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783B1 -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783B1
KR101793783B1 KR1020150129097A KR20150129097A KR101793783B1 KR 101793783 B1 KR101793783 B1 KR 101793783B1 KR 1020150129097 A KR1020150129097 A KR 1020150129097A KR 20150129097 A KR20150129097 A KR 20150129097A KR 101793783 B1 KR101793783 B1 KR 10179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virtual
transmitting
reorder
privat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483A (ko
Inventor
이충휘
박상길
이경민
박정문
신익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2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7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해당 교환기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를 설정하고 해당 사설교환기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이벤트 발생 시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사설교환기의 단말로 가상 리오더톤(reorder tone)을 송출하여 리오더톤의 송출 기능이 없는 사설교환기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rtual reorder tone}
본 발명은 가상 리오더톤(reorder tone)의 송출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해당 교환기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별로 가상 리오더톤(reorder) 송출 여부를 설정하고 해당 사설교환기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이벤트 발생 시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사설교환기의 단말로 가상 리오더톤(reorder tone)을 송출하여 리오더톤의 송출 기능이 없는 사설교환기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법인 기업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원들 간 내선전화(또는 내선 단말이라 칭함)를 위해 별도의 사설교환기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이러한 사설교환기는 사내전화가 아닌 외부(이동통신전화, 시내전화 등)로 전화를 하기 위해 별도로 통신사 교환기와 연동이 필요하다.
도 2는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가 외부로의 발신 호를 시도할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통화 이후 착신 측에서 먼저 통화를 종료(DISCONNECT) 할 경우 해당 사설교환기는 통화가 종료되었다는 의미로 발신인 내선가입자에게 리오더톤(예컨대, 뚜~뚜~ 소리 등)을 들려주어야 한다. 즉 DISCONNECT 메시지를 수신하는 최종 교환기가 리오더톤의 송출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사설교환기에 리오더톤의 송출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내선 가입자는 어떠한 톤도 청취할 수 없게 되므로 착신 가입자가 실제로 호를 종료했음을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5286호 (2006.06.1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오더톤의 송출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사설교환기의 내선 가입자에게도 상대방 통화자의 통화 종료 시 리오더톤을 제공하여 통화 종료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해당 교환기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를 설정하고 해당 사설교환기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이벤트 발생 시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사설교환기의 단말로 가상 리오더톤(reorder tone)을 송출하여 리오더톤의 송출 기능이 없는 사설교환기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는, 통신망의 교환기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통신망 교환기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중 하나인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과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제1 사설교환기에 대해 상기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설교환기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기 위한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은,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통신망 교환기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중 하나인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과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제1 사설교환기에 대해 상기 단계 (a)에서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탐색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설교환기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사설교환기는 상기 (c)에서 전송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내선 단말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해당 교환기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를 설정하고 해당 사설교환기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이벤트 발생 시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사설교환기의 단말로 가상 리오더톤(reorder tone)을 송출함으로써, 리오더톤의 송출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사설교환기의 내선 가입자에게도 상대방 통화자의 통화 종료 시 리오더톤을 제공하여 통화 종료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설교환기가 수용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가 외부로의 발신 호를 시도할 경우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사 교환기(5), 통신사 교환기(5)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3), 각 사설교환기(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내선 단말(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시스템은 도 1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통신사 교환기(5)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50)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5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50)의 구성도로, 도 4와 같이 통신사 교환기(5)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51), 탐색부(53), 및 송출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51)는 통신망 교환기(5)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3) 각각에 대해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3) 중 기업 A의 사설교환기(3A)와 기업 B의 사설교환기(3B) 각각에 대해 해당 사설교환기의 리오더톤 송출 기능 구비 여부를 기초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 A의 사설교환기(3A)는 리오더톤 송출 기능 구비하고 있고 기업 B의 사설교환기(3B)는 리오더톤 송출 기능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 설정부(51)는 기업 A의 사설교환기(3A)에 대해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오프(OFF)로 설정하고 기업 B의 사설교환기(3B)에 대해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온(ON)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탐색부(53)는 사설교환기(3)와 통신사 교환기(5)를 매개로 내선 단말(1)과 상대방 단말(미도시) 간의 통화 중 통신사 교환기(5)가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사설교환기(3)에 대해 설정부(51)에 기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3) 중 하나인 기업 A 또는 B의 사설교환기(3A 또는 3B) 에 속한 내선 단말(1)과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가 통신사 교환기(5)에 수신되면, 설정부(51)에 기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기업 A 또는 B의 사설교환기(3A 또는 3B)의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가 오프(OFF) 또는 온(ON)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송출부(55)는 탐색부(53)에서 탐색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에 따라 해당 사설교환기(3:3A,3B)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해당 사설교환기(3:3A,3B)의 해당 내선 단말(1)로 가상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가 오프(OFF)일 경우 해당 사설교환기(3:3A,3B)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여 최종 교환기로서의 해당 사설교환기(3:3A,3B)가 해당 내선 단말(1)로 실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도록 하고,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가 온(ON)일 경우 실제 리오더톤과 동일한 가상 리오더톤(예컨대, 뚜~뚜~ 소리 등)을 생성하여 통신사 교환기(5)로부터 해당 사설교환기(3:3A,3B)의 해당 내선 단말(1)로 송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4-5의 장치에서 수행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내선 단말(1)이 상대방 단말(미도시)을 착신지로 하는 호를 발신하면 내선 단말(1)로부터 해당하는 사설교환기(3) 및 통신사교환기(5)를 통해 이동통신망 또는 시내전화망 등에 연결된 상대방 단말측으로 SETUP 메시지가 전송되고(S601~S603), 상대방 단말이 해당 전화 호를 수락하면 상대방 단말로부터 해당하는 통신사교환기(5) 및 사설교환기(3)를 통해 내선 단말(1)로 CONNECT 메시지가 전송되며(S604~S605), 단계 S601~S606의 수행 결과 내선 단말(1)과 상대방 단말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서로 통화할 수 있다(S607).
단계 S607에서 내선 단말(1)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화 중 상대방 단말이 통화를 종료하여 통신사 교환기(5)에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가 수신되면(S611), 통신사 교환기(5)의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장치(50)는 해당하는 내선 단말(1)이 속한 사설교환기(3)에 대해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가 ON 또는 OFF인지를 탐색한다(S612).
통신사 교환기(5)의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장치(50)는 단계 S612의 탐색 결과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가 오프(OFF)일 경우 해당 사설교환기(3)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여(S613) 최종 교환기로서의 해당 사설교환기(3)가 해당 내선 단말(1)로 실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도록 하고(S614), 단계 S612의 탐색 결과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가 온(ON)일 경우 실제 리오더톤과 동일한 가상 리오더톤(예컨대, 뚜~뚜~ 소리 등)을 생성하여 통신사 교환기(5)로부터 해당 사설교환기(3:3A,3B)의 해당 내선 단말(1)로 송출한다.
한편, 전술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내선 단말
3: 사설교환기
5: 통신사 교환기
50: 가상 리오더톤 송출 장치
51: 설정부
53: 탐색부
55: 송출부

Claims (7)

  1. 통신망 교환기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통신망 교환기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중 하나인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과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제1 사설교환기에 대해 상기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설교환기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로 가상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기 위한 송출부를 포함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설교환기는 상기 전송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내선 단말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3. 통신망 교환기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통신망 교환기와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별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하나 이상의 사설교환기 중 하나인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과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로부터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제1 사설교환기에 대해 상기 단계 (a)에서 설정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탐색된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설교환기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사설교환기의 내선 단말로 가상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설교환기는 상기 (c)에서 전송된 통화종료(DISCONNECT)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내선 단말로 리오더톤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7.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29097A 2015-09-11 2015-09-11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9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97A KR101793783B1 (ko) 2015-09-11 2015-09-11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97A KR101793783B1 (ko) 2015-09-11 2015-09-11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83A KR20170031483A (ko) 2017-03-21
KR101793783B1 true KR101793783B1 (ko) 2017-11-03

Family

ID=5850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097A KR101793783B1 (ko) 2015-09-11 2015-09-11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7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11B1 (ko) 2004-12-10 2007-04-05 (주)제너시스템즈 통화 종료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83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73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in-progr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JP5614357B2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EP23554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ng between in-band and out-of-band communication path
EP2109299A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laying group color ring
US20070121904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ensuring arrival of voice information
US20170111402A1 (en) Call method, call apparatus, voip server, and call system
US7174009B1 (en) Elimination of inoperable service node during call set up
KR101793783B1 (ko)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1403B1 (ko) All-IP 기반 음성/영상 호와 채팅 호 간의 실시간 전환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US8923848B2 (en) Telephone switch, call pick-up method therefor, call pick-up program therefor, and telephone system
CN107333266A (zh) 来电号码验证方法和来电号码验证系统
CN101272425A (zh) 防止业务重复触发的方法、系统和设备
KR20180081929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및 장치
JP5189508B2 (ja) 呼制御システム及び呼制御方法
CN109088846A (zh) 数据传输设备及传输方法、电子设备
CN103095936A (zh) 坐席呼叫的控制方法、装置及呼叫系统
KR101168016B1 (ko) 통신망에서 실시간 전화 당겨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
CN102740168A (zh) 一种实现呼叫的方法及系统、办公系统、企业总机系统
JP4963687B2 (ja) 課金を考慮して局所通信網からセルラ広域通信網へ切り替える再発呼方法、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665577B2 (ja)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82496A (zh) 基于双汇接局的通话态业务实现方法、系统和装置
KR101605688B1 (ko) 무료통화기능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0836259B1 (ko)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569636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電話番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551493B2 (ja) サービス制御装置、ガイダンス制御システム、及びガイダンス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