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929A - 통화 방식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방식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929A
KR20060037929A KR1020040087031A KR20040087031A KR20060037929A KR 20060037929 A KR20060037929 A KR 20060037929A KR 1020040087031 A KR1020040087031 A KR 1020040087031A KR 20040087031 A KR20040087031 A KR 20040087031A KR 20060037929 A KR20060037929 A KR 20060037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ideo call
video
us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669B1 (ko
Inventor
조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6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원하는 않는 경우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발신번호별로 화상 통화 거부 기능을 설정하여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해당 발신번호에 따른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화 기능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를 등록시켜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화상 통화, 음성 통화, 통화 모드, 전환

Description

통화 방식 전환 방법{METHOD FOR CONVERTING TELEPHONY TY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따른 화상 통화 및 음성 통화 중 어느 하나의 통화 모드를 제공하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방식 전환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발신번호별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위치에 따른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통화 방식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간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통화 방식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용자와 상대방 간의 음성 통화만이 가능했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면서 보다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음성, 화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이 개발되고, 본격적인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가 별도로 또는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이를 현재 호 접속 상태에 있는 상대측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이동 통신 단말기 화면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전화통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화상 통화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여 어디든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의 착/발신 시에 자신의 현재 위치가 촬영되어 전송되는 것이 곤란한 상황 예를 들어, 화장실에 있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촬영 영상을 상대방측으로 계속 전송하게 되면 화상 통화자인 상대방이 불쾌해할 수 있으며, 또한 전화통화 예절 문제로서도 적절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상 통화를 위한 호 착신 시에는 사용자가 발신자에 따라 일일이 카메라를 온/오프해야 하거나 착신 거부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발신자에게 자신의 얼굴을 공개하고 싶지 않거나 상황에 따라 상대방과의 화상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 통화용의 카메라를 오프시키지 못하고 통화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화상 이미지가 전송되어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작스럽게 연인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으나 자신의 얼굴을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나, 모르는 제 3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와 자신의 얼굴을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이 상대방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어 이를 화상 통화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 화상 통화는 음성 통화와는 달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많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에 대해 착신 거부를 하는 것 이외에는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또한, 종래의 화상 통화 방식은 음성 통화 방식을 채용하여 매번 사용자의 상황에 관계없이 화상 통화이 착신이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가 일일이 거부하거나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 통화의 착신 가능 여부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함으로써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간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통화 방식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별로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을 설정하는 과정과,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호 착신 시 착신되는 발신번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발신번호가 상기 설정된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인 경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화 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화상 통화 제한 지역을 설정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저장된 화상 통화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화상 통화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원하는 않는 경우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발신번호별로 화상 통화 거부 기능을 설정하여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해당 발신번호에 따른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화 기능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를 등록시켜 화상 통화 호 착신 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전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호 접속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호 접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화통화를 위해 발신하는 상대방 단말기(100)와 그 발신에 대응하는 호를 착신하는 사용자 단말기(110)로 구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따른 화상 통화 및 음성 통화 중 어느 하나의 통화 모드를 제공하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대방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110), 기지국(BS: Base Transceiver Station/Base Station Controller)(115),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20),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25), 이동통신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지국(115)은 각 단말기(100,110)와 무선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 (100, 110)와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20)는 각 단말기(100, 110)로부터 화상 통화 요구 등의 발/수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이동교환국과 망연동을 하고, 홈위치등록기(125)로 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홈위치등록기(125)는 단말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착신 호에 대한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홈위치등록기(12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이동함에 따라 그 단말기(110)가 위치한 지점이 화상 통화를 거부하도록 설정된 지점인지를 판단하도록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15), 이동교환국(120) 및 홈위치등록기(125)를 합쳐서 코어 네트워크(130)라고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코어 네트워크(130)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 메모리부(210), 무선부(220), 음성처리부(230), 표시부(240), 키입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에 따른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구성부의 역할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 방식 전환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 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110)의 내부 블록 구성도는 동일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200)는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미리 발신번호별로 저장해놓은 통화 모드를 확인하여 해당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통화 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200)는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해당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닌 경우 화상 통화 대신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며, 허가된 발신번호에 한해서만 화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코어 네트워크(130)의 부가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 통화가 불가능한 지역 예를 들면, 화장실, 직장 등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해놓으면,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제어부(200)는 코어 네트워크(13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판단 결과에 따른 메시지에 대응하여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0)는 코어 네트워크(13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쳐 그 처리 결과에 따른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의 처리 과정이란 수신된 메시지 내에 포함된 통화 방식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과정을 말하며, 그 판독된 결과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모드가 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화상 통화 대상이 아니거나 화상 통 화가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260)를 오프시킨다. 이와 달리 화상 통화가 가능한 대상이거나 화상 통화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200)는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260)을 온 시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사용자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가 수행되므로, 사용자 상황에 따라 직접 이동 통신 단말기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메모리부(21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그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에는 제어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동작 수행 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210)는 키입력부(250)에 의해 입력되는 화상 통화 거부를 위한 발신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입력된 화상 통화 거부를 위해 입력된 발신번호를 리스트화하여 생성된 화상 통화 거부 리스트를 메모리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미리 발신번호별로 화상 통화 거부 기능을 설정하여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화상 통화 거부된 발신번호일 경우 화상 통화 대신 음성 통화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무선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23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부(24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25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24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키입력부(250)는 숫자키, 문자키 등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250)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25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20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20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이제 화상 통화를 요구하는 호 착신 시 사용자 설정에 따른 해당 통화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사용자 설정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서 화상 통화를 거부하고자 하는 대상을 등록하는 방법과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의 부가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역을 등록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발신번호별로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중 어느 하나의 통화 방식이 결정되며,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통화 방식이 결정된다.
먼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발신번호에 따라 설정된 통화 방식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발신번호별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300)단계에서 화상 통화에 대한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미리 화상 통화 허용 대상과 거부 대상을 구분하여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을 입력받음으로써, 발신번호별로 화상 통화가 수행되거나 화상 통화 대신 음성 통화가 수행되도록 하는 통화 모드를 설정받는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305)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130)를 통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호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호 착신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연결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통화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200)는 호 착신 시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상대방의 전화번호 즉, 발신번호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320)단계에서 검출된 발신번호가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화상 통화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0)는 검출된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 허용 대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된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 거부 리스트에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제어부(200)는 (330)단계에서 화상 통화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대신 음성 통화 모드로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335)단계에서 음성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통화 종료를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통화가 종료임을 감지하는 경우 통화 수행을 종료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330)단계로 되돌아가 음성 통화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검출된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 거부 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일 경우 제어부(200)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가 허용된 전화번호임을 인지하여 카메라(260)를 온하는 등의 각 구성부를 제어함으로써 화상 통화 모드로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340)단계에서 해당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에 통화 종료를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통화 수행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바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예를 들면, 단말기내의 주소록(phone book)을 통해 화상 통화를 허용하는 대상과 허용하지 않는 대상을 미리 설정하여 그 설정 내용을 저장하며, 화상 통화 착신 시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한 대상이 아닐 경우 화상 통화 대신 자동으로 음성 통화로 통화 방식이 전환되게 한다.
한편,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위치에 따른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발신자로부터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통화연결키가 눌리면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이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요구 메시지가 전송되게 된다. 즉, 발신자로부터 화상 통화를 위한 호 발신을 위한 키입력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100)가 코어 네트워크(130)로 화상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화상 통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통화연결키가 입력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기(100)는 단계 400에서 코어 네트워크(130)로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한 화상 통화를 요구하는 발호 요구 메시지(Originat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130)는 단계 410에서 예를 들면, 홈위치 등록기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코어 네트워크(13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위치가 사용자가 코어 네트워크(130)와 연동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설정해 놓은 화상 통화 제한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110)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130)는 단계 430으로 진행하여 화상 통화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화상 통화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130)와 각 단말기(100, 110) 간의 해당 기능의 수행은 통상적인 화상 통화 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가 미리 설정된 화상 통화 제한 지역일 경우 코어 네트워크(130)는 단계 450에서 상대방에게 화상 통화 연결 대신 음성 통화가 수행됨을 알리는 음성 통화 연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코어 네트워크(130)는 단계 44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로 호 착신이 있음을 알리는 호 착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에 따라 채널이 형성되고 단계 460에서 상대방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110)간에 자동으로 음성 통화가 수행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신자별 또는 사용자 단말기 위치별로 통화 방식이 결정되었으나, 이 두 가지의 방법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호 착신 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소정의 설정을 통해 화상 통화의 착신으로 인해 사용자가 겪게 되는 프라이버시 침해나 각각의 화상 통화를 확인하여 필요 시 음성통화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별로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을 설정하는 과정과,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호 착신 시 착신되는 발신번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발신번호가 상기 설정된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인 경우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번호가 화상 통화 거부 대상이 아닌 경우 화상 통화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화 방식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화상 통화 제한 지역을 설정받아 저장하는 과정과,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신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저장된 화상 통화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화상 통화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화상 통화 제한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87031A 2004-10-29 2004-10-29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8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31A KR101085669B1 (ko) 2004-10-29 2004-10-29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31A KR101085669B1 (ko) 2004-10-29 2004-10-29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29A true KR20060037929A (ko) 2006-05-03
KR101085669B1 KR101085669B1 (ko) 2011-11-22

Family

ID=3714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031A KR101085669B1 (ko) 2004-10-29 2004-10-29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6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70A (ko) * 2005-04-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서 착신 화상 통화를 음성 통화로전환하는 방법
KR100836259B1 (ko) * 2007-06-19 2008-06-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48967B1 (ko) * 2006-03-09 2008-07-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단말기 보유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단말 장치와프라이버시 보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899443B1 (ko) * 2007-12-04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99442B1 (ko) * 2007-12-04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2769A2 (en) * 2009-01-14 2010-07-22 Kt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voice or multimedia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70A (ko) * 2005-04-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서 착신 화상 통화를 음성 통화로전환하는 방법
KR100848967B1 (ko) * 2006-03-09 2008-07-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단말기 보유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단말 장치와프라이버시 보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836259B1 (ko) * 2007-06-19 2008-06-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99443B1 (ko) * 2007-12-04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99442B1 (ko) * 2007-12-04 2009-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2769A2 (en) * 2009-01-14 2010-07-22 Kt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voice or multimedia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0082769A3 (en) * 2009-01-14 2010-10-21 Kt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voice or multimedia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669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36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119080A (ko) 휴대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처리방법 및 장치
KR20070092478A (ko)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그시스템
KR101220447B1 (ko) 음성인증을 통한 이동단말기의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085669B1 (ko)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97885B1 (ko) 전기통신 장치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를 녹음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전자 액세서리 장치
KR101390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CN108429849A (zh) 数据业务的处理方法、装置和设备
KR100310846B1 (ko) 이동통신교환국에의한휴대용무선전화기착신거부서비스방법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100830444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정보에 따른 이미지 전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01701B1 (ko) 무선 데이터 사용중의 음성 호 착신 통보 방법 및 이를처리하는 방법
US20050119021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function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100736562B1 (ko)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74660B1 (ko) 사용자 등록 전화번호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호 제한 방법 및 상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59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 전원 오프 상태 안내 서비스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51561A (ko) 이동 단말기의 착신 모드 원격 전환 방법
KR10081380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100938422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의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KR100295754B1 (ko) 전화통신시스템의호전환방법
KR100576004B1 (ko)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0463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제한 설정시 수신기록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