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673B1 -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673B1
KR100698673B1 KR1020050121872A KR20050121872A KR100698673B1 KR 100698673 B1 KR100698673 B1 KR 100698673B1 KR 1020050121872 A KR1020050121872 A KR 1020050121872A KR 20050121872 A KR20050121872 A KR 20050121872A KR 100698673 B1 KR100698673 B1 KR 10069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oppers
box
housing
tra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트레이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토록 설치된 트레이 박스와, 상기 트레이 박스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하우징 내 래치와 록킹 또는 언록킹될 수 있는 록커와, 상기 트레이 박스 내 좌,우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관성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를 향해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 박스의 인입방향 밀림을 제한하는 제1,2스토퍼와, 상기 제1,2 스토퍼와 트레이 하우징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2스토퍼와 트레이 박스의 간섭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2스토퍼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스토퍼 해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박스의 인입시 전,후 어느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든 상기 트레이 박스의 의도되지 않은 인출이 방지될 수 있는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를 제공한다.
슬라이딩 트레이, 트레이 하우징, 트레이 박스, 스토퍼

Description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SLIDING TRA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록커와 래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인입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인출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트레이 하우징 4 : 트레이 박스
4' : 단턱 6 : 래치
8 : 록커 10 : 제1스토퍼
12 : 제2스토퍼 14 : 제1스토퍼 해제부재
16 : 제2스토퍼 해제부재
본 발명은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 박스의 인입시 외력이 전후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든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상기 트레이 박스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록커와 래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는 차체에 고정 설치된 트레이 하우징(100)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인입되고 수납공간(102')이 구비된 트레이 박스(102)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트레이 박스(102)의 후방에 구비된 록커(104)가 록킹 또는 언록킹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하는 G-센서 래치(110)가 구비된다.
상기 G-센서 래치(110)는 상기 록커(104)가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112)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12)의 후방에 구비된 리턴 스프링(114)과, 상기 리턴 스프링(114)의 후방에 무게 중심(116')에 의해 전후로 회동 가능토록 구비된 추(116)와, 상기 추(116)를 지지하는 추 리턴 스프링(1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트레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록커(104)가 상기 래치(110)에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박스(102)를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의 인입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의 인입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상기 록커(104)가 상기 래치(110)로부터 언록킹되고,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된 트레이 박스(102)를 다시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의 인입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에 완전히 인입되는 순간 상기 록커(104)가 상기 래치(110)에 록킹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박스(102)의 인입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 박스(102)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에서 한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관성 하중 작용시 상기 록커(104)가 록킹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나,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헤드 임펙트시 상기 록커(104)가 상기 래치(110)로부터 언록킹되어 상기 트레이 박스(110)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레이 박스의 좌,우 양측에 각각 관성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와 간섭될 수 있는 제1,2스토퍼 및 제1,2스토퍼 해제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전후 어느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트레이 박스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는 차체에 고정된 트레이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토록 설치된 트레이 박스와; 상기 트레이 박스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하우징 내 래치와 록킹 또는 언록킹될 수 있는 록커와; 상기 트레이 박스 내 좌,우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관성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를 향해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 박스의 인입방향 밀림을 제한하는 제1,2스토퍼와; 상기 제1,2 스토퍼와 트레이 하우징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2스토퍼와 트레이 박스의 간섭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2스토퍼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스토퍼 해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 박스에는 상기 제1,2스토퍼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박스의 후방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더 좁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스토퍼는 상기 제1,2스토퍼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1,2스토퍼의 전 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2스토퍼의 전방에 턱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인입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인출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는 차체에 고정된 트레이 하우징(2)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2)에 전후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토록 설치된 트레이 박스(4)와,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하우징(2) 내 래치(6)와 록킹 또는 언록킹될 수 있는 록커(8)와, 상기 트레이 박스(4) 내 좌,우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관성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향해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 박스(4)의 인입방향 밀림을 제한하는 제1,2스토퍼(10)(12)와, 상기 제1,2 스토퍼(10)(12)와 트레이 하우징(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2스토퍼(10)(12)와 트레이 박스(4)의 간섭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2스토퍼(10)(12)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스토퍼 해제부재(14)(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은 상기 제1,2스토퍼(10)(12) 및 제1,2스토퍼 해제부재(14)(16)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후방부위에 좌,우 양쪽으로 날개와 같이 연장된 날개부(2')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박스(4)에는 상기 제1,2스토퍼(10)(12)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방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더 좁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됨으 로써, 상기 트레이 박스(4)의 단차진 부위가 단턱(4')을 이룬다.
상기 제1,2스토퍼(10)(12)는 각각 상기 트레이 하우징(2)에 제1,2힌지 핀(10A)(12A)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2스토퍼(10)(12)는 각각 상기 제1,2힌지 핀(12A)(12B)을 중심으로 상기 제1,2스토퍼(10)(12)의 전방부위가 상기 제1,2스토퍼(10)(12)의 후방부위보다 더 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2스토퍼(10)(12)는 상기 제1,2스토퍼(10)(12)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1,2스토퍼(10)(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2스토퍼(10)(12)의 전방에 상기 제1,2스토퍼(10)(12)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턱(10')(12')이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좌측에 위치된 제1스토퍼(10)는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한 외력(화살표 A)이 작용하면, 관성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10)의 턱(10')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토퍼(10)의 턱(10')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우측에 위치된 제2스토퍼(12)는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한 외력(화살표 B)이 작용하면, 관성에 의해 상기 제2스토퍼(12)의 턱(12')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토퍼(12)의 턱(12')이 상기 트레이 박스(4)와 반대쪽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1,2스토퍼 해제부재(14)(16)는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 하우징(2)과 제1,2스토퍼(10)(12)에 각각 결합된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미 설명부호 C1은 상기 제1스토퍼(10)의 무게 중심(C1)이고, 미 설명부호 C2는 상기 제2스토퍼(12)의 무게 중심(C2)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에 인입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 박스(4)를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인입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인입방향으로 조금 후퇴하면서 상기 록커(8)가 상기 래치(6)로부터 언록킹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으로부터 인출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에 인출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인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 박스(4)를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인입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의 인입되고 상기 트레이 박스(4)의 인입이 완료되는 순간 상기 록커(8)가 상기 래치(6)에 록킹됨으로써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으로부터 인입된 상태로 잠금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 (2)에 인입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 박스(4)를 인출하려는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에 전방방향의 외력(화살표 A)이 작용하면, 도 3의 'A'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10)가 관성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스토퍼(10)의 턱(10')이 상기 트레이 박스(4)의 단턱(4')과 간섭된다. 그러면 상기 제1스토퍼(10)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방 밀림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커(8)가 상기 래치(6)로부터 언록킹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 박스(4)의 인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박스(4)가 상기 트레이 하우징(2)에 인입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 박스(4)를 인출하려는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에 후방방향의 외력(화살표 B)이 작용하면, 도 3의 'B'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12)가 관성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2스토퍼(12)의 턱(12')이 상기 트레이 박스(4)의 단턱(4')과 간섭된다. 그러면 상기 제2스토퍼(12)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방 밀림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록커(8)가 상기 래치(6)로부터 언록킹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 박스(4)의 인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트레이에 작용하는 전후방향 외력(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이 없어지면,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스토퍼(10)(12)는 상기 제1,2스토퍼 해제부재(14)(16)에 의해 제 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퇴가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는 트레이 하우징 내 좌,우에 각각 관성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레이 박스의 후방 밀림을 제한할 수 있는 제1,2스토퍼와, 상기 제1,2스토퍼와 트레이 박스의 간섭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스토퍼를 탄지하는 제1,2스토퍼 해제부재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박스의 인입시 전,후 어느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든 상기 트레이 박스의 의도되지 않은 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한 외력이 작용하는 관성 하중시는 물론 전후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헤드 임펙트시에도 상기 트레이 박스의 임의 인출이 방지됨으로써 신뢰성 및 감성 품질이 더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체에 고정된 트레이 하우징(2)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2)에 전후방향으로 인입,인출 가능토록 설치된 트레이 박스(4)와;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하우징(2) 내 래치(6)와 록킹 또는 언록킹될 수 있는 록커(8)와;
    상기 트레이 박스(4) 내 좌,우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관성에 의해 상기 트레이 박스(4)를 향해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 박스(4)의 인입방향 밀림을 제한하는 제1,2스토퍼(10)(12)와;
    상기 제1,2 스토퍼(10)(12)와 트레이 하우징(2)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2스토퍼(10)(12)와 트레이 박스(4)의 간섭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2스토퍼(10)(12)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스토퍼 해제부재(14)(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박스(4)에는 상기 제1,2스토퍼(10)(12)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박스(4)의 후방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더 좁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토퍼(10)(12)는 상기 제1,2스토퍼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1,2스토퍼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2스토퍼의 전방에 턱(10')(1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KR1020050121872A 2005-12-12 2005-12-12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KR10069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872A KR100698673B1 (ko) 2005-12-12 2005-12-12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872A KR100698673B1 (ko) 2005-12-12 2005-12-12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673B1 true KR100698673B1 (ko) 2007-03-23

Family

ID=4156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872A KR100698673B1 (ko) 2005-12-12 2005-12-12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7286A (zh) * 2020-11-18 2022-05-27 Kbi东国实业株式会社 滑动式物品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307A (ko) * 2002-09-19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KR20050061091A (ko) * 2003-12-18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방형 트레이
KR20050102970A (ko) * 2004-04-23 2005-10-27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307A (ko) * 2002-09-19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KR20050061091A (ko) * 2003-12-18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개방형 트레이
KR20050102970A (ko) * 2004-04-23 2005-10-27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4-0025307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061091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5-0102970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09953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7286A (zh) * 2020-11-18 2022-05-27 Kbi东国实业株式会社 滑动式物品箱
CN114537286B (zh) * 2020-11-18 2024-05-03 Kbi东国实业株式会社 滑动式物品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419B1 (ko) 트레이 장치
KR100698673B1 (ko)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CN105134730A (zh) 一种按压式锁止与解锁机构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KR100381482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KR100563828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JP2003027816A (ja) 耐震ロック機能を有する抽斗装置とその耐震ロック方法
JP3214086U (ja) ハンドル装置
KR20140071525A (ko) 차량용 수납박스의 잠금장치
JP4256312B2 (ja) 地震時ロック装置
JPH0218213Y2 (ko)
JP2871678B1 (ja) 箱体用錠機構
KR20130106099A (ko) 글로브박스의 잠금 장치
JP2008231848A (ja) 小物入れ付き扉の錠機構
JPH06337983A (ja) 自動販売機
JP2001197950A (ja) スライドレール装置および扉装置
JP2604231Y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563830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JP2006248357A (ja) 車両用収納装置
JPH02243888A (ja) ロック装置
JP3587275B2 (ja) 家具用抽斗ロック装置
JP2018076014A (ja) 自動車の内装ボックス
KR200389071Y1 (ko) 차량용 도어 래치장치
JP2003036468A (ja) 自動販売機用開放防止具
JPH03268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