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109B1 -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 Google Patents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109B1
KR100691109B1 KR1020050062984A KR20050062984A KR100691109B1 KR 100691109 B1 KR100691109 B1 KR 100691109B1 KR 1020050062984 A KR1020050062984 A KR 1020050062984A KR 20050062984 A KR20050062984 A KR 20050062984A KR 100691109 B1 KR100691109 B1 KR 10069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value
optical pickup
track
boundary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066A (ko
Inventor
어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109B1/ko
Priority to US11/483,591 priority patent/US20070014208A1/en
Publication of KR2007000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피치(track picth) 및 섹터(sector)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치 방법은, 데이터 서치 명령에 대응하여 광픽업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트랙피치가 변경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픽업을 제1 경계주소 값 또는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동작 수행시 광픽업을 원하는 목표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고밀도 광디스크, 트랙피치, 섹터길이, 목표위치, 데이터 서치

Description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Method for searching data in high density optical disc}
도 1은 HD-DVD 타입 디스크에 대한 디스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BD 타입 디스크에 대한 디스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기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 110a : 디지털 기록신호 처리부
110b : 디지털 재생신호 처리부 125 : 광픽업
140 : 모터 구동부 145 : R/F부
150 : 서보부 155 : 메모리부
160 : 마이컴
본 발명은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피치(track picth) 및 섹터(sector)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저장할 수 있는 광 기록매체로 CD와 DVD가 널리 보급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 및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대용량 저장할 수 있는 고밀도 광디스크, 예컨대 블루레이 디스크(BD : Blu-ray Disc)에 대한 규격화 작업이 급속이 진전되고 있다.
차세대 광 기록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BD는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는 DVD에 비해 훨씬 조밀한 405nm 파장의 청자색 레이저를 사용하여, 개구율(NA : Numerical Aperture)이 0.85인 대물렌즈와, CD나 DVD의 절반에 해당하는 트랙피치(약 0.32㎛) 및 0.1mm 기록층을 갖는 디스크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BD의 경우 기존 12cm 크기의 디스크 한면에 SDTV급 화질의 영상 13시간, HDTV급 화질의 영상 2시간 분량에 해당하는 27G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런데, BD나 HD-DVD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의 경우 디스크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 영역의 트랙피치와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의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HD-DVD 타입 디스크(ROM/R/RE)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리드인 영역(System Lead-in area), 커넥션 영역(Connection area), 데이터 리드인 영역(Data Lead-in area) 및 데이터 영역(Data area)으로 구분 할당되어 구성되는 데, 상기 커넥션 영역을 기준으로 시스템 리드인 영역의 트랙피치는 0.68㎛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션 영역 이후의 모든 영역의 트랙피치는 0.34㎛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BD 타입 디스크(ROM/R/RE)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Inner) 영역, 클램핑 영역(Clamping area), 트랜지션 영역(Transition area), 리드인 영역(Lead-In Zone), 데이터 영역(Data Zone) 및 리드아웃 영역(Lead-Out Zone)으로 구분 할당된 정보 영역(Information area) 및 림 영역(Rim are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인 영역에는, 제1 가아드(Protection 1) 영역과, PIC(Permanent Information and Control data) 영역, 제2 가아드(Protection 2) 영역, 정보 2(INFO 2) 영역 등이 구분 할당되어 있다. BD 타입 디스크의 경우 상기 리드인 영역에 할당된 제2 가아드(Protection 2) 영역을 기준으로 PIC 영역의 트랙피치는 0.35㎛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아드(Protection 2) 영역 이후의 모든 영역의 트랙피치는 0.32㎛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데이터 서치모드에 대응하여 광픽업을 현재 위치에서 원하는 목표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광픽업의 이동량 결정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 중의 하나가 트랙피치 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HD-DVD 타입 디스크나 BD 타입 디스크의 경우 기존 CD나 DVD와 달리 디스크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과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의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픽업의 이동량 결정시 광픽업의 현재위치 및 목표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를 적응적으로 반영하여야만 광픽업을 원하는 목표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광픽업의 이동량을 정확히 계산하지 못하는 경우 광픽업이 목표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경우 광픽업을 다시 목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를 비교하여 광픽업의 이동량을 다시 계산하여야 하므로 광픽업을 원하는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 수행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또한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트랙피치 및 섹터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광픽업을 원하는 목표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서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은, 데이터 서치 명령에 대응하여 광픽업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트랙피치가 변경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상기 트랙피치 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1 경계주소 값 또는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상기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상기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광픽업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픽업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1 경계주소 값과 상기 목표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현재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트랙수 계산은,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기 계산되어 저장된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주소 값과 제1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목표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 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광픽업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제2 경계주소 값보다 크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픽업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경계주소 값과 상기 목표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현재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트랙수 계산은,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주소 값과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총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목표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경계주소 값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보다 큰 주소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은, 데이터 서치 명령에 대응하여 광픽업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트랙피치가 변경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 및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서로 상이한 영역에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및 상기 각 영역의 트랙피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픽업을 상기 목표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픽업을 트랙피치가 상이한 제1영역에서 제2영역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량 결정은, 상기 현재주소 값, 상기 목표주소 값, 상기 제1 경계주소 값 및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1 트랙수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2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제1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2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제2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1이동거리에 상기 제2이동거리 및 기 계산되어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이동거리를 가산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총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총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광픽업을 트랙피치가 상이한 제2영역에서 제1영역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량 결정은, 상기 현재주소 값, 상기 목표주소 값, 상기 제1 경계주소 값 및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 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1 트랙수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2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제1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2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제2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1이동거리에 상기 제2이동거리 및 기 계산되어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이동거리를 가산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총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총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100)는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에러정정 코드(ECC) 등을 부가하여 기록포맷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기록신호 처리부(110a), 기록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비트스트림으로 재변환하는 채널비트 엔코더(115), 상기 채널비트 엔코더(1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광량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광 구동부(120), 상기 광량 구동신호에 따른 신호를 고밀도 광디스크(이하, "광디스크"라 칭함)(100a)에 기록하거나, 광디스크(100a)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기록신호를 독출하는 광픽업(125), 상기 광픽업(125)을 광디스크(100a)의 래디알(radial)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레드(sled) 모터(130), 상기 광디스크(100a)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핀들(Spindle) 모터(135), 상기 슬레드 모터(130) 및 스핀들 모터(135)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40), 상기 광픽업(125)에서 검출된 신호를 여파정형화시켜 이진신호로 출력하는 R/F부(145), 상기 광픽업(125)에서 출력되는 포커스 에러(FE : Focus Error) 신호 및 트래킹 에러(TE : Tracking Error)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서보부(150), 상기 R/F부(145)에서 출력되는 이진신호를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복원하는 디지털 재생신호 처리부(110b), 데이터 서치 동작 수행시 이용되는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변경되는 경계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155) 및 광픽업(125)을 선택된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이터 서치 동작, 데이터 기록 동작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100)는 광디스크(100a)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100a)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가능한 광 기록/재생장치이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디스크의 예로는 HD-DVD 타입 광디스크(예컨대, HD-DVD-ROM/R/RE)나 BD 타입 광디스크(예컨대, BD-ROM/R/R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100)는 기록 또는 재생동작 수행시 광픽업(125)을 현재 위치하고 있는 트랙으로부터 원하는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이터 서치 동작을 요청하는 경우,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서로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과 목표주소 값을 메모 리부(155)에 저장된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도 4는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피치가 변경되는 경계영역(220)을 기준으로 구분된 제1영역(210)과 제2영역(230)은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영역이다. 이 때 현재 로딩된 광디스크(100a)가 BD 타입 디스크인 경우 제1영역(210)은 주요 디스크 정보가 기록되는 PIC 영역이고, 경계영역(220)은 제2 보호영역(Protection Zone 2)이며, 제2영역(230)은 제2 보호영역 이후의 모든 영역이 된다. 그리고 제1영역(210)의 트랙피치는 0.35㎛이고, 제2영역(230)의 트랙피치는 0.32㎛이며, 경계영역(220)은 트랙피치가 0.35㎛에서 0.32㎛로 변경되는 구간이다.
이와 달리 현재 로딩된 광디스크(100a)가 HD-DVD 타입 디스크인 경우, 제1영역(210)은 시스템 리드인 영역이고, 경계영역(220)은 커넥션 영역(Connection area)이며, 제2영역(230)은 데이터 리드인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이 된다. 그리고 제1영역(210)의 트랙피치는 0.64㎛이고, 제2영역(230)의 트랙피치는 0.34㎛이며, 경계영역(220)은 트랙피치가 0.64㎛에서 0.34㎛로 변경되는 구간이다.
한편,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은 광픽업(125)에서 검출된 신호를 R/F부(145) 및 디지털 재생신호 처리부(110b)를 통해 신호 처리되어 입력되는 재생 제어정보인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섹터번호가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 판단시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은 디스크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값으로, 디스크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면, HD-DVD 타입 디스크의 경우, 제1 경계주소 값은 "0x026AFFh"로 HD-DVD-ROM/R/RE 모두 동일하나, 제2 경계주소 값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재생전용 디스크(HD-DVD-ROM) 및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HD-DVD-R)의 제2 경계주소 값은 "0x026B00h"인 반면,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HD-DVD-RE)의 제2 경계주소 값은 "0x029A00h"이다.
이와 달리 BD 타입 디스크의 경우, 제1 경계주소 값은 "0x0DA3FEh"로 BD-ROM/R/RE 모두 동일하나, 제2 경계주소 값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재생전용 디스크(HD-DVD-ROM)의 제2 경계주소 값은 "0x0DC000h"인 반면, 1회 기록 가능한 디스크(HD-DVD-R) 및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HD-DVD-RE)의 제2 경계주소 값은 "0x01B800h"이다.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은 메모리부(155)에 저장된다.
상기 내용을 기초로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목표주소 값이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고, 현재주소 값이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는 현재 광픽업(125)은 제2영역(230)에 해당하는 트랙 중 임의의 트랙에 위치한 상태이나, 목표위치로 제1영역(210)의 임의의 위치가 선택된 상태이다.
또한, 마이컴(160)은 상기 비교결과 선택된 목표주소 값이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고, 현재주소 값이 제1 경계주소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도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는 현재 광픽업(125)은 제1영역(210)에 해당하는 트랙 중 임의의 트랙에 위치한 상태이나, 목표위치로 제2영역(230)의 임의의 위치가 선택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각 영역의 트랙피치 값 및 섹터길이를 고려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광픽업(125)을 현재위치에서 목표위치로 이동시, 광픽업(125)을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경유하여 목표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또는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이컴(160)은 데이터 서치 명령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광픽업(125)의 목표주소 값을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한다(S310).
상기 비교결과 상기 광픽업(125)의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목표주소 값이 제1 경계주소 값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320). 상기 판단결과 상기 목표주소 값이 제1 경계주소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픽업(125)의 목표위치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와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서치 동작을 종료시킨다.
한편, 상기 32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이 현재 위치한 영역을 판단하기 위하여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과 제2 경계주소 값을 비교한다(S325).
상기 비교결과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과 제1 경계주소 값을 비교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하여 상기 광픽업(125)을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이하 "제1 경계위치"라 칭함)로 이동시킨다(S330). 이 경우는 현재 광픽업(125)은 제2영역(230)에 해당하는 트랙 중 임의의 트랙에 위치한 상태이나, 목표위치로 제1영역(210)의 임의의 위치가 선택된 경우로, 광픽업(125)을 제2영역(230)에서 제1영역(210)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이다.
상기 330 단계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및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제1 경계주소 값을 이용하여 현재위치 및 제1 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한다(S330-1). 상기 각 위치에 대한 트랙번호는 해당 주소값, 즉 섹터번호와, 섹터길이, 그리고 트랙피치 값을 알면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컴(160)은 계산된 현재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제1 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한다(S330-3). 여기서, 현재위치와 제1 경계위치 사이의 트랙수 계산은, 현 재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이하, "제2 경계위치"라 칭함)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해야할 트랙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트랙수에 기 계산되어 저장된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가산하여 현재위치와 제1 경계위치 사이의 트랙수를 계산한다.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물리적 거리와 그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이 값은 미리 계산되어 메모리부(155)에 저장된다.
그리고, 마이컴(160)은 계산된 트랙수에 광픽업(125)이 현재 위치한 트랙의 트랙피치 값, 즉 제2영역(230)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해야할 이동량을 결정한다(S330-5). 이동거리에 따른 광픽업(125)의 이동량은 룩업테이블 형태로 구성되어 메모리부(155)에 저장된다. 마이컴(160)이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에서 산출된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이동량을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광픽업(125)의 이동량이 결정된다. 마이컴(160)은 결정된 이동량 만큼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서보부(150)를 제어한다(S330-7).
상기와 같이 광픽업(125)을 결정된 이동량 만큼 이동시킨 후, 마이컴(160)은 디지털 재생신호 처리부(11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광픽업(125)의 현재위치 정보를 리드하여 광픽업(125)이 제1 경계위치로 이동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35).
상기 판단결과 광픽업(125)이 제1 경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 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즉 제1 경계주소 값과 목표주소 값을 비교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하여 광픽업(125)을 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S340).
상기 340 단계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목표주소 값을 이용하여 목표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고(S340-1), 상기 530-1 단계에서 계산된 제1 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제1 경계위치와 목표위치 사이의 트랙수를 계산한다(S340-3). 그리고 마이컴(160)은 계산된 트랙수에 목표위치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 즉 제1영역(210)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한다(S340-5). 그리고 결정된 이동량 만큼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서보부(150)를 제어한다(S340-7).
한편, 상기 310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광픽업(125)의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이 제1 경계주소 값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350).
상기 비교결과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과 같거나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을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이하 "제2 경계위치"라 칭함)로 이동시킨다(S360). 이 경우는 현재 광픽업(125)은 제1영역(210) 중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나, 목표위치로 제2영역(230)의 임의의 위치가 선택된 경우로, 광픽업(125)을 제1영역(210)에서 제2영역 (230)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이다.
상기 360 단계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및 제2 경계주소 값을 기초로 현재위치 및 제2 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한다(S360-1). 그리고 마이컴(160)은 계산된 현재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제2 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한다(S360-3). 여기서, 현재위치와 제2 경계위치 사이의 트랙수 계산은, 현재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제1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해야할 트랙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기 계산되어 저장된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가산하여 현재위치와 제2 경계위치 사이의 트랙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마이컴(160)은 계산된 트랙수에 광픽업(125)이 현재 위치한 트랙의 트랙피치 값, 즉 제1영역(210)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광픽업이 이동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해야할 이동량을 결정한다(S360-5). 마이컴(160)은 결정된 이동량 만큼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서보부(150)를 제어한다(S360-7).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광픽업(125)을 이동시킨 후, 마이컴(160)은 디지털 재생신호 처리부(11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광픽업(125)의 현재위치 정보를 리드하여 광픽업(125)이 제2 경계위치로 이동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70).
상기 판단결과 광픽업(125)이 제2 경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즉 제2 경계주소 값과 목표주소 값을 비교 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하여 광픽업(125)을 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S380).
상기 380 단계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광픽업(125)의 목표주소 값을 이용하여 목표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고(S380-1), 상기 560-1 단계에서 계산된 제2 경계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위치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제2 경계위치와 목표위치 사이의 트랙수를 계산한다(S380-3). 그리고 마이컴(160)은 계산된 트랙수에 목표위치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한다(S380-5). 그리고 결정된 이동량 만큼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서보부(150)를 제어한다(S380-7).
한편, 상기 325 단계의 판단결과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나, 상기 350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광픽업(125)의 현재위치 및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종래 일반적인 이동량 결정방법으로 데이터 서치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는 광픽업(125)을 현재위치에서 목표위치로 이동시 기 설정된 제1 또는 제2 경계주소 값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실시예의 데이터 서치 방법 대비 광픽업 이동 속도를 향 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영역(210)에 위치한 광픽업(125)을 제2영역(230)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컴(160)은 데이터 서치 명령 수신에 대응하여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0).
상기 41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픽업(125)의 현재위치 및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60)은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및 상기 각 영역의 트랙피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픽업(125)을 목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량을 결정한다(S420).
상기 420 단계의 이동량 결정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컴(160)은 광픽업(125)의 현재주소 값, 목표주소 값, 제1 경계주소 값 및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한다(S420-1). 그리고, 마이컴(160)은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과(현재트랙)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제2 경계트랙) 사이의 트랙수(제1 트랙수)와, 상기 제2 경계트랙과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목표트랙) 사이의 트랙수(제2 트랙수)를 계산한다(S420-2).
다음으로, 제1 트랙수에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 즉 제1영역(210)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현재트랙에서 제2 경계트랙까지 광픽업(125)이 이동해야할 이동거리(제1 이동거리) 및 상기 제2 트랙수에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 즉 제2영역(230)에 해당하는 트랙피치 값을 곱 하여 제2 경계트랙에서 목표트랙까지 광픽업(125)이 이동해야할 이동거리(제2 이동거리)를 산출한다(S420-3). 그리고, 산출된 제1 이동거리에 제2 이동거리 및 기 계산되어 저장된 제1 경계트랙과 제2 경계트랙 사이의 이동거리(제3 이동거리)를 가산하여 광픽업(125)이 이동해야 할 총 이동거리를 산출한다(S420-4).
그리고, 산출된 총 이동거리를 기초로 광픽업(125)의 이동량을 결정한다(S420-5). 이 때 광픽업(125)의 이동량은 산출된 제1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이동량에, 제2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이동량 및 제3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이동량을 각각 결정하고, 결정된 각 이동량을 가산하여 광픽업(125)의 총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마이컴(160)은 상기 420 단계에서 결정된 이동량 만큼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서보부(150)를 제어한다(S430).
한편, 상기 410 단계의 판단 결과 광픽업(125)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동일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반적인 이동량 결정방법으로 데이터 서치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피치 및 섹터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동작 수행시 광픽업을 원하는 목표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데이터 서치 명령에 대응하여 광픽업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트랙피치가 변경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목표위치가 현재위치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상기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1 경계주소 값 또는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상기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상기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보다 작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표주소 값이 제2 경계주소 값보다 크고, 상기 현재주소 값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광픽업을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보다 큰 주소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픽업이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1 경계주소 값과 상기 목표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트랙수 계산은,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기 계산되어 저장된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주소 값과 제1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목표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 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서치 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해 상기 목표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픽업이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경계주소 값과 상기 목표주소 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현재주소 값과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트랙수 계산은,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트랙수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주소 값과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총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서치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목표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의 차를 산출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방향 및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서치 방법.
  15. 데이터 서치 명령에 대응하여 광픽업의 현재주소 값 및 목표주소 값을 트랙피치가 변경되는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과 비교하여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와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상이한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광픽업의 현재위치 및 목표위치가 트랙피치가 서로 상이한 영역에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및 상기 각 영역의 트랙피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광픽업을 상기 목표주소 값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이동량 만큼 상기 광픽업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을 트랙피치가 상이한 제1영역에서 제2영역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량 결정은,
    상기 현재주소 값, 상기 목표주소 값, 상기 제1 경계주소 값 및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1 트랙수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2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제1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2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제2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이동거리에 상기 제2이동거리 및 기 계산되어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이동거리를 가산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총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총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서치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을 트랙피치가 상이한 제2영역에서 제1영역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량 결정은,
    상기 현재주소 값, 상기 목표주소 값, 상기 제1 경계주소 값 및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제2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1 트랙수와, 상기 제1 경계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와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번호 사이의 제2 트랙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트랙수에 상기 현재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 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제1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2트랙수에 상기 목표주소 값에 해당하는 트랙의 트랙피치 값을 곱하여 제2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이동거리에 상기 제2이동거리 및 기 계산되어 저장된 상기 제1 및 제2 경계주소 값 사이의 이동거리를 가산하여 상기 광픽업이 이동해야할 총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총 이동거리를 기초로 상기 광픽업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서치 방법.
KR1020050062984A 2005-07-12 2005-07-12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KR10069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84A KR100691109B1 (ko) 2005-07-12 2005-07-12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US11/483,591 US20070014208A1 (en) 2005-07-12 2006-07-11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in recording 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84A KR100691109B1 (ko) 2005-07-12 2005-07-12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66A KR20070008066A (ko) 2007-01-17
KR100691109B1 true KR100691109B1 (ko) 2007-03-09

Family

ID=3766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984A KR100691109B1 (ko) 2005-07-12 2005-07-12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14208A1 (ko)
KR (1) KR100691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1432T5 (de) * 2006-08-09 200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Wiedergabegerät für ein optisches Speichermedium
US20090060453A1 (en) * 2007-09-05 2009-03-05 Kellogg Joh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ng music
JP4955593B2 (ja) * 2008-03-17 2012-06-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駆動信号生成装置及び描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448A (en) 1992-05-08 1997-01-07 Hitachi, Ltd.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optical disk according change of track pitch
JPH09219075A (ja) * 1996-02-13 1997-08-19 Alps Electric Co Ltd 磁気ディスクのサーボパターン形成方法
JPH11149730A (ja) 1997-11-18 1999-06-02 Hitachi Ltd 磁気記録装置
KR20060071883A (ko) * 2004-12-22 2006-06-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3092B2 (ja) * 1995-10-13 1998-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Cd規格の光ディスク装置
JPH11167729A (ja) * 1997-12-03 1999-06-22 Yamaha Corp 光ディスクのシーク動作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2358666A (ja) * 2001-05-30 2002-12-13 Fujitsu Ltd シーク制御方法及び記憶装置
JP4101666B2 (ja) * 2002-01-22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DE602005003393T2 (de) * 2004-04-22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ptisches Plattengerät,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Schleifenverstärkung und Programm zum Einstellen der Schleifenverstärk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448A (en) 1992-05-08 1997-01-07 Hitachi, Ltd.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optical disk according change of track pitch
JPH09219075A (ja) * 1996-02-13 1997-08-19 Alps Electric Co Ltd 磁気ディスクのサーボパターン形成方法
JPH11149730A (ja) 1997-11-18 1999-06-02 Hitachi Ltd 磁気記録装置
KR20060071883A (ko) * 2004-12-22 2006-06-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광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4208A1 (en) 2007-01-18
KR20070008066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7623B2 (ja) 再生装置、球面収差補正値及び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
JP4420920B2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フォーカスオン方法
JP4231072B2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球面収差調整方法
EP163809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dentifying disc types
JP2005122774A (ja) 記録型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媒体
JP4581825B2 (ja) 光ディスク装置、フォーカスバイアス及び球面収差補正値調整方法
KR100691109B1 (ko)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데이터 서치 방법
JP4713839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フォーカスジャンプ制御方法
US8289822B2 (en)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multi-layer optical discs
US8335140B2 (en) Optical disc drive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on a multilayer optical disc with a layer identification region
JP2011018388A (ja) 記録再生装置、レーザ駆動パルス調整方法
KR100675456B1 (ko) 복수 레이어 디스크의 목표 위치 서치 장치 및 방법
US7719950B2 (en) Disk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bias and spherical aberration correction value
JP4264653B2 (ja) 光ディスク装置、フォーカスバイアス及び球面収差補正値調整方法
JP2011048884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5273221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81599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cking error balance in optical disc apparatus
KR100920657B1 (ko)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재생방법
JP2009064492A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非点収差補正方法
JP5455819B2 (ja) 光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5310289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70116931A (ko) 다층 광 정보매체에서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
JP200717965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条件調整方法
JP2008310870A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80239933A1 (en) Writabl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