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475B1 - 하드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하드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475B1
KR100701475B1 KR1020010065993A KR20010065993A KR100701475B1 KR 100701475 B1 KR100701475 B1 KR 100701475B1 KR 1020010065993 A KR1020010065993 A KR 1020010065993A KR 20010065993 A KR20010065993 A KR 20010065993A KR 100701475 B1 KR100701475 B1 KR 10070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disk
carriage
shroud member
base
magnet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340A (ko
Inventor
스즈키야스오
모리이기요코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8Reducing friction, adhesion, dra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반복 런-아웃을 작게 억제함과 동시에, 베이스에 하드디스크를 합체하는 공정과 베이스에 캐리지(carriage)를 합체하는 공정을 따로따로 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캐리지(45)의 축(52) 보다 하드디스크(43)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바로 그 부분의 공간부(60)에 쉬라우드(shroud)부재(70)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쉬라우드부재(70)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하드디스크(43)와 캐리지(45)를 합체하고 회전 삽입해서 캐리지(45)를 하드디스크(43)와 조합하고 나서, 쉬라우드부재(70)가 부착된다.
하드디스크 장치, 쉬라우드부재, 런-아웃

Description

하드디스크 장치{HARD DISK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일례의 하드디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되는 하드디스크 장치의 커버(cover)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 중에서 III-III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4는 쉬라우드부재(shroud member)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하드디스크 장치의 조립 공정도.
도 6은 하드디스크 조립체,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 및 쉬라우드부재의 팔레트(palette) 상에서의 지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 중에서 공정 110이 종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 중에서 공정 111이 종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5 중에서 공정 112가 종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5 중에서 공정 113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5 중에서 공정 113이 종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5 중에서 공정 114가 종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하드디스크 장치
41: 베이스(base)
42: 하우징
43: 하드디스크
44: 헤드 슬라이더
45: 캐리지(carriage)
46: 자기회로
50: 스핀들 모터
60, 60a: 공간부
70: 쉬라우드부재
70a: 쉬라우드면
70b: 쐐기 모양부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base)와 커버(cover)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내에, 고속 회전하는 하드디스크와,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slider)를 갖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왕복 회동(revolve back and forth)시키는 자기회로를 구비한 구성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디스크 장치는 기록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기록 밀도가 높아지면, 트랙(track) 피치(pitch)가 좁아지기 때문에, 헤드 슬라이더의 트랙킹(tracking) 제어를 높은 정밀도로 행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비반복 런-아웃(NRRO: non-repeatable run-out)을 작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비반복 런-아웃이란, 헤드 슬라이더의 하드디스크상의 트랙에 대한 오프-트랙(off-track)으로서, 스핀들(spindle) 모터의 회전에 동기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로 나타내어진다.
비반복 런-아웃이 발생하는 하나의 원인으로서는, 하드디스크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야기되는 공기 흐름이 헤드 슬라이더(slider) 및 암(arm)에 부딪히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비반복 런-아웃을 작게 억제하기 위하여는 하드디스크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야기되는 공기 흐름을 가능한 한 안정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 하드디스크 장치는 조립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하드디스크 장치(10)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하드디스크 장치(10)는, 베이스(11)와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2) 내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시계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하드디스크(13)와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14)를 갖는 캐리지(15), 캐리지(15)를 왕복 회동시키는 자기회로(16)를 구비한 구성이다.
부호 20, 21은 쉬라우드이고, 베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드디스크(13)를 둘러싸고 있다. 이 쉬라우드(20, 21)가 존재함으로써, 하드디스크(13)가 고속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하드디스크(13)의 표면의 공기 흐름(25)이 안정하게 되어 비반복 런-아웃이 작게 억제되고 있다.
캐리지(1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최대한의 회동 위치는, 캐리 지(15)의 일부가 쉬라우드(21)에 맞닿는 위치이고, 도 1 중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이다. 헤드 슬라이더(14)는 하드디스크(13)의 외측에 도달하고 있지만, 캐리지(15)의 일부는 하드디스크(13)와 겹쳐 있다.
이 때문에 하드디스크 장치(10)를 조립하는 작업은, 미리 조립 치구(治具)상에서, 하드디스크(13)와 캐리지(15)를 조합하고, 예를 들면 도 1에서 나타내는 위치 관계로 조합된 상태로 하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드디스크(13)와 캐리지(15)와 자기회로(16)를 함께 운반하여, 베이스(11)상에 세팅(setting)하는 것에 의해 행하고 있었다.
하드디스크(13)와 캐리지(15)와 자기회로(16)를 함께, 또한 이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운반하기 위해, 하드디스크 장치를 조립하는 작업에는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 하드디스크 장치(10)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한 하드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베이스를 갖는 하우징 내에, 고속 회전하는 하드디스크와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갖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왕복 회동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는 별도의 부재인 쉬라우드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쉬라우드부재를 나중에 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하드디스크와 캐리지와 자기회로를 베이스내에 합체한 후에 쉬라우드부재를 나중에 붙임으로써, 베이스에 하드디스크와 캐리지를, 하드디스크와 캐리지가 조합된 상태인 채로 합체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이며 또한 따로따로 합체하는 공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회동 중심보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위치로서, 상기 캐리지와 상기 자기회로와의 사이의 공간부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쉬라우드부재의 부착 위치가, 캐리지의 회동 중심보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위치로서, 캐리지와 자기회로의 사이의 위치이므로, 쉬라우드부재는 비반복 런-아웃을 작게 억제하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는, 상기 캐리지의 회동 중심보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위치에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에 대향하는 부분에 모따기부를 갖는 구성이고,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자기회로의 모따기부와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 모양 공간부에 대응한 형상의 쐐기 모양부를 갖는 형상이며,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쐐기 모양부가 상기 쐐기 모양 공간부에 들어간 상태로 부착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쐐기 모양부는 쉬라우드부재의 쉬라우드면의 하드디스크의 둘레 방향용의 길이를 길게 한다. 따라서, 쉬라우드부재는 비반복 런-아웃을 작게 억제하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라 우드부재는, 하면측에 암(female)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하면측으로부터 나사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나사 고정이기 때문에 쉬라우드부재는 베이스상에 제대로 고정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하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암 나사부 및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 및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각각 볼록부에 끼워 맞추고, 팔레트상에 베이스상으로의 부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고 있는 쉬라우드부재를 그대로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들어서 운반하여, 베이스상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쉬라우드부재를 팔레트상으로부터 베이스상으로 들어서 운반하는 기구는, 쉬라우드부재의 방향을 바꾸는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되는 하드디스크 장치(40)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하드디스크 장치(40)는, 상자형의 베이스(41)와 상면을 덮는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2)내에, 화살표 CC로 나타내는 반시계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지름이 3.5 인치의 하드디스크(43)와,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44)를 갖는 캐리지(45), 전자력에 의해 캐리지(45)를 왕복 회동시키는 자기회로(46)를 구비한 구성이다.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 시에, 하드디스크(43)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야기되는 공기 흐름(49)에 의해, 헤드 슬라이더(44)는 하드디스크(43)의 면에 대해서 약간 부상한 상태로 되어 있다.
베이스(41)는 저판부(41a)와 일체의 쉬라우드(41b)를 갖는다. 쉬라우드(41b)는 하드디스크(43) 중에서 Y1측의 각도 θ1(대략 220°)의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하드디스크(43)는 베이스(41)의 저판부(41a)에 고정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50)의 스핀들(51)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45)는 베이스(41)의 저판부(41a)에 고정되어 있는 축(5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캐리지(45)는 일단(一端) 측에 하드디스크(43)에 대응하여 복수의 암(45a)을 갖고, 타단(他端) 측에 포크형 암부(45b)를 갖는다. 각 암(45a)의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44)가 부착되어 있다. 포크형 암부(45b)에, 평면도상 사다리꼴 형상인 편평한 코일(53)이 고정되어 있다. 자기회로(46)는 한 쌍의 평면 형상의 영구자석이 중간에 편평한 공간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구성이다. 자기회로(46)의 편평한 공간내에 코일(53)이 위치하고 있다. 자기회로(46)는 포크 형상부(45a)를 받아들여 고정시키고, 캐리지(4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47,48)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자기회로(46)는 대략 L자형 모양이고, Y1-Y2방향으로 뻗어있는 팔부분(46a)과 X1-X2방향으로 뻗어있는 팔부분(46b)을 가지며, 축(5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베이스(41)의 저판부(41a)에 고정되어 있다.
축(52)과 팔부분(46a)과의 사이의 부분, 즉 축(52) 보다 하드디스크(43)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바로 그 부분에 공간부(60)가 존재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자기회로(46)의 Y1-Y2방향으로 뻗어 있는 팔부분(46a) 중에서 축(52) 측의 모서리(coner)부는, 모따기부(46a1)를 갖는다. 이 모따기부(46a1)와 하드디스크(43)의 바깥 둘레와의 사이에 쐐기 모양의 공간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70은 쉬라우드부재이고, 도 4(a)에 나타내듯이 베이스(41)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대략 삼각기둥 형상이며 하드디스크(43)의 바깥 둘레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쉬라우드면(70a)을 갖고, 상기 공간부(6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쉬라우드부재(70)는 그 일단 측에 상기 쐐기 모양의 공간부(60a)에 대응하는 쐐기 모양부(70b)를 갖는다. 따라서, 쉬라우드면(70a)의 폭치수 s는 대략 10㎜로 길다.
여기서, 쉬라우드부재(70)가 베이스(41)와는 별도의 부재인 것에 의해, 조립의 순서를, 후술하듯이 최초로 하드디스크(43), 캐리지(45) 및 자기회로(46)를 베이스(41)상에 합체하고, 이 후에 쉬라우드부재(70)를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립의 순서를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드디스크(43), 캐리지(45) 및 자기회로(46)의 베이스(41)상으로의 자동적인 합체 작업을 간단한 구성의 조립용 로봇(robot)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쉬라우드부재(70)는 하면측에 암 나사부(71)와 위치 결정용 구멍(72)을 가지며, 상면측에 척크(chuck)용 구멍(73)과 위치 결정용 구멍(74)을 갖는다. Z1-Z2 방향상, 암 나사부(71)와 척크용 구멍(73)은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위치 결정용 구멍(72)과 위치 결정용 구멍(74)은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암 나사부(71)는 하단에 위치 결정용의 개구부(71a)를 갖는다.
이 쉬라우드부재(70)는, 공간부(60)내에 위치하고 있고, 저판부(41a)의 구멍(41d)을 통한 나사(75)에 의해 베이스(41)의 저판부(41a)상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쉬라우드부재(70)의 쉬라우드면(70a)은 하드디스크(43)의 바깥 둘레와 대향하고 있고, 쉬라우드면(70a)과 하드디스크(43)의 바깥 둘레와의 사이의 틈새의 폭치수 a는 0.5㎜이다.
쉬라우드부재(70)의 쉬라우드면(70a)은, 하드디스크(43) 중, 축(52)에 대해서 하드디스크(43)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바로 그 부분을, 각도 θ2의 범위에 걸쳐서 뻗쳐 있다. 쐐기 모양부(70b)가 공간부(60a)내에 들어가 있고, 각도 θ2는 대략 20°로 크다.
본 출원인은 도 2의 하드디스크 장치(40)에서 비반복 런-아웃을 측정했다. 여기서, 비반복 런-아웃은, 캐리지(45)를 소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하드디스크 장치를 구동하고, 하드디스크(43)의 일회전에 필요한 시간을 단위로 하여 헤드 슬라이더(44)의 하드디스크(43)상의 소정의 트랙으로부터의 오프-트랙(off-track) 양을 반복하여 계측하고, 세로축이 오프-트랙 양, 가로축이 시간의 그래프에서 그래프선으로 나타내고, 다수의 그래프선을 겹쳐서 포락선(envelop)을 구하고, 이 포락선의 피크(pick)로부터 피크(pick)까지 측정한 경우의 최대치이다. 또한, 가로축의 시간은 하드디스크(43)의 인덱스(index) 신호를 읽어낸 시점을 영으로 한 시간이다. 또, 상기의 그래프선은 하드디스크(43)의 일회전마다 하나씩 표시된다.
쉬라우드부재(70)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비반복 런-아웃은 0.108㎛ 이었다. 쉬라우드부재(7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비반복 런-아웃은 0.092㎛로 감소하고 있다. 쉬라우드부재(70)를 부착함으로써, 비반복 런-아웃은 쉬라우 드부재(70)를 갖추지 않은 구성에 비해 대략 15% 개선되고 있다. 각도 θ2는 대략 20°로 큰 것이므로 개선의 정도는 높다. 또한, 하드디스크(43)상의 트랙의 폭은 0.643㎛ 이다.
또, 상기의 하드디스크 장치(40)는, 하드디스크(43)의 회전이 정지하는 과정에서, 캐리지(4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헤드 슬라이더(44)가 하드디스크(43)의 중심쪽으로 물러나는(recess) 구성이다.
다음으로, 도 2의 하드디스크 장치(40)의 조립방법에 대해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a), (b), (c), (d)에 나타내는 것을 미리 준비해 둔다.
도 6(a)는 하드디스크 조립체(80)이고, 팔레트(81)상에 지지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조립체(80)는, 4매의 복수의 하드디스크(43)가 그 중심 구멍을 실린더부(92)에 끼워 맞추고, 또한 사이에 스페이서를 통하여 겹쳐 쌓여 있는 구성이다.
도 6(b)는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90)이고, 팔레트(91)상에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45)는 그 중심 구멍(45e)이 팔레트(91)상의 볼록부(91a)에 끼워 맞춰져 있다.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90)는, 캐리지(45)가 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동된 상태에서 캐리지(45)와 자기회로(46)가 조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자기회로(46)는 스토퍼(stopper)(48)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고, 포크형 암부(45b)는 스토퍼(48)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넘어서 회동하고 있으며, 스토퍼(48)가 부착될 예정의 U자 절결부분(切缺部分)(49)에는 코일(53)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도 6(c), (d)는 쉬라우드부재(70)이고 팔레트(101)상에 지지되어 있다. 쉬라우드부재(70)는 개구부(71a) 및 위치 결정용 구멍(72)을 각각 팔레트(101)상의 볼록부(101a, 101b)에 끼워 맞추어, 베이스(41)상에의 부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2의 하드디스크 장치(40)의 조립은 청정실(clean room)내에서, 조립용 로봇을 사용하여, 이동되어 오는 빈 베이스(41)에 상기 하드디스크 조립체(80),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90), 쉬라우드부재(70) 등을 자동적으로 합체함으로써 행하여진다.
① 하드디스크 조립체의 합체 공정(110);
적당한 척크를 구비한 합체 장치를 사용하여, 팔레트(81)상의 하드디스크 조립체(80)를 픽업(pickup)하여 옮겨오고, 베이스(41)내로 내려서 스핀들 모터(50)의 스핀들(51)에 끼워 맞추고, 베이스(41)내에 합체한다. 도 7은 하드디스크 조립체(80)가 베이스(41)에 합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②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의 합체 공정(111);
적당한 척크를 구비한 합체 장치를 사용하여, 팔레트(91)상의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90)를 픽업하고, 캐리지(45)와 자기회로(46)를 양자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로 옮겨오고, 도 7에 나타낸 상태의 베이스(41)내의 소정의 위치에 내려서, 베이스(41)내에 합체한다. 캐리지(45)는, 그 중심 구멍(45e)이 축(52)에 끼워 맞춰진다.
여기서, 캐리지(45)는 스토퍼(48)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넘어서 회동하고 있기 때문에, 암(45a)은 하드디스크(43)에 접촉하는 일없이 아래로 움직여 베이스(41)내에 합체된다. 도 8은 캐리지·자기회로 조합체(90)가 베이스(41)에 합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③ 회전 삽입 공정(112);
작업자가 도 8 중에서 캐리지(45)를 화살표 A로 나타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각 암(45a)을 서로 이웃하는 하드디스크(43)의 사이에 삽입시키고, 헤드 슬라이더(44)를 하드디스크(43)의 상하면에 접촉시킨다. 도 9는 캐리지(45)가 화살표 A로 회동되어 회전 삽입이 완료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④ 쉬라우드부재의 합체 공정(113);
도 9에 나타내듯이 캐리지(4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공간부(60)가 형성된다.
도 10(a)에 나타낸, 척크부(121)와 위치 결정 핀(122)을 갖는 척크부재(120)를 구비한 합체 장치를 사용한다. 척크부재(120)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회동은 하지 않는다. 우선, 도 10(a)에 나타내듯이, 척크부(121)를 척크용 구멍(73)에 끼워 맞추고, 위치 결정 핀(122)을 위치 결정용 구멍(74)에 끼워 맞취서, 척크부(121)에서 척크용 구멍(73)에 맞물린다. 그 다음에, 도 10(b)에 나타내듯이, 척크부재(120)가 이동하여 쉬라우드부재(70)를 팔레트(101)로부터 끌어올려 이동시키고, 베이스(41)상의 공간부(60) 바로 위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하강시켜서, 도 10(C)에 나타내듯이 저판부(41a)상에 내려서 나사부재(75)로 하면 측으로부터 고정한다.
도 11은, 쉬라우드부재(70)가 합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팔레트(101)상의 쉬라우드부재(70)와 이동해 온 베이스(41)의 위치 관계를, 팔레트(101)상의 쉬라우드부재(70)의 방향이 베이스(41)상에 합체될 때의 방향과 같도록 하고, 척크부재(120)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회동은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합체 장치는 쉬라우드부재(70)의 합체 방향을 조정하는 동작이 필요없는 구성이다. 따라서, 합체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쉬라우드부재(70)의 합체가 짧은 시간에 그리고 정밀도 좋게 행해진다.
또한, 척크부재가 쉬라우드부재(70)의 외측을 클램프(clamp)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쉬라우드부재(70)에는 척크용 구멍(73) 및 위치 결정용 구멍(74)이 불필요하게 되어, 쉬라우드부재(70) 자체의 제조 비용은 보다 염가로 된다.
⑤스토퍼 부착 공정(114);
마지막으로, 스토퍼(48)를 캐리지(45)에 부착한다.
도 12는 스토퍼(48)를 캐리지(45)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의 부착 등의 그 외의 공정은 종래와 같이 행해진다.
또, 쉬라우드부재(70)를 나중에 부착하는 구성은, 하드디스크(43)의 회전이 정지하면 캐리지(4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헤드 슬라이더(44)가 하드디스크(43)의 외측으로 물러나며, 하드디스크(43)의 회전이 개시되면 헤드 슬라이더(44)가 하드디스크(43)상으로 이동하는 구성의 하드디스크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청구항 1의 발명은, 베이스를 갖는 하우징 내에, 고속 회전하는 하드디스크와,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갖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왕복 회동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는 별도의 부재인 쉬라우드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쉬라우드부재를 나중에 붙임으로써, 베이스에 하드디스크를 합체하는 공정과 베이스에 캐리지를 합체하는 공정을 따로따로 행하는 조립 공정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장치를 자동적으로 조립하는 로봇은 구조가 간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만큼 하드디스크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회동 중심보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위치로서, 상기 캐리지와 상기 자기회로와의 사이의 공간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헤드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공기 흐름을 안정하게 할 수 있고, 쉬라우드부재는 비반복 런-아웃을 작게 억제하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며, 이에 의해 비반복 런-아웃이 작게 억제된 하드디스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는, 상기 캐리지의 회동 중심보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위치에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에 대향하는 부분에 모따기부를 갖는 구성이고,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자기회로의 모따기부와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 모양 공간부에 대응한 형상의 쐐기 모양부를 갖는 형상이 며,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그 쐐기 모양부가 상기 쐐기 모양 공간부에 들어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쐐기 모양부가 존재함으로써, 쉬라우드부재의 쉬라우드면의 하드디스크의 둘레 방향용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쉬라우드부재는 비반복 런-아웃을 작게 억제하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고, 이에 따라 비반복 런-아웃이 작게 억제되는 하드디스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하면측에 암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하면측으로부터 나사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쉬라우드부재를 베이스상에 제대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하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암 나사부 및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 및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각각 볼록부에 끼워 맞추고, 팔레트상에 베이스상으로의 설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고 있는 쉬라우드부재를 그대로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들어서 운반하여 베이스상에 고정한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쉬라우드부재를 팔레트상으로부터 베이스상으로 운반하는 기구는, 쉬라우드부재의 방향을 바꾸는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쉬라우드부재는 정밀도 좋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5)

  1. 베이스를 갖는 하우징 내에, 고속 회전하는 하드디스크와 선단에 헤드 슬라이더를 갖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시키는 자기회로를 갖는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는 별도의 부재인 쉬라우드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캐리지와 상기 자기회로 사이의 공간에 전체가 배치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하드디스크의 회전방향에 있어 상기 축의 상류 방향에 존재하고,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하드디스크에 겹치지 않고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에 대향하는 견고한 쉬라우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는, 상기 캐리지의 회동 중심보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방향상의 상류측의 위치에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에 대향하는 부분에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자기회로의 모따기부와 상기 하드디스크의 바깥 둘레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 모양 공간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쐐기 모양부를 갖는 형상이며,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상기 쐐기 모양부가 상기 쐐기 모양 공간부에 들어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하면측에 암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하면측으로부터 나사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부재는, 하면측에 개구부를 갖는 암 나사부 및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 및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각각 볼록부에 끼워 맞추고, 팔레트상에 베이스상으로의 설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고 있는 쉬라우드부재를 그대로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들어서 운반하여 베이스상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장치.
KR1020010065993A 2001-04-13 2001-10-25 하드디스크 장치 KR100701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6023A JP2002313062A (ja) 2001-04-13 2001-04-13 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JP-P-2001-00116023 2001-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40A KR20020079340A (ko) 2002-10-19
KR100701475B1 true KR100701475B1 (ko) 2007-03-29

Family

ID=1896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993A KR100701475B1 (ko) 2001-04-13 2001-10-25 하드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35045B2 (ko)
EP (1) EP1249839B1 (ko)
JP (1) JP2002313062A (ko)
KR (1) KR100701475B1 (ko)
DE (1) DE601185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745A (ja) * 2004-09-10 2006-03-23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磁気ディスク装置
US7508623B2 (en) 2006-02-14 2009-03-24 Seagate Technology Llc Multi-purpose flow control device comprised in a data storag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702196A (ko) * 1987-05-29 1989-12-23 코너 페리퍼럴스인코포에이티드 디스크 드라이브 구조
JPH0323844Y2 (ko) * 1985-10-04 1991-05-24
KR19990023166A (ko) * 1997-08-26 1999-03-25 포만 제프리 엘 하드 디스크 내에서 음성 코일 모터용 코일의 냉각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062A (en) * 1987-05-29 1990-12-18 Conner Peripherals, Inc. Disk drive architecture
US5631787A (en) * 1994-06-27 1997-05-20 Quantum Corporation Power reduction shroud for a hard disk drive
US5907453A (en) * 1997-07-08 1999-05-25 Seagate Technology, Inc. Enhanced convective voice coil cooling to improv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a disc drive
US6271987B1 (en) * 1997-08-28 2001-08-07 Seagate Technology Llc Circumferentially extending disc snubber
JP3149394B2 (ja) * 1997-10-29 2001-03-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包囲部材、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0049616A1 (en) * 1999-02-22 2000-08-24 Seagate Technology Llc Selecting optimum disc shroud clearance and recirculation filter placement in a disc drive
US6496327B2 (en) * 2001-03-05 2002-12-17 Seagate Technology Llc Arm and suspension shroud for a disc dr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844Y2 (ko) * 1985-10-04 1991-05-24
KR890702196A (ko) * 1987-05-29 1989-12-23 코너 페리퍼럴스인코포에이티드 디스크 드라이브 구조
JPH02504327A (ja) * 1987-05-29 1990-12-06 シーゲート テクロノ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組立体
KR19990023166A (ko) * 1997-08-26 1999-03-25 포만 제프리 엘 하드 디스크 내에서 음성 코일 모터용 코일의 냉각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2504327
1019890702196
10199900231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13062A (ja) 2002-10-25
DE60118526D1 (de) 2006-05-18
US6735045B2 (en) 2004-05-11
EP1249839A1 (en) 2002-10-16
DE60118526T2 (de) 2006-09-07
KR20020079340A (ko) 2002-10-19
EP1249839B1 (en) 2006-04-05
US20020149877A1 (en)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575B2 (en) Dynamic balance correction station for a disc drive
US20070253114A1 (en) Magnetic disk device
KR100701475B1 (ko) 하드디스크 장치
US6421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once per revolution positional errors in a disc drive
US6889424B2 (en) Head stack assembly installation system for a disc drive
US6233120B1 (en) Magnetic disk device
CN101009101A (zh) 磁头悬臂组合及其制造方法以及磁盘驱动单元
US6655244B2 (en) Centering apparatus and method
US6704272B1 (en) Spindle rotation driving device with aligning member and air bearings for rotating information storage disks
US7715284B2 (en) Cassette libra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ttitude thereof
JPH0223094Y2 (ko)
JPH0359502B2 (ko)
US7328118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mass unbalance of an actuator
JPS6339743A (ja) スピンドル位置決め装置
JP2658874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用アームの加工方法
JPS63198569A (ja) ヘツド送り機構
JPS6326873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S6284473A (ja) デイスク型記録媒体駆動装置におけるキヤリツジ機構
JPH0361272B2 (ko)
JPH02185774A (ja) 磁気ヘッド組立体
JP2003051167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3203412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1344883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11273197A (ja) テープガイド部材
JPH0235363B2 (ja) Furotsupyojikihetsudoaraimentochosei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