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608B1 -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608B1
KR101186608B1 KR1020060066452A KR20060066452A KR101186608B1 KR 101186608 B1 KR101186608 B1 KR 101186608B1 KR 1020060066452 A KR1020060066452 A KR 1020060066452A KR 20060066452 A KR20060066452 A KR 20060066452A KR 101186608 B1 KR101186608 B1 KR 10118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ame
room
waterproof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004A (ko
Inventor
정경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608B1/ko
Priority to TW096122155A priority patent/TWI406628B/zh
Priority to US11/777,086 priority patent/US7869839B2/en
Publication of KR2008000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조립된 케이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단말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을 여러 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가지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각 룸을 독립적으로 방수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조립된 케이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단말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체결 부위와 적은 체결력으로도 충분한 방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60066452
이동 통신 단말기, 방수, 방수 부재, 키패드, 키 스킨, 방수 링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케이스 및 프레임을 서로 분리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주요 부품과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위에 키 스킨이 더 구비된 예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1 및 제2 케이스, 그리고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케이스에 형성되는 보스와 프레임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제1 케이스와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체결 부재 70: 키패드 어셈블리
71: 키패드 73, 77: 가장 자리
75: 키 스킨 80: 디스플레이
85: 윈도우 90: 방수링
100: 제1 케이스 200: 프레임
201: 측벽 203: 플랜지
210: 제1 룸 220: 제2 룸
240: 개구부 250: 구획 부재
251, 253: 홈 280: 배터리 커버
285: 방수 링 300: 제2 케이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서로 조립된 케이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단말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및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MP3 파일 등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과 디지털 사진 및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그리고 라디오 및 화상 방송 수신 기능까지 결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점점 더 많아지고 복잡해져 가고 있다.
이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휴대성의 측면 또한 매우 중요하게 대두 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이 많아지고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점점 더 소형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서로 조립되는 두 개의 피스(piece)를 포함하며, 조립된 케이스의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실수로 단말기를 물에 빠뜨리거나, 음료를 단말기에 쏟거나, 빗속에서 사용하는 등의 경우, 단말기 케이스의 각 피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침투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부품들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조립된 케이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단말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수의 체결 부위와 적은 체결력으로도 충분한 방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을 여러 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각 룸을 독립적으로 방수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 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룸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해당 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가장 자리를 가지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룸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키패드 위에 배치되고, 해당 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가장 자리를 가지는 키 스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룸들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링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한 곳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각 룸을 방수하는 여러 개의 방수 부재들이 끼워져 고정되는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룸을 둘러싸는 측벽; 그리고 상기 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케이스를 상호 밀착시키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룸들 중 어느 하나로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배터리 커버;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구부를 방수시키는 방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을 제1 룸과 제2 룸으로 나누는 구획 부재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제1 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룸을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 룸을 방수하는 가장 자리를 가지는 키패드 어셈블리; 상기 제2 룸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그리고 상기 제2 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룸을 방수하는 방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는, 그 가장 자리가 상기 제1 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룸에 배치된 키패드; 그리고 상기 키패드 위에 배치되고, 그 가장 자리가 상기 제1 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키 스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룸과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룸으로 삽입되는 배터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배터리 커버; 그리고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구부를 방수하는 방수 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제어부(10), 입출력부(20),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30), 그리고 미디어 파일 플레이어(40)가 구비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조립되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 및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 타입의 케이스에 장착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11)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0)를 구성하는 이들 구성 요소들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 기판(Circuit Board)에 실장된다.
상기 입출력부(20)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누름으로써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어셈블리(70), 외부의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23), 신호를 음파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5), 그리고 LCD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80)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30)에는, 상기 입출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정 보 및 신호 또는 제어부(10)의 메모리(11)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미도시)와 외부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송수신 회로(31), 그리고 상기 송수신 회로(31)에서 처리된 전파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외부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공된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30)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외부 장치, 예를 들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파일 플레이어(40)는 상기 제어부(10)의 메모리(11)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예를 들면 MP3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40)에는 MP3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을 처리하는 파일 재생 처리부(41), 상기 파일 재생 처리부(41)에서 처리된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스피커(43), 그리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40)를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키(4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43)로는 상기 입출력부(20)의 스피커(25)가 사용될 수 있겠으나, 좋은 품질의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피커(25)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파일 플레이어(40)를 위한 조작키(45)로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가 사용될 수 있겠으나,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5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는 렌즈(51), 상기 렌즈(51)를 통과한 빛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센서(53), 그리고 상기 광센서(53)에서 처리된 아날 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55)(DSP:digital signal proces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더해, 상기 카메라(50)는 사용자가 자신을 모습을 찍을 때 도움을 주는 반사경(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 촬영에 도움을 주는 플래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50)는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의 뒷면으로 상기 렌즈(51)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제어부(10), 입출력부(20), 이동 통신 신호 처리부(30), 미디어 파일 플레이어(40), 그리고 카메라(50)의 구조 자체는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과 대동 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호 조립되는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제2 케이스(300)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위의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제2 케이스(300)의 경계 부분에 링 형태의 방수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제2 케이스(300)의 경계 부위 전체를 큰 힘으로 눌러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을 둘레를 따라 많은 곳에 체결 보스를 형성하고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큰 체결력으로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를 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이 약해지거나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제2 케이스(300)의 경계 부위 전체가 각 체결 부재에 의해 고르게 가압되지 못하는 경우 누수가 발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특한 방수 구조를 제공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여러 개, 예를 들어 두 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프레임(200)이 구비되며, 각 룸을 독립적으로 방수하는 방수 부재들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0), 제2 케이스(300), 그리고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케이스의 외관은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가 형성하고, 후자의 경우 상기 프레임(200)이 상기 제2 케이스(300)의 역할도 겸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100)와 함께 상기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7는 상기 케이스가 제1 케이스(100), 제2 케이스(300), 그리고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9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전자에 대해 도 2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참고로, 미설명한 도 4는 도 3의 케이스 및 프레임을 서로 분리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주요 부품과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개 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제1 및 제2 케이스, 그리고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0)는 바타입으로 형성된 케이스의 위쪽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케이스(100)에는 디스플레이(80)를 위한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0)에는 투명한 윈도우(85)가 제공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케이스(100)에는 상기 개구부(110)를 둘러싸도록 턱이 형성되고 상기 턱 위에 상기 윈도우(85)의 가장 자리가 안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방수 능력이 좋은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윈도우(85)의 가장 자리가 상기 제1 케이스(100)의 턱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의해, 상기 윈도우(85)와 상기 개구부(110)의 경계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100)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레임(200)의 바닥은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저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200)의 바닥에서 연장된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은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측벽 안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200)의 바닥, 측벽(201),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저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단말기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에 의해 형 성되는 공간을 여러 개의 룸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250)가 제공된다. 상기 구획 부재(250)는 상기 프레임(200)의 바닥과 상기 측벽(201)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간을 서로 독립된 여러 개의 룸으로 나눈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구획 부재(250)가 상기 공간을 두 개의 룸, 즉 제1 룸(210)과 제2 룸(220)으로 나누도록 제공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룸(210)에는, 예를 들어, 키패드 어셈블리(70)와 배터리(6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룸(220)에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8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와 상기 배터리(6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80)가 각각 제1 룸(210)과 제2 룸(220)에 배치되더라도, 이들 룸에는 각각 여유 공간 "A" 및 "B"가 형성된다.
이들 여유 공간 "A" 및 "B"에는 단말기에 장착되는 각종 다른 부품들이 배치된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획 부재(250)에는 상기 제1 룸(210)과 제2 룸(220)에 각각 설치된 부품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나 케이블 등의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각 룸, 즉 상기 제1 룸(210)과 상기 제2 룸(220)은 방수 부재에 의해 독립적으로 방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룸(210)은 방수 부재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에 의해 방수되고, 상기 제2 룸(220)은 방수 부재로서 제공되는 방수 링(90)에 의해 방수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방수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키패드(71)의 가장 자리(73)가 방수 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키패드(71)는 예를 들어 돔 형태의 스위치가 다수 형성된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패드(71)는 상기 제1 룸(210)에 배치되며, 상기 돔 형태의 스위치는 상기 제1 케이스(10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노출된다. 물론, 상기 개구부에는 별도의 버튼이 설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버튼이 상기 키패드(71)의 돔 스위치를 누르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수의 돔 스위치가 형성된 키패드(71)의 가장 자리(73)는 상기 키패드(71)가 상기 제1 룸(210)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 룸(2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상호 밀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 사이에 끼이게 된다.
여기서, 연성 회로 기판으로 형성된 키패드(71)와 그 가장 자리(73)는 예를 들어 방수성이 있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룸(210)은 상기 키패드(71)와 그 가장 자리(73)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므로, 상기 제1 룸(210)으로의 물의 침투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방수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키패드(71)의 가장 자리(7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연장되게 형성된 후 상기 프레임(200)의 구획 부재(250) 및 측벽(201)의 상면에 형성된 홈(251)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저면에서 돌기(120)가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상호 밀착되었을 때 상기 돌기(120)가 상기 홈(251)에 끼워진 상기 키패드(71)의 가장 자리(73)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면, 방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는 키패드(71)와 키 스킨(75)(key skin)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위에 키 스킨이 더 구비된 예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키패드(71)는 상기 제1 룸(2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키 스킨(75)이 상기 키패드(71)의 위에 배치되어 방수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키 스킨(75)은 방수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100)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다.
상기 키 스킨(75)의 가장 자리(77)는 상기 키 스킨(75)이 상기 키패드(71) 위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 룸(2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상호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의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면, 상기 제1 룸(210)은 상기 키 스킨(75)과 그 가장 자리(77)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므로 상기 제1 룸(210)으로의 물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과 구획 부재의 상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 스킨(75)에서 아래로 연장된 상기 키 스킨(75)의 가장 자리(77)가 상기 홈에 끼워진 후, 상기 제1 케이스(100)에서 아래로 연장된 돌기가 상기 키 스킨(75)의 가장 자리(77)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수 부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링(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방수 링(90)은 연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룸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상기 제2 룸(2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방수 링(90)은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상호 밀착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사이에 끼임으로써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의 경계 부분을 통한 상기 제2 룸(220)으로의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방수 성능이 향상되도록,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과 구획 부재(250)의 상면에는 홈(253)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 링(90)이 상기 홈(253)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제1 케이스(100)에 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이 서로 밀착되었을 때 상기 돌기(130)가 상기 홈(253)에 끼워진 상기 방수 링(90)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방수 링(9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0) 및 상기 프레임(200)과 별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만은 않는 다. 다른 예로, 상기 방수 링(90)은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 링(9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케이스(100) 또는 상기 프레임(200)은 이중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방수 링(90)은 상기 제1 케이스(100)의 돌기(130)가 형성된 부분에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프레임(200)의 홈(253) 내부에 상기 프레임(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수 링(9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케이스(100) 및 프레임(200)에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와 상기 방수 링(90)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룸(210)을 방수하고, 상기 방수 링(90)은 상기 제2 룸(220)을 방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60)는 상기 제1 룸(210) 내에 수용된다. 상기 배터리(6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40)가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280)가 상기 개구부(2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제2 케이스(300)의 측벽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커버(280)를 위해 일부가 절개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60)를 위한 개구부(240)는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룸(210)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240)를 통해 상기 제1 룸(210) 내의 배터리(60)를 외부로 인출하거나 외부의 배터리(60)를 상기 제1 룸(21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40)를 통해 물이 상기 제1 룸(2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280)와 상기 프레임(200) 사이에는 방수 링(285)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 링(285)은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커버(28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커버(280)가 상기 개구부(240)를 닫았을 때 상기 배터리 커버(280)와 상기 프레임(20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제1 룸(210)으로의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른 예로, 상기 방수 링(285)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200)의 개구부(24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케이스(3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아래에 상기 프레임(2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케이스(100)와 결합한다. 상기 제2 케이스(30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1)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과 견고하게 결합하며,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제1 케이스(100)는 상호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가 체결 부재(1)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기 전에, 다수의 후크에 의해 먼저 가조립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 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제2 케이스(300)에 후크(140)와 홈(3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0)에 상기 후크(140)와 홈(310)에 각각 대응하는 홈 또는 홀(230)과 후크(260)가 형성된 후, 이들이 서로 끼워져 맞추어짐으로써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이 가조립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은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측벽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부재(1)가 상기 제2 케이스(300)와 제1 케이스(100)를 상호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측벽 안쪽 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01, 10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1)가 상기 보스(101, 103)들에 결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 외면에는 상기 보스(101, 301)를 수용하는 함몰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100), 프레임(200),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300) 없이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에는 이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좀더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안쪽에 배치되어 룸을 둘 러싸는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 외면에서 플랜지(203)가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203)는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측벽의 하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측면 하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1)가 상기 플랜지(203)와 상기 제1 케이스(100)를 함께 체결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피커나 마이크 등을 위한 개구부들에는 연질의 박막이 방수를 위해 상기 개구부들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각 피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한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물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경계 부분, 또는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상기 프레임(200)의 플랜지(203)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약간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이들 경계 부분을 통해 유입되더라도, 상기 물은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에 막혀 각 룸에 실장되어 있는 부품들에 곧바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이 상기 경계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계 부분을 통해 유입된 물이 곧바로 상기 측벽(201)을 넘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물의 유입량이 많아지더라도, 상기 프레임(200)의 측벽(201)까지 침투한 물은,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제1 케이스(100) 사이에 개재된 방수 부재들, 즉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의 가장 자리(73)와 상기 방수 링(90)을 통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물은 각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각 룸들에 유입되지 못하며, 따라서 침수에 의한 단말기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는, 상기 프레임(200)과 상기 구획 부재(250)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여러 개의 작은 룸으로 구획하고,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70)와 상기 방수 링(90)이 각 룸을 독립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의 둘레 전체에 방수 부재가 설치될 때보다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적은 체결 개소에서 적은 체결력으로 케이스의 각 피스들을 체결하더라도 우수한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케이스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조립된 케이스들의 경계 부분을 통해 물이 단말기 내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체결 부위와 적은 체결력으로도 충분한 방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을 제1 룸 및 제2 룸으로 나누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1 룸을 둘러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제1 룸을 방수시키는 가장 자리를 포함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상기 제2 룸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룸을 방수시키는 방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링은,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한 곳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제1 룸을 방수시키는 키패드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룸을 방수시키는 방수 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룸을 둘러싸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케이스를 상호 밀착시키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룸 중에서 어느 하나의 룸으로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구부를 방수시키는 방수 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60066452A 2006-07-14 2006-07-14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18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452A KR101186608B1 (ko) 2006-07-14 2006-07-14 이동 통신 단말기
TW096122155A TWI406628B (zh) 2006-07-14 2007-06-20 行動電話
US11/777,086 US7869839B2 (en) 2006-07-14 2007-07-12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452A KR101186608B1 (ko) 2006-07-14 2006-07-14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004A KR20080007004A (ko) 2008-01-17
KR101186608B1 true KR101186608B1 (ko) 2012-09-27

Family

ID=3894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452A KR101186608B1 (ko) 2006-07-14 2006-07-14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69839B2 (ko)
KR (1) KR101186608B1 (ko)
TW (1) TWI406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4B1 (ko) * 2008-06-25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563366B1 (ko) * 2009-02-04 201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US20100298025A1 (en) * 2009-05-19 2010-11-25 Cezar Spence Waterproof cell phone
JP2010273213A (ja) * 2009-05-22 2010-12-02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27052B1 (ko) * 2009-07-14 2011-04-11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CN102144383B (zh) * 2009-09-17 2013-09-0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通讯设备
US8625290B2 (en) 2009-10-15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US8442254B2 (en) * 2010-04-19 2013-05-14 Apple Inc. Audio port configuration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s
US8704904B2 (en) 2011-12-23 2014-04-22 H4 Engineering, Inc. Portable system for high quality video recording
CN103188902A (zh) * 2011-12-29 2013-07-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壳体
JP5833452B2 (ja) * 2012-01-05 2015-12-16 京セラ株式会社 防水型電子機器
EP2820837A4 (en) 2012-03-01 2016-03-09 H4 E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RECORDING
CA2866131A1 (en) * 2012-03-02 2013-06-09 H4 Engineering, Inc. Multifunction automatic video recording device
JP2013201742A (ja) * 2012-03-23 2013-10-03 Hzo Inc ポートレス電子装置
KR102133158B1 (ko) 2012-08-10 2020-07-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US8958857B1 (en) 2013-07-31 2015-02-17 Fellowes, Inc.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400527B2 (en) * 2013-09-25 2016-07-26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chassis
CN104812183A (zh) * 2014-01-24 2015-07-29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9680515B2 (en) * 2014-07-11 2017-06-1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Mobile device case and armband with fluid chamber
CN104936109B (zh) * 2015-06-23 2019-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微型扬声器
KR101805535B1 (ko) 2016-04-22 2017-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70939B1 (ko) * 2017-07-19 2018-06-25 방승원 방수 방진 기능을 갖는 분리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102642314B1 (ko) * 2018-12-06 202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구조를 갖는 전자장치
CN111107203B (zh) * 2019-12-30 2021-04-27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957A (ja) 2003-03-28 2004-10-21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244784A (ja) 2004-02-27 2005-09-0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通信端末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4924U (en) * 1999-08-30 2001-03-01 Jou Jin Wen Improved position structure of push-button for keyboard
US6483719B1 (en) * 2000-03-21 2002-11-19 Spraylat Corporation Conforming shielded form for electronic component assemblies
US6467683B2 (en) * 2000-11-29 2002-10-22 Silitek Corporation Waterproof keyboard
US7251512B2 (en) * 2002-05-13 2007-07-31 Nec Corporation Water-proof collapsible cellular terminal apparatus
US20060075509A1 (en) * 2003-05-22 2006-04-06 Jakob Kishon Data storage protection device
US7351928B2 (en) * 2005-06-10 2008-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ey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957A (ja) 2003-03-28 2004-10-21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244784A (ja) 2004-02-27 2005-09-0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通信端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5000A1 (en) 2008-01-17
TWI406628B (zh) 2013-08-21
US7869839B2 (en) 2011-01-11
KR20080007004A (ko) 2008-01-17
TW200816899A (en) 2008-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60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US7920904B2 (en) Mobile terminal
KR101659023B1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7400910B2 (en) Speaker sound enhancement for a mobile terminal
JP4271668B2 (ja) 電気音響変換器の取付構造
KR101536859B1 (ko) 휴대형 전자 기기 및 휴대형 전자 기기의 방수 방법
US20110069855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743005B1 (ko) 휴대 단말 장치
KR101978211B1 (ko) 이동단말기
US803641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ool
JPH0491542A (ja) 指向性マイクモジュール及び該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話機用ハンドセット
JP2009005113A (ja) カバー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62925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06014196A (ja) 携帯端末装置
JP2917864B2 (ja) 携帯型電話装置
KR101604801B1 (ko) 휴대 단말기
JP2002271465A (ja) 携帯用電子機器のスピーカ取付け構造
KR20140045117A (ko) 이동 단말기
KR101221900B1 (ko) 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그리고이의 제조 방법
JPH10190794A (ja) 収納ケース
KR100690812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JP2013110464A (ja) 防水型携帯端末
CN115103247A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17579730A (zh) 电子设备
JP2005244784A (ja) 携帯型通信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