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59B1 -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59B1
KR100836259B1 KR20070059833A KR20070059833A KR100836259B1 KR 100836259 B1 KR100836259 B1 KR 100836259B1 KR 20070059833 A KR20070059833 A KR 20070059833A KR 20070059833 A KR20070059833 A KR 20070059833A KR 100836259 B1 KR100836259 B1 KR 10083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subscriber
restriction service
information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5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7005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통신망을 통해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통화서비스 제공장치가 수행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일지라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음성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59833
영상통화, 음성통화, 이동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call restrict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및 8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가 발신 교환기로 동작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동작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 단말기의 영상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발·착신 단말기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 이면, 발·착신 단말기(10,20) 간 음성통화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 및 무선통신 기기의 발달로 이동 통신 사업자는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사용자에게 보급되는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가 모두 가능하다. 다만,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것이고, 사용자의 오 조작이나 착신의 경우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통화가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성통화만 제공되던 때와 마찬가지로 경제관념이 성형되지 않은 미성년자 등의 무절제한 영상통화 사용은 가정 경제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문제로 다시 제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일지라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영상통화의 제한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간에만 영상통화가 가능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통화서비스 제공장치가 수행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통화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가입자 정보관리부;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가입 판정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통화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 착신 단말기(20),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 가입자정보 제공장치(40) 및 통신망(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는 발신 단말기(10)의 영상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발·착신 단말기(10,20)의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라 함은 발신 단말기(10)의 영상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발·착신 단말기(10,20)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 이면, 발·착신 단말기(10,20) 간 음성통화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는 통신망(50)을 통해 발·착신 단말기(10,20) 및 가입자정보 제공장치(40)와 연결되어 있다.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는 발·착신 단말기(10,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정보 제공장치(40)로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등록 시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등록 시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이하, 발명의 명확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와 가입자정보 제공장치(40)는 각각 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지만, 이러한 한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정은 이하 모든 도면에서도 같다. 또한, 도 1에서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와 가입자정보 제공장치(40)가 별도의 구성 요소로 도시 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정보 제공장치(40)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3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1에는 교환기(30)가 단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발명의 명확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교환기(30)는 복수일 수 있다. 즉, 발·착신 단말기(10,20)가 동일 교환국 내의 호 연결이 아닌 경우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에 연결된 발신 교환기와 착신 단말기(20)에 연결된 착신 교환기로 표현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교환기(30)는 발신 및 착신 교환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교환기(30)를 발신 및 착신 교환기로 분리하여 표현하지 않을 것이지만, 이는 교환기(30)의 수행 역할에 따라 적절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통신망(50)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망은 기지국(BTS, 미도시)과 기지국 제어기(BC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교환기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은 W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IMT2000 방식 등을 채용한 이동 단말기로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일컫는다. 이때, 무선 통신망은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영상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통신망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발·착신 단말기(10,20)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영상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영상통화가 가능한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폰, PDA폰 등이 대표적인 예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위치등록기(40)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단말기 정보, 가입 정보, 위치 정보, 인증 기능 등을 지닌 이동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도 1에는 홈위치등록기(40)가 단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복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교환기(30)는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된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기(10)는 영상통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이며, 교환기(30)는 발신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교환기(30)는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홈위치등록기(40)로 발신 가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발신 가입자 정보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라 함은 발신 가입자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단계 230에서 교환기(30)는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가입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는 발신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 240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교환기(30)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연결에 관한 상세한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요지와 다소 거리가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판단 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와 연결 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즉, 단계 210 내지 단계 240)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는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 시 제한적으로 영상통화가 가능한 착신 번호를 기록한 목록 정보를 말한다.
단계 240의 판단 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51을 진행하여 착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착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상기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는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 시 제한적으로 영상통화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정보는 비밀 번호와 같은 일정 길이의 문자열이나 숫자(즉, '1234' 등)일 수 있다
단계 240의 판단 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4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로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242에서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52에서 교환기(30)는 수신된 인증 정보가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가 일정 길이의 숫자인 경우 교환기(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일정 길이의 숫자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된 인증 정보가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인증 정보가 '1234'이고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가 '2345'인 경우,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수신된 인증 정보가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3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인증 정보가 '1234'이고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가 '1234'인 경우, 교환기(30)는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라고 할지라도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는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는 착신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신 번호는 일정 길이의 문자열이나 숫자 형태의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즉, 010-xxxx-xxxxabcd, 016-xxx-xxxx1234 등). 또한,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는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 시 제한적으로 영상통화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는 비밀 번호와 같은 일정 길이의 문자열(즉, 'abcd' 등)이나 숫자(즉, '1234' 등)일 수 있다
단계 240의 판단 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53을 진행하여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abcd'이고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bcd'인 경우 교환기(3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2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abcd'이고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abcd'인 경우, 교환기(30)는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라 할지라도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교환기(30)는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된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기(10)는 영상통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이며, 교환기(30)는 착신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10)가 착신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30)에 직접 연결된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는 타 교환기를 경유하여 교환기(30)로 수신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320에서 교환기(30)는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홈위치등록기(40)로 착신 가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착신 가입자 정보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라 함은 착신 가입자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단계 330에서 교환기(30)는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가입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는 착신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단계 340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교환기(30)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연결에 관한 상세한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요지와 다소 거리가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판단 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즉, 단계 310 내지 단계 340)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는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 시 제한적으로 영상통화가 가능한 발신 번호를 기록한 목록 정보를 말한다.
단계 340의 판단 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51을 진행하여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상기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즉, 단계 310 내지 단계 340)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홈위치등록기(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제한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제한리스트는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에 가입 시 영상통화를 제한하기 위한 발신 번호를 기록한 목록 정보를 말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모든 발신 번호에 대해 영상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된 발신 번호만 영상통화 연결을 제한 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340의 판단 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52를 진행하여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61을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 않는 경우, 교환기(30)는 단계 362를 진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가 발신 교환기로 동작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발신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30)는 통신부(410), 발신가입자 정보관리부(420), 서비스가입 판정부(430), 통화연결부(440),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450), 인증정보 관리부(460), 인증정보 처리부(470) 및 통화연결식별자 처리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410)는 발신 단말기(10) 등의 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메시지를 교환기(30)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교환기(30)의 타 구성 요소(예를 들어, 발신가입자 정보관리부(420) 등)가 타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의 경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발신가입자 정보관리부(420)가 홈위치등록기(40)로 발신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경우, 발신 가입자 정보의 요청 메시지는 통신부(410)을 경유하여 홈위치등록기(40)로 전송될 수 있다.
발신가입자 정보관리부(420)는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홈위치등록기(40)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가입 판정부(430)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연결부(440)는 서비스 판정부(4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부(440)는 서비스 판정부(430)와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4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부(440)는 서비스 판정부(430)와 인증정보 처리부(47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발 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부(440)는 서비스 판정부(430)와 통화연결식별자 처리부(48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통화연결부(440)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450)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인증정보 관리부(460)는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 단말기(10)로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정보 처리부(470)는 수신된 인증 정보가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에는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통화연결식별자 처리부(480)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는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의 일치 여부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에는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가 착신 교환기로 동작할 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착신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30)는 통신부(415), 착신가입자 정보관리부(425), 서비스가입 판정부(435), 통화연결부(445),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455) 및 통화제한리스트 처리부(4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거나 대응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415)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0)가 착신 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30)에 직접 연결된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는 타 교환기를 경유하여 통신부(415)로 수신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착신가입자 정보관리부(425)는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홈위치등록기(40)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가입 판정부(435)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연결부(445)는 서비스 판정부(4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판단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통화연결부(445)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통화연결부(445)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연결부(445)는 서비스 판정부(435)와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455)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판단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화연결부(445)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통화연결부(445)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455)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통화제한리스트 처리부(457)는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통화 제한리스트는 영상통화가 제한되는 발신 번호를 등록한 목록 정보를 말한다. 또한, 영상통화 제한리스트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판단 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통화연결부(445)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0) 간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발신 번호가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화연결부(445)는 발신 단말기(10)와 상기 착신 단말기(20) 간 영상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9 및 도10에 도시된 교환기(30)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 반드시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서비스가입 판정부(430,435), 통화연결부(440,445) 등)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일지라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음성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간에만 영상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발신 번호에 대해 영상통화 연결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통신망을 통해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통화서비스 제공장치가 수행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가 발신 가입자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가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e) 단계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제한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8. 통신망을 통해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연결된 통화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 서,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가입자 정보관리부;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가입 판정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통화연결부를 포함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관리부는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 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발신가입자 정보관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화연결부는,
    상기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관리부는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 수신에 상응하여 가입자 정보 제공장치로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착신가입자 정보관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화연결부,
    상기 착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허용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화허용리스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연결부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허용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영상통화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 요청하여 수신하는 인증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연결부는 상기 발신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 기 수신된 인증 정보가 상기 영상통화 연결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요청 메시지가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통화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화연결식별자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연결부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영상통화 연결 식별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정보는 영상통화 제한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화제한리스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연결부는 상기 가입자가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가입자이고 상기 발신 번호가 상기 영상통화 제한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간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서비스 제공장치.
KR20070059833A 2007-06-19 2007-06-19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3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9833A KR100836259B1 (ko) 2007-06-19 2007-06-19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9833A KR100836259B1 (ko) 2007-06-19 2007-06-19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59B1 true KR100836259B1 (ko) 2008-06-10

Family

ID=3977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59833A KR100836259B1 (ko) 2007-06-19 2007-06-19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42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KR20060037929A (ko) * 2004-10-29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방식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42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KR20060037929A (ko) * 2004-10-29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방식 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611B2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alerting icon
US7570631B2 (en) Cable telephony network supporting roaming VoIP terminals
KR20050041876A (ko) 이동-대-이동 비디오 능력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US6611689B1 (en) System for integra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 into a private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1540870A (zh) 视频通话业务的实现方法
US2010015186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01771769B (zh) 呼叫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129299B1 (ko) 익명 통화 서비스 방법
US20070003049A1 (en) Call blocking based on the network access type for the called party
CN100444693C (zh) 一种接入移动通信装置的方法
KR100836259B1 (ko)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581129A (zh) 通话处理方法及装置
KR100618521B1 (ko) 이동통신망에서 그룹 서비스 제공방법
US8521224B2 (en) Communication system, internal line managing apparatus, internal phone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005554B (zh) 语音业务共享方法、设备及系统
KR20120117153A (ko) 번호 이동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JP7380879B2 (ja) 通知装置、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392770B1 (ko) 시스템 라우팅 데이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서비스 방법
US20080125100A1 (en) Mobile device outbound personality portability
KR100596003B1 (ko) 할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ip교환기 시스템
KR10100735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호 설정 방법
KR101954373B1 (ko) 호교환장치 및 호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KR100806177B1 (ko) 유무선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246800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