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941B1 -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941B1
KR100696941B1 KR1020060088403A KR20060088403A KR100696941B1 KR 100696941 B1 KR100696941 B1 KR 100696941B1 KR 1020060088403 A KR1020060088403 A KR 1020060088403A KR 20060088403 A KR20060088403 A KR 20060088403A KR 100696941 B1 KR100696941 B1 KR 10069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lock
transfer
rodless cylin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수섭
Original Assignee
구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수섭 filed Critical 구수섭
Priority to KR102006008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2Feeding or positioning web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을 자동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품종 케이스를 양산하기 위해 금형을 수시로 교체하는 작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원단 이송장치의 분리, 장착이 매우 간편하며, 상기 금형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원단의 이송폭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작업의 정밀도를 유지함은 물론 단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다품종의 케이스를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엔드블럭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일측 엔드블럭에 장착플레이트가 부착된 로드레스 실린더와; 상기 장착플레이트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을 관통하여 하부베이스에 원단 이송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부재와;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 및 양측의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블럭과; 상기 이송블럭의 상단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승, 하강 작동하는 압지판으로 원단을 파지프레임에 압지하여 수평 이송시키는 원단 파지수단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Material remove apparatus for case making}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원단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의 자동화라인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원단 이송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 원단 이송장치의 장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원단 이송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압지판의 하강에 의한 원단의 파지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원단 파지수단의 수평 이송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이송폭 제어구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원단 이송장치 1: 원단
5: 멀티프레임 6: 하부베이스
10: 로드레스 실린더 11, 11a: 엔드블럭
12: 장착플레이트 12a: 고정홈
14: 공압라인 20: 장착부재
30: 이송블럭 40: 원단 파지수단
41: 파지프레임 42: 압지실린더
44: 압지판 50: 이송폭 제어구
본 발명은 각종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을 자동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품종 케이스를 양산하기 위해 금형을 수시로 교체하는 작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원단 이송장치의 분리, 장착이 매우 간편하며, 상기 금형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원단의 이송폭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작업의 정밀도를 유지함은 물론 단일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다품종의 케이스를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이나 액상물질 등을 포장하기 위한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히팅장치를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킨 원단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공급하고, 상기 상부금형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지지판으로 원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한 다음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하여 하부금형과 합형함으로써 금형에 형성된 형상으로 케이스를 성형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성형된 케이스에 구멍을 천공하는 피어싱(Piercing)을 하고, 상기 피어싱이 완료된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절단하여 독립된 제품으로 양산하는 트리밍(Trimming)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원단을 가압 성형하는 성형작업과, 성형작업 후 순차적으로 지속되는 피어싱, 트리밍작업이 원스톱으로 진행되지 않고 각각 개별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조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비대하여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개별적인 작업공정에 따른 작업라인이 길고 복잡하여 생산성 및 제품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특히, 종래의 케이스 제조장치는 대부분 단일 케이스를 성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단일 품종의 케이스를 전용으로 양산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다만, 근자에 들어 일부의 제조장치는 금형을 단독으로 교체하여 다른 형상의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전자와 동일하게 성형작업을 단독으로 실시할 뿐 추가적인 피어싱 및 트리밍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금형을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움은 피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한편, 상기 원단을 수평상으로 견인하면서 금형을 통과하도록 하는 원단 이송장치는 대부분 단일 제조장치에 고착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분리작업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그나마 일부 분리 가능한 원단 이송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금형을 교체할 때마다 수시로 원단 이송장치를 일시적으로 분리한 후 이를 재장착하여야만 하나 이러한 분리, 장착에 따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상기 금형의 교체시 금형의 크기에 따라 원단의 이송폭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금형에 맞추어 원단의 이송폭을 조절하여야만 하나 종래의 원단 이송장치는 이송폭 제어가 전혀 고려되지 않아 제품의 정밀도, 상품성이 저하되며, 실상 다 품종의 케이스를 원활하게 양산할 수 없는 현실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단 이송장치가 내포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종류의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금형이 구비된 멀티프레임과 하부베이스를 동시에 교체할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로부터 원단 이송장치를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재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단 이송장치에 구비된 이송폭 제어구를 이용하여 금형의 크기에 알맞도록 원단의 이송폭을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정밀도 및 상품성이 뛰어난 다품종의 케이스를 원활하게 양산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원단 이송장치(T)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원단(1)을 가열 연화시킨 상태로 공급하는 히팅장치(2)가 구비되고, 상기 히팅장치(2)의 후방에 설치된 포장용 케이스 제조장치(3)의 후방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원단(1)이 상기 포장용 케이스 제조장치(3)의 멀티프레임(5)과 하부베이스(6)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 이송장치(T)의 후방에는 트리밍작업 후 잔재하는 스크랩을 잘게 절단하는 스크랩 절단장치(4)가 구비됨으로써 원단(1)의 자동공급 및 케이스의 제조, 스크랩의 처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자동화라인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히팅장치(2)는 권취롤(1a)에 권취된 원단(1)을 성형작업이 용이하도록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크랩 절단장치(4)는 잔여 스크랩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핵심사안 이외의 것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핵심사안은 다른 종류의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금형이 구비된 멀티프레임(5)과 하부베이스(6)를 교체할 경우 이와 병행하여 원단 이송장치(T)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 재장착하며, 상기 금형의 크기에 알맞는 원단의 이송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이 구비된 멀티프레임(5)과 하부베이스(6)의 사이를 원단(1)이 통과하도록 원단(1)을 수평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장치(T)에 있어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엔드블럭(11)(11a)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일측 엔드블럭(11a)에 장착플레이트(12)가 부착된 로드레스 실린더(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2)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12a)을 관통하여 하부베이스(6)에 원단 이송장치(T)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부재(20)와;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10) 및 양측의 가이드봉(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블럭(30)과; 상기 이송블럭(30)의 상단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승, 하강 작동하는 압지판(44)으로 원단(1)을 파지프레임(41)에 압지하여 수평 이송시키는 원단 파지수단(4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로드레스 실린더(10)는 원단(1)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원단 파지수단(40)에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여 원단(1)이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피스톤로드가 없으며 실린더의 외부에 결합된 이송블럭에는 마그넷커플링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마그넷커플링의 자력에 의해 피스톤과 이송블럭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공지의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로드레스 실린더(10)의 기본적인 기술구성을 활용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원단 이송장치(T)에 유기적으로 접목하는 동시에 추가적인 기술구성을 접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으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엔드블럭(11)(11a) 사이에 로드레스 실린더(10)가 설치되고, 상기 일측 엔드블럭(11a)에는 원단 이송장치(T) 전체를 하부베이스(6)에 선택적으로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장착플레이트(12)가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에 있어 일측의 장착플레이트(12)가 하부베이스(6)에 장착되는 특성으로 인해 로드레스 실린더(10)의 양측에 압축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기가 어려운 점을 십분 감안하여 장착플레이트(12)의 타측 엔드블럭(11)에 압축공기를 공급, 배출하는 한 쌍의 공압포트(13)(13a)가 모두 설치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공압포트(13)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엔드블럭(11)을 경유하여 로드레스 실린더(10)의 일측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상기 엔드블럭(11)에 설치된 다른 하나의 공압포트(13a)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한 쌍의 엔드블럭(11)(11a) 사이에 추가로 연결된 별도의 공압라인(14)을 따라 타측의 엔드블럭(11a)으로 이동한 후 상기 엔드블럭(11a)을 경유하여 로드레스 실린더(10)의 타측으로 공급됨으로써 결국에는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10)의 양측으로 압축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장착플레이트(12)에 의해 로드레스 실린더(10)의 양측으로 직접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없는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추가된 공압라인(14)을 이용하여 이를 해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블럭(11)(11a)은 양측 상, 하부에 각각 엇갈린 위치로 연결프레임(15)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엔드블럭(11)(11a)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로드레스 실린더(10)가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착플레이트(12)는 양측에 절개된 고정홈(12a)이 형성됨에 따라 장착부재(2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홈(12a)을 관통하여 하부베이스(6)에 장착플레이트(12)를 고정하면 원단 이송장치(T)의 장착이 완료되며, 이를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재(20)를 해정하여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금형이 구비된 멀티프레임(5) 및 하부베이스(6)의 교체와 병행하여 수시로 이루어지는 원단 이송장치(T)의 분리, 장착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10)의 외측에는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10)를 따라 수평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블럭(30)이 결합되고, 상기 이송블럭(30)은 이송의 원활함 을 위해 엔드블럭(11)(11a) 사이에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봉(31)이 양측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블럭(30)은 피스톤과 일체로 이송하도록 자기력을 갖는 공지의 마그넷커플링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블럭(30)의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승, 하강 작동하는 압지판(44)을 이용하여 원단(1)을 파지프레임(41)에 압지상태로 파지하여 수평상으로 이송시키는 원단 파지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원단 파지수단(40)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이송블럭(30)의 상단에 사각체의 형상을 갖는 파지프레임(41)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파지프레임(41)의 상단에는 압지실린더(42)가 입설되며, 상기 압지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43)는 파지프레임(41)을 관통하여 하단에 압지판(44)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압지실린더(42)의 선택적인 가동에 따라 압지판(44)은 파지프레임(41)의 내부에서 승, 하강 하면서 원단(1)을 파지프레임(41)의 상부면에 압지하여 견고한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압지판(44)은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봉(45)이 입설되고, 이 가이드봉(45)은 파지프레임(41)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압지판(44)의 승, 하강 작동시 회전 유동없는 원활한 이송을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케이스를 양산하기 위해 금형을 교체할 경우 금형의 크기에 따라 원단(1)의 이송폭이 가변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일측 엔드블럭(11)에 이송폭 제어구(50)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이송폭 제어구(50)의 선단은 이송블럭(30)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이송폭 제어구(50)에는 록크너트(51)가 결합됨으로써 이송폭 제어구(50)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송블럭(30)은 이송폭 제어구(50)에 의해 이송이 제한되고, 상기 이송블럭(30)의 이송 제한폭은 원단의 실질적인 이송폭을 의미함으로써 상기 이송폭 제어구(50)의 위치를 제어함에 따라 원단의 이송폭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 금형이 수시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금형의 크기에 알맞도록 원단(1)의 이송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이송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케이스의 제조작업이 1회 완료된 후 상기 압지판(44)과 파지프레임(41)의 사이를 통과하는 원단(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상기 압지실린더(42)의 가동에 따라 하강하는 압지판(44)에 의해 파지프레임(41)의 상부면에 압지되면서 유동없는 파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원단(1)의 파지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일측의 공압포트(13a)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공압라인(14)을 경유하여 로드레스 실린더(10)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이송블럭(30)이 피스톤과 함께 도 6과 같이 후방으로 이송하며, 이와 동시에 원단을 파지하던 원단 파지수단(40)이 이송하면서 원단(1)을 수평상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의 이송이 완료되면 압지판(44)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압지상태를 해제한 후 로드레스 실린더(10)의 가동에 따라 이송블럭(30)과 함께 원단 파지수단(40)이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원단(1)을 재차 이송하기 위한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원단의 이송과정에서 금형의 크기에 알맞도록 이송폭 제어구(50)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원단 이송장치(T)의 정확한 이송폭을 유지하여 완성된 케이스의 고품질을 유지하며,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금형이 구비된 멀티프레임과 하부베이스의 교체시 이와 병행하여 원단이 상기 금형을 통과하도록 하는 원단 이송장치의 분리 및 장착에 따른 작업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시간이 적게 소요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단 이송장치에 구비된 이송폭 제어구를 이용하여 교체하는 금형의 크기에 적합한 이송폭을 갖도록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 및 상품성이 뛰어나며, 보다 다양한 다품종의 케이스를 원활하게 양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금형이 구비된 멀티프레임(5)과 하부베이스(6)의 사이를 원단(1)이 통과하도록 원단(1)을 수평 이송시키는 원단 이송장치(T)에 있어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엔드블럭(11)(11a)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일측 엔드블럭(11a)에 장착플레이트(12)가 부착된 로드레스 실린더(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2)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12a)을 관통하여 하부베이스(6)에 원단 이송장치(T)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부재(20)와;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10) 및 양측의 가이드봉(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블럭(30)과;
    상기 이송블럭(30)의 상단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승, 하강 작동하는 압지판(44)으로 원단(1)을 파지프레임(41)에 압지하여 수평 이송시키는 원단 파지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로드레스 실린더(10)는 엔드블럭(11)에 설치된 공압포트(13)를 통해 압축공기가 일측에 직접 공급되는 한편,
    상기 엔드블럭(11)에 설치된 다른 공압포트(13a)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한 쌍의 엔드블럭(11)(11a) 사이에 연결된 공압라인(14) 및 타측 엔드블럭(11a) 을 경유하여 로드레스 실린더(10)의 타측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단 파지수단(40)은 이송블럭(30)의 상단에 사각체의 파지프레임(41)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파지프레임(41)의 상단에 입설된 압지실린더(42)에는 파지프레임(41)의 내부에서 승, 하강 하면서 원단(1)을 압지하는 압지판(44)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압지판(44)의 양측에 입설된 가이드봉(45)은 파지프레임(41)의 상부로 관통하여 안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엔드블럭(11)에는 이송블럭(30)의 이송을 제한하여 원단(1)의 이송폭을 제어하는 이송폭 제어구(50)가 관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엔드블럭(11)(11a) 양측에는 견고함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프레 임(15)이 일체로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KR1020060088403A 2006-09-13 2006-09-13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KR10069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403A KR100696941B1 (ko) 2006-09-13 2006-09-13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403A KR100696941B1 (ko) 2006-09-13 2006-09-13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941B1 true KR100696941B1 (ko) 2007-03-20

Family

ID=4156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403A KR100696941B1 (ko) 2006-09-13 2006-09-13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4673A (zh) * 2015-06-01 2015-09-23 铜陵方正塑业科技有限公司 压平磨具
KR20220009107A (ko) * 2020-07-15 2022-01-24 일성아이앤디 주식회사 종이용기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59Y1 (ko) 2001-09-12 2001-12-24 조준석 버티칼 블라인드용 원단 자동 컷팅기
KR100300536B1 (ko) 1998-12-05 2002-04-24 조윤제 와이퍼제조용 크로스 커팅장치
KR200313121Y1 (ko) 2003-01-17 2003-05-14 김병화 관체 삽입용 에어샤프트의 운반장치
KR100534363B1 (ko) 2002-12-11 2005-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536B1 (ko) 1998-12-05 2002-04-24 조윤제 와이퍼제조용 크로스 커팅장치
KR200257859Y1 (ko) 2001-09-12 2001-12-24 조준석 버티칼 블라인드용 원단 자동 컷팅기
KR100534363B1 (ko) 2002-12-11 2005-12-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절단 장치
KR200313121Y1 (ko) 2003-01-17 2003-05-14 김병화 관체 삽입용 에어샤프트의 운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4673A (zh) * 2015-06-01 2015-09-23 铜陵方正塑业科技有限公司 压平磨具
KR20220009107A (ko) * 2020-07-15 2022-01-24 일성아이앤디 주식회사 종이용기 제조장치
KR102394653B1 (ko) * 2020-07-15 2022-05-09 일성아이앤디 주식회사 종이용기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70877U (zh) 一种匙坯冲压设备
CN105363915A (zh) 气动脱模的冲压模
KR101913131B1 (ko) 이중 스트립 동시 가공 방법
KR100696941B1 (ko) 포장케이스 제조용 원단 이송장치
KR20030034370A (ko)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05660153U (zh) 一种金刚石刀头模具脱模装置
CN104227780A (zh) 柔性线路板辅材万能连续模冲方法及装置
KR101401615B1 (ko) 콘택트 렌즈 성형용 상부 주형몰드의 인쇄 스탬핑 장치
CN110744681A (zh) 双层透水砖压砖机和压砖方法
CN109676998A (zh) 一种便于更换模具的液压成型机
KR101796493B1 (ko) 소형주물 자동절단기계
US7802460B2 (en) Work transfer apparatus and press machine
KR20110000249A (ko) 사출 성형물 가공용 금형장치
KR100696940B1 (ko) 포장용 케이스 제조장치
JP3227308U (ja) 非金属材料ブランク・プレス用搬送ベルト迅速交換機構
CN203155812U (zh) 一种匙坯冲压模组
JP3192366U (ja) 成形機の金型位置決め装置
CN215396358U (zh) 一种脱模装置
CN205967014U (zh) 一种旋转式快换组合冷冲模
CN217917430U (zh) 一种冲压模具快速切换刻印机构
CN216329737U (zh) 一种型芯快速换型注塑模具
KR101487128B1 (ko) 트윈 피더가 구비된 타발장치
KR100830713B1 (ko) 판재 체결보스의 홈-탭 연속 복합 정형가공 공정과 그시스템
CN116504711B (zh) 一种切筋成型分离打样机
CN214320975U (zh) 夹取式铜膜自动排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