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169B1 -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169B1
KR100703169B1 KR1020040067415A KR20040067415A KR100703169B1 KR 100703169 B1 KR100703169 B1 KR 100703169B1 KR 1020040067415 A KR1020040067415 A KR 1020040067415A KR 20040067415 A KR20040067415 A KR 20040067415A KR 100703169 B1 KR100703169 B1 KR 10070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panel
nonwoven fabric
slab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997A (ko
Inventor
여환동
Original Assignee
여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환동 filed Critical 여환동
Priority to KR102004006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1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슬래브(10) 상면에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폴리우레탄패널(20)이 구비된다.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상면과 저면에는 부직시트(21)와 요철부(23)가 구비되고,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은 연결부직포(2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철식으로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마주보는 일면과 그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는 접착재(30)가 도포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40)이 발포되어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과 폴리우레탄(40)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직포(50)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직포(5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및 폴리우레탄(40)의 상면에는 도막방수재가 도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시공으로 소정의 단열,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형상의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하며, 단열, 방수층의 중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슬래브, 폴리우레탄패널, 폴리우레탄, 접착재, 부직포

Description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Heat insulation and waterproof working structure and method of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패널을 보인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건축물에 단열, 방수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슬래브 11: 벽체
20: 폴리우레탄패널 21: 부직포
23: 요철부 25: 연결부직포
30: 접착재 40: 폴리우레탄
50: 보강부직포 60: 방수층
본 발명은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단열 및 방수를 위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생활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공간의 거주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단열과 방수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건축물의 여러 구조 중 옥상층 슬래브에 대한 단열, 방수공사의 예를 설명한다.
종래의 방수공법의 하나의 예로, 금속시트를 이용한 단열, 방수공법을 들 수 있다. 이 공법에 의하면, 방수공사할 슬래브의 상면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단열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의 상면에 다수개의 금속시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를 다수개의 앵커에 의하여 슬래브의 상면에 고정한 다음에 그 표면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단열, 방수공법으로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단열, 방수공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슬래브의 상면에 다수개의 단열재를 올려놓고, 그 상부에 소정의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크층의 상면에 방수공사를 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단열, 방수공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술한 금속시트를 이용한 단열, 방수공법의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 및 금속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먹선 작업 등을 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앵커에 의하여 고정하여야 되므로, 작업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슬래브의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속시트를 고정하는 작업과는 별개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금속시트 사이 이음부의 마감을 필요로 하고, 이와 같은 이음부가 제대로 마감되지 않게 되면, 이를 통하여 외부의 수분이 침투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는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미리 제작되므로, 상기 슬래브의 형상이 장방형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슬래브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면, 단열, 방수공사가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를 이용한 단열, 방수공법에서는, 상기 단열층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단열, 방수층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를 위하여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므로, 전체적인 공기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단열, 방수공사가 시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단열,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방수층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 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물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다수개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 및 상기 단열재와 벽체 사이에 충진되는 조인트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와 조인트단열재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조인트단열재 및 이에 인접하는 단열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단열재와 조인트단열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는 상면에 유리섬유가 부착되는 부직시트가 열융착되고 저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폴리우레탄패널이고, 상기 조인트단열재는 폴리우레탄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포개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접착재에 의하여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접착재에 의하여 상기 슬래브의 상면 및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의 일면에 각각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조물의 일면에 다수개의 단열재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 중 어느 하나와 이 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마주보는 일면 및 그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구조물의 일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재가 도포되는 부분에 조인트단열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와 조인트단열재의 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와 조인트단열재의 상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정의 길이를 가지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포개지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을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펼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의하면, 간단한 시공으로 소정의 단열,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형성의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하면, 단열, 방수층의 중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의 단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A'선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옥상층 슬래브(10) 상면에는 다수개의 폴리우레탄패널(20)이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올려진다.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은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되는 것으로, 소정의 크기, 예를 들면, 60cm× 120cm×5cm의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래브(10)에 따라서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은 접철식으로 서로 포개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폴리우레탄패널(20)과 이에 인접하는 (2)번 폴리우레탄패널(20)은 양자의 저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포개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2)번 폴리우레탄패널(20)과 (3)번 폴리우레탄패널(20)은 양자의 상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포개지고, 이와 같은 순서로 다수개의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이 서로 포개진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상면에는 부직시트(21)가 구비된다. 상기 부직시트(21)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막방수재의 용이한 도포를 위한 것으로, 상기 부직시트(21)의 표면에는 유리섬유가 부착된다. 상기 부직시트(21)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폴리우레탄패널(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열융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저면에는 요철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23)가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상기 슬래브(10)와 폴리우레탄패널(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은 하나의 연결부직포(2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직포(25)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저면, 즉 상기 요철부(23)에 각각 열융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직포(25)는 실질적으로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맞닿는 부분이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직포(25)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접착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이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서 임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직포(25)의 길이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그것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상기 연결부직포(25)의 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가 접철식으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 연결부직포(25)의 폭은 서로 연결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폭과 폴리우레판패널(20)의 포개어질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는 거리의 합이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직포(25)의 폭은 3개의 폴리우레탄패널(20)의 폭의 합에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이 포개어지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는 거리(이와 같은 거리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를 더한 값이 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과 그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는 접착재(30)가 각각 도포된다. 상기 접착재(30)는 폴리우레탄(4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프라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1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벽체(11)의 일면과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일면 및 양자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도 도포된다.
상기 접착재(30)가 도포되는 부분, 즉 상기 슬래브(10)의 상면과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폴리우레탄(40)이 발포되어 충진된다. 상기 폴리우레탄(40)은 시공과정에서 현장에서 발포되는 것으로, 상기 폴리우레탄(40)의 두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그것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40)은 발포 후 소정의 시간, 대략 1 내지 2분이 경과하면 고화되어 상기 접착재(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화된 상기 폴리우레탄(40)의 상면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상면 일부에는 보강부직포(50)가 부착된다. 상기 보강부직포(50)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과 폴리우레탄(40)의 연결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부직시트(21)와 동일하게 도막방수재의 도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직포(50)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및 폴리우레탄(40)의 상면에는 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방수층(60)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층(60)은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및 폴리우레탄(40)의 상면에 소정의 두께로 고르게 형성되어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의하여 건축물에 단열, 방수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건축물에 단열, 방수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의 상면에 다수개의 폴리우레탄패널(20)을 올려놓는다. 이때 연결부직포(25)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중 예를 들면,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폴리우레탄패널(20)을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다른 폴리우레탄패널(20)을 우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을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다.
한편 요철부(23)가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양자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직포(25) 또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 일측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양자를 접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이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마주보는 일면 및 그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 접착재(30)를 도포한다. 또한 벽체(11)의 일면과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일면 및 양자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면에도 접착재(30)를 도포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재(30)가 도포되는 부분, 즉 상기 슬래브(10)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슬래브(10)의 상면과 상기 벽체(11)의 일면 및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폴리우레탄(40)을 발포하여 충진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40)은 상기 연결부직포(25)에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폴리우레탄(40)을 발포하는 과정에서 좌우로 밀려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발포된 폴리우레탄(40)은 대략 1 내지 2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고화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40)이 고화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40)의 상면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상면 일부에 보강부직포(50)를 부착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직포(50)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 및 폴리우레탄(40)의 상면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층(60)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방수공사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슬래브(10)의 형상이 장방형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을 상기 슬래브(10)의 형상에 따라서 절개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즉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10)의 일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20)의 일부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공장에서 제작된 폴리우레탄패널을 구조물의 일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의 일면과 상기 폴리우레탄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폴리우레탄을 발 포하여 충진하고, 상기 폴리우레탄패널과 폴리우레탄의 연결부를 부직포에 의하여 보강함으로써 단열공사가 완료된다. 따라서 단열, 방수공사가 간단하게 시행됨으로써 공사능률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패널 사이에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충진되므로, 단열층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틈새를 통한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므로, 소정의 단열성능 및 방수성능을 확보하여 건축물의 사용성을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은 금속시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성의 재질이므로, 건축물의 형상에 따라서 용이하게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형상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증진된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경량재질인 상기 폴리우레탄패널 및 폴리우레탄의 상면에 직접 방수공사가 시행되므로, 단열층 및 방수층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되어 건축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경화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단열, 보수공사에 소요되는 전체적인 공기를 감축하여 공사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구조물의 일면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열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 부직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포개질 수 있게 형성된 다수개의 폴리우레탄패널과,
    상기 폴리우레탄패널 간의 사이 및 상기 폴리우레탄패널과 벽체 사이에 충진되는 폴리우레탄과,
    상기 폴리우레탄패널과 폴리우레탄의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및 이에 인접하는 폴리우레탄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 부직포와,
    상기 폴리우레탄패널과 폴리우레탄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은 그 상면에 유리섬유가 부착되는 부직시트가 열융착되고, 저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직포는 그 양측 단부가 상기 요철부의 일측에 열융착되는 부직포이고,
    상기 보강 부직포는 상기 폴리우레탄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의 일측에 고정되는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직포는 접착재에 의하여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접착재에 의하여 상기 슬래브의 상면 및 상기 폴리우레탄패널의 일면에 각각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6.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열되면서 연결 부직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포개진 다수의 폴리우레탄패널을 슬래브의 상면에 펼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패널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마주보는 일면 및 그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구조물의 일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재가 도포되는 부분에 폴리우레탄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패널과 폴리우레탄의 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패널과 폴리우레탄의 상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는 건축물의 단열, 방수공법.
  7. 삭제
KR1020040067415A 2004-08-26 2004-08-26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KR10070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415A KR100703169B1 (ko) 2004-08-26 2004-08-26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415A KR100703169B1 (ko) 2004-08-26 2004-08-26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997A KR20060018997A (ko) 2006-03-03
KR100703169B1 true KR100703169B1 (ko) 2007-04-05

Family

ID=3712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415A KR100703169B1 (ko) 2004-08-26 2004-08-26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030A (zh) * 2016-11-18 2017-03-08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含有波纹钢板的房屋结构的施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21B1 (ko) * 2006-11-28 2007-07-03 김충엽 유연성 단열구조
KR101400059B1 (ko) * 2011-08-18 2014-05-28 김충엽 외단열 외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377912B1 (ko) * 2020-06-29 2022-03-23 주식회사 부일건화 수경화 폴리우레탄 복합 조성물 매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7071763A (zh) * 2022-05-10 2023-11-17 北京茂华聚氨酯建材有限公司 冷库保温板结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025U (ko) 1979-05-15 1980-11-27
EP0178382A2 (de) 1984-10-16 1986-04-23 Gutjahr, Walter Drainageelement
JPH0249421A (ja) * 1989-04-28 1990-02-19 Toshiba Ceramics Co Ltd 拡散炉用炉心管の構造
EP0601396A2 (de) 1992-12-08 1994-06-15 Gutjahr, Walter Aufrollbare Drainagebahn
JPH0729144A (ja) * 1993-07-14 1995-01-31 Hoya Corp 磁気記録媒体
KR20010028913A (ko) * 1999-09-28 2001-04-06 김충엽 유연성 보호 콘크리트
KR20020016082A (ko) * 2000-08-24 2002-03-04 김숭근 건축용 단열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025U (ko) 1979-05-15 1980-11-27
EP0178382A2 (de) 1984-10-16 1986-04-23 Gutjahr, Walter Drainageelement
JPH0249421A (ja) * 1989-04-28 1990-02-19 Toshiba Ceramics Co Ltd 拡散炉用炉心管の構造
EP0601396A2 (de) 1992-12-08 1994-06-15 Gutjahr, Walter Aufrollbare Drainagebahn
JPH0729144A (ja) * 1993-07-14 1995-01-31 Hoya Corp 磁気記録媒体
KR20010028913A (ko) * 1999-09-28 2001-04-06 김충엽 유연성 보호 콘크리트
KR20020016082A (ko) * 2000-08-24 2002-03-04 김숭근 건축용 단열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2049421 *
0702914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030A (zh) * 2016-11-18 2017-03-08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含有波纹钢板的房屋结构的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997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174431B (es) Panel cementoso para construccion, reforzado con tela
KR100703169B1 (ko) 건축물의 단열, 방수구조 및 공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0650374B1 (ko)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JPH10205041A (ja) 床等の構成材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960011022A (ko) 옥상단열방수공법 및 옥상단열방수구조
KR10179858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체 시공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60104047A (ko) 건축물 지붕용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0059B1 (ko) 외단열 외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496627B1 (ko)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EP2388134A1 (en) Modular insulation system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JP3830463B2 (ja) 建築物の防水工法
UA72218C2 (uk) Підкладка для звукоізоляції плаваючої плити
JP4612962B2 (ja) 基礎断熱構造の施工方法
CN210947440U (zh) 一种用于屋面女儿墙泛水处的sbs防水卷材
KR101884202B1 (ko) 조인트가 이중 보강된 복합방수공법
KR101469911B1 (ko) 건축물의 단열 방수 구조
KR100636857B1 (ko) 절연형 모서리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JPH11222985A (ja) 断熱パネル及び該断熱パネルを用いた断熱構造
KR20130090178A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방수 시공 구조 및 방법
US9217246B2 (en) Surface covering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