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689B1 -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689B1
KR100699689B1 KR1020050108583A KR20050108583A KR100699689B1 KR 100699689 B1 KR100699689 B1 KR 100699689B1 KR 1020050108583 A KR1020050108583 A KR 1020050108583A KR 20050108583 A KR20050108583 A KR 20050108583A KR 100699689 B1 KR100699689 B1 KR 10069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llecting
powdered medicine
rotating disc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05010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가루약의 포집 및 배출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포집된 가루약의 계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계량배출장치는 본체에 장착되는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의 일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고 가루약이 낙하되는 수평이송판의 끝단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되는 낙하공을 포함하는 계량부와;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낙하공을 통해 낙하되는 가루약을 일회 복용분씩 포집한 후에 배출하도록 상기 낙하공과 연통되게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는 포집배출부와; 상기 포집배출부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포집된 가루약이 배출되도록 상기 포집배출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약제, 약품, 가루약, 계량, 배출

Description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Apparatus for weighing and discharging powder of medicine powder auto packag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종래 가루약 자동 포장장치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계량부
11 : 전자저울 12 : 장착부재
13 : 낙하공
20 : 포집배출부
21 : 포집채널 22 : 셔터
23 : 힌지축 24 : 돌턱
25 : 비틀림스프링
30 : 구동부
31 : 구동모터 32 : 회전원판
33 : 푸시롤러
34 : 감지부
341 : 절개홈부 342 : 광센서
본 발명은 가루약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가루약의 포집 및 배출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포집된 가루약의 계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루약 자동 포장장치는 미분말의 가루약을 포장지에 일회 복용분씩 연속하여 포장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도 8은 종래 가루약 자동 포장장치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루약 자동 포장장치는 가루약을 분배하여 일회분씩 낙하시키는 가루약피더(100)와, 상기 가루약피더(100)에 의해 낙하된 가루약을 일회 복용분씩 연속하여 포장하는 밀봉포장부(200)와, 상기 가루약피더 (100) 및 밀봉포장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가루약피더(100)는 전체 가루약이 투입되는 메인호퍼(101)와, 상기 메인호퍼(101)에 투입된 전체 가루약의 중량을 계산하여 제어부(300)에 입력하는 전자저울(102)과, 상기 메인호퍼(101)의 하단을 개폐시켜 상기 메인호퍼(101)에 투입된 가루약을 미세하게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연속배출부(103)와, 상기 전자저울(102)에 의해 입력된 가루약의 중량 정보로부터 배출된 양을 감지하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연속배출부(103)를 통해 배출되는 가루약을 일회 복용분씩 포집한 후에 배출호퍼(105)로 낙하시키는 포집낙하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가루약피더(100)는 메인호퍼(101)에 투입된 가루약을 연속배출부(103)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가루약을 포집낙하부(104)가 일회분씩 정량으로 포집한 후에 낙하시킴으로써, 배출호퍼(105)를 통해 밀봉포장부(200)의 포장지에 연속하여 담겨지고, 이와 같이 포장지에 담겨진 일회분의 가루약을 상기 밀봉포장부(200)가 연속적으로 열융착하여 밀봉포장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호퍼에 투입된 가루약이 연속배출부를 통해 포집낙하부로 낙하되어 포집된 후에 일회 복용분씩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속배출부와 포집낙하부가 상호 결합되어 전자저울에 의한 상기 포집낙하부에 포집된 가루약의 계량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저울에 의한 포집된 가루약의 계량이 부정확함으로 가루 약이 불균일하게 포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가루약의 포집 및 배출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포집된 가루약의 계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포집배출부의 작동을 위한 구동부의 회전운동이 원활히 감지되도록 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는 본체에 장착되는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의 일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가루약이 낙하되는 수평이송판의 끝단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되는 낙하공을 갖는 계량부와, 상기 낙하공과 연통되게 상기 장착부재에 상단이 장착되는 포집채널과 상기 포집채널의 하단을 폐쇄하는 셔터와 상기 포집채널에 상기 셔터를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셔터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돌턱을 갖는 포집배출부와, 상기 돌턱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턱을 누르는 푸시롤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원판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원판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절개홈부와, 상기 절개홈부가 통과되도록 상기 회전원판의 둘레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루약 자동 포장기는 가루약이 투입되고 본체(B)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호퍼(H)를 갖고 상기 메인호퍼(H)의 하부를 개폐시키는 메인호퍼개폐부(2)와, 상기 메인호퍼(H)가 개방되면서 하방으로 배출되는 가루약을 연속하여 수평으로 이송시킨 후에 미세하게 낙하시키는 미세낙하부(3)와, 상기 미세낙하부(3)에 의해 낙하하는 가루약을 포집하면서 계량하여 일회 복용분씩 정량으로 연속 배출하는 계량배출장치(1)와, 상기 계량배출장치(1)에 의해 일회 복용분씩 배출된 가루약을 포장지에 담아 연속하여 밀봉포장하는 밀봉포장부(4)를 포함한다.
본 포장기는 메인호퍼(H)에 가루약을 투입한 후에 작동자에 의해 포장될 약포수와 각 약포의 중량이 설정되면 메인호퍼개폐부(2)가 작동되면서 상기 메인호퍼(H)의 하단을 개방하여 미세낙하부(3)로 투입되어 있던 가루약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미세낙하부(3)로 배출된 가루약은 상기 미세낙하부(3)에 구비되는 수평이송판(P)의 진동에 의해 넓게 펴지면서 상기 수평이송판(P)을 따라 수평으로 이송된 후에 미세하면서 일정한 양으로 계량배출장치(1)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계량배출장치(1)는 일정하게 낙하되는 가루약을 포집하면서 계량한 후에 미리 설정된 정 량인 일회 복용분이 되면 밀봉포장부(4)로 일시에 배출시키고, 이와 같은 포집 및 배출을 연속하게 된다.
상기 밀봉포장부(4)로 일회 복용분씩 배출된 가루약은 포장지에 담겨진 상태로 열용착되면서 연속하여 밀봉 포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계량배출장치는 낙하되는 가루약을 계량하는 계량부(10)와, 상기 계량부(10)에 장착되어 낙하되는 가루약을 포집한 후에 일회분씩 배출시키는 포집배출부(20)와, 상기 계량부(10)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포집배출부(2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부(10)는 본체(B)에 장착되는 전자저울(11)과, 상기 전자저울(11)의 일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는 장착부재(12)와, 상기 본체(B)의 상면에 구비되고 가루약이 낙하되는 수평이송판(P)의 끝단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재(12)에 형성되는 낙하공(13)을 포함한다.
상기 계량부(10)는 수평이송판(P)의 끝단에서 낙하되어 낙하공(13)을 통해 포집배출부(20)에 포집되는 가루약의 중량을 계산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장착부재(12)에 상기 포집배출부(20)가 장착되어 상기 포집배출부(20)의 포집 및 배출작동에 상관없이 포집된 가루약을 정확하게 계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포집배출부(20)는 장착부재(12)에 결합된 상태로 낙하공(13)을 통해 낙하되는 가루약을 일회 복용분씩 포집한 후에 배출하도록 상기 낙하공(13)과 연통되게 상기 장착부재(12)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재(12)에 의해 전자저울(11)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포집배출부(20)에 의한 가루약의 포집 및 배출작동에 관계없이 상기 포집배출부(20)에 의해 포집된 가루약이 상기 전자저울(11)에 의해 정확하게 계량된다.
이와 같은 상기 포집배출부(20)는 낙하공(13)과 연통되게 장착부재(12)에 상단이 장착되고 상하가 개방된 포집채널(21)과, 상기 포집채널(21)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포집채널(21)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셔터(22)와, 상기 포집채널(21)에 상기 셔터(22)를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23)과, 구동부(30)에 의해 눌려져 상기 셔터(22)가 회전되도록 상기 셔터(22)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턱(24)을 포함한다.
상기 포집배출부(20)는 구동부(30)에 의해 돌턱(24)이 눌리면서 셔터(22)가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포집채널(21)에서 회전되어 상기 포집채널(21)의 하단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수평이송판(P)에서 이송되어 낙하공(13)을 통해 상기 포집채널(21)로 낙한 후에 일회 복용분으로 포집된 가루약이 일시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배출부(20)는 힌지축(23)에 설치되어 포집채널(21)과 셔터(22)를 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비틀림스프링(25)은 포집채널(21)에 셔터(2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셔터(22)가 상기 포집채널(21)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30)에 의한 누름에 의해 상기 셔터(22)가 작동되어 상기 포집채널(21)의 하단이 개방된 후에 상기 구동부(30) 에 의해 누름이 해제되면 다시 처음의 위치로 돌아가 상기 셔터(22)가 상기 포집채널(21)의 하단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포집배출부(20)와 분리된 상태로 본체(B)의 내측에 설치되고, 포집된 가루약이 배출되도록 상기 포집배출부(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포집배출부(20)와 분리되어 전자저울(11)에 의한 계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포집배출부(20)의 셔터(22)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구동부(30)는 돌턱(24)에 대응하여 본체(B)의 내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회전원판(32)과, 상기 회전원판(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턱(24)을 누르도록 상기 회전원판(32)의 전면에 편심되게 장착되는 푸시롤러(3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가 구동되면서 회전원판(32)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원판(32)의 회전에 따라 돌턱(24)이 회전되면서 푸시롤러(33)를 눌려 포집채널(21)에 힌지결합된 셔터(22)가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포집채널(21)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회전원판(32)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원판(32)의 일측으로 본체(B)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감지부(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34)는 회전원판(32)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절개홈부(341)와, 상기 절개홈부(341)가 통과되도록 상기 회전원판(32)의 둘레에 대응되게 본체(B)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광센서(342)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34)는 회전원판(32)이 회전됨에 따라 절개홈부(341)가 회전되면 서 상기 절개홈부(341)가 광센서(342)를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회전원판(32)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모터(31)에 의한 셔터(22)의 개폐작동이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포장기가 가동되면 수평이송판(P)을 통해 수평으로 이송되는 가루약이 상기 수평이송판(P)의 끝단에서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판(P)의 끝단에서 낙하되는 가루약은 장착부재(12)의 낙하공(13)을 통해 상기 장착부재(12)에 상단이 장착된 포집채널(21)의 유입되고, 상기 포집채널(21)에 유입된 가루약의 셔터(22)에 의해 하단이 폐쇄된 상기 포집채널(21)의 내측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채널(21)의 내부에 포집되는 가루약은 전자저울(11)에 의해 그 중량이 계산되고, 상기 전자저울(11)에 의해 포집된 가루약의 중량이 미리 설정된 일회 복용분의 중량과 일치되면 구동모터(31)가 구동되면서 회전원판(32)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해 회전원판(32)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원판(32)의 전면에 장착된 푸시롤러(33)가 회전되면서 셔터(22)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턱(24)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돌턱(24)의 눌림에 의해 셔터(22)가 포집채널(21)에서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포집채널(21)의 내측으로 포집된 일회 복용분의 가루약이 하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롤러(33)는 회전원판(32)과 함께 계속 회전되면서 돌턱(24)을 지나 완전하게 한 바퀴 회전됨으로써, 상기 푸시롤러(33)에 의한 상기 돌턱(24)의 누름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셔터(22)가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포집채널(21)의 하단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원판(32)에 형성된 절개홈부(341)가 광센서(342)를 완전하게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광센서(342)가 상기 회전원판(32)이 한번 회전되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다시 일회분이 포집될 때까지 구동모터(31)를 중지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가루약의 포집 및 배출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포집된 가루약의 계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포집배출부의 작동을 위한 구동부의 회전운동이 원활히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가루약이 정량으로 정밀하게 포장되어 가루약이 불균일한 포장이 미연에 방지되며 가루약의 포집 및 배출작동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배출부의 작동상의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본체에 장착되는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의 일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가루약이 낙하되는 수평이송판의 끝단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형성되는 낙하공을 갖는 계량부와, 상기 낙하공과 연통되게 상기 장착부재에 상단이 장착되는 포집채널과 상기 포집채널의 하단을 폐쇄하는 셔터와 상기 포집채널에 상기 셔터를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셔터의 일측면에 돌출되는 돌턱을 갖는 포집배출부와, 상기 돌턱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턱을 누르는 푸시롤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원판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원판의 외측 둘레 일부에 형성되는 절개홈부와,
    상기 절개홈부가 통과되도록 상기 회전원판의 둘레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KR1020050108583A 2005-11-14 2005-11-14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KR10069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83A KR100699689B1 (ko) 2005-11-14 2005-11-14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83A KR100699689B1 (ko) 2005-11-14 2005-11-14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689B1 true KR100699689B1 (ko) 2007-03-26

Family

ID=4156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583A KR100699689B1 (ko) 2005-11-14 2005-11-14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303A (zh) * 2012-11-05 2013-03-06 汪维彬 一种干粉自动包装机
KR20160092215A (ko) 2015-01-27 2016-08-04 류재경 산제 조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196Y1 (ko) 1998-07-14 2001-04-02 김준호 정제자동분포기용 약제호퍼 개폐장치.
KR100324573B1 (ko) 2000-01-25 2002-02-27 이갑현 고속,고정도계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196Y1 (ko) 1998-07-14 2001-04-02 김준호 정제자동분포기용 약제호퍼 개폐장치.
KR100324573B1 (ko) 2000-01-25 2002-02-27 이갑현 고속,고정도계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303A (zh) * 2012-11-05 2013-03-06 汪维彬 一种干粉自动包装机
KR20160092215A (ko) 2015-01-27 2016-08-04 류재경 산제 조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0974B (zh) 藥劑配發裝置
EP0761197B1 (en) Medication filling apparatus
KR100356647B1 (ko) 젤라틴캡슐과같은소형물품을중량측정하는장치
US44071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der bagging
JP2014510611A5 (ko)
KR100795401B1 (ko) 계량수단을 가지는 포장기
KR100699689B1 (ko)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계량배출장치
JP2002096802A (ja) 秤量式全自動散薬分割方法、秤量式全自動散薬分割装置及び秤量式全自動散薬分割分包装置
KR100582760B1 (ko) 가루약 자동 포장장치
KR100582759B1 (ko) 가루약 자동 포장방법 및 장치
WO2006003706A1 (ja) 組み合わせ計量技術
KR100694505B1 (ko)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메인호퍼 개폐장치
JP5575210B2 (ja) 計量供給装置
EP0868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bulk material
JP3570518B2 (ja) カプセル充填物の秤量方法及びカプセル充填機
KR100650287B1 (ko)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낙하량 조절장치
JP6777832B1 (ja) 散薬供給装置及び散薬分包装置
KR20140011159A (ko) 분말입자의 미세계량장치
KR20110113866A (ko) 계량장치 및 이를 갖는 제품 카운터
KR20220130509A (ko) 정량 계량장치
KR100650286B1 (ko) 가루약 자동 포장방법 및 장치
KR100386321B1 (ko) 약제 포장기의 산제 분배 장치
KR101179698B1 (ko)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KR100543552B1 (ko) 정제 자동 포장방법 및 장치
JP3768341B2 (ja) 米穀用の計量袋詰め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