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589B1 - 롤쵸크 전도장치 - Google Patents

롤쵸크 전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589B1
KR100698589B1 KR1020050095523A KR20050095523A KR100698589B1 KR 100698589 B1 KR100698589 B1 KR 100698589B1 KR 1020050095523 A KR1020050095523 A KR 1020050095523A KR 20050095523 A KR20050095523 A KR 20050095523A KR 100698589 B1 KR100698589 B1 KR 10069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hoke
frame
horizontal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원
Original Assignee
이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원 filed Critical 이덕원
Priority to KR102005009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3Manipulators or carriag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라인에서 분리된 롤쵸크를 수평으로 전도시키는 롤쵸크 전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레인후크(CH)에 의해 롤정비장으로 이송되는 롤쵸크(RC)에 있어서, 상기 롤쵸크(RC)에 형성된 쵸크홀더(H)를 양측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00); 상기 클램핑부재(100)를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도록, 클램핑부재(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전도부재(200); 상기 크레인후크(CH)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롤쵸크(RC)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전도부재(200)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도부재(2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롤쵸크(RC)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00)의 전·후거리를 조절하는 트래벌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쵸크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전도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롤쵸크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롤쵸크, 쵸크홀더, 클램핑부재, 전도부재, 트래벌부재, 밸런스부재.

Description

롤쵸크 전도장치{OVERTURN APPARATUS OF ROLL CHOCK}
도 1a, 1b 는 종래의 롤쵸크 전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도 2의 정면도.
도 4a,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부재의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5a,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6a 내지 6f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클램핑부재 110 : 메인프레임
112 : 수직가이드레일 120 : 높이조절판
122 : 수직슬라이더 130 : 상부클램프
140 : 하부클램프 150 : 리드스크류
160 : 구동모터 170 : 높이조절실린더
200 : 전도부재 210 : 고정프레임
212 : 서포트암 214 : 수평가이드레일
220 : 회전프레임 222 : 샤프트
230 : 회전실린더 300 : 트래벌부재
310 : 트래벌프레임 312 : 후크서포트
314 : 수평슬라이더 320 : 후크암
330 : 후크암실린더 340 : 작동실린더
400 : 스토핑수단 342 : 스토핑실린더
420 : 스토퍼 430 : 고정기어
500 : 밸런스수단 510 : 링크
512 : 링크핀 520 : 밸런스샤프트
530 : 서포트브래킷 C : 체인
CH : 크레인후크 H : 쵸크홀더
RC : 롤쵸크 S1 : 수직로드 감지센서
S2 : 수평로드 감지센서 S3 : 터치센서
S4 : 수직위치 터치센서 S5 : 수평위치 터치센서
본 발명은 압연라인에서 분리된 롤쵸크를 전도시키는 롤쵸크 전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롤쵸크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전도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쵸크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롤쵸크 전도장 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제철소 따위에서 열간·냉간설비로 사용되는 압연롤(도시생략)의 양측에는 롤쵸크(RC)가 장착되는데, 상기 압연롤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표면이 마모되면서 스크래치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압연롤의 평활도 및 진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그 표면을 연마하거나 새로이 교체하게 되며, 이때 롤쵸크(RC)를 분리하거나 조립하게 된다.
상기 롤쵸크(RC)를 전도하는 종래의 것으로, 도 1a, 1b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두개의 크레인후크(CH)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W)를 롤쵸크(RC)의 상·하부에 돌출된 부위로 걸어서 와이어(W)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크레인후크(CH)를 승·하강시켜 롤쵸크(RC)를 수평으로 전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과정으로 롤쵸크(RC)를 수평으로 전도시킬 때, 다수의 작업자가 크레인후크(CH) 및 롤쵸크(RC)에 와이어(W)를 연결하고 전도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W)에 연결된 중량체의 롤쵸크(RC)가 견고히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며, 이로 인해 와이어(W)가 끊어져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작업자가 상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과정으로 롤쵸크(RC)를 수평으로 전도시킬 때, 작업자가 일일이 와이어를 묶거나 전도시키는 과정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쵸크와 와이어의 마찰로 인해 롤쵸크에 마모가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압연롤을 지지하는 롤쵸크의 기능을 충실히 제공할 수 없는 문 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중량체로 이루어진 롤쵸크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전도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쵸크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롤쵸크 전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레인후크에 의해 롤정비장으로 이송되는 롤쵸크에 있어서, 상기 롤쵸크에 형성된 쵸크홀더를 양측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재를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도록, 클램핑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클램핑부재를 수평으로 전도시키는 전도부재; 상기 크레인후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롤쵸크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전도부재와 연결되어, 전도부재를 슬라이딩시켜 롤쵸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의 전·후거리를 조절하는 트래벌부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롤쵸크에 형성된 상·하부쵸크홀더를 양측에서 각각 클램핑하도록, 메인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한쌍의 상부클램프 및 하부클램프; 상기 한쌍의 상·하부클램프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하부쵸크홀더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송시키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 및 리드스크류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체인으로 연결되는 스프로킷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한쌍의 상·하부클램프에는, 상·하부쵸크홀더를 클램핑한 롤쵸크의 수직하중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수직로드 감지센서 및 상기 전도부재로 전도된 롤쵸크의 수평하중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수평로드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수직·수평로드 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의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상·하부클램프에는, 상·하부쵸크홀더 각각의 클램핑을 감지하도록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의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부재는, 메인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도록 수직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장착되는 상부클램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판; 상기 높이조절판을 상·하로 이송시키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실린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높이조절실린더의 작동으로 높이조절판의 수평밸런스를 유지하는 밸런스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밸런스수단은 높이조절판의 상부 양측에 연결핀으로 연결된 링크와, 상기 양측 링크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높이조절판의 수평밸런스를 유지하는 밸런스샤프트와, 상기 밸런스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서포트하여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서포트브래킷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도부재는, 하부 양측으로 서포트암이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서포트암에 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클램핑부재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롤쵸크를 수평으로 전도시키도록, 회전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연결된 회전실린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서포트암에는, 클램핑부재로 클램핑된 롤쵸크의 수직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수직위치 터치센서 및 상기 전도부재로 수평전도된 롤쵸크의 수평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수평위치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수평위치 터치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전실린더의 작동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도부재는 스토핑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스토핑수단은, 샤프트에 설치되면서 회전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서포트암에 설치되는 스토퍼실린더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트래벌부재는, 크레인후크에 장착되는 후크암 및 상기 전도부재의 길이장향으로 구비된 수평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트래벌프레임; 상기 트래벌프레임의 수평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슬라이더가 구비된 전도부재를 롤쵸크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트래벌프레임과 전도부재에 연결되는 작동실린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암은 트래벌프레임의 전·후방 각각에 축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크레인후크에 장착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후크암에는 후크암실린더가 중단에서 상호간에 연결 구성되며, 쌍을 이루는 각각의 후크암 축핀간에는 상호 맞물리도록 섹터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후크암실린더의 작동시 후크암이 축핀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크레인후크의 내측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래벌프레임에는 크레인후크가 안착되도록 후크서포트가 구비된 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도 2의 정면도, 도 4a와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부재의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5a와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램핑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후크(CH)에 의해 롤정비장으로 이송되는 롤쵸크(RC)에 있어서,
상기 롤쵸크(RC)에 형성된 쵸크홀더(H)를 양측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00); 상기 클램핑부재(100)를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도록, 클램핑부재(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전도부재(200); 상기 크레인후크(CH)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롤쵸크(RC)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전도부재(200)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도부재(2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롤쵸크(RC)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00)의 전·후거리를 조절하는 트래벌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롤쵸크(RC)의 상·하부에는 양측으로 절곡된 상·하부쵸크홀더(UH)(LH)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부재(100)는 롤쵸크(RC)의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양측에서 클램핑하는 것으로, 이러한 클램핑부재(100)는 크게 메인프레임(110), 좌·우측클 램프(132,142)(134,144)가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부클램프(130) 및 하부클램프(140), 리드스크류(150), 구동모터(160), 스프로킷(SK)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클램핑부재(100)의 골조를 이루도록 도 4a에서와 같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메인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되고, 이 수직가이드레일(112)에 슬라이딩되도록 수직슬라이더(122)가 구비된 높이조절판(120)에는 상부클램프(130)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클램프(130)는 롤쵸크(RC)의 상부쵸크홀더(UH) 양측 및 저면을 클램핑하도록 형성된 좌측클램프(132)와 우측클램프(134)가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클램프(140)도 롤쵸크(RC)의 하부쵸크홀더(LH) 양측 및 저면을 클램핑하도록 형성된 좌측클램프(142)와 우측클램프(144)가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클램프(130)는 높이조절판(120)에 장착되어 상부쵸크홀더(UH)를 클램핑하고, 하부클램프(140)는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하부쵸크홀더(LH)를 클램핑한다.
이같이 이루어진, 상·하부클램프(130)(140)에는 상·하부쵸크홀더(UH)(LH)로 클램핑된 롤쵸크(RC) 각각의 수직하중 및 전도된 롤쵸크(RC)의 수평하중을 감지하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로드 감지센서(S1) 및 수평로드 감지센서(S2)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구동모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로드 감지센서(S1)는 상·하부클램프(130)(140)로 클램핑된 롤쵸크(RC)의 수직중량을 감지하여,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단속하며, 상기 수 평로드 감지센서(S2)는 전도부재(200)에 의해 수평으로 전도된 롤쵸크(RC)의 수평중량을 감지하여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하부클램프(130)(140)에는 상·하부쵸크홀더(UH)(LH) 각각의 클램핑을 감지하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S3)가 구비되어, 구동모터(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터치센서(S3)는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안전하게 클램핑하여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30)(140)를 이루는 좌측클램프(132)(142)와 우측클램프(134)(144) 각각은 상호 연통되도록 너트(N)가 구비된다.
상기 리드스크류(150)는 상·하부클램프(130)(140)가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클램핑하도록 상·하부클램프(130)(14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리드스크류(1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클램프(132)(142)의 너트(N)에 나사조립되어 이송시키는 좌측리드스크류(152) 및 우측클램프(134)(144)의 너트(N)에 나사조립되어 이송시키는 우측리드스크류(154)가 일체로 이루어져, 롤쵸크(RC)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회동된다.
상기 구동모터(160)는 리드스크류(1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부클램프(130)에 연결된 리드스크류(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0)는 높이조절판(120)에 설치되고, 하부클램프(140)에 연결된 리드스크류(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0)는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같이, 각각의 리드스크류(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0)의 모터축에는 스프로킷(SK)이 설치되고, 이 스프로킷(SK)은 리드스크류(150) 일단에 설치된 또 다른 스프로킷(SK)과 체인(C)으로 연결되어 리드스크류(150)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60)의 구동에 따라 체인(C)으로 연결된 스프로킷(SK)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연동하여 리드스크류(15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너트(N)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좌측클램프(132)(142)와 우측클램프(134)(144)가 롤쵸크(RC)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이송하며, 이에 의해 좌·우측클램프(132,142)(134,144)가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양측에서 클램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판(120)은 높이조절실린더(170)에 의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며, 이 높이조절실린더(17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172)가 높이조절판(120)의 저면에 연결되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높이조절판(120)을 상·하로 이송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판(120)은 밸런스수단(500)에 의해 수평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밸런스수단(500)는 높이조절판(120)의 상부 양측에 회전핀(514)으로 연결된 링크(510), 이 양측 링크(51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밸런스샤프트(520), 이 밸런스샤프트(520)를 서포트하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서포트브래킷(5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높이조절판(120)이 높이조절실린더(170)에 의해 상·하로 이송될 때, 밸런스샤프트(520)에 연결된 링크(510)가 높이조절판(120)의 상부 양측을 잡아서 수평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도부재(200)는 클램핑부재(100)를 회전시켜 롤쵸크(RC)를 수평으로 전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전도부재(200)는 크게 고정프레임(210), 회전프레임(220), 회전실린더(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 양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암(212)이 구비되어 회전프레임(220)과 샤프트(222)로 연결된다. 이러한 서포트암(212)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직위치 터치센서(S4) 및 수평위치 터치센서(S5)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회전실린더(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직위치 터치센서(S4)는 롤쵸크(RC)를 클램핑한 클램핑부재(100)의 수직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터치돌기(224)의 터치에 의해 클램핑부재(100)의 수직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위치 터치센서(S5)는 수평으로 전도된 클램핑부재(100)의 수평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터치돌기(224)의 터치에 의해 클램핑부재(100)의 수평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중앙 양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수평슬라이더(214)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트래벌부재(300)의 수평가이드레일(314)에 슬라이딩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20)의 일측은 클램핑부재(100)의 메인프레임(110) 양측에 고정되어 메인프레임(110)과 일체로 회전되고, 타측은 고정프레임(210)의 서포트암(212)에 샤프트(222)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프레임(2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돌기(224)가 설치되는데, 이 터치돌기(224)는 회전프레임(220)의 회전에 따라 수직·수평위치 터치센서(S4)(S5)를 터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실린더(230)는 회전프레임(220)을 회전시켜 클램핑부재(100)로 클램핑된 롤쵸크(RC)를 수평으로 전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실린더(230)는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216)에 연결되고, 회전실린더(230)의 작동로드(232)는 회전프레임(220)의 샤프트(222)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면서 회전프레임(22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실린더(230)의 작동으로 회전프레임(220)이 샤프트(222)로 회전하고, 이 회전프레임(220)의 회전에 따라 터치돌기(224)가 수직·수평위치 터치센서(S4)(S5)를 터치하면서, 회전실린더(230)의 작동을 단속하게 된다. 즉, 수직·수평위치 터치센서(S4)(S5)에 의해 클램프부재(100)로 클램핑된 롤쵸크(RC)의 수직·수평위치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전도부재(200)는, 클램핑부재(100)의 전도를 단속하는 스토핑수단(4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핑수단(4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22)에 설치되면서 회전프레임(220)에 고정되는 고정기어(430)와, 이 고정기어(4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420)와, 이 스토퍼(420)를 작동시키도록 작동로드(412)로 연결되어 서포트암(212)에 설치되는 스토퍼실린더(410)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실린더(230)의 작동으로 클램핑부재(100)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이루게 될 때, 스토퍼실린더(410)의 작동로드(412)가 작동되면서 스토퍼(420)가 고정기어(430)를 단속하게 되므로, 회전프레임(220)이 고정되면서 클램프부재(10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클램프부재(100)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이 루게 될 때, 중량체로 이루어진 롤쵸크(RC)에 의해 회전실린더(230)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래벌부재(300)는 크레인후크(CH)에 고정되어 전도부재(200)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트래벌부재(300)는 크게 트래벌프레임(310), 후크암(320), 후크암실린더(330), 작동실린더(340)로 구성된다.
상기 트래벌프레임(310)의 하부 양측에는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부재(200)의 고정프레임(210)에 구비된 수평슬라이더(214)에 슬라이딩되도록 수평가이드레일(314)이 형성되어, 작동실린더(340)에 의해 전도부재(200)를 롤쵸크(RC)의 전·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실린더(340)는 도 2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벌프레임(310)에 작동로드(342)가 연결되도록 전도부재(200)의 고정프레임(210)에 실린더브래킷(218)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래벌프레임(310)의 상부에는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후크(CH)가 안착되도록 후크서포트(312)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암(320)은 트래벌프레임(31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후크암(322) 및 후방후크암(324)으로 이루어져, 크레인후크(CH)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방후크암(322)(324) 각각의 하부는 트래벌프레임(310)에 축핀(322a)(324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후방후크암(322)(324) 각각의 상부에는 크레인후크(CH)에 장착되도록 후크핀(322b)(324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후크암(322)(324) 각각의 축핀(322a)(324a)에는 상호 맞물리도록 섹터기어(322c)(324c)가 설치되어, 전·후방후크암(322)(324)이 축핀(322a)(324a)을 중심으로 크레인후크(CH)의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크레인후크(CH)에 장착되거나 탈거된다.
상기 후크암실린더(330)는 후크암(320)이 크레인후크(CH)에 장착되도록 축핀(322a)(324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후크암실린더(330)는 후방후크암(324)에 설치되고, 후크암실린더(330)의 작동로드(332)는 전방후크암(322)에 연결되어 작동로드(332)의 왕복운동으로 후크암(320)은 축핀(322a)(324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실린더(340)의 작동으로 작동로드(342)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트래벌프레임(310)을 전·후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트래벌부재(300)는 크레인후크(CH)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프레임(2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 6a 내지 6f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레인후크(CH)를 트래벌부재(300)의 후크서포트(31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후크암실린더(330)의 작동로드(332)를 작동시키면, 전·후방후크암(322)(324)이 축핀(322a)(324a)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후크핀(322b)(324b)이 크레인후크(CH)에 걸리면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크레인후크(CH)를 상부로 이송시키면 트래벌부재(300)와 전도부재(200) 및 클램핑부재(100)가 같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롤쵸크(RC)에 구비된 상·하부쵸크홀더(UH)(LH)에 근접되도록 도 6a에서와 같이, 크레인후크(CH)를 적절히 이동시켜 지상으로 하강시킨다.
이어서, 전도부재(200)의 고정프레임(210)에 설치된 작동실린더(340)의 작동로드(342)를 작동시키면, 트래벌부재(300)는 크레인후크(CH)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전도부재(200)의 고정프레임(210)에 구비된 수평슬라이더(214)가 트래벌부재(300)의 수평가이드레일(314)를 따라 롤쵸크(RC)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6b에서와 같이 클램핑부재(100)의 상·하부클램프(130)(140)가 롤쵸크(RC)의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클램핑하도록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하부클램프(130)(140)가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클램핑하도록 구동모터(160)를 구동시키면, 체인(C)으로 연결된 스프로킷(SK)이 구동되면서 리드스크류(150)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리드스크류(150)의 회전으로 너트(N)가 좌우로 이송되면서, 상·하부클램프(130)(140)가 도 6c에서와 같이, 상·하부쵸크홀더(UH)(LH)의 양측에서 클램핑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부클램프(130)(140)가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안전하게 클램핑하면, 터치센서(S3)가 작동되어 클램핑을 확인하면서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하부클램프(140)의 수직로드 감지센서(S1)가 감지될 때까지 크레인후크(CH)를 상부로 이송시키면, 수직로드 감지센서(S1)에 의해 하부클램프(140)가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높이조절실린더(170)의 작동로드(172)를 작동시켜, 상부클램프(130)의 수직로드 감지센서(S1)가 감지될 때까지 높이조절판(120)을 상승시키면, 수직로드 감지센서(S1)에 의해 상부클램프(130)가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d에서와 같이 크레인후크(CH)를 상부로 승강시켜 롤쵸 크(RC)가 지면과 간섭이 되지 않도록 적절한 높이차이를 유지하면, 회전실린더(230)의 작동로드(232)에 의해 회전프레임(220)과 클램핑부재(100) 및 롤쵸크(RC)가 동시에 회전되어, 도 6e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전도된다.
이때, 상·하부클램프(130)(140)는 수평로드 감지센서(S2)에 의해 더 이상 작동되지 않게 되고, 작동실린더(340)도 수직위치 터치센서(S4)에 의해 더 이상 작동되지 않게 되며, 스토퍼실린더(410)의 작동으로 스토퍼(420)가 작동하여 고정기어(430)를 단속하게 된다.
계속해서, 크레인후크(CH)를 압연롤측으로 이동하여 도 6f에서와 같이 안전하게 하강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160)로 구동되는 리드스크류(150)에 의해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클램핑한 상·하부클램프(130)(140)를 양측으로 이송시켜 오픈한다.
한편, 압연롤라인에서 사용된 롤쵸크(RC)를 교체하거나 정비하기 위해 이동할 때는,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롤쵸크 전도장치는, 롤쵸크(RC)를 간편하게 클램핑하여 수평으로 전도시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쵸크(R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롤쵸크 전도장치는, 롤쵸크(RC)를 이동함에 있어서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롤쵸크(RC)를 클램핑하는 상·하부클램프 (130)(140)의 작동을 수직·수평로드 감지센서(S1)(S2) 및 터치센서(S3)에 의해 자동적으로 단속하게 되므로, 롤쵸크(RC)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체로 이루어진 롤쵸크를 클램핑하여 수평으로 전도하고 롤정비장으로 이송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처리함에 따라, 롤쵸크를 전도하고 이동시키는 작업자를 줄여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체의 롤쵸크를 전도하고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의 롤쵸크를 전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롤쵸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쵸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롤쵸크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적용하여 클램핑할 수 있으며, 롤쵸크를 크레인후크로 승강하고 수평으로 전도하는 과정에서도 각종 센서에 의해 클램프를 단속하여 안전하게 롤쵸크를 전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크레인후크(CH)에 의해 롤정비장으로 이송되는 롤쵸크(RC)에 있어서,
    상기 롤쵸크(RC)에 형성된 쵸크홀더(H)를 양측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00);
    상기 클램핑부재(100)를 수평상태로 전도시키도록, 클램핑부재(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전도부재(200);
    상기 크레인후크(CH)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롤쵸크(RC)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전도부재(200)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도부재(2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롤쵸크(RC)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100)의 전·후거리를 조절하는 트래벌부재(300);
    를 포함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100)는,
    상기 롤쵸크(RC)에 형성된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양측에서 각각 클램핑하도록, 메인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상부클램프(130) 및 하부클램프(140);
    상기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30)(140)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하부쵸크홀더(UH)(LH)의 내측방향으로 동시에 이송시키는 리드스크류(150);
    상기 리드스크류(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0);
    상기 구동모터(160) 및 리드스크류(150)의 회동축상에 설치되어, 체인(C)으로 연결되는 스프로킷(SK);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30)(140)에는,
    상기 상·하부쵸크홀더(UH)(LH)를 클램핑한 롤쵸크(RC)의 수직하중을 감지하도록 수직로드 감지센서(S1)가 구비되고, 전도부재(200)로 전도된 롤쵸크(RC)의 수평하중을 감지하도록 수평로드 감지센서(S2)가 구비되어, 수직·수평로드 감지센서(S1)(S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상·하부클램프(130)(140)에는,
    상기 상·하부쵸크홀더(UH)(LH) 각각의 클램핑을 감지하도록 터치센서(S3)가 구비되어, 터치센서(S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160)의 구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10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레일(112)에 슬라이딩되도록 수직슬라이더(122)가 구비되어, 장착되는 상부클램프(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판(120);
    상기 높이조절판(120)을 상·하로 이송시키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실린더(170);
    를 더 포함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100)는, 높이조절실린더(170)의 작동으로 높이조절판(120)의 수평밸런스를 유지하는 밸런스수단(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수단(500)는, 높이조절판(120)의 상부 양측에 연결핀(514)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510)와, 상기 양측 링크(510)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높이조절판(120)의 수평밸런스를 유지하는 밸런스샤프트(520)와, 상기 밸런스샤프트(520)를 회전가능하게 서포트하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서포트브래킷(5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200)는,
    하부 양측으로 서포트암(212)이 구비된 고정프레임(210);
    상기 서포트암(212)에 샤프트(222)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클램핑부재(100)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프레임(220);
    상기 회전프레임(220)을 회전시켜 롤쵸크(RC)를 수평으로 전도시키도록, 회전프레임(220)과 고정프레임(210)에 연결된 회전실린더(2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암(212)에는,
    상기 클램핑부재(100)로 클램핑된 롤쵸크(RC)의 수직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수직위치 터치센서(S4) 및 상기 전도부재(200)로 수평전도된 롤쵸크(RC)의 수평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수평위치 터치센서(S5)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수평위치 터치센서(S4)(S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전실린더(230)의 작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200)는, 클램핑부재(100)의 전도를 단속하는 스토핑수단(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핑수단(400)는, 샤프트(222)상에 설치되면서 회전프레임(220)에 고정되는 고정기어(430)와, 상기 고정기어(4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420)와, 상기 스토퍼(420)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서포트암(212)에 설치되는 스토퍼실린더(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벌부재(300)는,
    상기 크래인후크(CH)에 장착되는 후크암(320) 및 상기 전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수평슬라이더(214)가 슬라이딩되는 수평가이드레일(314)이 구비된 트래벌프레임(310);
    상기 트래벌프레임(310)의 수평가이드레일(31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수평슬라이더(214)가 구비된 전도부재(200)를 롤쵸크(RC)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트래벌프레임(310)과 전도부재(200)에 연결되는 작동실린더(3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암(320)은, 트래벌프레임(310)의 전·후방 각각에 축핀(322a)(324a)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크레인후크(CH)에 장착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후크암(320)에는 후크암실린더(330)가 중단에서 상호간에 연결 구성되며, 쌍을 이루는 각각의 후크암 축핀(322a)(324a)간에는 상호 맞물리도록 섹터기어(322c)(324c)가 설치되어 있어 후크암실린더(330)의 작동시 후크암(320)이 축핀(322a)(324a)을 축으로 크레인후크(CH)의 내측으로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벌프레임(310)에는, 크레인후크(CH)가 안착되도록 후크서포트(3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쵸크 전도장치.
KR1020050095523A 2005-10-11 2005-10-11 롤쵸크 전도장치 KR10069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23A KR100698589B1 (ko) 2005-10-11 2005-10-11 롤쵸크 전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23A KR100698589B1 (ko) 2005-10-11 2005-10-11 롤쵸크 전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589B1 true KR100698589B1 (ko) 2007-03-22

Family

ID=4156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523A KR100698589B1 (ko) 2005-10-11 2005-10-11 롤쵸크 전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2912A (zh) * 2018-04-23 2018-08-03 新疆大学 新型流速仪检定装置及其检定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780U (ko) 1987-06-25 1989-01-11
JPH0514080U (ja) * 1991-08-12 1993-02-23 日新製鋼株式会社 吊り具
KR19990000699U (ko) * 1997-06-12 1999-01-15 김종진 에져롤(Edge Roll) 전도 및 쵸크(Chock) 해체장치
KR20020047492A (ko) * 2000-12-13 2002-06-22 이구택 복합 중량물의 롤 운반장치
KR20030024091A (ko) * 2001-09-17 2003-03-26 이덕원 중량물 운반용 이중고리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780U (ko) 1987-06-25 1989-01-11
JPH0514080U (ja) * 1991-08-12 1993-02-23 日新製鋼株式会社 吊り具
KR19990000699U (ko) * 1997-06-12 1999-01-15 김종진 에져롤(Edge Roll) 전도 및 쵸크(Chock) 해체장치
KR20020047492A (ko) * 2000-12-13 2002-06-22 이구택 복합 중량물의 롤 운반장치
KR20030024091A (ko) * 2001-09-17 2003-03-26 이덕원 중량물 운반용 이중고리 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2912A (zh) * 2018-04-23 2018-08-03 新疆大学 新型流速仪检定装置及其检定方法
CN108362912B (zh) * 2018-04-23 2024-04-02 新疆大学 流速仪检定装置及其检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51416A (ja) 足場装置
US11286136B2 (en) Conveying device
KR101197659B1 (ko) 알루미늄 합금판 반전 장치
CN207209153U (zh) 一种滚筒移载型机器人
CN103991460A (zh) 夹轨器与轨道行走机构
CN107600874A (zh) 一种滚筒移载型机器人
KR100698589B1 (ko) 롤쵸크 전도장치
CN203902573U (zh) 夹轨器与轨道行走机构
KR101491448B1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 롤러 교체용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상부 롤러 교체 방법
CN106857772A (zh) 输送线和用于在该输送线中使用的用于禽肉的承载架
KR102264857B1 (ko)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JP2010004747A (ja) 葉たばこ吊り込み装置
KR101404636B1 (ko) 그립퍼장치의 수직 승하강이 가능한 양팔 회전암 타입 소재이송용 갠트리장치
CN106006452A (zh) 带工件翻转功能的立柱式升降机
KR101171155B1 (ko) 무한궤도용 롤러 시험 및 이송장치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US3731637A (en) Pusher device
KR20130092166A (ko) 테이블 리프트
KR101433096B1 (ko) 승하강용 회전암을 이용한 소재이송 갠트리장치 전용 수직 승하강 보상 수평이송장치 구조
CN108775179B (zh) 一种皮带式车辆搬运器及其夹持臂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KR101153614B1 (ko) 연속 주조기의 세그먼트 롤 운반장치용 받침장치
KR101579207B1 (ko) 전복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TWI569997B (zh) 脫線修復裝置,保養用車輛及脫線修復方法
JP2666594B2 (ja) 作業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