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849B1 -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849B1
KR100701849B1 KR1020050109331A KR20050109331A KR100701849B1 KR 100701849 B1 KR100701849 B1 KR 100701849B1 KR 1020050109331 A KR1020050109331 A KR 1020050109331A KR 20050109331 A KR20050109331 A KR 20050109331A KR 100701849 B1 KR100701849 B1 KR 10070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main body
fastening
mounting portion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국
정해성
김기용
정광춘
유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to KR10200501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849B1/ko
Priority to AU2006316188A priority patent/AU2006316188B2/en
Priority to EP06843831A priority patent/EP1968798B1/en
Priority to ES06843831T priority patent/ES2355985T3/es
Priority to DE602006019315T priority patent/DE602006019315D1/de
Priority to AT06843831T priority patent/ATE493270T1/de
Priority to PCT/KR2006/004794 priority patent/WO2007058460A1/en
Priority to US12/093,810 priority patent/US816244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 잉크카트리지 테스터 등 잉크카트리지가 착탈되는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장치로서 잉크카트리지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잉크카트리지의 플렉서블 인쇄회로의 접점에 접촉되는 다수 개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배치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 좌우 측면 또는 상면을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장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재질 혹은 형상으로 되고, 체결 후 그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금속제의 체결막대가 상기 고정구 내부에 삽입되어진 자성체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체결되거나, 체결막대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된 자성체와 상기 고정구 내부에 삽입되어진 자성체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 및 해제방식은 상기 고정구의 버튼봉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자성체의 위치가 하향이동함에 따라 자성력이 감소되어 본체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 체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 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본체 사이에 스프링 탄성수단이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 프린터, 테스터, 충전기, 카트리지, 착탈, 캐리어, 홀더

Description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An Ink-Cartridge Loading/Unloading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 및 5는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수단의 제1실시예.
도 6 및 7는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수단의 제2실시예.
도 8 및 9는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수단의 제3실시예.
도 10 및 11는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수단의 제4실시예.
도 12 및 13는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수단의 제5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
110: 본체
111: 신호전달회로 111a: 접점
112a: 상면지지부 112b: 측면지지부
120: 장착부 121: 수용홈
130: 체결부
131: 체결막대 131a: 걸림부
132A, 132B, 132C, 132D, 132E: 고정구
132A1: 버튼봉 132A2: 통공
132A3: 고정구 스프링 132A4: 걸림테
132B1: 자성체 132B2: 체결로
132C1: 버튼봉 132C2: 자성체
132C3: 비자성체 132C4: 탄성체
132D1: 전자석 132D2: 전원
132D3: 체결로
132D4: 스위치 132D5: 스위치버튼
132E1: 전자석 132E2: 전원
132E3: 체결로
132E4: ON스위치 132E5: ON스위치버튼
132E6: OFF스위치 132E7: OFF스위치버튼
133: 스프링 133a: 스프링축
200: 종래기술에 의한 착탈장치 210: 본체
220: 홀더 230: 고정구
300: 잉크카트리지
301: 플렉서블 인쇄회로 301a: 접점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젯프린터, 잉크카트리지 테스터 등 잉크카트리지가 착탈되는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장치로서 잉크카트리지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로 작성된 각종 업무 결과물 혹은 작업물 등을 출력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인쇄용 출력 장치들이 많이 개발ㆍ생산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인쇄용 출력 장치는 크게 잉크젯프린터와 레이저프린터로 나눌 수 있는데, 같은 정도의 품질을 가진 출력물을 얻는 데 있어서 잉크젯프린터가 레이저프린터에 비해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가정ㆍ사무실 뿐만 아니라 전문 출력소 등에서도 잉크젯프린터를 많이 구비하고 있 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통상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프린터 내부의 캐리어에 장착된 잉크카트리지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용지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여 문자나 이미지를 인쇄하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그 과정을 설명하자면, 잉크카트리지가 프린터의 캐리어에 장착되면, 프린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잉크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잉크가 프린터 노즐로 공급되어 용지에 분사된다. 이 때, 프린터의 인쇄신호전달 접점들과 잉크카트리지의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들이 접촉하여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잉크분사량이 조절되어 문자나 이미지를 인쇄하게 된다.
한편, 한 번 사용되고 난 잉크카트리지는 폐기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매우 많은 폐기물 및 자원의 낭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유지비용 부담 고조ㆍ폐기물 발생ㆍ자원 낭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장된 잉크가 다 소모된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어 왔다. 이와 같이 잉크카트리지의 재사용이 가능한 이유는, 상술한 잉크젯프린터의 인쇄 과정으로 보아 알 수 있듯이, 잉크카트리지는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고 있다가 적절한 통로가 연결되었을 때 잉크를 공급해 주는 기능만 만족되면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과정을 통해 잉크가 소모된 잉크카트리지의 경우, 잉크카트리지의 수용부나 노즐, 플렉서블 인쇄회로의 접점 등의 손상은 거의 없이 잉크만 소모되기 때문에, 상기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잉크내장부에 잉크를 다시 충전하기만 하면 새 제품이나 다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노즐의 손상은 대부분 잔여잉크에 의한 노즐폐쇄현상으로, 이러한 손상은 축축한 헝겊 등을 이용 해서 노즐에 습기를 가하여 잔여잉크를 제거함으로써 일반인들조차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일시적인 손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잉크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프린터에서 보내 오는 인쇄신호 혹은 상태신호 등을 받는 플렉서블 인쇄회로에 손상이 생기게 되면, 신호에 따라 올바르게 잉크분사량을 조절할 수 없거나, 내부의 잉크 잔량 측정이 부정확해지거나 하는 등의 동작이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러한 잉크카트리지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손상을 입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주입하는 소모적인 실패를 겪지 않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잉크카트리지 충전업자들은 당 잉크카트리지가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시험하는 잉크카트리지 테스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에 언급한, 프린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나 테스터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등 잉크카트리지가 착탈되는 다양한 기기에서, 종래의 기기에서는 잉크카트리지 장착시 잉크카트리지(혹은 잉크카트리지 장착구)의 하부 일측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동하여 장착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동 방식의 착탈장치를 그대로 차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회동 방식으로 잉크카트리지를 테스터에 장착하는 경우, 잉크카트리지의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들과 테스터의 신호전달 접점들이 정위치에서 접촉하지 못하고 서로 비껴나가서 부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상기와 같은 현상에 더하여 회동 방식의 특성상 압력이 일정하게 배분 되지 못하고 편향되게 배분되기 때문에, 잉크카트리지의 접점들과 테스터의 접점들에 흠집 등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결국 잉크카트리지 접점회로에 영구적 손상을 가하게 되어, 잉크카트리지의 재활용률을 낮추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방식이 아닌 슬라이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손상을 최소화하여 기기에서의 잉크카트리지 손상을 최소화하고 테스트시 시험 결과의 정확성ㆍ신뢰도를 최대화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잉크카트리지의 플렉서블 인쇄회로의 접점에 접촉되는 다수 개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배치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 좌우 측면 또는 상면을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장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재질 혹은 형상으로 되고, 체결 후 그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서 상기 장착부는 금속제의 체결막대가 상기 고정구 내부에 삽입되어진 자성체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다른 실시형태로 상기 장착부는 체결막대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된 자성체와 상기 고정구 내부에 삽입되어진 자성체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 및 해제방식은 상기 고정구의 버튼봉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자성체의 위치가 하향이동함에 따라 자성력이 감소되어 본체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면 체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 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본체 사이에 스프링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200) 중 한 형태의 사시도이다(본 도면에서는 테스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장치 본체(2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홀더(220)에 잉크카트리지(300)를 수용시킨 후 일정 각도 회동시킨다. 이후,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구(230)를 사용하여 잉크카트리지(300)를 고정시키는데, 이와 같이 고정구(230)로 고정시키기 전에는 잉크카트리지(300)의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과 기기의 신호전달회로 접점 사이에 미세하게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이 고정구(230)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잉크카트리지(300)는 미세한 각도만큼 더 회동하고, 그 회동에 의하여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과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완전히 밀착되어 연결된다.
이 때, 잉크카트리지(300)의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이 배치된 면과 기기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배치된 면이 전체적으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단지 두 면을 밀착시킬 뿐 아니라 약간의 압력을 더 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 즉, 원래의 기하학적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두 면이 만나는 정확한 위치보다 미세하게 더 가까운 위치에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그런데, 잉크카트리지(300)는 본체(210)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잉크카트리지(300)와 기기 착탈장치(200)의 밀착된 두 면은 완전히 평행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미세한 각도를 형성하게 되어, 잉크카트리지(300)는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분산되는 압력을 받지 못하고 항상 어느 한 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분산되는 압력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회동하여 두 면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각 면들은 한 쪽에서부터 압력을 받기 시작하기 때문에, 언제나 장착시에 편향된 압력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한 쪽 방향으로 치우친 압력은, 더 많은 압력을 받는 부분에서 형상변형 혹은 흠집을 발생시키는 큰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기기의 특성상 잉크카트리지(300)는 지속적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편향된 압력을 받게 되며, 결과적으로 잉크카트리지(300)의 수명을 줄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편향된 압력을 받으면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잉크카트리지(300)의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들과 기기의 신호전달회로 접점들이 처음부터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하지 못하거나, 처음에는 정위치에 있었더라도 점차로 위치가 변화하게 됨으로 인하여, 기기의 오작동(프린터의 경우 인쇄 불량, 충전기의 경우 급여해야 할 잉크 잔량 측정 오류, 테스터의 경우 잉크카트리지의 정상/불량 판정 오류 등)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 잉크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장착부(120), 체결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잉크카트리지가 착탈되는 다양한 기기 자체에 부착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체(1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신호전달회로(111) 접점(111a)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본체(110)의 전면에는 잉크카트리지(300)를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측면지지부(112b) 및 상면지지부(112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면지지부(112b) 및 상면지지부(112a)에 의해, 잉크카트리지(300)가 시험을 받기 위하여 본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잉크카트리지(300)의 좌우 및 상하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측면지지부(112b) 및 상면지지부(112a)는 잉크카트리지(300)의 규격에 따라 그 규격과 형상이 결정된다. 측면지지부(112b)는 잉크카트리지(300) 좌우 측면과의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잉크카트리지(300)가 상기 측면지지부(112b)에 부드럽게 삽입되거나 사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지지부(112a) 역시 측면지지부(112b)와 마찬가지로 잉크카트리지(300)가 부드럽게 삽입되어나 사출될 수 있게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이와는 다른 형태로서 상면지지부(112a)는 잉크카트리지(300)의 뚜껑이나 잉크카트리지(30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용 홈(302) 등이 단단히 끼워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미도시)됨으로써 잉크카트리지(300)를 단단히 고정시키고 본체(110)에 밀착되기 위한 외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막힌 ㄷ자 형상의 수용홈(121)을 갖추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형상으로써 잉크카트리지의 좌ㆍ우ㆍ하ㆍ전면을 지지하여, 상기 본체(110)의 측면지지부(112b) 및 상면지지부(112a)와 더불어 잉크카트리지(300)의 좌우상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본체(110)와 상기 장착부(120)를 연결하는 체결부(130)에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10)와 상기 장착부(120)는 종래의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에서의 각 해당 부분의 기능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도 1의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본체와 장착부가 회동하도록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와 장착부(120)가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잉크카트리지(300)가 착탈장치(100)에 삽입되면, 종래 의 회동 방식에서 압력의 편향적인 분배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잉크카트리지 접점들 혹은 기기 접점들의 형상변형ㆍ흠집발생 및 그로 인한 수명단축, 또는 잘못된 접촉으로 인하여 잘못된 시험 결과 발생 등)들이 일시에 해소될 수 있다는 데 본 발명의 의의가 있다.
체결부(130)에는 고정구(132)와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32)가 구비되어 있으면, 고정구(132)에 의해 체결부(13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10)의 상면지지부(112a)로 고정된 잉크카트리지(300)를 보다 더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스프링(133)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본체(110)와 장착부(120)를 분리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33)이 구비되어 있으면, 장착부(120)가 본체(110)에 밀착되었을 때 스프링(133)이 압착되어 고정구(13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고정구(132)를 풀어주면 상기 스프링(133)의 반력에 의해 장착부(120)가 밀려나옴으로써 사용자가 잉크 주입이 완료된 잉크카트리지(300)를 착탈장치(100)로부터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133)이 구비될 때는 스프링축(133a)을 더 구비함으로써 스프링(133)의 좌우로의 유동을 방지하고 신축되는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착탈장치(100)는, 장착부(120)에 잉크카트리지(300)를 수용시키고(A), 상기 장착부(120)를 슬라이드시켜 고정구(132)로 고정시킴으로써 본체(110) 전면의 신호전달회로(111) 접점(111a)에 잉크카트리지(300)의 플렉서블 인쇄회로(301) 접점(302)이 밀착 연결되도록 한다(B). 도 3에서는 A-B 단계도로써 상기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가 종래기술에 의한 착탈장치와 핵심적으로 상이한 점은 체결부(130)에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5는 상기 체결부(130) 형태의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 때의 체결부(130)는 스프링(133)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나(도 4), 스프링(133)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5).
도 4의 A 단계는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체결막대(131)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1a)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구 버튼봉(132A1)의 몸체에는 체결막대(131)의 걸림부(131a)가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진 통공(132A2)이 뚫려 있다. 잉크카트리지 장착을 위하여 장착부(120)를 본체(110)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시된 B 단계와 같이 체결막대(131)가 상기 통공(132A2)으로 밀려들어온다. 체결막대(131)의 걸림부(131a)는, 진행 방향으로 부드러운 곡면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통공(132A2)을 통하여 본체 방향으로 밀려들어오게 되고, 고정구(132)의 버튼봉(132A1)은 체결막대(131)의 걸림부(131a)가 밀려들어옴에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고정구 스프링(132A3)은 걸림테(132A4)에 의해 압축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어 압축 상태가 된다. C 단계와 같 이, 걸림부(131a)가 버튼봉(132A1)의 통공(132A2)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B 단계에서 압축되어 있던 고정구 스프링(132A3)의 복원력에 의하여 버튼봉(132A1)이 원위치로 되돌려지며, 이에 따라 걸림부(131a)에 의해 통공(132A2)과 체결막대(131)가 걸려 움직이지 않는 체결 상태가 된다. 체결 상태를 해제하려면 고정구(132)를 다시 눌러 주면 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고정구(132)를 누름으로써 버튼봉(132A1)이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가면 체결막대(131)의 걸림부(131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132A2)의 위치가 내려가게 되어 체결막대(131)로부터 걸림부(131a)가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0)에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체결 상태(B 및 C 단계)에서는 체결부(130)의 스프링(133)이 줄어든 상태가 된다. 고정구(131)를 눌러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C 단계에서 줄어들어 있던 체결부(130) 스프링(1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체결막대(131)가 통공(132A2)을 통과하여 탈거됨과 함께 장착부(120)가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체결 상태일 때 스프링(133)이 줄어듦으로 인하여 복원력이 발생되게 하였으나, 기계적 구성을 달리하여 스프링(133)이 늘어남으로 인하여 복원력이 발생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도 6 및 도 7는 상기 체결부(130) 형태의 제2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 때의 체결부(130)는 스프링(133)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나(도 6), 스프링(133)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7).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고정구(132B)는 본체(110)에 체결막대(131)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로(132B2)를 뚫고 그 내부에 자성체(132B1)를 구비하는 것으로, 매우 단순한 형태로 되어 있어 제작이 간편하고 생산 원가가 매우 낮으면서도 충분히 장착부(120)를 본체(11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는 데 그 장점이 있다.
도 6의 A 단계는 본체(110)와 장착부(120) 체결 전 상태이며, B 단계는 체결 상태로서, A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성체(132B1)의 인력이 체결막대(131)를 끌어당길 수 있는 위치까지 수동으로 장착부(120)를 이동시키면, 자기적 인력에 의하여 자성체(132B1)와 체결막대(131)가 접촉 부착됨으로써 본체(110)와 장착부(120)가 체결된다(B 단계). 또한, 체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장착부(120)를 잡아당김으로써 자성체(132B1)의 인력을 이기는 기계적 힘을 가하여 본체(110)와 장착부(120)를 소정의 위치 이상으로 이격시키면, 이격된 거리에 의해 자성체(132B1)의 인력이 더 이상 체결막대(131)를 끌어당길 수 없게 되어, 장착부(120) 탈거 후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0)에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자성체(132B1)의 인력은 스프링(133)의 복원력을 이길 정도로 강해야 한다. 이외의 작동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체결막대(131)가 자성체(132B1)에 의해 끌어당겨지기 위해서, 체결막대(131)의 재질이 금속으로 되어 있거나,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체결막대(131)가 자성체(132B1)와 접촉하는 면 단부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체결부(130) 형태의 제3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 때의 체결부(130)는 스프링(133)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나(도 8), 스프링(133)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9).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기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며, 편리한 탈거를 위한 버튼이 더 구비된다.
도 8의 A 단계는 체결막대(131)와 고정구(132C)의 버튼봉(132C1)이 체결되기 전의 상태이다. 체결막대(131)는 체결막대(131)와 버튼봉(132C1)의 초기 위치는 버튼봉(132C1)의 자성체(132C2)에서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이격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체결막대(131)를 본체(110) 방향, 즉 자성체(132C2)에 가까워지도록 밀어주면 체결막대(131)는 자성체(132C2)의 자력에 의하여 도 8의 A 단계와 같이 버튼봉(132C1)의 자성체(132C2) 쪽으로 인력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도 8의 B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막대(131)와 자성체(132C2)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하여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체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8의 C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32C)의 버튼봉(132C1)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 주면 되는데,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버튼봉(132C1)의 비자성체(132C3) 부분과 체결막대(131)가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체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체결막대(131)와 버튼봉(132C1) 사이의 자기적 인력이 없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도 쉽게 장착부(12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버튼봉(132C1)의 하단에 탄성체(132C4)를 구비시킴으로써 체결 상태가 완전히 해제된 이후 상기 탄성체(132C4)의 복원력에 의 하여 버튼봉(132C1)이 원래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한 자성을 이용한 고정구(132C)에 더불어 체결부(130)에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체결막대(131)와 고정구(132C)의 버튼봉(132C1)이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데, 단 이 경우에는 자기적 인력이 상기 스프링(133)의 복원력에 비하여 큰 값을 갖게 해야 한다는 조건 하에 설계하여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0)에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구(132C)를 눌러서 체결막대(131)와 버튼봉(132C1) 사이의 자기적 인력이 없어지면, 스프링(1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체결막대(131)가 원래의 초기 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장착부(120)가 자동으로 분리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장착부(120) 또는 체결막대(131)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고 체결막대(131)의 선단에 자성체(미도시)를 삽입고정하여 고정구에 삽입고정된 자성체(132C2)와 자성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도 당연히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는 상기 체결부(130) 형태의 제4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 때의 체결부(130)는 스프링(133)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나(도 10), 스프링(133)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11).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기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되,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석을 사용한다는 점이 상기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전자석을 작동 시키기 위한 스위치 및 버튼이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 가지 실시예들에서는 장착부(120)에 잉크카트리지(300)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체결부(130)의 체결 상태 및 조건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20)에 잉크카트리지(300)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고정구(132D)의 스위치(132D4)가 열려 있어, 전자석(132D1)에서 자기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A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0)에 잉크카트리지(300)를 수용시킨 후, 장착부(120) 및 체결막대(131)를 본체(110) 쪽으로 전진 이동시키면, 잉크카트리지(300)의 전면에 본체(110) 중앙에 구비된 스위치버튼(132D5)이 눌림으로써 스위치(132D4)가 닫히고, 그에 따라 전자석(132D1)이 작동되어 자기력을 갖게 된다. 그러면, B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막대(131)와 전자석(132D1)이 자기력에 의하여 단단히 결합되게 되어, 본체(110)와 장착부(120) 사이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잉크카트리지(300)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잉크카트리지(300) 및 잉크카트리지(300)가 수용된 장착부(120)를 본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시키면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전자석(132D1)에서 발생하는 자기력보다 약간이라도 강한 기계적 외력을 가하여 본체(110)와 장착부(120)를 조금이라도 이격시키면, 상기 잉크카트리지(300) 후진 이동함에 따라 스위치버튼(132D5)이 원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스위치(132D4)가 초기의 A 단계에서와 같이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전자석(132D1)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자기력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 체결 상태가 더 이상 유지되지 않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스위치버튼 (132D5)에는 탄성체와 걸림부 등과 같은 소정의 기계적 구성을 이루고 있음으로써(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고정구스프링(132A3) 및 걸림테(132A4) 구성 참조) 잉크카트리지(300)가 미는 힘이 없어지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132D)에 인가되는 전원(132D2)은 기기(프린터ㆍ충전기ㆍ테스터 등 잉크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기기를 총칭함)로부터 공급받게 하거나, 별도로 건전지 등을 구비하여 작동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도 11는 도 10에서 도시한 전자석을 이용한 고정구(132D)에 더불어 체결부(130)에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탈거시 더 구비된 체결부(130)의 스프링(133)에 의하여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장착부(120) 및 그 내부에 수용된 잉크카트리지(300)가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는 상기 체결부(130) 형태의 제5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 때의 체결부(130)는 스프링(133)을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나(도 12), 스프링(133)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13).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의 발전된 형태로서, 제4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장착부(120)를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탈거해야 한다는 점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OFF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비슷하지만 본 실시예에는 OFF스위치(132E6) 및 OFF스위치버튼(132E7)이 더 구비되어 있 으며, 제4실시예에서의 스위치(132D4) 및 스위치버튼(132D5)과 본 실시예에서의 ON스위치(132E4) 및 ON스위치버튼(132E5)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A 및 B 단계의 동작 원리는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도시된 C 단계를 이용하여 탈거 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OFF스위치(132E6)는 초기에 닫힌 상태로 되어 있으며, 체결 상태일 때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탈거를 원할 경우 상기 OFF스위치버튼(132E7)를 누르면, OFF스위치버튼(132E7)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OFF스위치(132E6)을 열게 되고, 여전히 ON스위치(132E4)는 닫혀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OFF스위치(132E6)가 열림에 따라 전원(132E2)이 차단되어, 전자석(132E1)에서의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잉크카트리지(300) 및 장착부(120)를 탈거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ON스위치버튼(132E5) 및 OFF스위치버튼(132E7)에는 탄성체 및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버튼을 누르는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버튼이 원래의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는 도 12에서 도시한 전자석을 이용한 고정구(132E)에 더불어 체결부(130)에 스프링(13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체결되거나 해제되는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탈거시 더 구비된 체결부(130)의 스프링(133)에 의하여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장착부(120) 및 그 내부에 수용된 잉크카트리지(300)가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카트리지를 기기에 장착할 때 잉크카트리지의 플렉서블 인쇄회로 접점과 기기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슬라이드에 의해 접촉하는 과정에서 일정하게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잉크카트리지 접점 및 기기 접점들이 올바르게 정위치에서 접촉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잘못된 시험 결과를 발생시키거나, 그 주변에 형상변형이 일어나거나 흠집이 생김으로써 영구적으로 사용불능이 되게 하는 등의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잉크카트리지의 재활용률ㆍ수명을 높일 뿐 아니라 잉크카트리지 시험 결과의 정확성ㆍ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잉크카트리지의 플렉서블 인쇄회로의 접점에 접촉되는 다수 개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배치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 좌우 측면 또는 상면을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장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잉크카트리지의 형상을 이용하여 단단히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걸림부가 형성된 체결막대가 상기 체결부에 구비된 고정구의 통공에 끼워져 걸리는 것에 의해 본체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버튼봉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체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 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본체 사이에 스프링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6.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잉크카트리지의 플랙서블 인쇄회로의 접점에 접촉되는 다수 개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배치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 좌우 측면 또는 상면을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장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장착부는 금속제의 체결막대 또는 선단부에 금속제가 부착된 체결막대가 상기 고정구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부착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버튼봉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자성체의 위치가 하향이동함에 따라 자성력이 감소되어 본체와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체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 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본체 사이에 스프링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9.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잉크카트리지의 플랙서블 인쇄회로의 접점에 접촉되는 다수 개의 신호전달회로 접점이 배치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 좌우 측면 또는 상면을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전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과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접촉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장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장착부는 금속제의 체결막대 또는 체결막대의 선단부에 삽입고정된 자성체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전자석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수용된 잉크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전진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스위치가 눌러져서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체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 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본체 사이에 스프링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체결부에 상기 전자석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본체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체결 전의 상태로 원상복귀 하도록 상기 장착부와 본체 사이에 스프링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KR1020050109331A 2005-11-15 2005-11-15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KR10070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331A KR100701849B1 (ko) 2005-11-15 2005-11-15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AU2006316188A AU2006316188B2 (en) 2005-11-15 2006-11-15 An ink-cartridge loading/unloading apparatus
EP06843831A EP1968798B1 (en) 2005-11-15 2006-11-15 An ink-cartridge loading/unloading apparatus
ES06843831T ES2355985T3 (es) 2005-11-15 2006-11-15 Aparato de carga / descarga de cartucho de tinta .
DE602006019315T DE602006019315D1 (de) 2005-11-15 2006-11-15 Vorrichtung zum laden/entladen einer tintenpatrone
AT06843831T ATE493270T1 (de) 2005-11-15 2006-11-15 Vorrichtung zum laden/entladen einer tintenpatrone
PCT/KR2006/004794 WO2007058460A1 (en) 2005-11-15 2006-11-15 An ink-cartridge loading/unloading apparatus
US12/093,810 US8162441B2 (en) 2005-11-15 2006-11-15 Ink-cartridge loading/unloa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331A KR100701849B1 (ko) 2005-11-15 2005-11-15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849B1 true KR100701849B1 (ko) 2007-03-30

Family

ID=3804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331A KR100701849B1 (ko) 2005-11-15 2005-11-15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62441B2 (ko)
EP (1) EP1968798B1 (ko)
KR (1) KR100701849B1 (ko)
AT (1) ATE493270T1 (ko)
AU (1) AU2006316188B2 (ko)
DE (1) DE602006019315D1 (ko)
ES (1) ES2355985T3 (ko)
WO (1) WO20070584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88B1 (ko) 2009-11-12 2011-09-30 주식회사 티에스코리아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주입장치
CN117621673A (zh) * 2024-02-01 2024-03-01 广州市品格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板材uv数码打印设备及板材数码打印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818A1 (de) * 2010-12-16 2012-06-21 Marlies Rüttgers Schnellwechselsystem für eine Tintenkartusche eines Tintenstrahldruckkopfs
TWI498228B (zh) * 2012-07-09 2015-09-01 Kinpo Elect Inc 墨水匣限位裝置及應用此墨水匣限位裝置的多功能事務機
ES2931994T3 (es) * 2018-07-13 2023-01-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Interconexión de suministro de líquido de impresión en carcasa alimentada por manguera
JP7157925B2 (ja) * 2018-09-28 2022-10-21 株式会社リコー 携帯型画像形成装置及び携帯型画像形成装置本体
JP7390368B2 (ja) 2018-10-03 2023-12-01 メムジェ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2段階pcb係合式印刷モジュール
US11493333B2 (en) * 2019-12-06 2022-11-08 Shanghai Fusion Tech Co., Ltd. Flatness detec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546A (ja) * 1994-10-13 1996-04-30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018A (en) * 1988-11-21 1990-03-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US5646665A (en) * 1993-04-30 1997-07-08 Hewlett-Packard Company Side biased datum scheme for inkjet cartridge and carriage
JPH0752377A (ja) 1993-08-10 1995-02-28 Funai Electric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0847866B1 (en) * 1994-11-02 2003-01-08 Seiko Epson Corporation Ink supply tank for an ink jet type recording unit
DE69833054T2 (de) 1997-06-04 2006-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Houston Tintenzuführsystemadapter
CN1278862C (zh) * 1999-10-12 2006-10-1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用于喷墨打印设备的墨盒
US6644780B2 (en) * 2001-03-24 2003-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rriage with clamping device for reliable mounting of printheads
JP2003334935A (ja) * 2002-03-15 2003-11-25 Sharp Corp 記録装置
US6655793B2 (en) 2002-03-26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supporting apparatus
KR100478410B1 (ko) * 2003-02-05 2005-03-23 (주) 아이피에스이미지 잉크 카트리지 초기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546A (ja) * 1994-10-13 1996-04-30 Fuji Xerox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10854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88B1 (ko) 2009-11-12 2011-09-30 주식회사 티에스코리아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주입장치
CN117621673A (zh) * 2024-02-01 2024-03-01 广州市品格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板材uv数码打印设备及板材数码打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8798B1 (en) 2010-12-29
AU2006316188B2 (en) 2010-11-04
US8162441B2 (en) 2012-04-24
DE602006019315D1 (de) 2011-02-10
US20110174950A1 (en) 2011-07-21
WO2007058460A1 (en) 2007-05-24
AU2006316188A1 (en) 2007-05-24
ES2355985T3 (es) 2011-04-01
ATE493270T1 (de) 2011-01-15
EP1968798A1 (en) 2008-09-17
EP1968798A4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49B1 (ko) 잉크카트리지 착탈장치
JP4058436B2 (ja) インク収納容器
KR101896816B1 (ko)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US6170940B1 (en) Ink jet type recording unit, and printer with it
CN102381039B (zh) 喷墨记录装置
US11618262B2 (en) Liquid cartridge
CN106364174B (zh) 打印装置
TW201002532A (en) Liquid container
KR100709853B1 (ko) 어댑터 키트와 잉크 송출 시스템과 소형 폼 팩터 잉크젯 카트리지 장착 및 사용 방법
US20090028624A1 (en) Tape printing apparatus
JP201204589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119815B2 (ja) 廃液収容体及びアタッチメント
JP2006043922A (ja)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タンクホルダ、前記インクタンクの装着方法および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H0623420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116786A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用ホルダ
JP2021529109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4125297B2 (ja) 液体吐出装置
US9409406B2 (en) Recording apparatus with mounting-removing mechanism for ink cartridge
JP2004148650A (ja) 液体供給具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6519005A (ja) ラベルプリンタ
JP2006192793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そのインク廃液管理方法
JP2006187904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H041445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ヘッド保持装置
CN215970703U (zh) 墨水容器及打印设备
CN217993885U (zh) 芯片组件以及具有该芯片组件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