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12B1 -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12B1
KR100690812B1 KR1020050058547A KR20050058547A KR100690812B1 KR 100690812 B1 KR100690812 B1 KR 100690812B1 KR 1020050058547 A KR1020050058547 A KR 1020050058547A KR 20050058547 A KR20050058547 A KR 20050058547A KR 100690812 B1 KR100690812 B1 KR 10069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input key
user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855A (ko
Inventor
원창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12B1/ko
Priority to CNA2006100671497A priority patent/CN1893472A/zh
Publication of KR2007000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가 형성된 피씨비 기판과, 회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휴대 단말기의 외면으로 노출된 다수개의 입력키와; 다수개의 입력키 중 하나 이상의 입력키의 내부에 삽입되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과 귀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각각 밀착시킴으로써 액정 표시창이 사용자의 얼굴에 닿게 되어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종래의 기술을 해소하여 액정 표시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화상 통화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하여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을 바라보면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폰이 구비된 핸즈 프리와 같은 별도의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액정 표시창을 바라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별도의 스피커 설치 공간이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액정 표시창의 크기가 그 스피커 설치 공간 만큼 확대되는 반면에, 입력키의 내부에 스피커를 삽입함으로써 공간적인 활용도를 매우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입력키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성형 몰딩 재료의 과낭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 스피커, 내장, 입력키, 버튼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INPUT KEY ENCOMPASSING SPEAKER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피커와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단말기 본체 111 : 피씨비(PCB) 기판
112 : 입력부 1121 : 번호 입력키
1122 : 메뉴 입력키 1123 : 실리콘 시트
1124 : 돔 스위치 114 : 스피커
120 : 폴더부 121 : 액정 표시창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입력키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 설치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서 휴대 단말기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통화시 스피커를 귀에 밀착시킴에 따라 액정 표시창이 더러워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얼굴 정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표시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을 보면서 화상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게임, MP3 청취, 인터넷 및 TV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창의 크기가 점점 커질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을 바라보면서 상대와 통화를 할 수 있는 화상 통화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입력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피커와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피커와 입력키가 구 비된 휴대 단말기(1)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폴더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단말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회로가 형성된 피씨비(PCB) 기판(11)과, 단말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와, 입력부(1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3)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피씨비 기판(11)의 상면에는 피씨비 기판(11)의 회로를 개폐시키는 돔 스위치(14)와, 돔 스위치(14)의 상부를 눌러서 돔 스위치(14)를 작동시키는 실리콘 시트(1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2)는 실리콘 시트(15)와 접착되어 단말기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된 다수개의 번호 입력키(12a)와, 다수개의 메뉴 입력키(12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시트(15)는 돔 스위치(14)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돔 스위치(14)를 누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작동 돌기(15a)와, 입력키(12b)와 돔 스위치(14)의 간극을 유지하며 입력키(12b)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부(20)는, 폴더부(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창(21)과, 액정 표시창(21)의 상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음파를 발산하는 스피커(2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피커와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1)의 작용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귀에 스피커(22)를 밀착시키고 사용자의 입 가까이에 마이크(13)를 위치시켜서, 스피커(22)를 통하여 말을 들으면서 마이크(13)를 통하여 말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키(12b)를 누르게 되면, 입력키(12b)의 하면에 접착된 실리콘 시트(15)의 작동 돌기(15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돔 스위치(14)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14)는 피씨비 기판(11)에 접촉하게 되어 회로를 개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피커와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1)는, 휴대 단말기(1)의 최하단에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3)가 구비되고, 휴대 단말기(1)의 최상단에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음파를 발산하는 스피커(22)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과 귀에 마이크(13)와 스피커(22)를 각각 밀착시킴으로써 액정 표시창(21)이 사용자의 얼굴에 닿게 되어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하여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21)을 바라보면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에 스피커(22)를 밀착시킬수 없기 때문에 이어폰이 구비된 핸즈 프리와 같은 별도의 제품을 구매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스피커(22) 설치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액정 표시창(21)의 크기가 그 스피커(22) 설치 공간 만큼 줄어들게 되는 반면에, 입력키(12b)의 내부는 아무런 쓸모가 없는 공간이 되므로 공간적인 활용도가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으 며, 입력키(12b)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입력키(12b)의 내부를 성형 몰딩 재료로써 모두 채우게 되므로 성형 몰딩 재료가 과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입력키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 설치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서 휴대 단말기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통화시 스피커부를 귀에 밀착시킴에 따라 액정 표시창이 더러워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의 얼굴 정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표시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을 보면서 화상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가 형성된 피씨비 기판과, 회로를 개폐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휴대 단말기의 외면으로 노출된 다수개의 입력키와; 다수개의 입력키 중 하나 이상의 입력키의 내부에 삽입되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를 제공한다.
이는, 입력키의 내부 공간에 스피커를 삽입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대신, 종래의 기술에서 입력키의 내부 공간을 전혀 활용하지 못하여 성형 몰딩 재료를 낭비하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양측 대칭되는 2개의 입력키에 각각 스피커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정면에 놓고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거나 영화를 보는 경우 스테레오(stereo)의 음질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의 구성 및 작용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본체(1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폴더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단말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로가 형성된 피씨비 기판(111)과,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12)와, 입력부(11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13)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112)는 번호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번호 입력키(1121)와, 번호 입력키(1121)의 상부에 구비되어 메뉴를 이동하거나 정보를 입력하는 메뉴 입력키(1122)와, 입력키(1121, 1122 단, 도 4에서는 메뉴 입력키(1122)가 도시 됨)의 하면에 접착된 실리콘 시트(1123)와, 피씨비 기판(111)의 상면에 부착되고 실리콘 시트(1123)의 작동 돌기(1123a)에 의하여 눌러져서 작동되는 돔 스위치(1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키(1122)의 내부에는 스피커(114)가 삽입되는데, 스피커(114)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턱(1122a)과, 스피커(114)의 상단부로 발산되는 음파를 관통시키는 음파 관통공(1122b)이 형성되고, 단말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1122c)와, 단말기 본체(110)의 외부로 입력키(11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122d)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스피커(114)는 스피커 몸체(1141)와, 입력키(1122)의 고정턱(1122a)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피커 고정부(1142)와, 스피커 몸체(1141)의 상단에 구비되어 음파가 발산되는 발산부(1143)와, 스피커 몸체(114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입력키(1122)의 걸림턱(1122d)을 관통하여 피씨비 기판(111)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라인(114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폴더부(120)는, 폴더부(1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창(121)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100)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얼굴 정면에 휴대 단말기(100)를 놓고 사용자의 입 가까이에 마이크(113)를 위치시키면, 단말기 본체(110)의 최상단 양측에 구비된 입력키(1122)에 내장된 스 피커(114)를 통하여 상대방의 말을 들으면서 마이크(113)를 통하여 말을 하여 통화를 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기 본체(110)의 양측 상단에 대칭되도록 위치한 입력키(1122)에 스피커(114)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경우 2개의 스피커(114)로부터 발산된 음파는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사용자는 스테레오 음질의 음파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비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음악(MP3)을 청취하거나 TV, 영화 등을 보는 경우 사용자에게 더욱 고음질의 음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피커(114)가 내장된 입력키(1122)의 누름부(1122c)를 눌러주게 되면, 입력키(112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입력키(1122)의 하면에 구비된 실리콘 시트(1123)도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리콘 시트(1123)의 작동 돌기(1123a)가 돔 스위치(1124)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돔 스위치(1124)는 피씨비 기판(111)에 접촉하게 되어 피씨비 기판(111)의 회로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 입력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100)에 의하면, 폴더부(120)에 별도의 스피커(114)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그 공간만큼 액정 표시창(121)이 커지게 되는 장점과 함께, 입력키(1122) 내부에 스피커(114)를 삽입함으로써 입력키(1122)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게 되므로 입 력키(1122)를 성형하기 위하여 필요한 성형 몰딩 재료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과 귀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각각 밀착시킴으로써 액정 표시창이 사용자의 얼굴에 닿게 되어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종래의 기술을 해소하여 액정 표시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하여 사용자가 액정 표시창을 바라보면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폰이 구비된 핸즈 프리와 같은 별도의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액정 표시창을 바라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스피커 설치 공간이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액정 표시창의 크기가 그 스피커 설치 공간 만큼 확대되는 반면에, 입력키의 내부에 스피커를 삽입함으로써 공간적인 활용도를 매우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입력키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성형 몰딩 재료의 과낭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를 제공한다.

Claims (4)

  1. 휴대 단말기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력키와;
    다수개의 상기 입력키 중 하나 이상의 입력키의 내부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피씨비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내장된 입력키는 스피커가 내장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고 그 전면에는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외부로 송출하는 음파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의 하면에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작동 돌기가 형성된 실리콘 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입력키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턱에 고정되는 스피커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KR1020050058547A 2005-06-30 2005-06-30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KR10069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47A KR100690812B1 (ko) 2005-06-30 2005-06-30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CNA2006100671497A CN1893472A (zh) 2005-06-30 2006-04-05 便携式终端内置扬声器的输入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47A KR100690812B1 (ko) 2005-06-30 2005-06-30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855A KR20070002855A (ko) 2007-01-05
KR100690812B1 true KR100690812B1 (ko) 2007-03-09

Family

ID=3759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547A KR100690812B1 (ko) 2005-06-30 2005-06-30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812B1 (ko)
CN (1) CN18934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72A (ko) * 2003-06-26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872A (ko) * 2003-06-26 200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0187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472A (zh) 2007-01-10
KR20070002855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60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US6052464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or an earpiece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via a keypad
JP2005006205A (ja) 携帯端末
JP2012161068A (ja) 骨伝導機能つき通信端末機
CN103200288A (zh) 具有单一输出音频换能器的通信设备
JP2006109481A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操作キーが備わった移動通信端末機
WO2007060730A1 (ja) 携帯端末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TWI414263B (zh) 防水音響枕頭
WO2003043295A1 (fr) Telephone mobile
WO2023207841A1 (zh) 电子设备、控制方法和装置
JP3984968B2 (ja) 電子通信機器
JP2002077346A (ja) 携帯通信端末器
JP2007096843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03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fm 송신용 안테나 장치
KR100690812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KR100834640B1 (ko) 공명 공간을 제공하는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N112312291A (zh) 电子设备及其听筒装置
JP2001298785A (ja) 中継スイッチ装置
JP2002368860A (ja) 携帯端末装置
JP3792608B2 (ja) 折り畳み式携帯型通話装置
KR1008194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음 개선을 위한 공명 구조
JP3966101B2 (ja) 音響ユニット
JP4242188B2 (ja) フリップ型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