되며, 아울러 HLR(30)에도 접속된다. 착신측 교환기(26)는 착신단말기(12)가 위치등록을 수행하면, 해당 단말기 위치정보를 HLR(30)에 등록하고, 이때 HLR(30)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여부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라우팅 정보를 받아들여 VLR에 저장해두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에 호가 착신될 때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게 된다. 도 1에는 발신측 교환기(24) 및 착신측 교환기(26)가 하나의 HLR(30)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교환기가 서로 다른 HLR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 32)는 No.7 신호망을 통해 착신측 교환기(26)에 접속되어, 착신측 교환기(26)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성 검사를 수행하고 라우팅정보 번역 등의 서비스 제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착신측 교환기(26)의 동작을 제어한다. 착신측 교환기(26)는 서비스 요구가 발생될 때마다 SCP(32)에 서비스 분석을 요구하고 라우팅정보를 번역하도록 한 후 SCP(32)의 제어 하에 모든 착신 호를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착신측 교환기(26)는 발신측 교환기(24)로부터 멀티미디어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단말기에 대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는 경우, 착신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Suspend)시킨 후, HLR(30)로부터 착신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라우팅 정보를 구한 후, 이 정보들을 SCP(32)로 제공한 후 SCP(32)로부터 서비스 제어를 받는다. 여기서, 착신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라우팅 정보는 사전에 착신자의 위치등록시 HLR(30)로부터 받아들여져 교환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인 VLR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신호는 통상적인 음성 호 신호와 마찬가지로 음성 채널을 통해 발신단말기(10)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음성호 신호와 대체음 데이터 신호를 음성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20)에서 음성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패킷에는 해당 패킷이 음성 패킷인지 데이터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패킷 타입 식별자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킷 타입 식별자는 별도의 태그 형태로 메시지 패킷에 추가될 수도 있고, 시스템 표준 프로토콜 상에서 여유분으로 마련되어 있는 필드들 중 어느 한 필드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대체음 데이터 신호에만 패킷 타입 식별자가 부가되고, 통상적인 음성신호에는 식별자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착신단말기에 대한 어드레싱이 종료된 후부터 착신단말기가 응답할 때까지 재생되기는 하지만, 멀티미디어를 구성하는 영상이 초기부터 차질없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22)과 발신측 교환기(24) 사이에 자원할당을 함에 있어서 통상적인 음성호 채널에 비해 넓은 대역폭을 할당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가 일시에 또는 짧은 시간내에 발신단말기(10)에 전송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발신단말기(10)로부터 자원할당을 요구받은 기지국(22)은 발신측 교환기(24)에 대해 유선자원 할당을 요구할 때 발신단말기(10)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는 기종인지를 판단한 후, 채널 모드를 특정해서 발신측 교환기(24)에 대해 유선자원 할당을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 모드로는 음성 패킷이 송수신되는 채널임을 나타내는 "음성 모 드". 데이터 패킷임을 나타내는 "데이터 모드", 또는 음성 및 데이터가 섞여있음을 나타내는 "Simultaneous Voice and Data (SVD)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SVD 모드의 경우 음성 모드에 비해 대역폭을 넓게 설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중 적어도 음향을 제외한 영상 및 텍스트 데이터가 짧은 시간 내에 발신단말기(10)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 지능형 주변장치(IP) 시스템(40)은 착신측 교환기(26) 측의 요구에 응답하여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제공한다. IP(40)에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대체음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 이용자에 대하여 해당 이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대체음 음원정보 테이블(52)을 구비하며, 이 테이블(52)에 저장된 가입자별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의 요구에 따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가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2)는 이용자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해지 및 음원변경 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웹 서버, WAP 서버 및 CTI/ARS 시스템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접속될 수 있어서, 유무선 인터넷 및 음성통신망을 통해 이용자들이 서비스 가입/해지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는 자신에게 호를 발신하는 발신자에게 제공되기를 원하는 '음향', '텍스트', 아바타나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 또는 짧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구성요소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이들이 결합된 형태를 링백 톤 대체음 정보서버(52)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2)에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템플릿을 마련해둠으로써, 이용자가 일부 구성요소를 선택하면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결합이 이루어져 결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에 저장됨과 아울러, 그 정보가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2)에 저장된다. 특히 이러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각 발신자 또는 발신자 그룹이나 착신시각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경우, 이용자가 직접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등록 서브시스템의 구성은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대체음 서비스와 관련하여 착신측 교환기(26)와의 사이에 ISUP 호가 형성되면 해당 착신자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음원 내지 멀티미디어 파일이 무엇인지를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에 질의하고,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가 제시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의 패킷을 착신측 교환기(26) 및 발신측 교환기(24)를 경유하여 발신단말기(10)에 제공하게 된다. 특히,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착신자에 대해 설정된 대체음이 멀티미디어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 패킷 타입 식별자를 데이터 모드를 나타내도록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가 음성 호 신호와 마찬가지로 음성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신단말기(10)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임을 인식하고 착신자의 응답 전까지 해당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른 한편으로, 발신단말기(10)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패킷을 인식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명세서를 토대로 소프트웨어 변경에 의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HLR(30)는 각 단말기가 이러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의 재생능력을 구비한 기종인지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게 된다. 발신단말기(10)는 착신단말기(12)로의 호 발신 후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패킷 내에 포함된 패킷 타입 식별자를 토대로 이를 인식한 후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게 된다. 즉, 발신단말기(10)는 착신자가 사전에 설정한 바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받아들인 후, 음향을 스피커로 재생함과 아울러, 텍스트, 아바타와 같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가 발신단말기(10)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데이터의 포맷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멀티미디어 링백톤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영역(202), 정지영상 데이터 영역(212), 텍스트 데이터 영역(222) 및 음향 데이터 영역(232)를 포함하며, 각 영역은 각각의 식별자들(200, 210, 220, 230)에 의해 구분된다. 아울러, 각 데이터 영역(202, 212, 222, 232)에는 컨텐츠 데이터 이외에 각 멀티미디어 링백톤 컨텐츠 요소의 재생 시점 및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의 정지영상이 1초 단위로 바뀌면서 재생되거나, "우리 와이프, 딸 낳았다.!!!" 또는 "나 오늘 승진했 어"와 같은 텍스트가 1~2초 동안 표시된 후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텍스트가 흘러가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착신자가 응답할 때까지 동일한 동영상이나 텍스트가 반복하여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생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와 아울러 발신단말기(10)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를 토대로 단말기소프트웨어 업계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다른 한편으로, 재생을 위한 간단한 프로그램 모듈이 도 2의 포맷에 포함될 수도 있고, 재생 패턴을 이용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데이터는 일정한 길이 단위로 쪼개어진 후 헤더 등이 부가되어 패킷화되고, 무선통신 시스템(20)의 음성트래픽 채널 메시지 표준에 적합한 형태로 발신단말기(10)에 제공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가 이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결합된 형태로 이용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파일을 저장하고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이 대체음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착신측 교환기(26)로부터 어드레스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용자에 대한 파일 정보를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에서 확인한 후 해당 파일을 읽어서 패킷 타입 식별자를 부가하고 음성채널에 맞게 포맷팅하여 전송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 어서는,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가 각 멀티미디어 컨텐츠 요소에 대한 파일을 각각 별도로 저장하고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이 복수의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착신측 교환기(26)의 요구가 있을 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가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는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장식하거나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무선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신측 교환기(26)는 CAMEL에 규정된 규약에 따라 호처리를 수행한다. 도 3은 CAMEL에 규정된 착신측 교환기(26)에서의 기본 호상태모형(T_BCSM: Basic Call State Model in T_MSC/VLR)을 보여준다. 도시된 호상태모형은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3개의 PIC(Point in Call) 즉 "T_Null" 상태, "Terminating Call Handling" 상태, "T-Active" 상태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태들 사이에 3개의 상태검출점(DP: Detection Point)이 설정된다. 아울러, 상태모형에는 상기 상태들 이외에 예외적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T_Exception" 상태가 추가되어 있다. 표 1은 이러한 검출점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검출점 명칭 번호 설명
Terminating_Attempt_Authorized DP12 T_CSI(착신자 가입정보)가 분석됨
T_Answer DP15 착신자가 호에 응답함
T_Disconnect DP17 착신자 또는 발신자로부터 종료표시가 수신됨
도 3에 도시된 각 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T_Null" 상태는 이전 호가 종료 되어 클리어되었을 때(즉 검출점 DP17 이후) 또는 "T_Exception" 상태에서 기본적인 예외상태 처리를 수행한 후에 진입하게 되며,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아이들(idle) 상태로 한 후 ISUP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받아들여 적절한 정보를 분석하고 라우팅 정보를 HLR(30)에 송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는 HLR(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착신자 가입정보 분석이 종료되었을 때 또는 예외적인 상황(예컨대, 발신자의 호 포기에 따른 종료)이 발생하였을 때 종료된다.
"Terminating Call Handling" 상태는 HLR(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착신자 가입정보 분석이 종료되었을 때(즉, 검출점 DP12 검출 이후) 진입하게 되며, HLR(30)로부터의 응답을 분석하고 라우팅 어드레스 및 호 종류를 분석하여 다음 라우트를 선택하며 착신단말기(12)에 벨이 울리도록 한 후 착신자가 호에 응답할 때까지 대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는 착신자가 호에 응답하거나 예외적인 상황(예컨대, 발신자의 호 포기에 따른 종료)이 발생하였을 때 종료된다.
"T-Active" 상태는 착신자가 호에 응답하였을 때(즉, 검출점 DP15 검출 이후) 진입하게 되며,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호경로가 설정되도록 하고 호 진행을 감독하며 호가 종료되기까지 대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상태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종료되었음을 통지받거나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종료된다.
착신측 교환기(26)은 이와 같은 기본 호상태모형에 따라 모든 착신 호를 처리하는데, 이때 사전에 설정된 검출점이 검출될 때마다 트리거 식별정보를 발생함으로써 SCP(32)에 서비스 분석을 요구하고 라우팅정보를 번역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착신측 교환기(26)는 발신측 교환기(24)로부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된 착신단말기(12)에 대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는 경우, 착신단말기(12)로의 호 진행을 지연(Suspend)시킨 후, 초기호접속시도에 대한 트리거 식별정보를 발생하고, 이 트리거 식별정보에 따라 HLR(30)로부터 착신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라우팅 정보를 구한 후, 이 정보들을 포함하는 트리거 식별정보를 SCP(32)로 제공한 후 SCP(32)로부터 서비스 제어를 받는다. 여기서, 착신자에 대한 서비스 식별정보 및 라우팅 정보는 사전에 착신자의 위치등록시 HLR(30)로부터 받아들여져 VLR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과정은 크게 볼 때 호 설정에 있어서의 초기 어드레싱 단계(제100 내지 제134단계)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는 단계(제136단계 내지 제146단계)와, 착신자 응답단계(제148단계 내지 제162단계)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발신단말기(10)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기지국(22)에 대해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하면(제100단계), 기지국(22)은 이에 응답하여 발신단말기(10)에 대해 무선자원을 할당한다(제102단계). 이때, 발신단말기(10)는 제100단계에서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함에 있어 기지국(22)에 자신의 사양에 대한 정보 즉, 멀티미디어 링백톤 재생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기종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기지국(22)이 자신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 보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제104단계에서 기지국(22)는 발신측 교환기(24)에 대해 유선자원 할당을 요구한다. 이때, 기지국(22)는 제100단계에서 획득한 발신단말기(10) 정보를 토대로 채널 모드를 "음성 모드(Voice Mode)", "데이터 모드(Data Mode)", 또는 "음성/데이터 겸용 모드(Simultaneous Voice and Data (SVD) Mode)" 중 어느 하나로 정하고, 이 채널 모드 정보를 포함시켜 유선자원 할당을 요구하게 된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링백톤 재생능력이 없고 음성 호 발신을 시도한 단말기에 대한 자원할당 요구에 있어서는 채널 모드가 "음성 모드"로 설정되고, 데이터 호 발신을 시도한 단말기에 대한 자원할당 요구에 있어서는 채널 모드가 "데이터 모드"로 설정된다. 그렇지만, 멀티미디어 링백톤 재생능력이 있고 음성 호 발신을 시도한 단말기에 대한 자원할당 요구에 있어서는 채널 모드가 "음성/데이터 겸용(SVD) 모드"로 설정된다.
이러한 유선자원 할당요구에 응답하여 발신측 교환기(24)는 해당 기지국(22)에 대해 유선자원을 할당한다(제106단계). 다시 말해서, 기지국(22)로부터 자원할당 요구로서 특정 연결식별자 즉 VPI(Virtual Path Identifier)/VCI(Virtual Channel Identifier) 점유 요구를 수신하면, 발신측 교환기(24)는 해당 자원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가능하면 해당자원을 할당하고, 사용중(Busy) 혹은 오류(Fault Block) 등의 이유로 인해 해당 자원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자원 즉, 다른 연결식별자 값을 요구할 것을 기지국(22)에 요청하고 이러한 절차를 통해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일단 자원이 할당되면, 해당 ATM노드 사이의 선로에 배정된 VPI/VCI 값은 연결이 성립되어 있는 동안 지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22)이 특정 연결식별자를 제시하여 발신측 교환기(24)에 자원점유를 요구하고 발신측 교환기(24)가 해당 연결식별자의 가용성을 확인해주면 해당 기지국(22)이 자원을 할당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22)이 발신측 교환기(24)에 자원할당을 요청한 후 발신측 교환기(24)가 이용가능한 연결식별자를 확인한 후 기지국(22)에 어느 하나를 할당함으로써 자원할당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지국(22)에 대해 유선자원을 할당한 후, 발신측 교환기(24)는 HLR(30)에 착신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제108단계). 제110단계에서, HLR(30)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착신단말기(12)에 대응하는 착신측 교환기(26)에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 착신측 교환기(26)는 HLR(30)의 요청에 대해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을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제112단계). 여기서, TLDN은 호 설정이 진행되는 동안 착신 단말기에 임시로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제114단계에서, HLR(30)는 발신측 교환기(24)에 대해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위치정보를 응답한다.
착신단말기(12)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통화중인 경우, 발신측 교환기(24)는 발신단말기에 대하여 안내 메시지 또는 해당 톤을 제공하게 된다. 그렇지만, 착신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고 통화중이 아닌 경우, 발신측 교환기(24)는 상기 착신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착신측 교환기(26)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송신함으로써 ISUP호를 시도한다(제116단계). 여기서,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는 발신자 식별정보(예컨대, 발신자 MIN) 및 착신자 식별정보(예컨대, 착신자 MIN)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착신측 교환기(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호상태모형(T_BCSM)을 따르며 초기호접속시도(예컨대, Terminating_Attempt_Authorized)에 대한 검출점(DP12)을 갖는데, 발신측 교환기(24)로부터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면 초기호접속시도에 대한 트리거 식별정보(예컨대, 트리거 타입)를 발생한다(제118단계). 이어서, 착신측 교환기(26)는 착신자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지연(Suspend)시키고, 트리거 식별정보 및 착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처리요청을 SCP(32)로 송신한다(제120단계).
착신측 교환기(26)로부터 서비스처리요청을 수신하면, SCP(32)는 상기 착신자 식별정보 및 트리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HLR(30)로부터 착신자에 대한 서비스키(Service Key) 및 라우팅 정보를 구한다. 여기서, 서비스키는 특정 트리거 발생시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를 정의하는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서비스키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가입여부와,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이 멀티미디어 형태인지 또는 음향 형태인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라우팅 정보는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로의 라우팅 정보를 나타낸다. 아울러, SCP(32)는 발신단말기의 사양 즉, 멀티미디어 링백톤을 재생능력에 대한 정보를 HLR(30)로부터 획득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멀티미디어 링백톤을 재생능력이 있는 단말기에 대해 재생능력이 없는 단말기와 단말기 번호를 차별화함으로써, 발신자 식별정보에 의해 재생능력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어서, SCP(32)는 착신자의 서비스키 및 발신단말기 사양을 토대로 하여 착신측 교환기(26)가 제공해야 할 서비스를 판단한다(제122 단계).
표 2는 발신단말기 사양 및 착신자 서비스키를 토대로 한 서비스 판단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발신단말기 재생능력 착신자 가입여부 착신자가 설정한 대체음 착신측 교환기의 서비스
멀티미디어 대체음 제공서버(60)로 라우팅
음향 대체음 제공서버(60)로 라우팅
× (무관함) 링백톤 또는 다른 서비스 제공
×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
× 음향 대체음 제공서버(60)로 라우팅
× × (무관함) 링백톤 또는 다른 서비스 제공
위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할 수 있고, 착신자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SCP(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신측 교환기(26)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라우팅되도록 한다. 발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에 관계없이, 착신자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SCP(32)는 착신측 교환기(26)로 하여금 통상적인 링백톤을 발신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다른 서비스라 함은 예컨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아닌 음향만에 의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대체음 재생서버에 라우팅되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할 수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착신자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아닌 음향 링백톤 대체음을 설정해 놓은 경우에도, SCP(32)는 착신측 교환기(26)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라우팅되도록 함으로써 발신단말기에 음향 링백톤 대체음이 제공되도록 한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발신단말기(10)의 호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라우팅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SCP(32)는 착신측 교환기(26)에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라우팅 정보 및 착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한 초기 호접속 준비요청 메시지를 착신측 교환기(26)로 송신한다(제124단계).
착신측 교환기(26)는, SCP(32)로부터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라우팅 정보 및 착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초기 호접속 준비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지원하는 기능명세에 관련된 정보들을 SCP(32)로 송신한다(제126단계). 착신측 교환기(26)의 기능명세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면, SCP(32)는 수신된 기능명세정보에 기초하여 착신측 교환기(26)(32)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키 위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호 생성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착신측 교환기(26)의 기능명세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SCP(32)는 착신측 교환기(26)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120)로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제128단계).
착신측 교환기(26)는, 제128단계에서 SCP(3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호 진행에 대응하는 경우, 제124단계에서 수신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라우팅 정보 및 착신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송신한다(제130단계). 상기 착신측 교환기(26)로부터 초기어드레스메시지(IAM)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 버(60)는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를 착신측 교환기(26)로 송신한다(제132단계).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부터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를 수신하면, 착신측 교환기(26)는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종료메시지를 발신측 교환기(24)로 전송한다(제134단계).
한편,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제132단계에서 어드레스종료메시지(ACM)를 송신한 직후 제130단계에서 획득한 착신자 식별정보(예컨대 착신자 MIN)를 포함하는 사용자 대체음파일정보 질의 메시지를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로 송신한다(제136단계). 사용자 대체음파일정보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대체음파일정보(예컨대, 해당 착신자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파일명 또는 파일 코드)를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전송한다(제138단계).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로부터 대체음파일 정보를 수신하면, 대체음파일정보에 대응하는 대체음 파일을 저장장치로부터 읽어서 음성채널에 적합하도록 포맷팅하고 패킷 타입 식별자를 부가하여 착신측 교환기(26) 및 발신측 교환기(24)를 경유해서 발신단말기(10)에 제공한다. 발신단말기(10)에서 패킷 타입 식별자를 토대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인식하고,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게 된다(제140단계).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각 이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요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60)는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개별 파일들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사용자 대체음파일정보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대체음 요소파일 정보들을 제138단계에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전송하고,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요소 파일들을 결합해서 도 2와 같은 포맷으로 포맷팅하고 패킷 타입 식별자를 부가하여 착신측 교환기(26) 및 발신측 교환기(24)를 경유해서 발신단말기(10)에 제공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링백톤 대체음 제공서버(60)가 도 2와 같은 포맷으로 포맷팅된 대체음 파일을 저장하고 링백톤 대체음 정보서버(50)는 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40단계에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가 포맷팅이 완료되어 있는 대체음 대체음 파일을 저장장치로부터 읽어서 발신단말기(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제142단계에서, SCP(32)는 착신측 교환기(26)에 대해 착신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로부터 응답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응답트리거 검출점(DP15)을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 이 요청을 수신하는 착신측 교환기(26)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부터 응답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응답트리거 검출점(DP15)을 설정한다.
제144단계에서 SCP(32)는 착신측 교환기(26)에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의 호 진행을 계속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착신측 교환기(26)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착신단말기(12)로의 호 진행을 계속하는 소정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착신측 교환기(26)는 착신단말기(12)로의 페이징을 수행한다(제146단계).
다음에는, 착신자 응답단계(제148단계 내지 제162단계)를 설명한다.
음원데이터 재생 중에 착신자가 응답하면(제148단계), 착신측 교환기(26)는 응답이벤트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수신단말기를 확인한 후 해당 수신단말기에 대한 기본 호상태모형(T_BCSM) 중 응답트리거 검출점(DP15: T_Answer)을 검출하여 응답트리거를 발생하고(제150단계), 이 응답트리거에 대응하는 트리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처리요청 메시지를 SCP(32)에 송신한다(제242단계).
SCP(32)는, 제152단계에서 수신된 트리거 식별정보가 응답트리거에 대응하는 경우, 착신측 교환기(26)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의 호를 해제하고 착신자 단말기 측으로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제154단계). 이 요청에 응답하여, 착신측 교환기(26)는 착신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로 착신 호를 설정하기에 앞서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로 ISUP호 해제요청 메시지(REL)를 송신하고 이에 관련된 소정의 호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제156단계). 착신측 교환기(26)로부터 호해제요청 메시지(REL)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 재생서버(60)는 소정의 호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착신측 교환기(26)로 호해제확인 메시지(RLC)를 송신한다(제158단계).
제160단계에서 착신측 교환기(26)는 응답메시지(ANM)를 발신측 교환기(24)로 전송하며, 이후 전달되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메시지를 중계한다(제162단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상의 설명에서는 IP(40)가 착신측 교환기(26)에 연동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IP(40)가 발신측 교환기(24)에 연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음향에 그치지 않고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및 음향이 선택적으로 결합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발신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백톤 대체음의 형태를 다양화하여 호 착신자의 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재생되는 동안, 발신자가 단말기를 자신의 귀에 대고 대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발신자 입장에서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아울러,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회선자원을 해제하고 패킷자원을 재설정 해야 하는 시간적 및 자원관리 측면에서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초기에 설정된 음성/데이터 겸용(SVD) 모드의 회선자원으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발신단말기에 제공한다. 즉, 멀 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발신단말기에 제공함에 있어 기존의 패킷 자원을 해제하고 별도의 패킷 채널을 설정하는 대신에, 초기에 형성된 음성통신 채널을 활용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유무선 자원이 최소화하여 시스템 자원관리의 효율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교환시스템을 구비하며,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기지국을 통해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단말기로의 호 접속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재생능력이 없으면 음성 모드(Voice Mode)의 유선자원을 상기 기지국과 상기 교환시스템 사이에 할당하고, 재생능력이 있으면 상기 음성 모드보다 대역폭이 큰 음성/데이터 겸용 모드(SVD Mode)의 유선자원을 상기 기지국과 상기 교환시스템 사이에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발신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이 있고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통상적인 링백톤을 상기 발신단말기에 제공하는 대신에,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으로 라우팅시킴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이 상기 착신단말기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단말기가 응답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시스템으로의 호를 해제하고 상기 착신단말기로 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에 관계없이,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이 아닌 음향 링백톤 대체음을 설정해 놓은 경우에도,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제공시스템으로 라우팅시키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음성 모드 및 음성/데이터 겸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교환시스템에 자원 할당을 요구하고,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자원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자원할당이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발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재생능력 정보를 상기 교환시스템에 통지하고, 상기 교환시스템이 상기 재생능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방법.
  5. 무선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이용자의 웹 또는 왑(WAP)을 통한 선택에 따라 텍스트,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와 음향이 결합된 형태로 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호접속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 형성된 호경로를 통해 발신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에 상응한 링백톤 대체음 멀티미디어가 발신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용자가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한 상기 발신자로부터의 호에 응답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호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호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음성 채널에 적합한 형태로 포맷팅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식별자를 부가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에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구성하는 멀티미디어 요소들에 대한 재생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무선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가
    (a1) 텍스트, 정지영상, 동영상 및 음향, 또는 이들 중 일부로 구성된 멀티미디어요소 그룹 중 각 멀티미디어 요소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용자의 선택을 받아들이는 단계; 및
    (a2) 이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결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 톤 대체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a2)단계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결합하여 결합된 형태를 상기 이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이용자가 동의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가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제공할 발신자에 대한 선택을 받아들이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통해 발신자 식별코드를 받아들이고, 상기 발신자 식별코드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발신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신자에 따라 다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가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제공할 시간대에 대한 선택을 받아들이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받아들인 시각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시간대 내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착신시각에 따라 다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요소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받아들이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에서, 상기 각 멀티미디어 요소들의 재생 시간을 포함한 재생 패턴에 대한 선택을 상기 이용자로부터 받아들이고,
    상기 (a2)단계에서, 상기 재생 패턴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에 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재생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서 링백톤 대체음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0030077792A 2003-11-04 2003-11-04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KR10063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792A KR100632007B1 (ko) 2003-11-04 2003-11-04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PCT/KR2004/002841 WO2005043926A2 (en) 2003-11-04 2004-11-04 Method for providing ringback tone substitute multi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792A KR100632007B1 (ko) 2003-11-04 2003-11-04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043A KR20050043043A (ko) 2005-05-11
KR100632007B1 true KR100632007B1 (ko) 2006-10-04

Family

ID=3454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792A KR100632007B1 (ko) 2003-11-04 2003-11-04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2007B1 (ko)
WO (1) WO200504392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02A (ko) * 2009-01-22 2010-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선택적인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선택적인 링백톤 서비스방법
KR100989363B1 (ko) * 2008-06-12 2010-10-25 크로스위브테크놀로지스(주) 통화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30A (ko) * 2004-01-17 2005-07-22 (주)디노밴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637593B1 (ko) * 2004-02-09 2006-10-23 주식회사 이루온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92049B1 (ko) * 2004-07-16 2006-06-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KR100688890B1 (ko) * 2005-03-16 2007-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88889B1 (ko) * 2005-03-16 2007-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식별 방법 및 장치
WO2006122496A1 (fr) 2005-05-16 2006-1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ème de réalisation de service de tonalité de rappel multimédia et procédé idoine
KR100714057B1 (ko) * 2005-05-17 2007-05-07 주식회사 이루온 통신망에서의 착신자 컨텐츠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696267B1 (ko) * 2005-05-27 2007-03-1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멀티플렉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94435B1 (ko) * 2005-07-08 2009-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시간을 이용한 가입자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859475B (zh) * 2005-07-22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回铃音的方法及系统
KR100703013B1 (ko) * 2005-07-28 2007-04-06 (주)티아이스퀘어 Wcdma 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링백톤으로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38416B1 (ko) * 2005-10-17 2007-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멀티미디어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WO2007046645A1 (en) * 2005-10-20 2007-04-26 Ti Squar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as a ring back tone in wcdma network
KR100844923B1 (ko) * 2005-11-18 2008-07-09 (주)티아이스퀘어 영상 서비스 제공 중에 텍스트 기반의 부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29927B1 (ko) * 2005-12-29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대기 시간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KR100793327B1 (ko) 2006-01-31 2008-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814797B1 (ko) * 2006-02-07 2008-03-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47693B1 (ko) * 2006-03-03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능력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EP2012514B1 (en) 2006-03-10 2016-03-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the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a method thereof
CN1859496B (zh) * 2006-03-10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视频彩铃业务的系统及方法
US8477912B2 (en) 2006-03-13 2013-07-02 Alcatel Lucent Content sharing through multimedia ringback tones
CN100407746C (zh) * 2006-04-12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用个人号码回铃音业务的系统及播放方法
KR100802655B1 (ko) * 2006-05-29 2008-02-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의 멀티미디어 통화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0954B1 (ko) * 2006-06-19 2008-04-10 원철희 전화기의 링 신호시 정보 제공 방법
KR100866775B1 (ko) * 2006-11-01 2008-11-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프리미엄 링백톤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1009735A (zh) * 2007-02-02 2007-08-01 周洋 通信方法和通信系统
KR100837300B1 (ko) 2007-05-09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킷 망 기반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2595350B (zh) 2007-07-04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彩铃业务的方法、系统和装置
CN101159891B (zh) 2007-08-17 201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激活检测控制的方法及其控制设备
CN101374259B (zh) * 2007-08-22 2012-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多媒体彩铃和多媒体彩像业务的方法和装置
CN101400034A (zh) * 2007-09-29 2009-04-01 摩托罗拉公司 用于传送彩铃回铃音的方法
CN101621755B (zh) 2008-07-03 2012-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呼叫方法、装置和系统
CN101668229A (zh) * 2008-09-03 201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铃音业务的呼叫和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043619B1 (ko) * 2008-10-31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연결음을 제공하는 방법
CN101404787A (zh) * 2008-11-07 2009-04-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ims域实现图片彩铃业务的方法及系统
KR101425820B1 (ko) 2009-02-26 2014-08-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1902837A (zh) * 2009-05-31 201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回铃音的实现方法、装置和系统
KR101064838B1 (ko) * 2009-08-05 2011-09-14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중계망 통화 음원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4661196A (zh) * 2013-11-20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彩铃业务的实现方法及装置和执行方法及终端
WO2020135803A1 (zh) * 2018-12-29 2020-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呼叫处理的的方法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930A (ko) * 1999-11-19 2001-06-25 이치훈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6537A (en) * 1997-04-29 1999-07-20 Ericsson Inc Generating a distinctive ring tone for a calling party subscriber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2275840A1 (en) * 1998-08-18 2000-02-18 Lucent Technologies Inc. Generalized messaging construct
KR20020079713A (ko) * 2002-10-01 2002-10-19 김선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화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94271A (ko) * 2003-05-02 2004-11-09 주식회사 사이넷 통화 연결 대기시의 화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930A (ko) * 1999-11-19 2001-06-25 이치훈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63B1 (ko) * 2008-06-12 2010-10-25 크로스위브테크놀로지스(주) 통화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00086202A (ko) * 2009-01-22 2010-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선택적인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선택적인 링백톤 서비스방법
KR101593958B1 (ko) 2009-01-22 2016-03-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선택적인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선택적인 링백톤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3926A3 (en) 2005-07-21
WO2005043926A2 (en) 2005-05-12
KR20050043043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007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EP2611147B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video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grated media resource server
EP2012514B1 (en) A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the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a method thereof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563905B (zh) 移动视频呼叫响应
EP1855475A1 (en) System for realiz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8442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ing back tone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08015488A1 (en) Communications method between a combinational terminal and a multimedia terminal
WO2009062403A1 (fr) Procédé pour réaliser un service de présentation du nom de l&#39;appelant et dispositif de service d&#39;informations relatives à l&#39;appelant
KR100692659B1 (ko)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링백톤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0703013B1 (ko) Wcdma 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링백톤으로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44391B1 (ko) 호 설정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A2395150A1 (en) An implementation of call drop-back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335994B1 (ko) 차세대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호출하는 폰투피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1268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CN101945504B (zh) 彩铃切换方法、多媒体彩铃服务器及用户设备
KR100608282B1 (ko) 화상전화 시도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1264301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2265B1 (ko) 통화 연결 대기 상태에서 발신 가입자에게 서비스 제공자지정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040090807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과 그시스템
Rao et al. Interworking between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s and a distributed packet switch
KR100470545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7341B1 (ko) 양방향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42415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