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786B1 -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786B1
KR100692786B1 KR1020057008275A KR20057008275A KR100692786B1 KR 100692786 B1 KR100692786 B1 KR 100692786B1 KR 1020057008275 A KR1020057008275 A KR 1020057008275A KR 20057008275 A KR20057008275 A KR 20057008275A KR 100692786 B1 KR100692786 B1 KR 10069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low rate
discharge pressure
discharge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570A (ko
Inventor
요시유키 오치
테츠오 나카타
야스토 야나기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66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changing the speed, e.g. of the driving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설정 압력, 설정 유량, 설정 마력, 및 인버터부(2)의 직류부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마력 지령 생성부(5)에 공급해야 할 최종 설정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출력하는 특성 변화부(18)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전원 전압의 변동에 맞추어 모터의 실력치(實力値)를 충분히 살린다.
모터, 펌프, 인버터, 마력 지령 생성부, 특성 변화부

Description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PUMP DRIV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프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펌프 구동 장치는, 교류 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컨버터부(101)와, 이 직류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부(102)와, 이 교류 전압이 공급되는 모터(103)와, 모터(103)의 출력 축과 연결된 펌프(10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소정 전원 전압으로 정의된 설정 압력, 설정 유량 및 설정 마력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성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 (이하, P-Q특성이라고 약칭한다)과 현재 압력과 현재의 유량으로부터 마력 지령을 생성하는 마력 지령 생성부(105)와, 마력 지령 생성부(105)로부터 출력되는 마력 지령과 현재의 마력과의 차를 산출하는 감산부(106)와, 마력차를 입력으로 하여 비례 연산을 행하는 비례 연산부(107)와, 마력차를 입력으로 하여 적분 연산을 행하는 적분 연산부(108)와, 적분 연산 결과를 적분하는 적분기(109)와, 비례 연산 결과와 적분 결과를 가산하여 비례·적분 연산 결과 (속도 지령)를 얻는 가산부(110)와, 속도 지령을 입력으로 하여 속도 제어 연산을 행하여 전류 지령을 출력하는 속도 제어부(111)와, 전류 지령 및 인버터부(102)의 직류부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전류 제어 연산을 행하여 듀티 지령을 생성하여 인버터부(102)에 공급하는 전류 제어부(11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103)에 연결된 펄스 제너레이터(113)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입력으로 하여 펄스 간격으로부터 모터(103)의 현재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검출부(114)와, 현재 속도를 입력으로 하여 펌프 용적 등을 감안하여 토출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검출부(117)와, 펌프(104)로부터의 토출 유체의 현재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15)와, 현재 유량과 현재 압력으로부터 현재의 마력을 산출하는 마력 연산부(116)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의된 P-Q특성을 최대 영역으로 한 적절한 펌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전압은 소정 전압인 채로 어떤 보정 없이, 인접하는 장치 등의 운전, 정지 등의 영향을 받아 변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정 전원 전압으로 정의된 P-Q특성을 이용하여 펌프를 제어하면, 충분한 능력을 발휘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나아가 설명한다.
전원 전압이 소정 정격 전압보다도 낮아지면, 실제로 출력 가능한 토출 압력이, 도 2 중에 ③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정격 전압 시의 토출 압력 ①보다도 낮아진다. 또한, 이 P-Q특성은, 모터의 토크-회전수 특성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참조). 그리고 도 2에서의 ①②③은 도 3에서의 ①②③과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 결과, ①에서 도시하는 P-Q특성 상에 대응하는 지령값에 대하여, 현재값이 도달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된다. 그리고 이 동안 PQ제어의 적분기(109)는 적분 계산을 계속하기 때문에, 정마력 영역을 넘은 후에 토출 압력이 크게 오버 슛(overshoot)을 일으켜버린다 (와인드업(windup) 현상).
따라서 종래에는, 전원 전압이 어느 정도 저하하여도 제어 응답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P-Q특성을 ③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하고 있고, 이 결과, 모터(103)의 실력치(實力値)를 충분하게는 살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실제로 출력 가능한 토출 압력이, 도 2 중에 ②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정격 전압 시의 토출 압력 ①보다도 높아진 경우에는, ②에서 도시하는 P-Q특성에 따르는 출력이 가능하게 되지만, 지령값은 ①에서 도시하는 P-Q특성 상에 대응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모터(103)의 실력치를 충분하게는 살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전원 전압의 변동에 맞추어 모터의 실력치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펌프 구동 방법은,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전원 전압에 대응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특성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2의 펌프 구동 방법은, 상기 특성 변화 수단으로서, 복수의 전원 전압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정하여 두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해당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3의 펌프 구동 방법은, 상기 특성 변화 수단으로서, 소정의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소정의 전원 전압에서의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청구항 4의 펌프 구동 방법은,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모터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직류부 전압에 대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직전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였던 경우에 변화시킨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5의 펌프 구동 방법은,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것에 대신하여 전원 전압값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6의 펌프 구동 장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전원 전압에 대응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특성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7의 펌프 구동 장치는, 상기 특성 변화 수단으로서, 복수의 전원 전압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정하여 두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해당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선택하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다.
청구항 8의 펌프 구동 장치는, 상기 특성 변화 수단으로서, 소정의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소정의 전원 전압에서의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다.
청구항 9의 펌프 구동 장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모터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직류부 전압에 대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직전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였던 경우에 변화시킨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펌프 구동 장치는, 상기 판정 수단으로서,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의 유지에 대신하여 전원 전압값을 유지하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펌프 구동 방법이면,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전원 전압에 대응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출력 가능한 값에 맞추어 모터를 구동할 수 있어, 결국에는 모터의 실력치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
청구항 2의 펌프 구동 방법이면, 복수의 전원 전압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여 두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해당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처리의 신속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 외에, 청구항 1과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펌프 구동 방법이면, 소정의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소정의 전원 전압에서의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 외에, 청구항 1과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펌프 구동 방법이면,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모터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직류부 전압에 대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직전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였던 경우에 변화시킨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도 상태에서의 불안정을 해소하고, 게다가, 실제로 출력 가능한 값에 맞추어 모터를 구동할 수 있어, 결국에는 모터의 실력치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
청구항 5의 펌프 구동 방법이면,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의 유지에 대신하여 전원 전압값을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지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것 외에, 청구항 4와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펌프 구동 장치이면,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특성 변화 수단에 의하여 전원 전압에 대응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제로 출력 가능한 값에 맞추어 모터를 구동할 수 있어, 결국에는 모터의 실력치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
청구항 7의 펌프 구동 장치이면, 상기 특성 변화 수단으로서, 복수의 전원 전압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여 두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해당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선택하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처리의 신속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 외에, 청구항 6과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펌프 구동 장치이면, 상기 특성 변화 수단으로서, 소정의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소정의 전원 전압에서의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 외에, 청구항 6과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펌프 구동 장치이면,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고, 이 모터에 의하여 펌프를 구동하는데 있어서,
판정 수단에 의하여 모터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직류부 전압에 대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직전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상당의 상태였던 경우에 변화시킨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과도 상태에서의 불안정을 해소하고, 게다가, 실제로 출력 가능한 값에 맞추어 모터를 구동할 수 있어, 결국에는 모터의 실력치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
청구항 10의 펌프 구동 장치이면, 상기 판정 수단으로서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의 유지에 대신하여 전원 전압값을 유지하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지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것 외에, 청구항 9와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펌프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P-Q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P-Q특성에 대응하는 모터의 토크-회전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펌프 구동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P-Q특성의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펌프 구동 장치의 일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펌프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펌프 구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펌프 구동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특성 변화부(18)를 한층 상세하게 도시한 일실시예이다.
이 펌프 구동 장치는, 교류 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컨버터부(1)와, 이 직류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부(2)와, 이 교류 전압이 공급되는 모터(3)와, 모터(3)의 출력 축과 연결된 펌프(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설정 압력, 설정 유량, 설정 마력과 인버터부(2)의 직류부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압력, 유량, 마력의 최종 설정값을 출력하고 마력 지령 생성부(5)에 공급하는 특성 변화부(18)와, 압력, 유량, 마력의 각 최종 설정값 및 현재 압력, 현재 유량으로부터 마력 지령을 산출하는 마력 지령 생성부(5)와, 마력 지령 생성부(5)로부터 출력되는 마력 지령과 현재의 마력과의 차를 산출하는 감산부(6)와, 마력차를 입력으로 하여 비례 연산을 행하는 비례 연산부(7)와, 마력차를 입력으로 하여 적분 연산을 행하는 적분 연산부(8)와, 적분 연산 결과를 적분하는 적분기(9)와, 비례 연산 결과와 적분 결과를 가산하여 비례·적분 연산 결과 (회전수 지령)를 얻는 가산부(10)와, 속도 지령을 입력으로 하여 속도 제어 연산을 행하여 전류 지령을 출력하는 속도 제어부(11)와, 전류 지령 및 인버터부(2)의 직류부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전류 제어 연산을 행하여 듀티 지령을 생성하여 인버터부(2)에 공급하는 전류 제어부(1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3)에 연결된 펄스 제너레이터(13)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입력으로 하여 펄스 간격으로부터 모터(3)의 현재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검출부(14)와, 현재 속도를 입력으로 하여 펌프 용적 등을 감안하여 토출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검출부(17)와, 펌프(4)로부터의 토출 유체의 현재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5)와, 현재 유량과 현재 압력으로부터 현재의 마력을 산출하는 마력 연산부(16)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소정 전원 전압(26)과 인버터부(2)의 직류부 전압과의 비를 산출하는 비 산출부(27)와, 설정 마력에 비 산출부(27)에 의한 연산 결과 (전압 변동률)를 곱셈하여, 최종 설정 마력을 생성하는 곱셈부(28)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의 펌프 구동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덧붙여, 소정 전압이 소정 전원 전압과 같은 경우의 작용은 도 1의 펌프 구동 장치의 작용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전원 전압이 변동한 경우의 작용만을 설명한다.
전원 전압이 소정 전원 전압과 다른 경우에는, 컨버터부(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부 전압이 전원 전압의 변동에 따라 변동한다.
특성 변화부(18)는 설정 압력, 설정 유량, 설정 마력이 일정하더라도, 상기 직류부 전압에 따라 최종 설정값 (압력, 유량, 마력)을 마력 지령 생성부(5)에 공 급한다.
이 결과, 마력 지령 생성부(5)는 최적의 P-Q특성에 기초하여 마력 지령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마력 지령에 기초하여 펌프(4)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실제로 출력 가능한 값에 맞추어 모터를 구동할 수 있어, 결국에는 모터의 실력치를 충분히 살릴 수 있다.
다만, 마력 지령 생성부(5)로서는, 최종 설정 압력, 유량, 마력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영역(a, b, c)마다 특성을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류부 전압을 이용하여 P-Q특성을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AC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P-Q특성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AC전원이 3상인 경우에는, 전원 전압 불평형에 대응하기 위하여, 3상 분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의 간단화, 비용 절감의 면에서는 직류부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펌프 구동 장치의 특성 변화부(18)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는, 입력된 직류부 전압에 포함되는 고주파 노이즈 등을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222)와, 운전 상태가 안정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운전 상태 안정 판정부(223)와, 로우 패스 필터(222)의 출력 전압과 소정 전원 전압 유지부(226)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전원 전압과의 비를 산출하는 비 산출부(227)와, 설정 마력에 비 산출부(227)에 의한 연산 결과 (전압 변동률)를 곱셈하여, 최종 설정 마력을 생성하는 곱셈부(228)를 가지고 있다.
상기 운전 상태 안정 판정부(223)로서는, 예를 들어, 모터(3)가 2000rpm 이하에서 운전하고 있는 상태가 500ms 이상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상태에서의 속도 변동이 500rpm 이내인 경우, 또는 모터(3)가 2000rpm 이하에서 운전하고 있는 상태가 500ms 이상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서 속도 변동이 500rpm을 넘은 경우에는, 500ms 더 경과한 후에 2000rpm 이하인 경우에 운전 상태가 안정하다고 판정하는 것을 채용한다. 다만, 다른 조건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의 구성을 채용하면, 운전 상태가 안정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만 스위치(224)를 온으로 하여 곱셈부(228)의 출력값인 보정된 설정 마력을 샘플 홀드(sample hold)하여 최종 설정 마력 유지부(225)에 유지하고, 운전 상태가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위치(224)를 오프로 하여 최종 설정 마력 유지부(225)에 유지된 최종 설정 마력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안정한 펌프의 구동을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한다.
직류부 전압으로부터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모터 감속에 의하여 전력 회생이 생겨 직류부 전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직류 전압값을 직접 전원 전압 변동으로 하여 P-Q특성을 변화시키면 제어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도 7의 구성을 채용하면, 모터 속도나 전원 전압의 변동 정도 등에 의하여 모터(3)가 어느 시간 역행 운전을 계속하고, 회생에 의하여 상승한 분의 전 력이 소비되어, 직류 전압값이 AC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 (AC 전압×21/2 )상당의 상태가 되어 있다고 상정되는 상태에서만 P-Q특성의 보정을 행하고, 과도 상태에서는, 과도 상태가 되기 전에 최종 설정 마력 유지부(225)에 유지된 최종 설정 유량을 계속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펌프(4)를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 상태 안정 판정부(223)로서는, 예를 들어, 모터(3)가 2000rpm 이하에서 운전하고 있는 상태가 500ms 이상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상태에서의 속도 변동이 500rpm 이내인 경우, 또는 모터(3)가 2000rpm 이하에서 운전하고 있는 상태가 500ms 이상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서 속도 변동이 500rpm을 넘은 경우에는, 500ms를 더 경과한 후에 2000rpm 이하인 경우에 운전 상태가 안정하다고 판정하는 것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압(保壓) 상태에서만 P-Q특성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AC 전원 전압을 직접 검출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 7의 구성을 채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우 패스 필터(322)의 출력 전압을 운전 상태 안정 판정부(323)의 출력에 의하여 스위치(324)를 온/오프하는 것으로, 현재 전압 유지부(325)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도 7과 같은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3)를 구동하고, 이 모터(3)에 의하여 펌프(4)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전원 전압에 대응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특성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화 수단은, 복수의 전원 전압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정하여 두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해당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선택하는 펌프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화 수단은, 소정의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소정의 전원 전압에서의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펌프 구동 방법.
  4.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3)를 구동하고, 이 모터(3)에 의하여 펌프(4)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 방법에 있어서,
    모터(3)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2)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직류부 전압에 대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직전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였던 경우에 변화시킨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구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것에 대신하여 전원 전압값을 유지하는 펌프 구동 방법.
  6.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3)를 구동하고, 이 모터(3)에 의하여 펌프(4)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전압에 대응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특성 변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화 수단은, 복수의 전원 전압의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정하여 두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해당하는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선택하는 것인 펌프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화 수단은, 소정의 압력, 유량, 및 마력을 소정의 전원 전압에서의 특성값으로서 정의하고, 전원 전압의 검출값에 따라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인 펌프 구동 장치.
  9.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이용하고, 또한 토출 압력을 피드백하는 것에 의하여 지령값에 따라 모터(3)를 구동하고, 이 모터(3)에 의하여 펌프(4)를 구동하는 펌프 구동 장치에 있어서,
    모터(3)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2)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직류부 전압에 대하여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변화시키고, 상기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직전의 직류부 전압이 교류 전원 전압의 이론 평활값에 상당하는 상태였던 경우에 변화시킨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을 유지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토출 압력-토출 유량 특성의 유지에 대신하여 전원 전압값을 유지하는 것인 펌프 구동 장치.
KR1020057008275A 2002-11-15 2003-11-17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2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1569A JP4438281B2 (ja) 2002-11-15 2002-11-15 ポンプ駆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JP-P-2002-00331569 200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570A KR20050074570A (ko) 2005-07-18
KR100692786B1 true KR100692786B1 (ko) 2007-03-12

Family

ID=3232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275A KR100692786B1 (ko) 2002-11-15 2003-11-17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88422B2 (ko)
EP (1) EP1580429A4 (ko)
JP (1) JP4438281B2 (ko)
KR (1) KR100692786B1 (ko)
CN (1) CN100441866C (ko)
AU (1) AU2003302039A1 (ko)
CA (1) CA2506395C (ko)
WO (1) WO2004046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1184A1 (en) * 2004-03-01 2005-09-01 Vinson James W.Jr. Process flow control circuit
US8019479B2 (en) * 2004-08-26 2011-09-13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Control algorithm of variable speed pumping system
US9388940B2 (en) 2010-11-29 2016-07-1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Variable speed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system
US9222618B2 (en) 2010-11-29 2015-12-29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providing uninterrupted lubricant flow
US9140407B2 (en) 2010-11-29 2015-09-2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Pump having stirrer and direct feed
US9671065B2 (en) 2013-10-17 2017-06-06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Pump having wear and wear rate detection
JP6424508B2 (ja) * 2014-07-30 2018-11-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ポンプ制御装置、車載用ポンプユニット、及びポンプ制御方法
CN105587650B (zh) * 2015-12-22 2018-12-25 佛山市威灵洗涤电机制造有限公司 增压泵的输出电压控制方法及装置
KR102428848B1 (ko) * 2020-08-18 2022-08-03 윌로펌프 주식회사 인버터 펌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989A (ja) * 2000-05-30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cポンプの駆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0508A (en) * 1965-09-30 1969-04-22 Victor Company Of Japan Speed control system for a hysteresis motor
US3593103A (en) * 1969-03-04 1971-07-13 Gen Electric Inverter system with automatic ridethrough
DE3225141C2 (de) * 1982-07-06 1984-12-20 Grundfos A/S, Bjerringbro Drehzahlgeregeltes Pumpenaggregat
JPS60125794A (ja) * 1983-12-09 1985-07-05 Hitachi Ltd 電圧応動形回路自動切替式電動ポンプ
DE3628284A1 (de) * 1986-08-20 1988-02-2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rmitteln des differenzdruckes von umwaelzpumpen
US4893067A (en) * 1987-05-06 1990-01-09 Black & Decker Inc. Direct current motor speed control
JPH01240781A (ja) * 1988-03-22 1989-09-26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3384232B2 (ja) * 1996-03-29 200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の制御装置、及び温風暖房機の制御装置
AU2744899A (en) * 1998-03-05 1999-09-20 Ebara Corporation Variable speed control fluid machinery unit
DE19815232A1 (de) * 1998-04-04 1999-10-07 Grundfos As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Parameters eines Asynchronmotors
JP4635282B2 (ja) * 1999-09-24 2011-02-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自律形インバータ駆動油圧ユニット
JP3561667B2 (ja) * 1999-11-18 2004-09-0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油圧ポンプの制御装置
DE10196072T1 (de) * 2000-04-14 2003-07-03 Actuant Corp Hydraulikpumpe variabler Drehzahl
JP3912190B2 (ja) * 2002-05-31 2007-05-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989A (ja) * 2000-05-30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cポンプの駆動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570A (ko) 2005-07-18
JP2004162658A (ja) 2004-06-10
US20060153689A1 (en) 2006-07-13
CN100441866C (zh) 2008-12-10
CA2506395C (en) 2010-08-17
EP1580429A4 (en) 2011-03-16
CA2506395A1 (en) 2004-06-03
AU2003302039A1 (en) 2004-06-15
WO2004046552A1 (ja) 2004-06-03
JP4438281B2 (ja) 2010-03-24
EP1580429A1 (en) 2005-09-28
CN1711421A (zh) 2005-12-21
US7588422B2 (en)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786B1 (ko) 펌프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2008109846A (ja) インバータ装置
CN112737421B (zh) 一种用于控制电动机减速的方法及系统
JP4742590B2 (ja)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3726713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2003111469A (ja) 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5168196A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コンプレッサの駆動制御装置,冷蔵庫及びインバータ制御方法,記憶媒体
JP3764433B2 (ja) 誘導電動機の回転速度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5309545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4152441A (ja) ディスク記憶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スピンドルモータの駆動電圧制御方法
JP2005304248A (ja)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H10257773A (ja) 電力変換装置
KR100311651B1 (ko) 세탁기의 제동 제어 방법
KR100314083B1 (ko) 비엘디씨모터의 위치감지 방법
JP4143496B2 (ja) 電圧形インバータ装置
JP2010041748A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589026B2 (ja) ポンプ装置
JP2935672B2 (ja) 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4454521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621860B2 (ja) タービンのヘルパ駆動装置
JPH10150790A (ja) サーボ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003369A (ja) 原子炉給水システム
JP2623524B2 (ja) 圧縮機駆動装置
KR20030002562A (ko) 센서리스 비엘디씨 모터를 채용한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10069109A (ko)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