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37B1 -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37B1
KR100693137B1 KR1020040043873A KR20040043873A KR100693137B1 KR 100693137 B1 KR100693137 B1 KR 100693137B1 KR 1020040043873 A KR1020040043873 A KR 1020040043873A KR 20040043873 A KR20040043873 A KR 20040043873A KR 100693137 B1 KR100693137 B1 KR 10069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uilding
tension member
prestress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779A (ko
Inventor
김상남
Original Assignee
김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남 filed Critical 김상남
Priority to KR102004004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3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건축물에 대한 횡변위 제어 보강을 위해 기초판으로부터 최상층까지 기둥 및/또는 벽체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횡하중에 대한 수평변위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건축물의 횡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횡변위 제어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슬래브(4)에 미리 형성되는 관통구멍(4a)을 통하여 연장되는 긴장재(10)와; 상기 긴장재(10)를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5)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정착장치(20)와; 상기 긴장재(10)를 인장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최상층 상에 지압판(40)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인장 유지장치(30, 60)와; 상기 긴장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장치(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가 제공되는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프리스트레스, 건축물, 보강, 횡하중, 횡변위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Structure for reinforcing a building using prestress}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서 건축물에 있어서의 횡하중으로 인한 횡변위를 줄이기 위한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보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인장 유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고정 정착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위치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인장 유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횡방향 변위의 제어 보강을 행하는 건축물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건축물에 대한 횡변위 제어 보강을 위해 기초판으로부터 최상층까지 기둥 및/또는 벽체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횡하중에 대한 수평변위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건축물의 횡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횡변위 제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존 건축물에서 횡하중으로 인한 횡변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던 보강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우리 나라에서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에서 가장 많이 선호되고 있는 내력벽식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력벽식 구조는 공간이 일정한 면적으로 분할되는 형태의 건축물에 사용되며, 벽체가 축력 및 횡하중을 동시에 저항하는 방식으로서 벽체의 배치 및 벽량에 따라 횡하중에 저항하게 된다.
따라서 내력벽식 구조의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을 실시할 경우, 저항내력이 부족하므로, 횡하중에 대한 보강은 기존 벽체의 두께를 두껍게 증타하거나 새로운 벽체를 추가 증설함으로써 보강하게 된다.(도 1에 있어서 빗금친 부분은 기존의 벽체에 증타 및 새로운 벽체를 증설한 부분을 나타낸다.) 즉, 내력벽식 구조의 건축 물에 대한 횡저항 보강공법은, 기존 벽체(1)에 횡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1에 부재번호 1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벽체의 단면을 증대시키거나, 도 1에 부재번호 1b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벽체를 증설한다. 이와 같이 증대부(1a) 및 증설부(1b)를 형성함으로써 횡하중 작용에 대해 세대 내에 가로벽 및 세로벽의 강성을 증대시켜 저항하게 하여 각 방향에 대한 변위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자중이 증가되고, 공간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즉, 이런 가로벽 및 세로벽의 증대 및 증설로 세대내의 공간면적이 줄어들고, 자중의 증가, 벽체 증설에 따른 위치선정 등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도 2에는 주로 사무실이나 상업용 시설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코어 벽체 + 골조 프레임(기둥 및 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어 벽체 + 골조 프레임 구조에 의한 건축물은, 전단벽(2)(엘리베이터, 계단, 설비 샤프트 등의 벽체)에 대한 골조(3)의 상대강성에 따라 벽체(2)와 골조(3)의 횡하중 분담률이 달라지게 된다. 즉, 대부분 횡하중은 전단벽(2)이 부담하게 되고, 높이가 높아질수록 골조(3)가 횡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코어 벽체 + 골조 프레임 구조의 건축물에 있어서는 전단벽(2)의 배치방법 및 두께에 의해 횡방향 강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종래의 횡저항 보강공법은 기존 벽체 및 기둥에 횡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단벽(2; 벽체) 및 골조(3; 기둥)의 단면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즉 횡하중 작용에 대해 코어 벽체(2) 및 골조(3; 기둥)의 강성을 증대시켜 저항하게 하여 각 방향에 대한 변위를 제어하게 된다.(도 2에 있어서 빗금친 부분은 기존의 벽체 및 골조에 증타한 부분을 나타 낸다.)
그러나, 이런 벽체 및 기둥의 증대나 벽체 증설로 인하여 세대 내의 공간면적이 줄어들고, 자중의 증가, 벽체 증설에 따른 위치선정 등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건축물에 있어서 횡저항에 대한 보강시 기존의 벽체(1, 2) 및 기둥(3)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횡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건축물의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서, 건축물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슬래브(4)에 미리 형성되는 관통구멍(4a)을 통하여 연장되는 긴장재(10)와; 상기 긴장재(10)를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5)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정착장치(20)와; 상기 긴장재(10)를 인장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최상층 상에 지압판(40)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인장 유지장치(30, 60)와; 상기 긴장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장치(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장 유지장치(30, 60)는, 긴장재(10)에 인장력을 부여한 후 쐐기에 의해 이 긴장재(10)를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 삽입구(31, 61)와, 내부에 긴장재(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로(32, 62)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인장 유지장치(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통로(32)는, 인장 유지장치의 내부에서 교차되지 않도록 긴장재의 굵기만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 이상의 상기 쐐기 삽입구(31) 및 상기 삽입통로(32)는, 한 쌍 이상의 긴장재(10)에 각각 대응하면서 상기 한 쌍 이상의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각도로 대칭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긴장재(10)는 강연선, 강봉 및 탄소섬유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과, 상기 고정 정착장치(20)는 건축물의 기초(5) 및 벽체(1, 2)에 걸쳐서 또는 기초(5) 및 기둥(3)에 걸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과,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건축물의 벽체(1, 2) 또는 기둥(3)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인장 유지장치(30)는, 벽체(1, 2) 상에 설치되어 벽체(1, 2)의 양쪽 표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를 인장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씩의 쐐기 삽입구(31)와 삽입통로(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쐐기 삽입구(31) 및 상기 삽입통로(32)는 벽체(1, 2)의 양쪽 표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180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대칭상이거나,
상기 인장 유지장치(60)는, 기둥(3)의 4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를 인장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각각 2 쌍의 쐐기 삽입구(61)와 삽입통로(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쐐기 삽입구(61) 및 상기 삽입통로(62)는 기둥(3)의 4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2 쌍의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90도의 간격을 두고 대칭적으로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긴장재가 배치될 벽체 및 기둥에 근접되도록 슬래브에 관통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에 고정 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건축물의 최상층에 지압판을 개재하여 인장 유지장치를 설치하 는 단계; 상기 고정 정착장치와 상기 인장 유지장치 사이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시키는 단계; 그리고 위치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긴장재를 각 층의 벽체 및 기둥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보강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건축물에 횡방향으로 외력(횡하중)이 작용하게 되면(도 3(a) 참조), 건축물은 이 횡하중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되는 인장측과, 이 인장측의 반대쪽인 압축응력이 발생되는 압축측으로 나뉘게 된다(도 3(b) 참조). 이 때, 건축물의 인장이 발생되는 벽체 및 기둥에 압축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여 두면(도 3(c) 참조), 횡하중으로 인한 변위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도 3(d) 참조).
즉, 기둥 및 벽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서 횡 하중 작용시 외력에 의해 인장하중이 발생되는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로 인한 부재내 압축력(내력)을 가하여 인장하중을 감소시킴으로서 변위량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횡하중에 대한 저항내력이 부족한 기존 건축물에 대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횡하중에 의한 인장력을 감소시켜 기존 건축물의 횡하중에 의한 변위량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인장 유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이들 도 4 내지 도 6b는 도 1의 벽체(1) 및 도 2의 전단벽(벽체)(2)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고정 정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위치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는, 건축물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슬래브(4)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a)을 통하여 연장되는 긴장재(10)와, 상기 긴장재(10)를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5)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정착장치(20)와, 상기 긴장재(10)를 인장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최상층 상에 지압판(40)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인장 유지장치(30)와, 상기 긴장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긴장재(10)로서는 강연선, 강봉 또는 탄소섬유봉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유지장치(30)는 긴장재(10)에 인장력을 부여한 후 이 긴장재(10)를 파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인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쐐기(도시생략)에 의해 긴장재(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쐐기 삽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장 유지장치(30)에는 상기 쐐기 삽입구(31)가 서로 180도의 간격을 가지고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장 유지장치(30)의 내부에는 긴장재(1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통로(32)가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인장 유지장치(30)는 벽체(1, 2) 상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벽체(1, 2)의 양쪽 표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를 인장시켜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인장 유지장치(30)에는 각각 한 쌍씩의 쐐기 삽입구(31)와 삽입통로(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장 유지장치(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로(32)는, 인장 유지장치의 내부에서 교차되지 않도록 긴장재의 굵기만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체(1, 2)의 양쪽 표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쐐기 삽입구(31)와 삽입통로(32)는 180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대칭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정착장치(20)는 건축물의 기초(5) 및 벽체(1, 2)에 걸쳐서 또는 기초(5) 및 기둥(3)에 걸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고정 정착장치(20)에 상기 긴장재(1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긴장재(10)를 상기 고정 정착장치(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도시생략) 내로 삽입시킨 후 쐐기(도시생략)에 의해 상기 긴장재(10)를 고정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건축물의 벽체(1, 2) 또는 기둥(3)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상기 긴장재(10)가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고정 정착장치(20)와 같이 긴장재(10)를 고정적으로 파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내부에 상기 긴장재(10)가 위치되는 대략 U자형의 수용부와 이 수용부를 벽체나 기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만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활용되는 인장 유지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이들 도 9 내지 도 11b는 도 2의 골조, 즉 기둥(3)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비하여 골조, 즉 기둥(3)에 적용된다는 점에서만 서로 다른 차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변경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는, 건축물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슬래브(4)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a)을 통하여 연장되는 긴장재(10)와, 상기 긴장재(10)를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5)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정착장치(20)와, 상기 긴장재(10)를 인장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최상층 상에 지압판(40)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인장 유지장치(60)와, 상기 긴장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변경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장재(10)가 기둥(3)의 4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인장 유지장치(6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삽입구(61) 및 삽입통로(62)가 각각 4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장 유지장치(6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로(62)는, 인장 유지장치의 내부에서 교차되지 않도록 긴장재의 굵기만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3)의 4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쐐기 삽입구(61)와 삽입통로(62)는 90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정착장치(20)는 건축물의 기초(5) 및 벽체(1, 2)에 걸쳐서 또는 기초(5) 및 기둥(3)에 걸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건축물의 벽체(1, 2) 또는 기둥(3)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고정 정착장치(20) 및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이므로, 더 이상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횡하중에 대한 내력증가를 위하여 기존 벽체 및 기둥에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건축물의 기둥 및 벽체의 횡변위에 의한 인장력을 감쇠시켜 횡하중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에 의해 건축물을 보강하는 방법이 이하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방법은, 긴장재(10)가 배치될 벽체(1, 2) 및 기둥(3)에 근접되도록 슬래브(4)에 관통구멍(4a)을 천공하는 단계;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5)에 고정 정착장치(20)를 설치하는 동시에 건축물의 최상층에 지압판(40)을 개재하여 인장 유지장치(30, 6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 정 정착장치(20)와 상기 인장 유지장치(30, 60) 사이에 긴장재(10)를 설치하여 긴장시키는 단계; 위치 고정장치(50)에 의해 상기 긴장재(10)를 각 층의 벽체(1, 2) 및 기둥(3)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벽체(1, 2) 부분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위치 고정장치(30)가 사용되고, 기둥(3) 부분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위치 고정장치(6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긴장재(10)를 긴장시키는 방법 및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기술을 활용하여도 좋으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건축물에 있어서 횡저항에 대한 보강시 기존의 벽체(1, 2) 및 기둥(3)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횡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건축물의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와 같은 내력벽식 구조나, 코어 벽체 + 골조 프레임 구조(기둥 및 보)에 대한 횡하중에 대한 내력증가 보강에 있어서, 횡하중에 저항하는 가로벽 및 세로벽의 증대 및 증설로 인한 세대 내의 공간면적 감소, 자중의 증가, 벽체 증설에 따른 위치선정 등의 제약 없이 횡하중 보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건축물의 기둥 및 벽체는 구조적 측면에서는 기존 건축물에 횡하중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키고, 시공적인 측면에서는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슬래브(4)에 미리 형성되는 관통구멍(4a)을 통하여 연장되는 긴장재(10)와;
    상기 긴장재(10)를 건축물의 최하층 기초(5)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정착장치(20)와;
    상기 긴장재(10)를 인장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최상층 상에 지압판(40)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인장 유지장치(30, 60)와;
    상기 긴장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장치(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장 유지장치(30, 60)는, 긴장재(10)에 인장력을 부여한 후 쐐기에 의해 이 긴장재(10)를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 삽입구(31, 61)와, 내부에 긴장재(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로(32, 62)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인장 유지장치(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통로(32)는, 인장 유지장치의 내부에서 교차되지 않도록 긴장재의 굵기만큼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 이상의 상기 쐐기 삽입구(31) 및 상기 삽입통로(32)는, 한 쌍 이상의 긴장재(10)에 각각 대응하면서 상기 한 쌍 이상의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각도로 대칭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10)는 강연선, 강봉 및 탄소섬유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과,
    상기 고정 정착장치(20)는 건축물의 기초(5) 및 벽체(1, 2)에 걸쳐서 또는 기초(5) 및 기둥(3)에 걸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과,
    상기 위치 고정장치(50)는 건축물의 벽체(1, 2) 또는 기둥(3)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유지장치(30)는, 벽체(1, 2) 상에 설치되어 벽체(1, 2)의 양쪽 표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를 인장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씩의 쐐기 삽입구(31)와 삽입통로(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쐐기 삽입구(31) 및 상기 삽입통로(32)는 벽체(1, 2)의 양쪽 표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180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대칭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유지장치(60)는, 기둥(3)의 4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긴장재(10)를 인장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각각 2 쌍의 쐐기 삽입구(61)와 삽입통로(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쐐기 삽입구(61) 및 상기 삽입통로(62)는 기둥(3)의 4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2 쌍의 긴장재(10)에 의한 인장력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90도의 간격을 두고 대칭적으로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5. 삭제
KR1020040043873A 2004-06-15 2004-06-15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KR10069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73A KR100693137B1 (ko) 2004-06-15 2004-06-15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73A KR100693137B1 (ko) 2004-06-15 2004-06-15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79A KR20050118779A (ko) 2005-12-20
KR100693137B1 true KR100693137B1 (ko) 2007-03-13

Family

ID=3729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73A KR100693137B1 (ko) 2004-06-15 2004-06-15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690A (zh) * 2016-03-02 2016-06-15 叶香竹 承重墙洞口加固方法
KR101989164B1 (ko) 2018-07-23 2019-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력벽 전단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력벽 전단보강 방법
KR20200010981A (ko) 2018-12-19 2020-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슬래브의 휨내력 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의 휨내력 보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89B1 (ko) * 2008-09-25 2009-05-18 (주)희상리인포스 건축물의 내진보강 코어 및 그 시공방법
CN109826339A (zh) * 2019-03-28 2019-05-31 万怡秀 一种现浇钢筋混凝土剪力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623A (en) * 1977-08-12 1979-03-07 Takenaka Komuten Co Method of adding reinforcing earthquakeeproof wall to building constructed
JPH0274748A (ja) * 1988-09-07 1990-03-14 Shimizu Corp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柱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82572A (ja) * 1989-04-24 1990-11-20 Kurosawa Kensetsu 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立設方法
JPH09189076A (ja) * 1996-01-12 1997-07-22 Mitsuwa:Kk 木造建築物用構造材の連結装置
JP2000054489A (ja) 1998-08-07 2000-02-22 Kazuhide Mikami 木質系建造物の耐震構造及び耐振方法
JP2002088907A (ja) * 2000-09-21 2002-03-27 Takenaka Komuten Co Ltd 高層壁式建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623A (en) * 1977-08-12 1979-03-07 Takenaka Komuten Co Method of adding reinforcing earthquakeeproof wall to building constructed
JPH0274748A (ja) * 1988-09-07 1990-03-14 Shimizu Corp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柱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82572A (ja) * 1989-04-24 1990-11-20 Kurosawa Kensetsu 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立設方法
JPH09189076A (ja) * 1996-01-12 1997-07-22 Mitsuwa:Kk 木造建築物用構造材の連結装置
JP2000054489A (ja) 1998-08-07 2000-02-22 Kazuhide Mikami 木質系建造物の耐震構造及び耐振方法
JP2002088907A (ja) * 2000-09-21 2002-03-27 Takenaka Komuten Co Ltd 高層壁式建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088907 *
54030623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690A (zh) * 2016-03-02 2016-06-15 叶香竹 承重墙洞口加固方法
CN105672690B (zh) * 2016-03-02 2017-11-28 叶香竹 承重墙洞口加固方法
KR101989164B1 (ko) 2018-07-23 2019-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력벽 전단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력벽 전단보강 방법
KR20200010981A (ko) 2018-12-19 2020-01-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슬래브의 휨내력 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의 휨내력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79A (ko) 200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401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KR100671429B1 (ko) 전단벽 수평지지 구조
Psycharis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response of precast concrete cladding panels with integrated connections under monotonic and cyclic loading
KR100802515B1 (ko) 한 쌍의 강재빔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합성보를 이용한합성바닥판구조
JP200622605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0693137B1 (ko)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건축물 보강구조
KR20150138785A (ko) 별도의 하중경로를 갖는 건축물의 수직증축 리모델링 방법
JP4873981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102408922B1 (ko) Pc 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JP2018003556A (ja) 耐火構造
JP3999591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材料によるコンクリート系構造物の制震構造
KR102398605B1 (ko) Pc 보강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 시스템의 시공 방법
US10745903B1 (en) Building including horizontally-oriented reinforced transfer beams and a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210105029U (zh) 一种预应力装配式剪力墙及其变刚度减震结构体系
JP387306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と梁の接合構造
WO2004051021A1 (en) Building with wall panels
KR101266215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중복도 격간벽구조 시스템
Kayastha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ith flat slab
JP7436258B2 (ja) 高層建物
JP7270412B2 (ja) 組積造建物の補強構造
JP4501010B2 (ja) 立体駐車場の床構造
Harugoppa et al. Design requirement for Floating column under seismic forces
Sahu et al. Seismic and wind analysis of RCC building with different shape of shear wall and without shear wall
JPH07139216A (ja) 耐震建築物
KR100740512B1 (ko) 들보용 합성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