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683B1 -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683B1
KR100702683B1 KR1020040039987A KR20040039987A KR100702683B1 KR 100702683 B1 KR100702683 B1 KR 100702683B1 KR 1020040039987 A KR1020040039987 A KR 1020040039987A KR 20040039987 A KR20040039987 A KR 20040039987A KR 100702683 B1 KR100702683 B1 KR 10070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893A (ko
Inventor
김해광
Original Assignee
김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광 filed Critical 김해광
Priority to KR102004003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6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5Identification code, e.g. ISWC for musical works; Identification dataset
    • G10H2240/101User identification
    • G10H2240/105User profile, i.e. data about the user, e.g. for user settings or user preferen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21Bluetoo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반영하여, 그 반주의 영상을 포함하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노래방 장치는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한 노래선호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재생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처리 제어부; 및 상기 해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해석된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영상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쉽게 검색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된 환경을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기 전에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노래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Information storage medium containing user preference metadata for karaoke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리스트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에서 선택한 사용자에 대한 노래정보 제공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노래방 장치와 연결하는 기능을 부가한 휴대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휴대폰을 사용하여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노래방 장치에 전송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노래방 장치가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노래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반영하여, 그 반주의 영상을 포함하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래방 장치는 많은 노래들에 대한 반주음악과 영상을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하거나 예약하면, 선택 또는 예약 순서에 따라 반주 음악과 그에 맞는 영상을 재생하면서 가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는 이 반주에 따라 노래 가사를 보면서 노래를 부른다.
이때, 사용자는 노래방 장치에 딸린 조정 버튼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리듬 변환, 음정 변환, 템포 변환, 멜로디 소리 크기 변환 및 간주 점프, 마디 점프, 전주 점프, 절 점프, 코러스 제거, 박수 소리 효과음, 배경 영상, 점수 제거 등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반주음악의 리듬, 음정, 빠르기 등의 재생정도와 기타 설정사항을 입력하면, 이를 수동적으로 수신하여, 그에 맞게 반주와 영상을 재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노래제목과 가수, 그 노래에 관한 간략한 정보들로 구성된 노래 리스트를 담은 책이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 책을 보면서 자기가 원하는 노래의 번호를 찾아 노래방 장치에 입력한다. 또한 입력한 곡을 재생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그 노래의 리듬, 음정, 빠르기 등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래방 장치에 딸린 버튼 또는 리모콘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노래책에는 노래제목의 가나다 순 또는 가수 이름의 가나다 순으로 노래가 정렬이 되어 있으나, 그 양이 워낙 방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검색하고 선택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사용자의 애창곡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전화번호와 같은 고유 아이디를 사용하여, 그 아이디에 대응되는 곡 번호, 제목, 가수 등의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에 맞게 애창곡들을 미리 제시하여 매번 노래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도 한다. 즉, 사용자의 애창곡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노래방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그에 맞게 저장되어 있던 노래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보다 쉽게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곡의 선택과 예약은 쉽게 할 수 있지만, 음정, 박자 등의 설정을 사용자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매 곡마다 다시 해야 하며, 사용자의 구분을 전화번호를 가지고 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래방 장치에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설정하거나 제거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반주 환경을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기 전에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한 노래선호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에 따라 사용 자가 선택한 곡의 재생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처리 제어부; 및 상기 해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해석된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영상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노래선호정보 저장부; 상기 노래선호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선호정보서비스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노래선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노래선호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에 관한 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곡 정보는, 상기 선호하는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a)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노래선호정보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c)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곡에 대응되는 재생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설정된 정보와 상기 해석된 노래선호정보에 따라, 상기 곡 및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컨텐츠 재생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노래선호정보를 확장 마크업 언어(eXtended Markup Language, XML)로 표현한 일실시예이다.
<complexType name=textualType>
<simpleContent>
<extension base = string>
<attribute ref=xml:lang use = optional/>
</extension>
</simpleContent>
</complexType>
<simpleType name=YesOrNoType>
<restriction base=NMTOKEN>
<enumeration value=yes/>
<enumeration value=no/>
</restriction>
</simpleType>
<element name=UserPreference type=UserPreferenceType>
<complexType name =UserPreferenceType>
<sequence>
<element name=UserInfo type=UserInfoType minOccurs=0>
<element name=SongInfo type=SongInfo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sequence>
</complexType>
<complexType name =UserInfoType>
<sequence>
<element name=Alias type=textualType minOccurs=0>
<element name=Name type=textualType minOccurs=0>
<element name=Other type=textualType minOccurs=0>
</sequence>
</complexType>
<complexType name =SongInfoType>
<sequence>
<element name=SongMetaInfo type=SongMetaInfoType>
<element name=SongPresentationControlInfo type= SongPresentationControlInfoType minOccurs=0>
<element name=SongFlowControlInfo type= SongFlowControlInfoType minOccurs=0>
<element name=BackGroundVideoInfo type= BackGroundVideoInfoType minOccurs=0>
<element name=ScoreControl type=YesOrNo minOccurs=0>
</sequence>
</complexType>
<complexType name =SongMetaInfoType>
<sequence>
<element name=KaraokeCompanyName type=textualType minOccurs=0>
<element name=SongNumber type=textualType>
<element name=SongTitle type=textualType>
<element name=SingerName type=textualType maxOccurs=5>
<element name=ComposerName type=textualType minOccurs=0 maxOccurs=5>
<element name=WriterName type=textualType minOccurs=0 maxOccurs=5>
</sequence>
</complexType>
<complexType name=SongPresentationControlInfoType>
<element name=Rythme type= Rythme minOccurs=0>
<element name=Key type=textualType minOccurs=0>
<element name=Tempo type=integer minOccurs=0>
<element name=MelodyVolume type=integer minOccurs=0>
</complexType>
<simpleType name=RythmeType>
<restriction base=NMTOKEN>
<enumeration value=Disco1/>
<enumeration value=Disco2/>
<enumeration value=Techno/>
<enumeration value=Jirubak/>
<enumeration value=Chachacha/>
</restriction>
</simpleType>
< complexType name=SongFlowControlInfo>
<element name=JumpControl type= JumpControlType minOccurs=0>
<element name=PhraseControl type= PhraseControlType minOccurs=0>
<element name=CorusContrl type= YesOrNoType minOccurs=0>
</complexType>
<simpleType name=PhraseControlType>
<list itemType=integer/>
</simpleType>
<simpleType name=JumpControlType>
<restriction base=NMTOKEN>
<enumeration value=PreludeJump/>
<enumeration value=InterludeJump/>
<enumeration value=BothJump/>
</restriction>
</simpleType>
< simpleType name=BackGroundVideoInfo>
<union>
<simpleType>
<list>
<simpleType>
<restriction base= string/>
</list>
</simpleType>
<simpleType>
<restriction base=NMTOKEN>
<enumeration value=Auto/>
<enumeration value=Starlive/>
<enumeration value=MusicVideo/>
<enumeration value=3DCharacter/>
<enumeration value=Nature/>
<enumeration value=External1/>
<enumeration value=External2/>
</restriction>
</simpleType>
</union>
</simpleType>
여기에서 사용된 각각의 Type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ype에는 ComplexType과 SimpleType이 있다. ComplexType의 일예로 textualType은 문자열을 데이터 값으로 가지며, 속성으로서 xml:lang은 문자열에서 사용한 언어를 나타낸다. SimpleType의 일예로 YesOrNoType은 'yes’또는‘no’의 값을 가진다. UserPreference 요소(element)는 사용자 정보의 최상위 요소로서 UserPreferenceType의 값을 갖는다.
UserPreferenceType은 UserInfo 요소와 SongInfo 요소를 가진다. UserInfo 요소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며, SongInfo는 노래에 관한 정보이다. UserInfo 요소는 없거나 하나만 존재한다. UserInfo 요소가 없을 때는 노래방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SongInfo 요소는 선호 곡의 개수만큼 존재할 수 있으며, 각 곡에 대한 재생제어 및 메타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한다. UserInfoType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며, 별명(Alias), 이름(Name)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Other)를 가질 수 있다. 각 요소는 없거나 많아도 하나만 존재한다.
SongInfoType은 하나의 곡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 음악 재생 제어 정보, 음악 흐름 제어 정보, 배경 영상 정보, 점수 제어 정보를 갖는다. SongMetaInfo 요소는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여야 하며, 다른 정보들은 없거나 또는 하나씩만을 가진다. SongMetaInfo를 제외하고 다른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노래방 장치는 기본 설정값에 따라 동작한다. ScoreControl 정보는 'yes' 또는 'no'의 값을 가지며, yes로 설정되었을 때는 노래방 장치는 점수를 표시하고 no로 설정됐을 때는 점수를 표시하지 않는다.
SongMetaInfoType은 반드시 하나의 곡번호(SongNumber)와 곡명(SongTitle)을 갖는다. 가수명(SingerName) 요소은 최대 5개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작곡가명(ComposerName) 요소, 작사가명(WriterName) 요소도 최대 5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노래방 회사명은(KaraokeCompanyName)은 선택적으로 없거나 하나의 이름을 가질 수 있다. 노래방 회사명과 곡번호의 조합으로서 노래방 장치는 여러 노래방회사의 곡을 통합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노래방 회사명이 없을 때에는 곡번호는 노래방 장치의 기본 노래방 회사의 곡번호이다. 곡의 식별은 노래방 회사명 대신에 곡버호에 대한 이름공간(namespace)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SongPresentationControlInfoType은 곡을 재생할 때의 재생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리듬(Rythme) 요소는 디스코, 테크노, 지루박, 차차차 등의 리듬 정보를 표현한다. 음정(Key) 요소는 음정 정보를 문자열로 표현하며, “C”, “Dm”등 음악에서 사용되는 키 값을 갖는다. 음정(Key) 요소가 없을 때는 곡의 원 음정으로 재생된다. 템포(Tempo) 요소는 숫자값을 가지며, 곡의 빠르기 정보를 분당 비트수로 표현한다. 소리크기(MelodyVolume) 요소는 곡의 재생 볼륨을 1에서 100 사이의 값 으로 표현한다. 50은 원래의 볼륨이며, 100에 가까울수록 볼륨이 커지며, 1에 가까울수록 볼륨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요소들은 선택적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요소가 없을 때는 노래방 장치는 기본 설정값에 따라 동작한다.
SongFlowcontrolInfo는 음악의 재생의 부분적 생략을 제어하는 정보이다. Jumpcontrol은 전주곡 뛰어넘기(PreludeJump), 간주곡 뛰어넘기(InterludeJump), 전주곡 및 간주곡 모두 뛰어넘기(BothJump)의 값을 가질 수 있다. PhraseControl은 곡에서 재생하는 절의 제어에 대한 정보이다. 재생하여야 할 절 번호의 열을 가질 수 있으며, 0 값은 모든 절을 재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3” 값이면 노래방 장치는 3 절로 이루어진 곡일 경우 2 절을 뛰어넘고 재생한다.
BackGroundVideoInfo는 곡과 함께 재생되는 동영상 클립에 대한 정보를 표현한다. 곡과 함께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 클립의 식별자의 리스트를 표현하거나, 노래방 장치가 제공하는 Auto(자동), StarLive(그 노래를 부른 가수의 라이브 동영상), MusicVideo(비디오 클립), 애니메이션(3Dcharacter), 자연영상(Nature), 외부1(External1), 외부2(External2) 등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곡의 재생시에 함께 디스플레이 되기를 선호하는 동영상이 동영상들의 리스트로 표현된 경우, 노래방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이 리스트에 기록된 순서대로 검색하여 찾은 후, 찾은 동영상이 디스플레될 수 있으면, 재생되는 곡과 함께 선택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리스트에 존재하는 동영상중에 원하는 동영상이 없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없으면, 노래방 장치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XML로 표현된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수신되어 노래선호정보 저장부(204)에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2) 일예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노래선호정보 저장부(104)에는 복수개의 사용자 노래선호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노래선호정보 저장부(104)에 저장된 내용은 리모콘, 노래방 장치에 구비된 제어패널(126)의 버튼,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02)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 등을 조작함으로써 지워질 수 있다.
제어부(106)는 노래선호정보 저장부(104)에 저장된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읽고 해석하여, 현재 저장된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 오버레이부(108)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도 2a는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리스트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휴대단말이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김영철(210)을 선택하면, 노래방 장치는 사용자 김영철의 애창곡 리스트를,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로부터 추출한 곡명, 가수, 곡번호 등의 정보를 영상 오버레이부(108)를 통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한다.
도 2b는 도 2a에서 선택한 사용자에 대한 노래정보 제공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곡을 선택하면, 이 곡은 예약곡 리스트에 포함되어, 예약 사용자명/곡명의 리스트 형태로 화면에 출력된다. 도 2b의 화면에서 선택된 곡이 이미 예약된 곡이면, 그 곡을 다시 선택함으로써 예약곡 리스트에서 제거된다. 도 2a와 도 2b의 사용자 화면은 END를 선택함으로써 모니터에서 사라진다.
한편, 제어부(106)는 예약곡 리스트로부터 순서대로 해당하는 곡에 대한 반주음악과 영상을 오디오 재생부(110)와 동영상 재생부(112)를 제어하여 음악 DB(114)와 동영상 DB(116)로부터 입력받아 동기를 맞추어 재생한다. 이때 재생을 시작하기 전에 제어부(118)는 현재 재생할 노래에 해당하는 오디오 제어 정보의 음정, 템포, 리듬 정보대로 오디오 신호처리 제어부(118)를 설정한다. 가사가 반주음악과 함께 다중화된 경우에는 반주/가사 분리부(120)는 반주/가사 스트림으로부터 가사를 분리하여 동기를 맞추어 가사 재생부(124)와 영상 오버레이부(108)를 통해 출력한다. 노래방 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센서(122)를 통해 수신하거나, 전면의 제어패널(126)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수동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다음은 사용자 '김영철'의 노래선호정보를 XML로 구현한 일 실시예이다.
<UserPreference>
<UserInfo>
<Name> 김영철</Name>
</UserInfo>
<SongInfo>
<SongMetaInfo>
<SongNumber> 384 </SongNumber>
<Singer> 조용필 </Singer>
<SongTitle> 창밖의 여자 </SongTitle>
</SongMetaInfo>
<SongPresentationControlInfo>
<Key> Cm </Key>
</SongPresentationControlInfo>
<SongFlowControlInfo>
<PhraseControl> 1 </PhraseControl>
<ChorusControl> no </ChrousControl>
</SongFlowControlInfo>
<ScoreControl> no </ScoreControl>
</SongInfo>
<SongInfo>
<SongMetaInfo>
<SongNumber> 5722 </SongNumber>
<Singer> 남진 </Singer>
<SongTitle> 저푸른 초원위에 </SongTitle>
</SongMetaInfo>
</SongInfo>
<SongInfo>
<SongMetaInfo>
<SongNumber> 1022</SongNumber>
<Singer> 김수희 </Singer>
<SongTitle> 애모 </SongTitle>
</SongMetaInfo>
</SongInfo>
</UserPreference>
사용자 '김영철'은 3개의 애창곡을 갖고 있으며, 첫번째 곡은 조용필의 '창밖의 여자'로서 곡번호 384번이며, 음정은 Cm로 설정되어 있고, 1절만 부르기를 원하며, 코러스는 원하지 않으며, 점수 표시도 원하지 않는다. 두번째 곡은 곡번호 5722로써 남진의 '저푸른 초원위에'이고, 세 번째 곡은 곡번호 1022로써 김수희의 '애모'이다. 두 번째곡과 세 번째 곡에 대한 정보는 곡번호, 가수명, 곡명만을 포함하므로, 음정, 박자 등의 나머지는 기본값에 따라 재생된다.
도 3은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노래방 장치와 연결하는 기능을 부가한 휴대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노래선호정보 저장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XML로 작성된 노래선호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노래선호정보는 선호정보 제어부(320)에 의해 제어되어 송수신부(310)를 통해 노래방 장치에 전송된다. 송수신부(31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노래방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폰 기능부(340)는 종래의 휴대폰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휴대폰을 사용하여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노래방 장치에 전송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노래방 사용자 노래선호정보 서비스 개시를 요청받으면(S410), 타이머에 의해 일정기간 동안 노래방 장치로부터의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 서비스 가능응답 메시지 수신여부를 체크하여(S420), 노래선호정보 서비스 가능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노래방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노래방 장치에 전송한다(S430).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여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에러를 표시하고(S440) 종료한다. 노래방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사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노래방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성공 메시지 수신여부를 체크하여(S450), 수신이 성공하였다는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면 종료하고, 수신이 성공하였다는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에러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5는 노래방 장치가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노래방 장치는 노래방 사용자 노래선호정보 서비스가 가능한가를 조사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루프를 돌며 계속 검사한다(S510). 노래선호정보 서비스 가 능여부조사 메시지가 수신되면 노래선호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520). 그리고, 수신에 성공하였는가를 일정기간동안 타이머에 의해 체크하여(S530), 성공하지 못했으면 에러를 표시하고(S540), 다시 노래선호정보 서비스 가능여부조사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에 성공하면 데이터 수신성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수신돈 노래선호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50)
한편, 전술한 노래선호정보 전송 및 수신방법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노래선호정보재생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노래선호정보 재생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쉽게 검색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선택된 환경을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기 전에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노래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한 노래선호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재생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처리 제어부; 및
    상기 해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해석된 제어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영상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선호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에 관한 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곡 정보는, 상기 선호하는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선호정보는 확장 마크업 언어(XML)의 형태로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장치.
  5.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노래선호정보 저장부;
    상기 노래선호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선호정보서비스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노래선호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노래선호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선호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에 관한 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곡 정보는, 상기 선호하는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선호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말기.
  8.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에 관한 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곡 정보는, 상기 선호하는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는 확장 마크업 언어(XML)의 형태로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저장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 정보는
    곡의 번호, 제목, 작곡자, 작사자 및 노래방 회사명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및
    상기 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정보와 배경영상 선호정보 및 점수제어 선호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어정보는
    상기 곡의 리듬, 음정, 템포, 멜로디, 볼륨의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12. (a)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노래선호정보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곡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c)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곡에 대응되는 재생제어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설정된 정보와 상기 해석된 노래선호정보에 따라, 상기 곡 및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컨텐츠 재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컨텐츠 재생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선호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에 관한 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곡 정보는, 상기 선호하는 곡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정보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컨텐츠 재생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선호정보는 확장 마크업 언어(XML)의 형태로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에서의 컨텐츠 재생방법.
KR1020040039987A 2004-06-02 2004-06-02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KR10070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987A KR100702683B1 (ko) 2004-06-02 2004-06-02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987A KR100702683B1 (ko) 2004-06-02 2004-06-02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93A KR20050114893A (ko) 2005-12-07
KR100702683B1 true KR100702683B1 (ko) 2007-04-02

Family

ID=3728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987A KR100702683B1 (ko) 2004-06-02 2004-06-02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45B1 (ko) * 2006-07-13 2008-09-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핸드폰에 저장된 음원 메타데이터를 자동 인식하는 노래방선곡 방법 및 시스템, 그를 위한 노래방 서비스 서버와 그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93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0388A (en) Karaoke system for synchronizing and reproducing a performance data, and karaoke system configuration method
US2008001862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recording media,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20090023969A (ko) 오디오 데이터 플레이어 및 이의 재생목록 생성방법
JP2008225379A (ja) 映像作品の続きを見るための楽曲が指定される音楽映像再生装置
JPH1063281A (ja) 音響映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楽曲のアレンジ方法
JP4340809B2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02683B1 (ko)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JPH11219188A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演奏端末、および選曲装置
JP4651317B2 (ja) 楽曲選択装置
JPH10124071A (ja) カラオケ装置
JP5709782B2 (ja) カラオケ演奏モード設定システム
JP4498221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H0561492A (ja) マルチメデイア用カラオケチエンジヤシステム
JP3892082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用選曲装置
JP2012234002A (ja) カラオケ楽曲検索システム
JP7299810B2 (ja) カラオケ装置
JP72187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670367B2 (ja) 単独利用カラオケ演奏装置における選曲予約システム
JP5061634B2 (ja) 携帯型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671494B2 (ja) カラオケ装置の演奏予約装置
JP4263151B2 (ja) 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方法
KR100563378B1 (ko) 노래반주기의 절 점프 구현장치 및 구현방법
JPH09152882A (ja) カラオケ用選曲装置
JP2949080B2 (ja) 演奏システム
JP2012113554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