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332B1 - 균형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균형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332B1
KR100691332B1 KR1020060114450A KR20060114450A KR100691332B1 KR 100691332 B1 KR100691332 B1 KR 100691332B1 KR 1020060114450 A KR1020060114450 A KR 1020060114450A KR 20060114450 A KR20060114450 A KR 20060114450A KR 100691332 B1 KR100691332 B1 KR 10069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control
balan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이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식 filed Critical 이원식
Priority to KR102006011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332B1/ko
Priority to JP2007293452A priority patent/JP200812700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three-wheel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3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adjustment or convers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레용 균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되, 근거리에서도 제어수단을 조작할 수있도록 하여 운행중에도 손쉽게 제어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고 제어수단이 조작을 위해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있는 균형유지 장치에관한 것이다.
수레, 회동, 균형유지, 회동제어

Description

균형유지장치{BALANCE APPRATUS}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균형유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또 다른 종래 균형유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써,
도 3 은 전체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와 도 5는 균형유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및 단면도
도 6 은 회동제어수단 중 제어레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회동제어수단 중 연결부재와 연결링크 및 제어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균형유지수단에 의한 본체프레임의 균형유지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 는 제어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 은 연결링크 및 제어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은 구동제어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프레임 200 : 균형유지수단
300 : 회동제어수단 400 : 후륜
500 : 각도조절수단 600 : 구동제어수단
210 : 고정부 220 : 회동부
310 : 제어레버 320 : 연결링크
330 : 제어핀 340 : 연결부재
350 : 탄성부재
일반적으로 축사나 밭고랑과 같은 좁은 농로의 이동시에는 전방에만 바퀴가 장착되고 후방에는 정차대가 구비되어 있는 외바퀴수레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상기 외바퀴수레는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장애물이 많을 경우 균형유지가 어렵고, 특히 짐의 부피가 크고 무겁거나 농약과 같은 유동성이 있는 것일 경우에는 바퀴가 장애물을 넘을 시 수레의 무게중심이 급격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져, 결국 수레가 쓰러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렇게 균형유지가 어려운 외바퀴수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순히 외 바퀴 수레에 바퀴를 더 장착한 형태의 2륜, 3륜 또는 4륜수레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처럼 단순히 바퀴의 수만 늘린 형태의 수레는 외바퀴 수레에 비해서 평상시 균형유지가 용이할지는 몰라도, 무겁고 부피가 큰 짐을 실은 상태에서 장애물에 의해 한쪽바퀴가 들릴 시, 수레의 전체균형이 깨져 수레가 쓰러지는 현상은 해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수레의 균형유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531111호 『수레를 위한 균형 유지장치』가 제안되있다.
상기 종래 균형 유지장치는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수레의 본체프레임(100)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동축(200)이 구비되어 있는 받침수단(300)과, 상기 받침수단(300)의 회동축(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바퀴(400)가 설치되는 연결대(500)와, 상기 연결대(50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600) 및 바퀴(400)의 간격을 조절하여 받침수단(300)의 회동을 차단하기 위한 바퀴간격조절수(700)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레의 운행과정에서 한쪽바퀴가 장애물에 의해 들어올려 지더라도 받침수단(300)을 회동시켜 수레의 본체프레임(10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짐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균형유지수단을 적용한 수레는 노면의 상태가 평탄한 곳을 운행할 경우에는 균형유지수단에 의한 본체프레임(100)의 균형유지가 필요 없고, 오히 려 본체프레임(100)의 회동을 막기위해 작업자가 직접 본체프레임(100)을 지지해야 하므로 힘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은 이러한 경우 불필요한 받침수단(300)의 회동을 막기위해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바퀴간격조절장치(700)를 통해 연결대(500), 즉 양측(400)간의 간격을 벌려 각도제한수단(600)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받침수단(300)의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노면의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반대로 연결대(500)간의 간격을 좁혀 받침수단(3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바퀴(500)간의 간격을 조절할 경우 본체프레임(100)에 짐이 실려있는 상태에서는 본체프레임(100)의 무게와 짐의 무게에 의해 바퀴(400)가 쉽게 벌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바퀴(4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레를 들어 바퀴(40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바퀴간격조절장치(700)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힘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수레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혼자서는 바퀴간격조절장치(700)의 작동이 어려우므로 두명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더구나 짐의 무게에 의해 수레를 들지 못할 경우에는 바퀴의 간격조절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바퀴간격조절장치(700)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는 것으로는 본 출원인이 제안 한 특허출원 제 2006-0045143호 『시소방식의 균형유지장치』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800)과, 상기 지지수단(800)에 시소형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수단(900)과, 상기 회동수단(900)과 바퀴(400)와 연결되어 회동수단(900)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되는 연결대(500)와, 상기 연결대(500)와 지지수단(800)을 체결하여 연결대(50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어핀(10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순히 회동제어핀(1000)만의 체결·분리를 통해 균형유지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앞의 종래기술과 같이 균형유지장치의 작동제어를 위해 특별히 많은 힘이 소요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먼저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제어핀(1000)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회동제어핀(1000)을 직접 손으로 잡아 연결대(500)에 밀어 넣거나 뽑아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를위해 작업자는 운행을 멈추고 직접 균형유지장치 쪽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운행작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운행과정에서 노면의 상태가 수시로 바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을 수시로 거쳐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의 지연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제어핀(1000)이 연결대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동제어핀에 구비된 돌출편(1100)이 삽입공(1200)과 교차된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연결대(500)로의 삽입이 방지된다.
그런데 만일 운행중 장애물을 지나는 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회동제어핀(1000)이 회전되어 돌출편(1100)이 삽입공(1200)에 삽입되어 원치않게 회동제어핀(1000)이 연결대(500)에 체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힘을 들이지 않고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제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운행위치에서 별도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을 근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는 균형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운행 중에도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제어를 수시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있는 균형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외부충격에 의해서도 제어수단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균형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 균형유지장치는,
상기 수레와 같은 상부구조물의 본체프레임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균형유지수단과,
상기 균형유지수단에 체결되어 균형유지수단의 회동여부를 제어하는 회동제 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기본구성에서 상기 회동제어수단은 균형유지수단에 결합·분리되는 제어핀 및 상기 제어핀을 근거리에서 조작할 수 있는 제어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균형유지장치는 크게 상부구조물의 본체프레임(100)을 지지하는 균형유지수단(200) 그리고 균형유지수단(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은 수레와 같은 운반용 구조물로써, 그 중 이러한 상부구조물의 기본골격체인 본체프레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의 프레임을 절곡하거나 연결하여 각 기능부분을 구현하는데, 앞쪽에는 짐을 지지하기 위한 짐받이부(110)가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수레의 운행을 위한 손잡이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프레임(100) 중 짐받이부(110)의 하단에는 균형유지수단(200)이 결합된다.
상기 균형유지수단(200)은 수레가 장애물을 타고 넘는 과정에서 수레의 전체균형이 흐트러지더라도 본체프레임(100)의 균형을 곧바로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고정부(210)와 회동부(220) 로 나누어진다.
상기 고정부(210)는 양측에 바퀴(212)가 위치되고 상기 양 바퀴(212)들은 연결축(213)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213)의 중간 지점에는 각관 형태의 고정프레임(214)이 상부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연결축(213)과 양 바퀴(212)간에는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여 바퀴(212)가 구동되더라도 연결축(213)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214)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연결축(213) 상에 설치된 고정프레임(214)은 상부에 회동공(214a)이 형성되고, 중공원통형상의 회동보조부시(215)가 그 중공부(215a)와 상기 회동공(214a)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회동보조부시(215)의 중공부(215a)와 고정프레임(214)의 회동공(214a)이 상호 연통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프레임(214)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회동제어수단(300)과의 체결을 위한 제1관통공(2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10)에는 본체프레임(100)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핵심구성요소인 회동부(220)가 결합되는데,
상기 회동부(220)는 회동프레임(222)과 회동축(224), 지지프레임(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4)과 같은 각관형태로 고정프레임(214)의 뒤쪽에 위치되어 상호 중첩된 형태를 띄고, 상단부에는 지지프레임(226)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지지한다.
그리고 회동프레임(222)의 하부에는 제2관통공(222a)이 상기 고정프레임(214)의 제1관통공(214b)과 동일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회동프레임(222)의 하단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어핀(330)과 연결링크(320)의 설치를 위한 보조프레임(228)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프레임(228)은 균형유지 과정에서 회동프레임(222)이 회동될 때 함께 회동된다.
더불어 회동프레임(222)의 상부 전면에는 고정프레임(214)의 회동공(214a)과 회동보조부시(215)의 중공부(215a)에 삽입되는 회동축(224)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축(224)의 길이는 고정프레임(214)의 두께와 회동보조부시(215)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 길게 형성되고, 고정프레임(214)과 회동보조부시(215)의 길이합을 초과한 구간에는 나사부(2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224)의 직경은 회동공(214a)과 중공부(215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켜 회동축(224)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프레임(222)이 회동축(22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회동축(224)이 중공부(215a)와 회동공(214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길이차에 의해 회동축(224)의 나사부(224a)가 회동보조부시(215)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노출된 나사부(224a)에는 너트(N)를 체결하여 회동축(224)과 회동프레임(222)이 회동보조부시(215)와 고정프레임(214)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균형유지수단(200)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동보조부시(215)를 회동프레임(222)의 후면에 설치시키고 회동축(224)을 고정프레임(214) 중 회동프레임(222)과 맞닿는 면에 설치시킨 형태나, 회동프레임(222)을 고정프레임(214) 앞쪽에 위치시키되 회동보조부시(215)를 회동프레임(222)의 전면에 구비시키고, 회동축(224)을 고정프레임(214) 중 회동프레임(222)과 맞닿는 면에 설치한 형태로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균형유지수단(200)이 전륜으로 사용되고 후륜(400)으로는 외바퀴가 적용된 3륜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균형유지수단(200)을 후륜으로 사용하고 전륜을 외바퀴(400)로 적용하거나 전·후륜 모두 상기 균형유지수단(200)을 적용할 수도 있고, 균형유지수단(200) 하나로만 바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균형유지수단(200)은 별도의 회동제어수단(300)을 통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데,
상기 회동제어수단(300)은 크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레버(310)와 제어핀(330), 그리고 상기 제어레버(310)와 제어핀(330)을 연결하는 연결링크(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레버(310)는 본체프레임(100)의 손잡이부(120)에 설치되는데, 먼저 레버설치대(312)가 손잡이부(120)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설치대(312)의 일측에는 힌지를 통해 제1연결편(313)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편(313)의 타단부에는 제어레버(310)의 작동을 위한 레버손잡이(314)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편(313)의 다른 일측에는 제2연결편(315)이 힌지결합 되 고, 상기 제2연결편(315)의 일단부에는 봉형상인 가이드핀(316)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버설치대(312) 중 가이드핀(316)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가이드핀(316)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공(317)이 형성되고 가이드핀(316)은 상기 가이드공(317)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어레버(310)를 본체프레임(100)의 손잡이부(120)에 설치한 이유는, 운행중에도 작업자가 제어레버(310)의 조작을 위해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않고 최대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제어레버(310)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수레의 운전석을 벗어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어레버(310)는 별도의 연결부재(340)와 연결링크(320)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핀(330)으로 작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연결부재(340)는 와이어 형태로 일단부가 상기 제어레버(310)의 가이드핀(316)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연결링크(3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340)의 길이는 최소한 제어손잡이(314)를 당겼을 때 연결링크(320)가 연결부재(340)을 통해 일측으로 당겨질 수 있을 정도로 제작한다.
상기 연결링크(320)는 [도 6]과 [도 7]처럼 회동프레임(222)에 연결된 보조프레임(228)상에 링크설치대(322)가 고정되고 상기 링크설치대(322)의 일측에는 제1링크암(323)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암(323)의 타단부에는 제2링크암(324)이 고정결합되되, 제2링크암(324)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부재(340)와 연결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암(323)의 일측에는 제3링크암(325)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링크암(325)은 봉형태의 제어핀(33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어핀(330)은 단부(331)가 회동프레임(222)의 제2관통공(222a)에 항시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설치대(322) 중 제어핀(330)이 위치되는 곳에는 제어핀(3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홀(326)이 형성되어 제어핀(330)이 상기 안내홀(326)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2링크암(324)에는 연결링크(320)와 제어핀(3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탄성부재(35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탄성부재(350)의 타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222)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제어핀(330)이 회동프레임(222)에만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어레버에 의해 연결부재(340)와 제2링크암(324) 및 탄성부재(350)가 일측으로 당겨져 탄성부재(350)가 인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 상기 회동프레임(222)의 회동각도와 바퀴(40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500) 및 구동제어수단(6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은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프레임(222)의 상부양측으로 설치편(510)이 고정되고, 상기 각 설치편(510)에는 조절구(520)가 각각 관통되어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각 조절구(520)는 도면처럼 볼트와 같이 설치편(510)을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된 부분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한다. 그리고 그 설치위치는 조절구(520)를 밀어넣었을 때 각 조절구(520)의 끝부분이 고정프레임(214)의 양측과 접촉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킨다.
상기 구동제어수단(600), 즉 브레이크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편(610)과 조절레버(620) 및 탄성수단(630)으로 구성된다.
먼저 회동편(610)은 후륜(400)상부의 본체프레임(100)에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작동 시 후륜(400)과 접촉되는 가압판(61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편(610)에는 본체프레임(100)에 고정된 탄성수단(63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610)과 본체프레임(100)간의 연결지점에는 회동편(610)을 작동시키기 위한 봉 형태의 조절레버(620)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제어수단(600)이 후륜에만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륜에 적용할 수도 있고 전륜과 후륜에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후륜(400)이 위치된 곳에 설치한다면 운행중인 작업자가 구동제어수단(600)의 조작을 위해 별도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체결핀(330)이 균형유지수단(20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탄한 노면을 운행하는 중에는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프레임(214)과 회동프레임(222)이 연결축(213)과 수직을 이루고, 본체프레임(100)도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도 8b]처럼 균형유지수단의 어느 한쪽바퀴(212)가 장애물(G)에 의해 위쪽으로 들릴 경우, 작업자가 본체프레임을 잡고 있기는 하지만 바퀴가 들리는 순간에는 고정프레임(214)과 회동프레임(222), 본체프레임(100)도 함께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본체프레임(100)의 손잡이부(120)를 잡은 상태에서 기울어진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면 [도 8c]처럼 제어핀(330)이 회동프레임에만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회동프레임(222)과 회동축(224)이 고정프레임(214)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본체프레임(100)은 최초 수평상태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바퀴(212)가 들어올려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본체프레임(100)을 기울임에 따라, 운행 중에도 작업자가 본체프레임(100)의 수평을 항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물이 많은 노면을 지나더라도 짐이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노면의 상태가 평평한 곳을 운행하여 균형유지수단(200)에 의한 본체프레임(100)의 수평조절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회동제어수단(300)을 통해 균형유지수단(200)의 작동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부에 설치된 제어레버(310)의 레버손잡이(314)를 밀면 레버손잡이(314)는 제1연결편(313)과 함께 레버설치대(312)와 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제1연결편(312)과 연결된 제2연결편(315)도 함께 회동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제2연결편(315)에 연결된 가이드핀(316)도 레버설치대(312)의 가이드공(317)내에서 앞으로 이동되고, 더불어 가이드핀(316)에 연결된 연결부재(340)에 걸리는 힘이 해제된다.
이렇게 레버손잡이(314)의 작동에 의해 연결부재(340)에 걸리는 힘이 해제되면, 연결부재(340)를 통해 탄성부재(350)를 당기고 있던 힘도 해제되고, 이로인해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을 통해 연결링크(320)가 작동되는데,
먼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부재(350)와 연결된 제2링크암(324)이 제1링크암(323)과 함께 링크설치대(322)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탄성부재(350)의 수축방향으로 젖혀지고, 이로 인해 제3링크암(325)이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제어핀(330)을 밀어내게 된다.
이처럼 제어핀(330)이 연결링크(320)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제어핀(330)의 단부(331)가 회동프레임(222)의 제2관통공(222a)을 거쳐 고정프레임(214)의 제1관통공(214b)에 삽입된다.
이렇게 제어핀(330)이 고정프레임(214)에 삽입되어 회동프레임(222)과 함께 회동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회동프레임(222)도 제어핀(214)에 걸려 좌우회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항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26)을 통해 회동프레임(222)과 연결된 본체프레임(100)도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본체프레임(100)의 균형유지를 위해 본체프레임(100)을 지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제어핀(330)이 균형유지수단(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운행하다가 장애물이 있는 노면을 운행하게 될 경우, 레버손잡이(314)를 당기면 회동제어수단(3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앞의 작동과정과 반대로 작동되어 회동프레임(222)의 회동이 자유로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핀(330)을 통해 균형유지수단(200)의 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작업자가 운전위치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단순히 제어레버(310)를 조작하여 제어핀(330)을 균형유지수단(200)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제어핀(330)의 체결을 위해 작업자가 운전석을 벗어나 수평유지수단(200)까지 이동해야하는 종래기술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작업자가 운전위치를 벗어날 필요가 없으므로 운행 중에도 제어핀(330)의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균형유지수단(200)의 작동제어를 위해 수시로 수레의 운행을 중단해야 하는 종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참고로 수레를 정차시킬 경우 [도 11]처럼 구동제어수단(600)의 조절레버(620)를 밑으로 내리면 회동편(610)도 함께 젖혀지면서 회동편(610)에 구비된 가압판(612)이 후륜(400)를 눌러 바퀴의 회전이 차단된다.
반대로 수레를 출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조작하되, 이때에는 탄성수단(63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편(610)과 조절레버(620)가 원활하게 원위치로 복귀되고 복귀된 상태에서도 탄성수단(630)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핀을 별도의 제어레버를 통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면 상태에 따라 운행 중에도 쉽게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핀의 체결을 위해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이동할 필요가 없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형유지장치는,
첫째, 제어레버를 통해 근거리에서 제어핀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제어핀의 체결을 위해 작업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작업자가 운전석을 벗어나지 않더라도 제어핀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수레의 운행중에도 노면의 상태에 따라 균형유지수단의 작동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운행에 의한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어핀의 위치를 제어레버를 통해 조절하므로 제어핀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본체프레임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양측에는 바퀴가 연결되어 있는 균형유지수단과,
    상기 균형유지수단에 체결되어 균형유지수단과 본체프레임간의 회동여부를 제어하는 회동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제어수단은 균형유지수단에 결합·분리되는 제어핀과, 상기 제어핀과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어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유지수단은 본체프레임을 지지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양측바퀴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면에 상기 제어핀이 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으 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는,
    지지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회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중 회동축이 고정되지 않은 것에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유지수단에는 각도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회동부와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편과,
    상기 설치편을 관통하여 나머지 다른 하나에 접촉 및 이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수단은 연결부재와 제어핀을 연결하는 연결링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장치.
KR1020060114450A 2006-11-20 2006-11-20 균형유지장치 KR100691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50A KR100691332B1 (ko) 2006-11-20 2006-11-20 균형유지장치
JP2007293452A JP2008127006A (ja) 2006-11-20 2007-11-12 バランス取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50A KR100691332B1 (ko) 2006-11-20 2006-11-20 균형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332B1 true KR100691332B1 (ko) 2007-03-12

Family

ID=3810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450A KR100691332B1 (ko) 2006-11-20 2006-11-20 균형유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27006A (ko)
KR (1) KR100691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796B1 (ko) * 2009-03-02 2012-05-18 이원식 보조바퀴가 구비된 운반용 수레
KR101753373B1 (ko) * 2016-04-29 2017-07-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돌 감지와 2축 자기 균형 기능을 가지는 전동 외발 손수레
KR200493063Y1 (ko) * 2019-12-16 2021-01-26 대한민국 일륜 수레의 균형유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3424A (ko) * 2020-06-10 2021-12-17 배석우 전후방으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운반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4555U (ko) 1975-10-17 1977-04-19
JPH0529884U (ja) * 1991-09-30 1993-04-20 三菱農機株式会社 動力運搬車
JPH0826116A (ja) * 1994-07-18 1996-01-30 Houkou Sangyo:Kk 手押し車
KR200180905Y1 (ko) 1999-12-07 2000-05-15 김성규 손수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5610Y1 (ko) * 1967-07-26 1971-09-03
JPH1120703A (ja) * 1997-06-27 1999-01-26 Shigematsu Kogyo Kk 手押し運搬車
KR100531111B1 (ko) * 2003-10-30 2005-11-25 이원식 수레를 위한 균형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4555U (ko) 1975-10-17 1977-04-19
JPH0529884U (ja) * 1991-09-30 1993-04-20 三菱農機株式会社 動力運搬車
JPH0826116A (ja) * 1994-07-18 1996-01-30 Houkou Sangyo:Kk 手押し車
KR200180905Y1 (ko) 1999-12-07 2000-05-15 김성규 손수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796B1 (ko) * 2009-03-02 2012-05-18 이원식 보조바퀴가 구비된 운반용 수레
KR101753373B1 (ko) * 2016-04-29 2017-07-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충돌 감지와 2축 자기 균형 기능을 가지는 전동 외발 손수레
KR200493063Y1 (ko) * 2019-12-16 2021-01-26 대한민국 일륜 수레의 균형유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3424A (ko) * 2020-06-10 2021-12-17 배석우 전후방으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운반기구
KR102395887B1 (ko) * 2020-06-10 2022-05-09 배석우 전후방으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운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27006A (ja)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332B1 (ko) 균형유지장치
JP4724750B2 (ja) 手押し車
US20050160632A1 (en) Snow Shovel
US9067633B2 (en) Bicycle convertible to a stroller
CA2630596A1 (fr) Bequille a roulettes pour vehicule a deux roues
US4061349A (en) Auxiliary wheel assembly
CA265122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a snowplow
WO2012119278A1 (zh) 两轮车停车机构
CA2502486A1 (en) Handlebar shock absorbing system for bicycles
KR20070111838A (ko) 시소방식의 균형유지장치
US3122773A (en) Paint striper
JP6338231B1 (ja) 自転車
JP3514321B2 (ja) 田植機のマーカ装置
JPH0733Y2 (ja) 歩行型農機における前処理昇降調節装置
JP3981570B2 (ja) 畦畔散布機
JPH0511178B2 (ko)
JP2002171804A (ja) 押動式散布機
JPH0437166Y2 (ko)
KR102446130B1 (ko) 일반자전거에 적용가능한 틸팅장치
CA2350861C (en) Flip chute safety and assist mechanism
JP2553402Y2 (ja) トラクターの安全フレーム折り曲げ構造
JPH0633793Y2 (ja) 歩行型農機における前処理上下調節装置
JPH0340091Y2 (ko)
JPS629174Y2 (ko)
JP2546685Y2 (ja) 水田作業機における水平制御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