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73B1 -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 Google Patents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273B1
KR100701273B1 KR1020060033815A KR20060033815A KR100701273B1 KR 100701273 B1 KR100701273 B1 KR 100701273B1 KR 1020060033815 A KR1020060033815 A KR 1020060033815A KR 20060033815 A KR20060033815 A KR 20060033815A KR 100701273 B1 KR100701273 B1 KR 10070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acaricide
resin film
film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순
김성원
김경철
최주희
Original Assignee
이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순 filed Critical 이종순
Priority to KR102006003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진드기를 퇴치할 수 있는 살비성 조성물이 함유된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은, 이불류, 침구류, 의류, 봉제완구류 또는 신발 등의 섬유류의 포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필름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필름은 목단피, 천궁, 육계, 계피, 겨자 및 양고추냉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살비성 조성물과 합성수지(synthetic resin)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합성수지 필름은 진드기에 대한 살비효과를 갖는다.
진드기, 살비성, 살비활성, 살비효과, 합성수지

Description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Plastics Film Having Acaricidal Activity And Plastics Film Pack Maufactured B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일실시예인 진공포장용 비닐팩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다른 실시예인 진공포장용 비닐팩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에 대한 살비율을 시간의 추이에 따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300 : 비닐팩 201, 311: 지퍼
202, 320 : 밸브
본 발명은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진드기를 퇴치할 수 있는 살비성 조성물이 함유된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진드기는 인간주거지에서 가장 핵심적인 알레르기원으로, 특히 천식과 비염을 유발하는 인자이다. 또한, 필로그리피대(Pylogryphidae)과에 속하는 진드기들은 먼지내에 서식하고, 세로무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큰다리먼지진드기(D. farinae), 마이크로세라스진드기(D. microceras), 유로글리퍼스 마이네(Euroglyphus maynei) 등이 아토피성(atopy) 체질의 사람들에게서 비염, 천식 또는 습진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특히, 집먼지진드기는 카펫, 의류, 가구, 메트리스, 침구류 등에서 발견되고, 온대성 기후지역 뿐만 아니라 이러한 거주지역들 전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인다.
최근에는, 의류, 이불류, 침구류 등의 섬유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보관하는 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필름으로 구성된 비닐팩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비닐팩은 물체의 부피를 최대한 줄여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데, 그 원리는 비닐팩에 섬유류를 넣어 청소기등의 가전기기로 비닐팩 및 섬유류에 내포된 공기를 흡입시켜 비닐팩 내부를 완전히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그 부피를 최대 1/10까지 줄이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진공포장용 비닐팩은 그 내부가 완벽하게 진공상태가 유지 되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공기가 잔존하고, 공기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침구류나 의류의 장기간 보관시 진드기, 세균 등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진공포장용 비닐팩에 침구류나 의류를 건조한 후 넣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를 기억하지 못하고 그냥 넣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진드기 번식이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진공포장용 비닐팩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합성수지필름으로 된 비닐팩이나 비닐봉지 속에 섬유류 등을 보관할 경우는 진공포장용 비닐팩으로 보관할 경우보다(진공으로 포장되지 않기 때문) 진드기, 세균 등의 번식은 더욱 왕성하게 일어날 수 밖에 없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공포장용 비닐팩의 비닐은 ny(폴리아미드)/pe(폴리에틸렌)로 되어 있는데, 이는 물성상 산소나 습기가 투과되는 성질이 있다. 보통 산소(O2)의 경우 최소 20cc/㎡,24hrs이상, 습기(H2O)의 경우 최소 5g/㎡,24hrs이상 투과되므로, 진드기, 세균 등의 번식은 더욱 문제가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나 이불류 등의 섬유류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 보관하는 동안의 진드기의 번식 또는 증식을 막고 잔존하는 진드기의 살비효과를 갖는 살비성 조성물이 함유된 합성수지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드기 살비효과를 갖는 합성수지필름을 제공함으로써, 그 합성수지필름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합성수지 밀봉팩 또는 진공 압축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은, 이불류, 침구류, 의류, 봉제완구류 또는 신발 등의 섬유류의 포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필름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필름은 목단피, 천궁, 육계, 계피, 겨자 및 양고추냉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살비성 조성물과 합성수지(synthetic resin)을 혼합하여 제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synthetic resin)는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과 필름용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B)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은 살비성 파우더와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살비성 파우더는 다공성 무기물과 상기 살비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 살비성 파우더의 10 중량% 내지 50 중량% 이 되도록 함유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의 2 중량% 내지 10 중량% 이 되도록 함유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 합성수지(synthetic resin)의 1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함유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무기물은 실리게이트 또는 제오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 및 상기 합성수지(synthetic resin)는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고, 500 내지 2,000㎏/㎠에서 압출되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팩은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을 이용하여 밀봉후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 레진은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은 synthetic resin A로, 필름용 합성수지 레진은 synthetic resin B로, 합성수지 레진은 synthetic resin C로 구별되어 사용된다.
S110은 살비성 파우더를 제조하는 공정이고, S120 내지 S140은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를 제조하는 공정이며, S150 내지 S190은 살비성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흡착성이 용이한 다공성 무기물에 살비성 조성물 수용액을 흡착시켜 1차 합 성한다(S110). 이렇게 1차 합성된 재료는 살비성을 갖는 살비성 파우더로 제조된다.
여기서, 다공성 무기물은 실리게이트 또는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살비성 조성물은 등록특허공보 제10-0350391호에 개시된 조성물에 한정된다.
살비성 조성물은 (ⅰ)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천궁(Ligusticum chuanxiong), 육계(Cinnamomum cassia), 계피(cinnamon oil), 겨자(mustard oil) 및 양고추냉이(horseradish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식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 (ⅱ) 육계 메탄올 조추출물을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을 때 수득되어지는 헥산 추출물 또는 클로로포름 추출물, (ⅲ) 화학식 1의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화학식 2의 시나밀 알코올(cinamyl alcohol) 및 화학식 3의 살리시 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지는 물질 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06025874714-pat00001
Figure 112006025874714-pat00002
Figure 112006025874714-pat00003
살비성 조성물의 함유 비율은 1차 합성된 살비성 파우더 중량의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S110에서 합성된 살비성 파우더와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C)을 혼합하여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을 제조한다(S120).
여기서, 살비성 파우더에 포함된 살비성 조성물의 함유량은 2차 합성후 생성된 최종생산물 중량의 2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2차 합성에서 최종생산된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를 100 중량%로 가정할 때 살비성 조성물이 2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합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살비성 조성물 50 중량% 살비성 파우더로 10 중량%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를 만들 경우, 살비성 파우더 1㎏(살비성 조성물 0.5㎏+다공성 무기물 0.5㎏) +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C) 4㎏을 혼 합하여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 10 중량% 5㎏이 생산된다.
2차 합성(S120)에 이어서, 용융과정(S130)과 압출과정(S140)을 수행한다.
용융 온도는 100 내지 300℃의 조건으로, 압출 압력은 500 내지 2,000㎏/㎠의 조건으로 용융하여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S120 내지 S140에서 합성된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과 필름제조용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B)을 혼합하여 살비성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한다(S150).
여기서,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에 포함된 살비성 조성물의 함유량은 3차 합성후 생성된 최종생산물 중량의 10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3차 합성에서 최종생산된 살비성 합성수지 필름을 100 중량%로 가정할 때 살비성 조성물이 1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혼합하여 합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살비성 조성물 50 중량% 살비성 파우더 및 10 중량%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으로 5 중량% 살비성 합성수지 필름을 만들 경우, 살비성 파우더 1㎏(살비성 조성물 0.5㎏+다공성 무기물 0.5㎏) +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C) 4㎏ + 필름용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B) 5㎏을 혼합하여 살비성 합성수지 필름 5 중량% 10㎏이 생산된다.
3차 합성(S150)에 이어서, 용융과정(S160)과 압출과정(S170)을 수행하고, 냉각과정(S180)과 권취과정(S190)을 거쳐 최종생성물인 살비성 합성수지 필름을 제조한다.
용융 온도는 100 내지 300℃의 조건으로, 압출 압력은 500 내지 2,000㎏/㎠의 조건으로 용융하여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는 일실시예인 진공포장용 비닐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진공포장용 비닐팩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3848호에 개시된 진공포장용 비닐팩을 도시한 것이다.
진공포장용 비닐팩은 두 겹의 비닐로 이루어지면서 그 일측이 개구된 형상이며, 비닐팩(200, 300)의 개구부에는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지퍼(201, 311)가 형성되고, 비닐팩(200, 300)의 소정 위치에 비닐팩(200, 300) 내부공기를 인출하여 비닐팩(200, 3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 밸브(202, 320)가 설치된다.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한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경우는 카트리지(330)가 더 추가되는데, 이 카트리지(330)는 밸브(320)의 하부에 원터치로 결합 고정되고, 카트리지(330) 내부에는 제습제, 항균제, 살균제 또는 방향제가 어느 하나 이상 함유한 약품팩(340) 또는 약품이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건조가 완료된 침구류나 의류를 진공포장용 비닐팩(200, 300)에 넣고 비닐팩(200, 300)의 지퍼(201, 311)를 이용하여 비닐팩(200, 300)을 밀봉한 후, 밸브(202, 320)에 진공장치(도시되지 않음)의 흡입구를 밀착시켜 진공포장용 비닐팩(200, 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밀봉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진공포장용 비닐팩(200, 300)은 그 내부가 완벽하게 진공상태가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공기가 잔존하고, 섬유류를 건조하지 않고 수용하기 때문에 섬유류에 수분이 잔존하여 침구류나 의류의 장기간 보관시 그 표면에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세균 특히 진드기의 살비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비닐팩의 경우 세균 및 진드기의 살비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진공포장용 비닐팩(300)을 본 발명에 따른 살비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하는 경우, 카트리지(340)에 함유된 약품 및 비닐팩에 함유된 살비성 조성물에 의해 이중으로 진드기 살비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작된 진공포장용 비닐팩에 한정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닐팩 즉, 이불 또는 침구류 포장재, 봉제완구 포장재, 기타 신발등의 포장재로도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에 대한 살비율을 시간의 추이에 따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진공포장용 비닐팩 2종의 시료를 각각 2개씩 채택하여 총 4개의 샘플로 실험을 하였다.
먼저, 진드기를 배양하는데, 본 살비활성 검정에 사용된 진드기는 국내 GLP (GOOD LAVORATORY PRCTICE) 인증기관(원사직물연구원, FITI)에서 검정용으로 사용하는 큰다리 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 farinae)를 사용하였으며, 검정에 사용 된 진드기는 상대습도 75 ± 5 %, 온도 25 ± 1C를 유지한 사육실에서 12.5 x 10.5 x 5 cm 용기에 배양 사료를 주어 사육하였다.
배양 사료를 주어 배양한 진드기 중 활동성이 매우 우수한 개체만을 미세한 붓을 이용해 선별하고, 선별된 진드기는 5 x 5 cm 크기의 미세한 공극을 지닌 사각 검정천(현미경 관찰이 용이하며, 진드기가 실험 도중 이탈이 불가능)에 각각 50 마리씩 진드기를 넣은 후 밀봉하여 진공포장용 비닐팩 당 2개씩 넣어 일시별로 살비력을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는 실험 실시 후, 일일 간격으로 10일 간 측정하였으며, 측정은 20 배율의 현미경 하에 미세한 붓을 이용해 부속지 및 몸통을 자극하여 전혀 움직임이 없는 개체는 사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각각 2개씩 설치된 진드기의 생존 개체수는 평균을 내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 표 1 및 도 4의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처리 일 생존 개체 수
계피 PE 필름 조향 PE 필름
Sample -1 Sample -1 Sample -2 Sample -2
0 일 50 마리 50 마리 50 마리 50 마리
1 일 50 50 50 50
2 일 45 48 50 50
3 일 27 39 46 48
4 일 8 31 37 42
5 일 2 12 29 36
6 일 0 4 19 26
7 일 0 0 11 20
8 일 0 0 3 14
9 일 0 0 0 6
10 일 0 0 0 0
표 1 및 도 4의 그래프에 보듯이 실험 결과 살비용 계피 칩은 각각의 크기의 진공포장용 비닐팩에서 설치 후 약 2일 후부터 살비성을 보였으며, 실험 실시 후 6일 내지 7일 경과후 100%의 살비율을 보였으며 압축팩의 크기에 따라 대략 1일 정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살비용 조향 칩은 각각의 크기의 압축팩에서 설치 후 약 3일 후부터 살비성을 보였으며, 실험 실시 후 9일, 10일에서 100%의 살비율을 보였으며 진공포장용 비닐팩의 크기에 따라 대략 1일 정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의류나 이불류 등의 섬유류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 보관하는 동안의 진드기의 번식 또는 증식을 막고 잔존하는 진드기의 살비효과를 갖는 살비성 조성물이 함유된 합성수지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진드기 살비효과를 갖는 합성수지필름을 제공함으로써, 그 합성수지필름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합성수지 밀봉팩 또는 진공 압축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이불류, 침구류, 의류, 봉제완구류 또는 신발 등의 섬유류의 포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필름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필름은 목단피, 천궁, 육계, 계피, 겨자 및 양고추냉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살비성 조성물과 합성수지(synthetic resin)을 혼합하여 제조된,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synthetic resin)는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과 필름용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B)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은 살비성 파우더와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살비성 파우더는 다공성 무기물과 상기 살비성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 살비성 파우더의 10 중량% 내지 50 중량% 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의 2 중량% 내지 10 중량% 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조성물은 상기 합성수지(synthetic resin)의 10 중량% 미만인,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물은 실리게이트 또는 제오라이트를 사용하는,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비성 합성수지 레진(synthetic resin A) 및 상기 합성수지(synthetic resin)는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고, 500 내지 2,000㎏/㎠에서 압출되어 형성되는,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8. 상기 제7항의 기재에 따라 형성된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으로 밀봉하여 제조된,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팩.
KR1020060033815A 2006-04-14 2006-04-14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KR10070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15A KR100701273B1 (ko) 2006-04-14 2006-04-14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15A KR100701273B1 (ko) 2006-04-14 2006-04-14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273B1 true KR100701273B1 (ko) 2007-03-29

Family

ID=4156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815A KR100701273B1 (ko) 2006-04-14 2006-04-14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2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14B1 (ko) * 1986-08-12 1992-03-20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수지에 고정된 살충제
KR970006391A (ko) * 1995-07-10 1997-02-19 고사이 아키오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010044177A (ko) * 2000-12-23 2001-06-05 안용준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KR200352363Y1 (ko) 2004-03-20 2004-06-05 윤효진 기능성 신발깔창
KR20040088765A (ko) * 2003-04-11 2004-10-20 이용호 기능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침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214B1 (ko) * 1986-08-12 1992-03-20 모르톤 티오콜 인코오포레이티드 수지에 고정된 살충제
KR970006391A (ko) * 1995-07-10 1997-02-19 고사이 아키오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010044177A (ko) * 2000-12-23 2001-06-05 안용준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KR20040088765A (ko) * 2003-04-11 2004-10-20 이용호 기능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메모리폼 침구의 제조방법
KR200352363Y1 (ko) 2004-03-20 2004-06-05 윤효진 기능성 신발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9354B (en) Composition for extermination of harmful arthropods
Spieksma Domestic mites from an acarologic perspective
CN102812965B (zh) 衣料用防虫剂
KR100701273B1 (ko) 진드기 살비활성을 갖는 합성수지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필름 팩
JP5973750B2 (ja) 新規防虫剤
JPH0539203A (ja) ダニ類の防除組成物
CN101343815B (zh) 一种蚕丝麻纤维混合填充芯料
WO2019161678A1 (zh) 一种抗菌杀菌释放负离子可清洗垫及其制备方法
JP2009051832A (ja) 防虫剤
ES2217588T3 (es) Metodo para controlar acaros del polvo domestico y acaros de las camas.
JP2006095103A (ja) 乾燥樹葉入り枕及び乾燥樹葉入り防虫芳香剤
KR20100082569A (ko) 기능성 침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1195512A (ja) 寝具用防虫剤
WO1999025230A1 (en) Pillow with ventilation and microbicide
CN111493085A (zh) 一种含有辛硫磷的杀虫组合物
JPH10316507A (ja) ダニ防除剤
KR100413369B1 (ko) 활성화 기능이 우수한 베게
JPH0429903A (ja) ダニ類の防除方法
JP6345007B2 (ja) 衣料害虫防除剤
JP5980131B2 (ja) 衣料用防虫剤
JPH01193204A (ja) 衛生害虫用ダニ防除剤
KR20190042793A (ko) 한방 기능성 아로마 메트리스 및 그 아로마의 조성물
CN110916451A (zh) 一种多功能婴儿被
JP3041804U (ja) 寝装品
JP2002104911A (ja) 植物エキス配合液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