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054B1 -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054B1
KR100700054B1 KR1020060024618A KR20060024618A KR100700054B1 KR 100700054 B1 KR100700054 B1 KR 100700054B1 KR 1020060024618 A KR1020060024618 A KR 1020060024618A KR 20060024618 A KR20060024618 A KR 20060024618A KR 100700054 B1 KR100700054 B1 KR 10070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sulating plate
support
cylind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석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를 갖는 절연판을 하부지그부에 안착 후 실린더를 하강하여 절연판을 흡착하여 리프팅함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션박스, 절연판, 버스바

Description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a apparatus for lifting a insulation board}
도 1은 종래 정션박스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확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버스바 16: 절연판
100: 작업대 110: 서포트 플레이트
112: 리미트센서 120: 가이드 레일
130: 슬라이드 플레이트 140: 서포트 베이스
142: 실린더 150: 상부지그부
151: 승하강패드 152: 연결핀
154: 흡착패드 160: 요동방지부재
161: 요동방지블록 163: 요동방지축
165: 터치센서 170: 하부지그부
172: 서포트바 173: 베이스 플레이트
174: 노브 176: 지지보스
177: 가이드핀 178: 가이드구
본 발명은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를 갖는 절연판을 하부지그부에 안착 후 실린더를 하강하여 절연판을 흡착하여 리프팅함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에는 다수의 대형 또는 소형 퓨즈가 삽입 장착되며, 각각의 퓨즈에는 2개의 퓨즈단자가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자동차에 사용되는 정션박스에 장착된 각각의 퓨즈의 일측단자는 주로 전원이 공급되는 배터리에 접속되며 타측단자는 여러 전기장치에 접속되어 진다.
이때, 배터리에 접속되는 다수의 퓨즈단자를 공통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버스바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션박스는 퓨즈(11,12) 및 릴레 이(13,14) 등과 같은 각종 디바이스가 꽂아지는 탑커버(10)가 구비되고, 입출력 커넥터(21,22)가 꽂아지는 바텀커버(20)가 외부케이스로 구비되는 것이며, 버스바 레이어(15)와 절연판(16)과, 접속용 단자(17,18)가 단일의 인쇄회로기판(19)에 접속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9)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버스바 레이어(15)가 없이 보조 금속 패턴으로써 대전류가 필요한 접속단자에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대전류 분배용 버스바(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30)는 메탈 라인(32)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9)에 피막된 패턴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버스바(30)의 조립은, 먼저 하단부에 다수 형성된 접속핀에 상응하는 개수로 인쇄회로기판(19)의 에지부에 삽입공을 형성한 후, 각 삽입공 간의 전기적인 회로연결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공에 버스바(30)의 접속핀을 삽입하여 납땜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조립된 절연판(16)과 버스바(30)는 바텀커버(20)에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정션박스는 작업자가 일일이 조립된 절연판과 버스바를 바텀커버에 장착하여 조립함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하부지그부에 버스바를 갖는 절연판을 안착 후 승하강 작동하는 실린더를 작동하며 절 연판을 흡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왕복 이동되며, 실린더를 지지하는 서포트 베이스와, 상기 실린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승하강 되는 승하강패드와, 상기 승하강패드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절연판과 접한 후 공기로서 흡착하고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절연판을 내려놓는 흡착노즐을 갖는 흡착패드와, 상기 작업대 상면에 형성되어 흡착력에 의해 상기 흡착노즐에 부착되는 절연판을 안착하는 하부지그부로 구성되는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는 작업 대(100), 서포트 플레이트(110), 가이드 레일(120), 슬라이드 플레이트(130), 서포트 베이스(140) 및 상부지그부(150) 및 하부지그부(17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00)의 가장자리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10)가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10)에는 작업대(100)의 상면과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1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30)는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30)는 후면에 가이드홈(132)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홈(132)이 가이드 레일(120) 상에서 이송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130)가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베이스(14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베이스(14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되며, 실린더(142)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 결합한다.
상기 서포트 베이스(14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에 연결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와 함께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서 왕복 이동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42)는 서포트 베이스(140)에 일부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된다.
특히, 상기 서포트 베이스(140)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에 설 치되는 개수가 정해지고, 편의상 한 쌍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42)는 각각의 서포트 베이스(140)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그부(150)는 서포트 베이스(140)의 하부로 노출되는 실린더(142)의 끝단에 고정되어 실린더(142)의 작동으로 인해 승하강 하면서 바닥면에 놓인 버스바(30)를 갖는 절연판(16)을 흡착하여 들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그부(150)는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와 함께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 후 실린더(142)의 작동으로 하강하며 정해진 위치에 절연판(16)을 내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그부(150)는 승하강패드(151), 연결핀(152) 및 흡착패드(154)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패드(151)는 서포트 베이스(140)의 하부로 노출된 실린더(142)의 끝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핀(152)은 승하강패드(151)의 하부로 적어도 한 쌍을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패드(154)는 연결핀(152)의 끝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착패드(154)는 흡착노즐(156)을 삽입하여 하부로 노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흡착노즐(156)은 실린더(142)의 하강으로 인해 절연판(16)과 접한 상태에서 공기의 흡입(suction)으로 절연판(16)을 부착하며, 공기의 차단으로 절연판(16)을 놓게 된다.
상기 흡착패드(154)는 흡착노즐(156)을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착패드(154)에는 적어도 한 쌍의 흡착노즐(156)을 구비하여 절연판(16)의 양측 가장자리를 흡착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흡착패드(154)는 바닥에 놓인 절연판(16)과 평행을 유지해야 한다.
즉, 상기 연결핀(152)은 흡착패드(154)에 삽입되어 하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이 노출된 연결핀(152)의 끝단부는 너트(157)로 치합(齒合)된다.
이때, 상기 너트(157)는 흡착패드(154)의 하면과 접함에 따라 흡착패드(154)의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각각의 연결핀(152)에 나사 결합된 너트(157)를 조금씩 돌리면서 흡착패드(154)의 수평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흡착패드(154)가 장기간으로 실린더(142)의 작동시 하강하며 바닥에 놓인 절연판(16)과 접촉으로 인해 연결핀(152)은 수직힘을 받게 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횡력을 받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핀(152)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153)가 더 구비된다.
상기 홀더(153)는 승하강패드(15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핀(152)의 상단부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152)은 홀더(153)에 의해 보강력을 갖게 됨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그부(150)는 실린더(142)의 작동으로 승하강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요동방지부재(160)와 연결된다.
상기 요동방지부재(160)는 요동방지블록(161), 요동방지축(163)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요동방지블록(161)은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요동방지블록(161)은 서포트 베이스(140)의 너비만큼 유격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실린더(142)에 대해 한 쌍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요동방지축(163)은 요동방지블록(16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요동방지축(163)은 동시에 동일한 서포트 베이스(14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실린더(142)가 작동시, 요동방지축(163)은 요동방지블록(161) 내부에서 슬라이드 승하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요동방지축(163)이 요동방지블록(161)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실린더(142)의 승하강 작동시 상부지그부(15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일한 서포트 베이스(140)에 연결된 한 쌍의 요동방지축(163)은 상단을 연결바(164)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요동방지블록(161)은 상단에 터치센서(165)를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요동방지축(163)이 실린더(142)의 작동으로 하강하면서 연결바(164)가 터치센서(165)에 접촉함에 따라 실린더(142)는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노즐(156)은 절연판(16)에 접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30)는 위치결정핀(162)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결정핀(162)은 요동방지블록(161)의 둘레를 따라 접하는 다수 개 구비되어 장기간의 실린더(142) 작동으로 인한 요동방지블록(161)의 위치 변경을 방지함과 아울러 최초 요동방지블록(161)의 위치를 쉽게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양측 가장자리에 리미트센서(112)를 구비한다.
상기 리미트센서(112)는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0)를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리미트센서(112)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와 함께 이송되는 요동방지부재(160)의 요동방지블록(161)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센서(112)가 요동방지블록(161)과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의 이송이 정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지그부(170)는 서포트바(172), 베이스 플레이트(173), 노브(174), 지지보스(176), 가이드핀(177) 및 가이드구(178)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바(172)는 작업대(100)에 나사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3)는 서포트바(172)를 하부 중앙에 연결한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3)는 서포트바(172)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바(172)가 작업대(100)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73)는 서포트바(172)의 일방향 회전 또는 타방향 회전으로 인해 승하강된다.
또한, 상기 노브(174)는 베이스 플레이트(173)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노브(174)는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73) 양측에 연결되어 작업대(100)에 지지 고정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3)가 서포트바(172)의 조절로 인해 승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노브(174)는 각각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래서, 상기 노브(174)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노브(174a) 내부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노브(174b)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노브(174a)에는 결합핀(175)이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노브(174b)의 둘레면을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노브(174)는 다단으로 형성되며 서포트바(172)의 높이에 따라 신축 후 결합핀(175)에 의해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보스(176)는 베이스 플레이트(173) 상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보스(176)는 절연판(16)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절연판(16)이 베이스 플레이트(173) 전체에 접하며 안착된 상태에서 흡착노즐(156)로 눌릴 경우 파손되거나 회로패턴에 피해를 입힐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지지보스(176)는 절연판(16)과의 접촉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73) 상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판(16)이 지지보스(17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판(16)은 하면에 안착홈(17)을 함몰 형성한다.
물론, 상기 안착홈(17)은 베이스 플레이트(173) 상에서 지지보스(176)의 설치 위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절연판(16)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그부(150)는 실린더(142)의 작동으로 하부지그부(17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지그부(150)의 흡착패드(154)에 구비된 흡착노즐(156)이 하부지그부(170)의 지지보스(176) 상에 놓인 절연판(16)과 접한 후 흡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패드(154)에는 근접센서(158)가 구비된다.
상기 근접센서(158)는 흡착패드(154)가 하강시 연결바(164)가 터치센서(165)에 접함과 동시에 절연판(16)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근접센서(158)가 절연판(16)과 접함과 동시에 흡착노즐(156)의 끝단이 절연판(16)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158)가 작동하지 않으면, 흡착노즐(156)은 흡착을 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그부(170)의 베이스 플레이트(173)에는 가이드핀(177)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부(150)의 승하강패드(151)에는 가이드구(17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177)은 베이스 플레이트(173)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구(178)는 가이드핀(177)과 일직선상에 해당하는 승하강패드(15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구(178)는 가이드핀(177)을 삽입하도록 홈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상부지그부(150)가 실린더(142)의 작동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가이드구(178)는 하부지그부(170)의 가이드핀(177)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구(178)가 가이드핀(177)을 삽입함에 따라 상부지그부(150)의 흡착노즐(156)이 하부지그부(170)에 놓인 절연판(16)에 정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178)와 가이드핀(177)으로 인해 상부지그부(150)는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하강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이송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드 플레이트(130)와 실린더(142) 및 상부지그부(150)가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정해진 위치에 버스바(30)를 갖는 절연판(16)을 놓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린더(142)를 작동하게 되면, 상부지그부(150)의 승하강패드(151) 및 흡착패드(154)가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부지그부(150)가 하강하면서, 요동방지블록(161)에 형성된 터치센서(165)가 연결바(164)와 닿게 되면, 실린더(142)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패드(154)에는 근접센서(158)가 구비되어 하부지그부(170)의 지지보스(176) 상에 놓인 절연판(16)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근접센서(158)가 절연판(16)을 감지하면, 흡착노즐(156)은 절연판(16)을 흡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흡착노즐(156)은 하강하면서 절연판(16)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노즐(156)이 공기를 빨아 당기게 되면, 절연판(16)이 흡착노즐(156)에 강제로 붙게 된다.
이 후, 상기 실린더(142)가 완전히 상승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130)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송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30)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송됨은, 공지된 바와 같이, 모터와 체인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30)는 요동방지블록(161)이 리미트센서(112)와 접촉할 때 까지 이송된 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30)가 정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실린더(142)가 작동하며 상부지그부(15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64)가 하강하며 요동방지블록(161)의 터치센서(165)와 접촉한 후에 절연판(16)은 정해진 위치의 바닥면에 놓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흡착노즐(156)을 통해 빨아 당겨지는 공기가 차단되면, 절연판(16)은 놓이게 되고, 상부지그부(150)는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초기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에 의하면, 버스바를 갖는 절연판을 흡착한 후 실린더로 상승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 후 정해진 위치에 놓기 때문에 절연판의 적층이나 정해진 위치로의 이송을 정해진 시간에 많이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판은 하부지그부의 지지보스에 안착됨으로써 하면과 바닥면의 접촉면적을 줄여 회로패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작업대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왕복 이동되며, 실린더를 지지하는 서포트 베이스와;
    상기 실린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승하강 되는 승하강패드와;
    상기 승하강패드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절연판과 접한 후 공기로서 흡착하고,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절연판을 내려놓는 흡착노즐을 갖는 흡착패드와;
    상기 작업대 상면에 형성되어 흡착력에 의해 상기 흡착노즐에 부착되는 절연판을 안착하는 하부지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는 상기 하부지그부에 절연판의 안착유무를 센싱하기 위해 근접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부는 상기 작업대에 수직되게 나사 결합된 서포트바와;
    상기 서포트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패드와 대향하고, 상기 서포트바의 회전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작업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결합핀에 의해 높이를 유지 가능하게 형성된 노브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절연판을 지지하는 지지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가이드핀을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패드는 상기 가이드핀을 삽입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KR1020060024618A 2006-03-17 2006-03-17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KR10070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618A KR100700054B1 (ko) 2006-03-17 2006-03-17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618A KR100700054B1 (ko) 2006-03-17 2006-03-17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212U Division KR200417277Y1 (ko) 2006-03-17 2006-03-17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054B1 true KR100700054B1 (ko) 2007-03-28

Family

ID=4156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618A KR100700054B1 (ko) 2006-03-17 2006-03-17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63Y1 (ko) * 2011-11-24 2013-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자동 체결장치
KR20160131424A (ko) * 2015-05-07 2016-11-16 김성철 진단 키트용 케이스 정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060A (ja) * 1992-12-18 1994-07-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と絶縁板の自動装着装置
JP2001145229A (ja) 1999-11-16 2001-05-25 Yazaki Corp バスバーインサート成形体
JP2001357957A (ja) 2000-06-14 2001-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挿着装置
JP2004103460A (ja) 2002-09-11 2004-04-02 Tci:Kk コンタクトピン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060A (ja) * 1992-12-18 1994-07-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と絶縁板の自動装着装置
JP2001145229A (ja) 1999-11-16 2001-05-25 Yazaki Corp バスバーインサート成形体
JP2001357957A (ja) 2000-06-14 2001-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挿着装置
JP2004103460A (ja) 2002-09-11 2004-04-02 Tci:Kk コンタクトピン取付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63Y1 (ko) * 2011-11-24 2013-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자동 체결장치
KR20160131424A (ko) * 2015-05-07 2016-11-16 김성철 진단 키트용 케이스 정렬장치
KR101719305B1 (ko) 2015-05-07 2017-03-28 김성철 진단 키트용 케이스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550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CN111372438B (zh) 一种电子零件安装装置
KR101251559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0700054B1 (ko)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JP494262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KR100731294B1 (ko)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이송장치
KR200417277Y1 (ko)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리프팅장치
KR20060059835A (ko) 위치결정 장치
KR100716118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KR200417276Y1 (ko)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이송장치
CN211240365U (zh) 一种集成电路板焊接用定位装置
KR101354690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조립장치에 적용되는 패널 이송장치
KR200416163Y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KR100773309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CN211208304U (zh) 键帽自动组装机
CN109592407B (zh) Pcb板自动清洁与检测设备
JP2000158242A (ja) 部品供給圧入装置
CN216531418U (zh) 手机功能测试机及手机功能测试线
JPH07227787A (ja) 偏平ワーク等の吸着式移動装置における脱着装置
CN219484717U (zh) 一种用于电路板与按键盘焊接的治具
CN216593522U (zh) 一种电器塑料制件检测治具
CN219227961U (zh) 一种基于电动缸推杆的上压合台开合装置
CN112025024B (zh) 一种防止漏焊和错焊的电路板快速焊接装置及其方法
CN219876306U (zh) 一种osp防止叠板的上板装置
CN216000762U (zh) 一种小导管打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