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930A -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930A
KR20010050930A KR1020000059322A KR20000059322A KR20010050930A KR 20010050930 A KR20010050930 A KR 20010050930A KR 1020000059322 A KR1020000059322 A KR 1020000059322A KR 20000059322 A KR20000059322 A KR 20000059322A KR 20010050930 A KR20010050930 A KR 2001005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signal
sound source
telephon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224B1 (ko
Inventor
이우기
Original Assignee
이치훈
주식회사 마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159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4934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0402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49377A/ko
Application filed by 이치훈, 주식회사 마들 filed Critical 이치훈
Priority to PCT/KR2000/0013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1037527A1/en
Priority to AU14215/01A priority patent/AU1421501A/en
Priority to JP2001538374A priority patent/JP2003515283A/ja
Publication of KR2001005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중 하나로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음원 및/또는 동영상 중 하나를 제공하는 신호음변환기(200)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본 발명은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링백톤신호(Ring Back Tone Signal), 비지톤신호(busy tone signal) 또는 네트워크비지톤신호(network busy tone signal) 등의 전화기 신호음을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사용자가 소정의 번호로 다이얼링하면, 디지털신호등으로 변환하여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호출전류를 착신측에 인가하면, 상기 착신측은 링백톤신호(ring back tone signal), 비지톤신호(busy tone signal) 또는 네트워크비지톤신호(network busy tone signal) 등으로 교환기에 응답을 하게 되고, 그 후 후크오프신호(hook-off signal)가 상기 교환기에 전송되면, 발신측과 수신측의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으로부터의 링백톤신호, 비지톤신호 또는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발신측에 전송하고, 따라서 발신측은 이러한 신호를 통하여 착신측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휴대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버튼 또는 송신(Send)버튼을 누르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지국과 무선통화로가 형성되면 링백톤 신호가 송출되거나, 무선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비지톤 신호가 송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화기 및 휴대폰의 경우 발신음 즉 링백톤신호는 모두 일률적이어 매우 단조롭고 따분하며, 또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간을 그냥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률적이고 단조로운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 등의 전화기 신호음을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광고, 음악, 메시지 및 영어회화 등 원하는 음원을 ARS서버로부터 사용자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신호음 변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신측단말기 120: 표시부
140: 전화회로부 160: 다이얼링부
200: 신호음변환기 210: 보코더(Vocoder)
212: DTMF 디텍터 214: 엔코더(Encoder)
220: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222: DTMF 활성프로그램
224: 제어프로그램 226: 음원/동영상저장부
230: 톤/보이스디텍터(Tone/Voice 디텍터) 240: 카운터 저장부
300: 기지국 400: ARS서버
410:음원데이타베이스부 420: 회원정보데이타베이스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중 하나로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음원 및/또는 동영상 중 하나를 제공하는 신호음변환기(200)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신호음변환기는 음성을 분석하거나 또는 재구성하는 장치와, 비휘발성 메모리부와, 음성 및 톤을 식별할 수 있는 장치를 더욱 포함하고 있고, 상기 비휘발성메모리부는 제어프로그램과, DTMF활성 프로그램과, 음원 및/또는 동영상저장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을 분석하거나 또는 재구성하는 장치는 엔코더(encoder)와 DTMF디텍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호음 변환기는 상기 음원 및/또는 동영상이 광고일 경우, 사용자단말기에 통화로가 형성될 경우, 카운터 값이 증가하는 카운터저장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측에서 착신측으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발신측의 다이얼링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이 소정의 신호로 응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검출된 소정의 신호에 의하여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발신측의 전화기에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신호는 링백톤신호(Ring Back Tone Signal), 비지톤신호(Busy Tone Signal), 네트워크비지톤신호(Congestion Singal)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3 단계는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링백톤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신호가 링백톤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착신측으로 재 다이얼링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3단계는 다이얼링회수를 체크하는 단계와, 소정의 다이얼링회수로 재 다이얼링을 제한하고, 상기 선택된 음원 및/또는 동영상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착신측의 신호가 링백톤신호일 경우, 상기 착신측이 후크오프(Hook-Off)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착신측이 후크오프되었을 경우, 상기 선택된 음원 및/또는 동영상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발신음 변환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와, 신호음변환기(200)와, 기지국(300)과,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서버(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이동단말기(mobile phone)이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전화기 또는 공중전화기가 될 수 있고, 상기 전화기에는 유무선 인터넷기능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인터넷기능을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ARS서버(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서버(500)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와 신호음변환기(200)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키패드(keypad; 미도시)의 입력을 통하여 통화를 원하는 수신측단말기(미도시) 또는 상기 ARS서버(400)의 전화번호 및 다른 정보 등을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나 다이얼링 패킷(Packet) 등의 형태로 기지국(3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다이얼링부(160)와, 송수화 및 제어기능이 포함된 전화회로부(140)와,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형정보(character information) 또는 동영상정보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120)를 가진다.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는 음성을 분석하거나 또는 재구성하는 보코더(Voco
der)(210)와,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레쉬메모리(Flash Memory)(220)와, 음성(Voice) 및 특정 톤(Tone), 예를 들면, 링백톤, 비지톤, 또는 네트워크비지톤 등을 식별할 수 있는 톤/보이스디텍터(230)와, 카운터저장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코더(210)는 상기 ARS서버(4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사이의 DTMF신호를 검출하는 DTMF디텍터(212)와,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을 디지털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으로 변환하는 엔코더(214)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쉬메모리(220)는 DTMF신호 감지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DTMF활성프로그램(222)과,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의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224)과,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의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음원/동영상저장부(22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저장부(240)는 상기 플레쉬메모리(220)에 저장된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이 광고일 경우에 수신측과 발신측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는 카운터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카운터저장부(240)는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제어프로그램(224)에서 광고의 선택과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졌는가를 확인한 후, 그 카운터값을 증가시킨다.
상기 톤/보이스 디텍터(230)는 사람의 음성이나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전화기의 톤(Tone)을 구별하여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기능을 살펴보면 전화톤의 검출은 기본적으로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링백톤신호, 비지톤신호, 후크오프신호, 비지톤신호등의 이전에 전송되는 시그널(Signal)에 의해 전화톤 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부가적인 판단방법으로는 링백톤과 같은 전화톤과 음성의 차이를 소프트웨어로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의 시그널검출과 병행해서 사용된다. 상기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전화톤 및/또는 음성 패킷을 CDMA 시스템등에 사용되는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음성부호화기) 및/또는 셀룰러폰 서비스방식의 일종인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성 변화/압축 알고리즘인 상기 보코더(210)를 이용해 패킷(Packet)으로 코딩(Coding)한다. 상기 보코더에 의해 코딩되어 기지국(300)으로부터 전송된 전화톤 및/또는 음성 패킷은 벡터(vector)양자화값, 피치파라미터(pitch parameter), 및 포맷파라미터(format parameter)의 값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패킷의 정상적인 해독(decoding)과정을 거쳐서 약 160개의 PCM샘플을 얻을 수 있는데, 톤 인경우 특정한 주파수군에 에너지가 몰려있으므로 음성과 구별되는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패킷의 주파수 성분을 근사화 함으로 음성 및 톤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기에 쓰이는 링백톤신호 및 비지톤신호 등은 특정한 단속비를 가지고 반복되기 때문에 단속비를 체크(check)하여 보조적으로 음성과 톤의 감지(detection)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형식승인 톤 규격표에서 보면 링백톤신호의 경우 1초의 ON시간과 2초의 OFF시간을 가지고, 가입자 통화중신호인 라인(Line)비지톤신호의 경우 각기 0.5초의 ON/OFF시간을 가지며, 중계선 폭주신호인 트렁크(Trunk)비지톤신호의 경우 0.3초의 ON시간과 0.2초의 OFF시간을 가진다. 이때 링백톤으로 판단되는 시간동안은 미리 지정된 음원을 스피커로 송출하고 링백톤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저장된 음원송출을 중단하고 정상적인 송출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ARS서버(400)는 일반적인 공지의 자동 음성응답시스템으로서,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의 음원을 가지고 있는 음원데이터베이스부(410)와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한 회원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부(42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ARS서버(400)가 상기 인터넷서버(500)가 될 경우, 상기 인터넷서버(500)는 일반적인 공지의 인터넷서버가 될 수 있으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가지고 있는 음원/동영상데이터베이스부(510)와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한 회원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부(520)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ARS서버(400) 또는 인터넷서버(500)에 회원으로 등록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링백톤신호, 비지톤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신호를 대신하여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사용하고자 하여 상기 ARS서버(400) 또는 인터넷서버(500)에 접속할 때,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부(420, 520)에 저장된 회원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회원의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패스워드 등 회원의 일반적인 정보와, 상기 회원이 상기 ARS서버(400) 또는 인터넷서버(500)에 접속하여 사용한 음원 및/또는 동영상의 이력에 대한 정보와, 음원 및/또는 동영상이 광고일 경우 사용자의 광고의 청취에 대한 카운터값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전화기 발신음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을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RS서버(400)에 의하여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의하여 상기 ARS서버(4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와 통화로가 형성되면(S1),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의 플래시메모리(220)내의 제어프로그램(224)은 DTMF활성프로그램(222)을 실행하여 상기 DTMF디텍터(212)의 DTMF감지모드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ARS서버(4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DTMF명령코드를 통하여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ARS서버(400)는 사용자에게 저장하기를 원하는 음원 즉,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중의 하나를 선택하라는 안내메시지 및 샘플 음원을 소정의 DTMF명령코드와 함께 내보내게 되고, 이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내의 다이얼링부(160)의 키패드를 통하여 저장하기를 원하는 음원 즉,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DTMF명령코드를 전송한다(S2). 이에 응하여 상기 ARS서버(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의 녹음 시작을 알리는 DTMF명령코드와 함께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되고, 녹음이 완료된 후 상기 선택된 음원의 녹음을 종료하는 DTMF명령코드가 전송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은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의 음원/동영상저장부(226)에 저장된다(S3).
이때, 사용자가 청취한 광고의 횟수를 가지고 있는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EEPROM에 저장된 카운터정보저장부(240)는 상기 선택된 음원의 전송과 동시에 상기 ARS서버(400)의 카운터정보 전송요구 DTMF명령코드에 의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상기 ARS서버(400)로 전송되어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된다. 그 후 상기 카운터저장부(240)는 초기화된다(S5).
상기 DTMF명령코드(command code)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TMF명령코드로 "1, 2, 3, 4, 5, 6, 7, 8, 9, 0, #, *" 등이 될 수 있고, 또는 주파수 조합(combina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ARS서버(400)의 광고음원 선택 요청의 DTMF명령코드가 "#1"일 경우, 사용자단말기(100)의 응답 DTMF명령코드로는 "*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RS서버(400)의 음악, 메시지, 영어회화의 선택 요청의 DTMF명령코드가 "#2"일 경우, 사용자단말기(100)의 응답 DTMF명령코드로 "*2"가 사용될 수 있다. ARS서버(400)의 선택된 음원 저장시작과 종료를 나타내는 DTMF명령코드는 각각 "#3" 및 "#4"가 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는 상기 DTMF명령코드 "#4"를 통해 선택된 음원의 저장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ARS서버(400)의 카운터정보 요구를 나타내는 DTMF명령코드로는 "#*"이 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100)의 응답 DTMF명령코드로는 "*#XXX"이 될 수 있다. 이때, "XXX"는 세 자리의 카운터정보로서, 노테이션(notation)은 십진수이다. 예를 들면 카운터정보가 "1"이면 "001"이고 "100"이면 "100"이 된다. 상기 선택된 음원이 전송되는 데이터구조는 "Flag1(DTMF1)+선택된 음원+Flag2(DTMF2)"의 형태가 돠고, 따라서, 사용자단말기(100)는 Flag1(DTMF1)이 감지되면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의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음원/동영상저장부(226)에 선택된 음원의 저장을 시작하고, Flag2(DTMF)가 감지되면 선택된 음원의 저장을 종료한다.
상술한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을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가 인터넷모드가 가능할 경우, 상기 인터넷서버(500)의 음원/동영상데이터베이스부(510)로부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회화 등을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단말기(100)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바뀔 수 있다. 이때, 상술한 DTMF명령코드 또는 주파수 조합(combin
ation)을 이용한 저장 방법대신, 인터넷브라우저를 통해 음원 및/또는 동영상데이터는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신호음 변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수신측단말기(미도시)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단말기(100)의 다이얼링부(160)는 DTMF명령코드나 다이얼링 패킷 등의 형태로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보코더(210)를 거쳐 교환기(300)로 전송하고(Sa1),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제어프로그램(224)은 다이얼링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플레쉬메모리(220)의 소정의 위치에 수신측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Sa2). 이때, 상기 제어프로그램(224)부는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톤/보이스 디텍터(230)를 통하여 발신상태를 알게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224)을 통해 음원/동영상저장부(226)에 상기의 선택된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 지시를 한다(Sa3). 이때, 상기 음원을 포함한 동영상이 선택된 경우에는 동영상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내의 표시부(120)에 출력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내의 다이얼링부(160)로부터의 DTMF명령코드나 다이얼링 패킷 등의 신호를 송신한 교환기(300)는 착신측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체크(Check)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측단말기로부터의 응답된 신호는 링백톤 신호일 경우와 비지톤 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일 경우가 있다.
상기 수신측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의 톤/보이스 디텍터(230)가 체크를 하게 되는데(Sa4), 상기 감지된 신호가 링백톤 신호일 경우, 상기 교환기(300)는 상기 수신측단말기로 링잉톤 신호(Ringing Tone Signal)를 보내게 되고 후크오프(Hook-Off)를 체크한다(Sa5). 이때, 상기 수신측단말기가 후크오프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제어프로그램(224)부는 선택된 음원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음원/동영상저장부(226)에 지시를 하고,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톤/보이스 디텍터(230)는 지속적으로 상기 교환기(3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의 링백톤 신호가 아닌 경우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프로그램부(224)는 다이얼링횟수를 체크하여(Sa7), 바람직하게는 2회 이상일 경우에는 통화상태를 종료하고, 다이얼링이 2회 미만일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수신측전화번호를 재 다이얼링하게 한다(Sa2). 한편, 상기 제 5단계(Sa5)에서 후크오프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내의 전화 회로부(140)를 통하여 수신측단말기와 사용자단말기(100)간의 통화로가 형성되고, 전화기의 신호음 대신 출력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이 광고일 경우 통화로가 형성됨에 따라 카운터값이 바람직하게는 "1"씩 증가하여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카운터저장부(240)에 저장된다(Sa6). 이때, 상기 재 다이얼링 횟수 체크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통화를 시도했을 때,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톤/보이스 디텍터(230)가 실행되며, 기지국(300)에서 전송된 신호는 톤/보이스 디텍터(230)를 거쳐 톤인지 음성신호인지를 검출하여 톤일 경우에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제어프로그램(224)을 통해 상기 플레쉬메모리(220)내의 음원/동영상저장부(226)에 저장되어 있던 음원 및 동영상을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내의 보코더(210)내의 엔코더(214)에 보내고, 상기 보코더(210)내의 엔코더(214)는 상기 음원 및 동영상을 톤 대신에 사용자단말기(100)내의 표시부로 보낸다. 이때 계속적으로 톤/보이스 디텍터(230)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감지하고 있으며, 어느 순간 톤이 아닌 신호, 즉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프로그램(224)을 통해 음원/동영상의 출력을 끝내고 기지국(300)에서 전송된 전파를 더 이상 검출하지 않으며 바로 상기 보코더(210)내의 엔코더(214)에 보낸다.
한편, 상기 신호음 변환기(200)와 상기 교환기(300)간의 통신은 케이블 등의 유선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일반 휴대폰 등에 사용하는 무선방식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무선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에는 소정의 방식, 예를 들면 RF(Radio Frequency)신호방식으로 상기 신호음변환기(200)와 상기 교환기(300)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음변환기(200)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일체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포트(Port)나 소켓(Socket)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00)와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 등의 전화기 신호음을 모두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만, 링백톤신호, 비지톤신호 또는 네트워크신호 등 각각의 전화기 신호음이 분리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 방법은 일률적이고 단조로운 종래 전화기의 발신음 대신에 보다 효율적이고 듣기 좋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음원 또는 동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화상태를 기다리는 시간적 낭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광고주는 일대일 광고를 통해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전화기 사용자는 광고를 듣거나 보는 대신 요금할인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인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전화기 신호음은 상기 음원 및/또는 동화상 대신 정지 화상 즉, 캐릭터 등이 포함된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Claims (12)

  1.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 중 하나로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링백톤 신호, 비지톤신호 및 네트워크비지톤신호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음원 및/또는 동영상 중 하나를 제공하는 신호음변환기를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변환기는 음성을 분석하거나 또는 재구성하는 장치와, 비휘발성 메모리부와, 음성 및 톤을 식별할 수 있는 장치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메모리부는 제어프로그램과, DTMF활성 프로그램과, 음원 및/또는 동영상저장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을 분석하거나 또는 재구성하는 장치는 엔코더(encoder)와 DTMF디텍터로 이루어진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변환기는 상기 음원 및/또는 동영상이 광고일경우, 사용자단말기에 통화로가 형성될 경우, 카운터 값이 증가하는 카운터저장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시스템.
  6. 발신측으로부터 착신측으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발신측의 다이얼링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이 소정의 신호로 응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검출된 소정의 신호에 의하여 광고, 음악, 메시지 또는 영어 회화를 포함하는 음원 및/또는 동영상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발신측의 전화기에서 출력하는 제 4 단계
    을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신호는 링백톤신호(Ring Back Tone Signal), 비지톤신호(Busy Tone Signal), 네트워크비지톤신호(Congestion Singal)을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링백톤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변환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된 소정의 신호가 링백톤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소정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착신측으로 재 다이얼링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다이얼링회수를 체크하는 단계와, 소정의 다이얼링회수로 재 다이얼링을 제한하고, 상기 선택된 음원 및/또는 동영상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의 신호가 링백톤신호일 경우, 상기 착신측이 후크오프(Hook-Off)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이 후크오프되었을 경우, 상기 선택된 음원의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전화기 신호음 변환 방법.
KR10-2000-0059322A 1999-11-19 2000-10-09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KR10041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0/001320 WO2001037527A1 (en) 1999-11-19 2000-11-19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AU14215/01A AU1421501A (en) 1999-11-19 2000-11-19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JP2001538374A JP2003515283A (ja) 1999-11-19 2000-11-19 電話機の信号音変換を通した音源及び動映像サービス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95 1999-11-19
KR1019990051595A KR20000049342A (ko) 1999-11-19 1999-11-19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020000004025 2000-01-27
KR1020000004025A KR20000049377A (ko) 2000-01-27 2000-01-27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 방법
KR1020000024396 2000-05-08
KR20000024396 2000-05-08
KR20000036218 2000-06-28
KR1020000036218 2000-06-28
KR1020000048485 2000-08-22
KR20000048485 2000-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930A true KR20010050930A (ko) 2001-06-25
KR100411224B1 KR100411224B1 (ko) 2003-12-18

Family

ID=2753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322A KR100411224B1 (ko) 1999-11-19 2000-10-09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2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4566A1 (en) * 2003-03-20 2004-09-30 Hurim Interactive Corp. Video alerting method for synchronous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4086782A1 (en) * 2003-03-25 2004-10-07 Hurim Interactive Corp. Video alerting method for asynchronous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576838B1 (ko) * 2003-01-30 2006-05-10 김승진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32007B1 (ko) * 2003-11-04 2006-10-04 와이더댄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KR100706899B1 (ko) * 2005-05-03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복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819165B1 (ko) * 2006-07-31 2008-04-02 권장욱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579A (ja) * 1994-10-28 1996-05-21 Nippon Ido Tsushin Kk 広告入り通信サービス機能を有する通信網
KR100459111B1 (ko) * 1997-12-27 2005-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0378953B1 (ko) * 1999-04-14 2003-04-08 주식회사 아이디어파크 호출음과 화중음 선택형 통신기기
KR19990084087A (ko) * 1999-09-13 1999-12-06 최동호 사용자에 적응적인 광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20010029384A (ko) * 1999-09-30 2001-04-06 한태희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3480B1 (ko) * 1999-10-05 2002-04-25 강승봉 유,무선 전화망의 호출음 전송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838B1 (ko) * 2003-01-30 2006-05-10 김승진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4084566A1 (en) * 2003-03-20 2004-09-30 Hurim Interactive Corp. Video alerting method for synchronous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WO2004086782A1 (en) * 2003-03-25 2004-10-07 Hurim Interactive Corp. Video alerting method for asynchronous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632007B1 (ko) * 2003-11-04 2006-10-04 와이더댄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제공 방법
KR100706899B1 (ko) * 2005-05-03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복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819165B1 (ko) * 2006-07-31 2008-04-02 권장욱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224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l hold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13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알림 설정방법
US7224792B2 (en) Personalized telephone announcement
US20050047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ler information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KR100378953B1 (ko) 호출음과 화중음 선택형 통신기기
WO2005112401A2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WO2001037527A1 (en)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KR20010108937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호 발신음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411224B1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KR20020006864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539887B1 (ko) 통화연결음 옵션 처리 방법
KR100357717B1 (ko) 전화기의 벨소리 변환방법
KR20010088553A (ko) 휴대폰의 착신음 발생시 무음으로 전환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24209A (ko) 사서함을 이용한 휴대폰의 착신음 수신 및 송출방법
US6775379B1 (en) Method for automatic input and transmission of pass word in using telephone set
KR200100476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음 발생 방법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JP3349980B2 (ja) 電話装置
KR20000061295A (ko) 이동단말기의 착신벨 제공 방법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38840A (ko) 무선통신망에서의 음성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20036290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용 전화기 및 그 전화기에서의 호처리 방법
JP2000228695A (ja) 電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