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968B1 - 원주형 보강재를 갖춘 타이어 비드 - Google Patents

원주형 보강재를 갖춘 타이어 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968B1
KR100697968B1 KR1020007007639A KR20007007639A KR100697968B1 KR 100697968 B1 KR100697968 B1 KR 100697968B1 KR 1020007007639 A KR1020007007639 A KR 1020007007639A KR 20007007639 A KR20007007639 A KR 20007007639A KR 100697968 B1 KR100697968 B1 KR 10069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tire
ply
bead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4849A (ko
Inventor
아욱세레파스칼
Original Assignee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filed Critical 꽁빠니 제네랄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미쉘린 에 씨
Publication of KR2001002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60C15/060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comprising several parts, e.g. made of different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28Chafer or sea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업턴(20)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타이어 비드(B)에서 비드 와이어(1)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자오선 단면에서 볼 때, 상기 플라이는 원주형 금속 요소의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구성된 부가 보강 아마추어(6A)로 축방향 내부로 보강되는 볼록부와 오목부 사이의 팽창점(J)에서 윤곽을 갖는다.
타이어, 카커스 보강재, 플라이, 비드, 비드 와이어, 보강 아마추어

Description

원주형 보강재를 갖춘 타이어 비드{Tyre Bead With Circumferential Reinforcing Elements}
본 발명은 과중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레이디얼 카커스 보강재(raidal carcass reinforcement)를 갖춘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화물차(lorries), 트랙터, 버스, 트레일러 등과 같은 차량에 고정되는 "대형-차량(heavy-vehicle)"형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상기 타이어의 비드용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형태의 타이어는 업턴(upturn)을 형성하는 각각의 비드에서 하나 이상의 비드 와이어(bead wire)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금속 케이블의 플라이로 형성된 카커스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카커스 보강재는 방사상으로 크라운(crown) 보강재에 의해 덮이고, 원주 방향으로 10°내지 45°의 각을 형성하며 하나의 플라이로부터 다음 플라이로 교차된 두 개 이상의 금속 케이블의 플라이로 구성된다. 상기 카커스 보강재 업턴은 통상 원주 방향에 대해 일반적으로 10°내지 30°의 작은 각으로 배향되며 금속 케이블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비드 보강 플라이에 의해 보강된다.
단일의 비드 보강 플라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드 보강 플라이는 카커스 보강재 업턴의 방사상 상부 단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된 방사상 상부 단부와 함께 카커스 보강재 업턴을 따라 외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보강 플라이의 방사상 하부 단부에 대해서는, 카커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의 자오선 단면의 무게중심을 관통하며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직선 하부에 위치된다.
카커스 보강재 업턴의 케이블의 레이디얼이탈(deradialization)을 방지하며, 비드를 피복하며 림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는 외부 고무층과 상기 업턴의 단부가 방사상 및 원주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결책이 공지되어 있다.
"대형-차량"용 타이어의 수명을 위해서 성취된 진보에 따라 그리고 소정의 형태의 운행은 트레드의 마모에 관해서는 핸디캡을 거의 형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또한 비드의 내구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개선은 카커스 보강재 업턴의 단부의 레벨 및 비드 보강 플라이의 방사상 외부 단부에서 고무층의 열화에 집중되어야만 한다. 특히, 비드에 높은 온도를 종종 유발하는 장거리 운행을 하는 타이어의 경우, 장착 림이 도달하는 온도에 기인하여, 림과 접촉하는 고무 혼합물은 강성이 감소되며, 산화가 다소 느려지며, 따라서 하나 이상의 비드 보강 플라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내부 팽창압의 작용하에 카커스 보강재가 비드 와이어 주위로부터 풀리는 경향이 강해진다. 다음, 플라이의 모든 단부에서 비드 와이어 이동 및 전단 변형이 발생하여 비드의 파괴를 초래한다. 상기 개선은 또한, 주로 상기 제 2 열화 가능성에 집중되어야 한다.
그의 작동 림에 장착되며 소정의 압력에서 팽창하는 레이디얼 타이어의 카커스 보강재는 한 측벽에서 크라운 보강재의 자오선 윤곽(meridian profile)과의 연결 구역과 비드와의 연결 구역 사이에서 규칙적인 볼록 자오선 윤곽을 갖는다. 특히, 카커스 보강재가 비드 보강 플라이(들)의 영향을 받는 반경으로부터 개시하여, 상기 보강재는 측벽의 곡률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만곡되거나 실질적으로 직선인, 즉 카커스 보강재 업턴을 따라 위치된 비드 보강 플라이의 방사상 상부 단부의 레벨에서 대략 방사상으로 위치된 팽창 지점으로부터 개시하여 림 플랜지(rim flange)의 곡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자오선 윤곽을 비드 내에 갖는다.
이러한 카커스 보강재의 자오선 윤곽은 하중이 소정의 하중 보다 크거나, 팽창압이 소정의 압력 보다 낮을 때 비드의 양호한 내구성을 적합하게 나타내지 않으므로 개선을 요구한다.
프랑스 특허 2 604 396호에는, 격렬한 운행을 위한 레이디얼 타이어 비드의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두 개의 비드 보강 아마추어를 갖춘 카커스 보강재의 주요부를 보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카커스 보강재의 방사상 케이블로 삼각형의 전체 보강재를 얻기 위해, 상기 두 개의 보강 아마추어 중 하나는 카커스 보강재의 외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되며, 자오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금속 케이블의 층으로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카커스 보강재의 내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되며, 제 1 층의 케이블의 경사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금속 케이블의 층으로 형성된다.
본 출원인의 연구는 비드 내의 곡률 반경의 변화 영역에서 카커스 보강재의 자오선 윤곽이 원주방향 보강 요소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비드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과중량을 지탱하기 위한 차량용 타이어의 비드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이어는 비신장성 보강 요소로 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되며, 업턴을 형성하도록, 금속 요소로 형성된 부가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보강되는 각각의 비드(B) 내에서 비드 와이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카커스 보강재를 포함하며, 카커스 보강재의 비업턴부(non-upturned part)는 그 자오선 윤곽의 트레이스가 직선 또는 오목형으로 곡률 반경이 변화되는 팽창점의 양 측부상에 위치된 비드의 영역에서 상기 금속 보강 요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구성된 부가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타이어의 축방향 내부로 보강되며, 상기 플라이의 방사상 하부 단부는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가장 먼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의 코팅층의 지점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 D'의 방사상 하부와, 상기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가장 근접한 상기 고정 비드 와이어의 코팅층의 지점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 D의 상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플라이의 방사상 상부 단부는 상기 직선 D 로부터의 방사상 거리에 위치되며, 상기 직선 D 로부터의 방사상 거리는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에 상기 직선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을 가산한 치수와, 상기 직선 D와 D" 사이의 거리의 절반에 상기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을 감산한 치수를 더한 값과 동일하며, 상기 직선 D" 은 최대 축방향 폭과 동일한 직선이며, 상기 부가 보강 아마추어의 보강 요소는 상기 플라이의 적층시에 측정된 보강 아마추어(6A)의 원주방향 섹션(section)에 비하여 0.2 내지 0.4배의 원주방향 섹션을 갖거나, 이러한 원주방향 섹션을 갖는 원주형 케이블의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의에 의하면, 최대 축방향 폭 직선 D"은 타이어가 소정의 압력에서 팽창되며 하중을 받지 않는 장착 림에 장착될 때, 최대 축방향 폭의 지점에 대응하는 카커스 보강재의 자오선 윤곽 내의 지점을 통과하며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이다.
부가 보강 아마추어의 요소는 +5°와 -5°사이의 각으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면 원주형이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카커스 보강재가 받는 인장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운행 조건에 관계 없이, 카커스 보강재 업턴의 단부에서 방사상 변형을 최소화한다.
힘의 흡수는 부가 아마추어의 보강 요소의 수가 클수록 커진다; 보강 요소는 적합하게는 부가 플라이 내에서 서로 평행하며 보강 아마추어의 전체 폭에 걸쳐 인접한 강철로 형성된 금속이다. 상기 보강 요소는 상기 보강 요소에 수직인 방향에서 두 개의 인접한 요소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한 감소되면 인접하고 있다고 말한다.
카커스 보강재 업턴에 대해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로 위치된 제 2 부가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존재는 과잉 하중 하의 운행 중에 비드의 내구성에 특히 유리하다. 상기 제 2 부가 아마추어는 적합하게는 0°를 포함하여 0°와 30°사이의 각을 원주 방향에서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보강 요소의 플라이로 형성된다.
카커스 보강재의 자오선 인장력의 흡수는 그 자체로는 다수의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750 726호에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드로 각각 형성되며 교차 방향에서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보조 보강재에 카커스 보강 플라이를 접착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착은 비드 와이어 및 카커스 보강재 업턴을 갖지 않는 곳에서 두 개의 카커스 보강 플라이가 보조 보강재를 단단히 밀착하여 둘러싸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프랑스 특허 1 169 474호에는 평행한 훅킹선(hooking line) 상에 경사진 케이블 또는 금속 코드의 작은 플라이를 사용하여 비드 와이어의 필요성을 배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각은 5°이하이며, 카커스 보강 플라이는 업턴이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는다.
프랑스 특허 1 234 995호에는 림 플랜지에 대항하여 훅킹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드 보강 플라이의 경사진 보강 요소를 원주형 요소로 대체하기 위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보강 아마추어는 카커스 보강재의 주요부와 상기 보강재의 업턴 사이 또는 상기 카커스 보강재 업턴에 대해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로 배치된다.
프랑스 특허 1 256 432호에는 원주형 요소를 갖춘 동일한 비드 보강 아마추어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요소는 승객용 차량 타이어의 경우 고정 비드 와이어 또는 다른 보강 플라이를 갖지 않는 경우 그 전체에 걸쳐 카커스 보강재의 인장력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특허 2 055 988호에는 원주형 요소를 가진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소정의 가능한 적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종래의 경사 요소의 아마추어를 대신하여 카커스 보강재 업턴에 대해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에 배치된 아마추어를 사용한다.
프랑스 특허 2 730 190호에는, 타이어의 비드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카커스 보강재의 고정 비드 와이어 주위에 권취된 원주형 금속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부가 플라이 및,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축으로부터 가장 먼 비드 와이어의 지점을 통과하는 두 개의 축방향 내부 및 외부 스트랜드(strand)에 의해 상기 비드를 보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원주형 요소를 가지며 카커스 보강재의 비업턴부 내에 배치된 비드 보강 아마추어에 의해 비드 내의 팽창점을 갖는 카커스 보강재의 자오선 윤곽을 조합하는 것은 비드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상술한 비드 보강 아마추어의 존재가 보다 경제적인 브레이드형(braided type) 비드 와이어와 관련된 타이어 형태에 통상 사용되는 직선형 금속 와이어를 갖는 비드 와이어로 대체되어 결합될 때, 그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타이어의 중량의 감소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나는 다수의 금속 와이어 또는 다각형 구역의 스택(stack)을 갖는 형태의 비드 와이어의 나선형 브레이딩으로 형성되며, 즉 비드 와이어는 상이한 폭의 다수의 층을 초래하는 금속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비드 와이어의 형태는 그의 단면 형상 및 상기 구역의 가능한 감소에 기인하여 각각 30% 및 50%의 작은 공간만을 점유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많은 공간을 점유하는 직선형 와이어를 갖는 비드 와이어의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과 관련하여, 비드의 더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초래한다.
보강 아마추어의 원주방향 섹션의 0.2 내지 0.4배의 원주방향 섹션의 케이블 길이의 그룹 또는 조립체 또는 보강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카커스 보강재의 미가공 블랭크(raw blank)를 위한 제조 드럼 상에 비드 보강 아마추어를 배치(laying)할 수 있게 하고, 큰 어려움 없이 상기 블랭크를 토러스(torus)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평균 길이는 상기 드럼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정된다. 컷 요소(cut element)들 사이의 원주형 간극 또는 컷은 서로로부터 적합하게 편위된다(offset).
카커스 보강재 업턴이 0°금속 요소로 형성될 때, 카커스 보강재 업턴에 대해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로 제 2 부가 아마추어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때 상기 요소는 보강 플라이의 평균 원주방향 섹션의 0.2 내지 0.4배의 원주방향 섹션을 갖거나, 이러한 원주방향 섹션을 갖는 케이블의 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를 도시적으로 예시한 도면을 참조 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구조의 다이어그램.
도 1에 도시한 타이어(P)는 15°로 경사진 림 시트(J)를 포함하는 림 상에 장착되는 315/80R 22.5 크기의 타이어이다. 상기 타이어는 두 개의 측벽(5)에 의해 두 개의 비드(B)에 결합되는 트레드(tread: 4)(도시 않음)를 포함한다. 각각의 비드(B)는 다수의 병렬 배치된 코드의 열(row)이 얻어질 때까지 적합한 형태로 4변형 단면의 코드를 권취함으로써 형성된 비드 와이어(1)에 의해 보강된다. 상기 비드 와이어(1)의 주위에는 금속 케이블의 단일 플라이로 구성된 카커스 보강재(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카커스 보강재(2)는, 자오선 단면에서 볼 때, 최대 축방향 폭의 지점 A와, 상기 비드 와이어(1)의 실질적인 원형 코팅층(10)과 자오선 윤곽과의 접촉점 T (상기 코팅층은 완전 원형 교차 형상을 갖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원형이라 칭한다) 사이에서 두 개의 곡률 반경을 갖는 자오선 윤곽을 가지며, 상기 윤곽은 상기 지점 A로부터 비드 와이어의 방사상 상부에 위치된 팽창점 J까지 볼록 형상이며, 상기 팽창점 J로부터 접촉점 T까지 오목 형상이다.
상기 카커스 보강재는 비드 와이어(1)를 피복하는 고무 혼합물 층(10) 주위에 업턴(2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업턴(20)의 방사상 상부 단부와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 YY' 사이의 거리는 비드의 공칭 직경(본원의 경우, 작동 림의 직경과 동일)을 형성하며 예를 들면, 당해의 315/80R 22.5 크기의 타이어의 경우 37mm이다.
카커스 보강재(2)와 비드 와이어(1)의 방사상 상부의 업턴(20)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높은 쇼어(Shore) 경도를 갖는 고무 혼합물의 비드 와이어 필러(filler: 71)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비드(B)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높은 탄성 계수의 요소의 플라이로 구성된 제 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에 의해 보강되며, 제 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의 상기 플라이는 카커스 보강재의 자오선 윤곽의 곡률이 바뀌는 팽창점 J에서의 양 측면에 위치한 영역에서 카커스 보강재(2)의 비업턴부(non-upturned) 즉 주요부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의 상기 플라이의 보강 요소는 27×23의 컷 금속 케이블이며, 카커스 보강재 블랭크용 제조 드럼 상에 배치될 때 측정된 상기 요소의 길이 또는 케이블의 길이는 상기 제 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의 플라이의 원주 길이의 1/4이며, 상기 요소의 단부들 사이의 간격은 낮은 폭, 즉 3mm(또한 배치시 측정)이며, 서로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편위된다. 제 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의 플라이의 방사상 하부 단부는 회전축에 평행하며 회전축에 가장 근접한 비드 와이어(1)의 지점을 통과하는 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점은 회전축으로부터 290mm의 거리에 위치되며,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가장 근접한 고정 비드 와이어(1)의 코팅층(10)의 지점을 통과하는 직선 D 사이에서 280mm의 거리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코팅층(10)의 지점을 관통하는 직선 D' 사이에서 305mm의 거리 사이에 위치된다.
방사상 상부 단부에 대해서, 이 방사상 상부 단부는 본원의 경우, 회전축으로부터 335mm의 거리 re 만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치수는 회전축으로부터 직선 D와 D" 의 각각의 거리의 합의 절반인 345mm{(410+280)/2, 지점 A를 지나는 최대 축방향 폭과 동일한 직선 D" 는 회전축에서부터 410mm의 거리에 있다}에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 12.5mm{(305-280)/2}를 가산한 거리와 동일한 값 357.5mm 와, 회전축으로부터 직선 D와 D"의 각각의 길이의 합의 절반인 345mm에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인 12.5mm를 감산한 거리와 동일한 값 332.5mm 사이에 있다.
상기 비드(B)는 제 2 부가 보강 아마추어(6B)에 의해 보강된 카커스 보강재(2)의 업턴(20)의 외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더욱 보강되고, 상기 제 2 부가 보강 아마추어(6B)는 내부에서 서로 평행한 연속적인 금속 27×23 케이블의 플라이로 구성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0°이상, 적합하게는 22°의 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부가 보강 아마추어(6B)의 플라이의 방사상 외부 단부는 카커스 보강재(2)의 업턴(20)의 단부의 방사상 상부에 위치되며, 반면 그 방사상 하부 단부는 회전축에 평행하며 제 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의 플라이의 방사상 하부 단부가 위치된 동일한 직선 상에 적합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부가 아마추어(6B)의 플라이는 먼저 제 2 충전 필러(72)에 의해 카커스 보강재(2)와 비드 와이어 필러(71)로부터 분리되며, 다음에 제 3 필러(73)에 의해 비드(B)를 포위하는 보호 고무 혼합물(8)로부터 분리된다.
PAB로 언급되는 상술한 타이어를 아래의 타이어 PA , 타이어 PT , 및 타이어 PB 와 비교한다.
- 종래의 타이어 PA 는 제2 부가 보강 아마추어(6B)의 단일의 비드 보강 플라이만을 포함하는 비드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플라이는 원주 방향에 대해 22°배향된 연속적인 금속 케이블로 형성되며 카커스 보강재 업턴의 외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 타이어 PT 는 비드 내에 부가 보강 플라이를 포함하지 않으며,
- 타이어 PB 는 제1 부가 아마추어(6A)의 단일의 비드 보강 플라이만을 포함하는 비드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플라이는 원주 방향으로 배향된 금속 케이블의 길이로 형성되며, 카커스 보강재의 내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비교는 타이어 비드의 내구성 즉, 과잉 하중 하의 내구성 및, 고온 림 상의 내구성을 기본으로 한 두 개의 품질 기준에 기초하여 형성되었다. 모든 타이어 시험의 동일한 회전 조건 하에서, 타이어 PT 는 평균적으로(기준 당 2회 시험) 과잉 하중 하에서 24,000km 운행하며, 고온 림에서 2,600km 운행한다. 0°에서 단일 플라이 길이를 갖는 타이어 PB 는 동일한 운행 형태에서 각각 101,000km 및 8,100km 운행하며, 이는 운행 형태에 관계 없이, 중요한 이득을 나타낸다. 종래의 타이어 PA 는 두 개의 시험에서 각각 53,000km 및 5,200km를 운행하며,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이어 PAB 는 당해의 두 개의 운행 형태에서 각각 156,000km 및 8,200km를 운행한다. 크게 예상치 못한 중대한 진보를 나타내는 이러한 결과는, 카커스 보강재 업턴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작은 각도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연속적인 금속 요소의 부가 보강 플라이의 사용과 결합하여, 카커스 보강재의 내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불연속 원주형 금속 요소의 부가 보강 플라이를 사용한 효과를 명백하게 나타내고 있다.

Claims (7)

  1. 비신장성 보강 요소로 된 플라이로서 형성되며, 업턴(20)을 형성하도록, 금속 요소로 형성된 제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에 의해 보강되는 각각의 비드(B) 내에서 비드 와이어(1)에 고정되는 레이디얼 카커스 보강재(2)를 포함하며, 그 자오선 윤곽의 트레이스가 직선 또는 오목형으로 곡률 반경이 변화되는 팽창점 J의 양 측부상에 위치된 비드의 영역에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2)의 비업턴부는 금속 보강요소로 형성된 플라이로 구성된 제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에 의해 타이어의 축방향 내부에 대해 보강되며, 상기 플라이의 방사상 하부 단부는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가장 먼 상기 비드 와이어(1)의 코팅층(10)의 지점을 통과하며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 D' 의 하부에서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가장 근접한 상기 비드 와이어(1)의 코팅층(10)의 지점을 통과하고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직선 D의 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플라이의 방사상 상부 단부는 직선 D에서의 방사상 거리에 위치되는데, 상기 직선 D에서의 방사상 거리는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에 상기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을 더한 값과, 상기 직선 D와 D" 사이의 거리의 절반에 상기 직선 D와 D' 사이의 방사상 거리의 절반을 뺀 값 사이에 있으며, 상기 직선 D" 는 타이어의 최대 축방향 폭과 동일한 직선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부가 보강 아마추어의 보강재는 상기 플라이의 배치시에 측정된 제1 부가 보강 아마추어(6A)의 원주방향 섹션에 비하여 0.2 내지 0.4배의 원주방향 섹션을 갖거나, 이러한 원주방향 섹션들을 갖는 원주방향 케이블의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의 컷 길이들 사이의 원주방향 간극들은 서로 편위(offse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드(B)는 카커스 보강재(2)의 업턴(20)에 대해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에 위치된 제 2 부가 보강 아마추어(6B)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제2 부가 보강 아마추어(6B)는 0°를 포함하여 0°와 30°사이의 원주 방향 각도를 형성하는 금속 보강 요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는 원주 방향으로 0°보다 큰 각을 형성하는 연속성 금속 요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보강재(2)의 비드 와이어(1)는 "브레이드(braided)"형 비드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6. 삭제
  7. 삭제
KR1020007007639A 1998-01-12 1998-12-16 원주형 보강재를 갖춘 타이어 비드 KR100697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0293 1998-01-12
FR9800293A FR2773519B1 (fr) 1998-01-12 1998-01-12 Bourrelet de pneumatique avec elements de renfort circonferentiels
PCT/EP1998/008262 WO1999034990A1 (fr) 1998-01-12 1998-12-16 Bourrelet de pneumatique avec elements de renfort circonferenti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49A KR20010024849A (ko) 2001-03-26
KR100697968B1 true KR100697968B1 (ko) 2007-03-23

Family

ID=952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639A KR100697968B1 (ko) 1998-01-12 1998-12-16 원주형 보강재를 갖춘 타이어 비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60589B1 (ko)
EP (1) EP1047566B1 (ko)
JP (1) JP4557422B2 (ko)
KR (1) KR100697968B1 (ko)
CN (1) CN1159168C (ko)
BR (1) BR9814587A (ko)
CA (1) CA2318327C (ko)
DE (1) DE69804509T2 (ko)
ES (1) ES2174540T3 (ko)
FR (1) FR2773519B1 (ko)
RU (1) RU2219072C2 (ko)
WO (1) WO1999034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48B1 (ko) 2007-02-28 2007-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드가 보강된 공기입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0562B1 (fr) * 2002-06-10 2004-07-23 Michelin Soc Tech Armature de bourrelet de pneumatique comprenant des renforts discontinus
JP4464700B2 (ja) * 2004-01-28 2010-05-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EP2077195B1 (en) * 2006-10-20 2011-11-23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CN101528485B (zh) * 2006-10-20 2011-01-19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FR2912346B1 (fr) * 2007-02-12 2009-04-24 Michelin Soc Tech Structure de bourrelet de pneu
JP4966687B2 (ja) * 2007-02-15 2012-07-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850114B2 (ja) * 2007-04-09 2012-01-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9044062A1 (de) * 2009-09-21 2011-03-2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einem Reifenwulst mit mindestens einem Kern und mit mindestens einem Kernprofil und Produktionsverfahren
FR2976220B1 (fr) * 2011-06-07 2013-06-28 Michelin Soc Tech Bourrelet de pneumatique pour vehicule lourd de type genie civil
JP5319736B2 (ja) * 2011-06-15 2013-10-1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8622106B1 (en) 2012-08-27 2014-0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ad structure for a pneumatic tire
US11673431B2 (en) * 2018-05-30 2023-06-1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ruck tire with contention armature overlap
FR3086206B1 (fr) * 2018-09-20 2020-08-28 Michelin & Cie Pneumatique comportant une armature de carcasse formee d'une unique couche d'elements de renforcement textiles
CN110217054B (zh) * 2019-06-14 2021-05-04 青岛科技大学 具有0度胎圈补强层的全钢子午线轮胎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5988A5 (ko) * 1969-08-14 1971-05-14 Dunlop Ltd
DE7612746U1 (de) * 1976-04-23 1976-09-23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Fahrzeugluftreifen
JPS59216709A (ja) * 1983-05-24 1984-12-06 Bridgestone Corp ビ−ド部耐久性にすぐれるラジアルタイヤ
JPS6116106A (ja) * 1984-07-03 1986-01-24 Sumitomo Rubber Ind Ltd トラツク、バス用ラジアルタイヤ
JPS6387304A (ja) * 1986-09-30 1988-04-18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R2718390A1 (fr) * 1994-04-11 1995-10-13 Michelin & Cie Pneumatique avec flancs renforcés.
JPH08150813A (ja) * 1994-11-29 1996-06-11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R2730190B1 (fr) * 1995-02-02 1997-04-18 Michelin & Cie Bourrelets de pneumatique
FR2734764A1 (fr) * 1995-05-30 1996-12-06 Michelin & Cie Pneumatique avec une nappe de renforcement a elements circonferenti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548B1 (ko) 2007-02-28 2007-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드가 보강된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4587A (pt) 2000-10-24
FR2773519B1 (fr) 2000-02-11
CA2318327A1 (fr) 1999-07-15
EP1047566A1 (fr) 2000-11-02
DE69804509D1 (de) 2002-05-02
FR2773519A1 (fr) 1999-07-16
EP1047566B1 (fr) 2002-03-27
CN1159168C (zh) 2004-07-28
US6460589B1 (en) 2002-10-08
JP4557422B2 (ja) 2010-10-06
RU2219072C2 (ru) 2003-12-20
WO1999034990A1 (fr) 1999-07-15
CA2318327C (fr) 2007-02-06
JP2002500122A (ja) 2002-01-08
DE69804509T2 (de) 2002-10-10
KR20010024849A (ko) 2001-03-26
ES2174540T3 (es) 2002-11-01
CN1284918A (zh) 200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70B1 (ko) 타이어 비드를 보강한 래디얼 타이어
US6834699B2 (en) Reinforcing tire bead for a radial tire
EP0605177B1 (en) Pneumatic tire
KR100697968B1 (ko) 원주형 보강재를 갖춘 타이어 비드
KR100697969B1 (ko) 원주 방향 보강재 요소를 구비한 타이어 비드
KR100647027B1 (ko) 보강 래디얼 타이어 비드
US6622764B2 (en) Underlay structure for increased crown stiffening
KR100639523B1 (ko) 원주 방향 보강 요소를 구비한 타이어 비이드
EP1145874B1 (en) Tire chipper construction for runflat tires
US4705091A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s
JP4130530B2 (ja) ロックビード構造
EP1127718B1 (en) Runflat tire with dual-modulus underlay
EP2195177B1 (en) Heavy goods vehicle tyre
EP3450219B1 (en) Bead structure for a pneumatic tire
EP0243558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EP3176005A1 (en) A bidirectional monobelt construction for a pneumatic tire
EP4005826B1 (en) Radial tire
JP2001001716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