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234B1 - 기구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구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234B1
KR100690234B1 KR1020017010862A KR20017010862A KR100690234B1 KR 100690234 B1 KR100690234 B1 KR 100690234B1 KR 1020017010862 A KR1020017010862 A KR 1020017010862A KR 20017010862 A KR20017010862 A KR 20017010862A KR 100690234 B1 KR100690234 B1 KR 100690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ymbol
instrument
curso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398A (ko
Inventor
구트문트 오. 토르게이르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10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appliance)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태 다이어그램을 포함한다. 상태 다이어그램은 기구의 동작 상태들을 표현하는 상태 심볼들을 포함한다. 상태 커서가 제공되며, 상태 다이어그램에 관한 위치를 지시하며, 상태 커서는 사용자 제공 커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재배치될 수 있다. 기구는 기구의 원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에 상태 커서를 네비케이팅(navigating)함으로써 동작될 수 있으며, 기구가 상기 네비게이션에 응답하여 원하는 상태를 채택하는 원인이 된다.
기구, 상태 다이어그램, 상태 심볼, 상태 커서, 상태 다이어그램, 사용자 제공 커서 제어 명령, 네비게이션

Description

기구 동작 방법{Method of operating an appliance}
본 발명은 기구를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가전 기구의 복잡성의 지속적인 증가는 그러한 기구의 사용자들이 그 기능들을 습득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하며, 이들 기능들은 그러한 환경들에서 발동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전자 기구들은 기구 자체 또는 기구의 리모콘 상의 버튼들에 의해 제어된다. 기능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버튼들의 수 또한 증가하고, 이는 기구의 유용성(usability)을 심하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종종, 다수의 기능들이 단일 버튼에 의해 동작되며,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임아웃(time out)을 고려하여, 버튼을 여러번 누르거나, 또는 '시프트(shift)' 버튼을 동시에 누르도록 요구한다. 그 결과, 버튼이 상이한 상황들에서 상이한 효과를 갖고, 또는 또 다른 상황에서는 효과없고 단지 한가지 상황에서만 효과를 갖는다. 이것은 특히, 사용자가 기구에 익숙치 않을 때 사용자를 혼동시킨다.
기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어느 정도 해결하지만 복잡한 메뉴 시스템들 또는 풍부한 그래픽 정보와 같은 새로운 문제들을 야기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한번에 제한된 수의 옵션들만을 보여주고, 기구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 5,648,824호는 리모콘의 다중 방향 액츄에이션 패드(multi-direction actuation pad)의 그래픽 표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기능들이 리모콘 상의 액츄에이션 패드의 대응부분을 누름으로써 동작(activate)될 수 있음을 지시하기 위해서 기구의 기능들을 표현하는 라벨들이 그래픽 표현 근처에 또는 내에 위치된다. 그러한 접근법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기구의 기능성 면에서 매우 제한된 관점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서두에 정의된 타입의 기구 및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제공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태 다이어그램은 기구의 동작 상태들을 표현하는 상태 심볼(state symbol)들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상태 다이어그램에 대한 위치를 지시하는 상태 커서(state curso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운동 방향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공 명령에 응답하여 상태 커서를 기구의 원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로 사용자 동작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기구를 상기 원하는 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사용자는 기구의 원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로 상태 커서를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기구를 제어할 수 있음이 달성된다. 또한, 기구의 기능들의 이해하기 쉬운 개요를 갖는 것이 달성된다. 상태가 예를 들어 특정 기능에 전용으로 상기 기구의 사용자 식별가능 모드로서 간주된다. 비디오 레코더(VCR)에서, 그것은 재생 상태, 일시정지 상태, 기록 상태 등을 식별할 수 있다. TV에서, 그것은 TV 모드, VCR 모드, 텔레텍스트 모드(teletext mode)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상태 심볼이 예를 들어, 표현된 상태를 지시하는 텍스트 라벨(text label)을 지니는 직사각형 또는 상기 상태를 표현하는 그래픽 아이콘 등의 간단한 모양이 될 수 있다. 상태 심볼은 또한 단지 텍스트 라벨만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커서는 예를 들어, 포인터가 될 수 있고, 전체 상태 심볼을 하이라이팅하는 상이하게 컬러링된 에지 또는 상태 심볼 내의 또는 상태 심볼 근처의 부가적인 마커(marker)에 의해 위치되어 상태 심볼을 하이라이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상태 심볼로 상태 커서를 움직이는 것은 기구가 새로운 상태 심볼에 의해 표현되는 상태를 채택하도록 하게 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네방향의 운동 방향을 표현하는 명령들을 발행함으로써, 상태 다이어그램을 통해 상태 커서의 방향을 지시한다. 상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은 리모콘 상의 화살표 버튼들(arrow buttons), 트랙볼(tracker ball), 컴퓨터 마우스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가 상기 동작 상태들 간의 허용가능 변화들(permissible transitions)을 지시하기 위해 변화 지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태 커서의 이동은 상기 허용가능 변화들에 따라서 진행하도록 제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어떠한 허용가능 변화들도 없는 상태로 상태 커서를 잘못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기구로부터 불필요한 에러 메세지들을 피하거나, 기구가 전혀 응답하지 않음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달성된다. 사용자는 기능들이 상이한 상황들에서 야기될 수 있는 이해하기 쉬운 개요를 갖는다는 것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상태들 간의 허용가능 변화가 예를 들어, 하나의 상태 심볼로부터 또 다른 상태 심볼까지를 가리키는 선(line) 또는 화살표(arrow)에 의해 지시되므로, 허용가능 변화의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 허용가능 변화는 통상의 에지를 가지거나 서로 부분적으로 오버래핑(overlapping)하는 상태 심볼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허용불가능 방향(non-permissible direction)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태 커서는 그 현재 위치에 남아 있거나, 디폴트 위치 또는 사용자의 의도를 추측함으로써 결정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는 기구의 동작 상태를 표현하지 않는 중립의 상태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중립 상태 심볼로의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은 기구의 동작에 중립 효과를 갖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중립 상태 심볼은 상태 커서의 이동이 제어된 기구의 상태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가 다양한 기능들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면, 중립 상태 심볼이 그러한 기능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켜서, 상태 커서를 재배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상태 심볼에 대한 각각의 상태 변화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현재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태 심볼로 상기 상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허용가능 상태 변화들의 수가 제어될 수 있는 이동 방향의 수보다 더 클 경우 또는 레이아웃(layout)이 동일한 방향에서 다수의 변화들을 허용할 경우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상태 변화들을 표현하는 다수의 화살표들이 위쪽 방향으로 상태 심볼을 떠날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실제로 변화를 수행하기 전에,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변화의 시작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기구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동일한 상태 심볼로 남아있는 현재 상태 지시기에 의해 시각화(visualize)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는 기구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태 심볼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상태 지시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어된 기구의 현재 상태가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달성된다. 기구의 다수의 기능들이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hard-disk) 기반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재생 및 기록이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면, 상기 기능들의 상태를 지시하는 다수의 현재 상태 지시기들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기구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상태 심볼을 표시하는 현재 상태 지시기는, 예를 들어, 전체 상태 심볼을 하이라이팅하는 상이하게 컬러링된 에지, 또는 상태 심볼 내부 또는 상태 심볼 근처의 부가적인 마커(mark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상태 심볼에 의해 표현된 상태의 하위 상태들을 표현하는 다른 상태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상태 심볼로의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태 심볼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많은 기구들의 동작은 상태들의 계층(hierarchy)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상태는 상기 상태의 문맥 내에서 단지 관련되는 하부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서, 상태들의 넘버가 예를 들어, TV 모드, VCR 모드, 텔레텍스트 모드 등을 포함하는 톱 레벨(top level)에서 식별가능하다. VCR 모드 내에서, 멈춤 상태, 재생 상태, 일시정지 상태 등과 같은 하부 상태들은 식별가능하다. 그러한 하부 상태들을 갖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이 하부 상태들을 표현하는 네스티드(nested) 상태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태 심볼이 상태 심볼로의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상태가 현재 상태가 되자마자 기구의 그 하부 상태들이 상태 다이어그램 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대안으로, 확장은 예를 들어, 리모콘 상의 전용 버튼에 의한 명백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상태 심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상태 심볼들을 숨기기 위해 상기 상태 심볼들을 붕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태가 현재 상태가 되는 것을 중지할 때, 그 관련 상태 심볼은 하부 상태들을 표현하는 심볼들을 보여주는 것을 중지한다. 대안으로, 붕괴는 명백한 사용자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우기 쉬우며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기구의 기능성의 이해하기 쉬운 개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소비자 전자 기구에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들 및 다른 관점들이 이후 기재될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무-제한(non-limited)적인 예의 방법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실시예로서 TV-VCR 조합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스크린 표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스크린 표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실시예로서 TV-VCR 조합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TV 신호들은 안테나(1)에 의한 에더(ether) 또는 대안으로 케이블 네트워크로(cable network)부터 수신된다. TV 신호들 중 하나는 튜너(tuner)(2)에 의해 선택되고, 디코딩되어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할된다. 오디오 신호는 또한 오디오 처리기(3) 및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4)에 의해 처리된다. 비디오 신호는 또한 비디오 처리기(5)에 의해 처리되고 스크린(6) 상에 제시된다. 데이터 신호는 중앙 처리 유닛(이후, "CPU")(8)으로 전송되며, 읽기용 메모리(이후, "ROM")(14)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들을 포함한다. 이들 프로그램 명령들은 사용자 제어 모듈(9), EPG 모듈(10), 및 셋업 모듈(11)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예를 들어, EPG 데이터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가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le memory)(13)에 저장될 수 있다. CPU(8)는 TV-VCR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고, 스크린(6) 상에 제시되는 비디오 처리기(5)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2)이 사용자 명령들, 예를 들어, 리모콘(remote control)을 통해 수신하고, 처리되기 위해 그들을 사용자 제어 모듈(9)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넘버(channel number)에 들어갈 때, CPU(8)은 대응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튜너(2)를 제어하고, 스크린(6) 상에 피드백(feedback)을 제시하기 위해 비디오 처리기(5)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넘버, 채널명(channel name) 및 프로그램 카테고리가 수초동안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TV-VTR 조합(combi)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버튼들을 누름에 부가하여, 사용자는 상태 다이어그램 인터페이스에 의해 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제어 모듈(9)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의 전체 또는 부분 상에 기구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태 다이어그램에 의해 TV-VCR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은 이후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데이터 신호는 예를 들어, 텔레텍스트 디코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TV 신호로부터 디코딩되고, 그 중에서도, 가까운 미래를 위해 스케줄된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공하는 EPG 데이터를 포함한다. EPG 데이터는 타이틀, 시작 시간 및 지속 기간, 채널 넘버, 및 카테고리 정보와 같은 각각의 프로그램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EPG 모듈(10)은 스크린(6) 상에 프로그램 스케줄을 제시하도록 야기한다. 비디오 레코더(15)는 튜너(2)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들을 기록할 수 있고, 그러한 신호들을 재생할 수 있으며, 그들을 오디오 처리기(3) 및 비디오 처리기(5)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레코더(15)는 사용자 입력 유닛(12)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들에 응답하여, CPU(8)로부터 제어 명령들을 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스크린 표현의 예를 도시한다. 상태 다이어그램은 스크린의 한 부분에 영구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또는 리모콘 상의 전용 버튼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것은 겹쳐지는(overlapping) 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반투명(semi-transparent)이 될 수 있다. 명백하게 활성화될 경우, 전체 스크린을 덮을 수 있고, 바람직한 기능의 활성에 응답하여 다시 사라질 수 있다. TV-VTR을 스위칭 온(switching on)하자마자, 그것은 디폴트 TV 상태(201)를 채택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모든 다른 사용자 식별 가능한 상태들이 화살표들로 지시되는 것처럼 야기될 수 있다. 이것은 리모콘 상의 커서 제어 키들을 동작함으로써 달성된다. 대안으로, 커서 제어를 위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임의의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TV 상태(201)에서 '상(up)' 버튼을 누르면, 기구는 사용자 선호들, 채널 맵 등과 같은 초기 설정들을 구축하기 위한 셋업 상태(202)로 들어간다. 셋업 상태(202)는 셋업 상태(202)를 지시하는 단일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것처럼, TV 상태(201)로부터만 단지 도달될 수 있다. 셋업 상태(202)는 또한 셋업 상태(202)를 떠나는 단일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것처럼, 단지 TV 상태(201)만을 경유하여 떠날 수 있다.
만일, TV 상태(201)에서, '하(down)' 버튼이 눌러지면, VCR 상태(203)가 채택되고, TV 상태(201)는 VCR 상태(203)에서 '상'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귀될 수 있다. 유사하게, EPG 상태(204)가 TV 상태(201) 또는 VCR 상태(203) 각각에서 '우(right)' 버튼을 누름으로서 도달될 수 있다. '상' 버튼을 누름으로써 EPG 상태(204)로부터 TV 상태(201)로 그리고, '좌(left)' 버튼을 누름으로써 VCR 상태(203)로 회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프 상태(200)는 '좌' 버튼을 누름으로써 단지 TV 상태(201)로부터만 채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상태(201)에 대해 상태 커서가 상태 심볼들의 비교적 두꺼운 에지(edge)에 의해 지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커서는 또한 기구의 현재 상태를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복잡한 실시예에서, 상태 커서 및 현재 상태 지시기는 이후 기재되는 바와 같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태에 진입시, 관련 상태 심볼은 확장하여 만일 적용가능하다면, 상태의 하부 상태들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VCR 상태(203)는 재생 상태, 일시정지 상태 등과 같은 하부 상태들을 보여주도록 확장할 수 있다. 일례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하부 상태 다이어그램은 원 상태 다이어그램(original state diagram)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원 상태 다이어그램 내에 임베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스티드 방식(nested manner)으로 하부 상태 다이어그램에 관련되지 않은 임의의 상태 심볼들은 줄어들거나 쇠퇴한다.
도 3은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스크린 표현의 일례를 도시하며, 상기 실시예의 TV-VCR 조합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그것은 복수의 변환 심볼들(301), 및 트레이 열림 상태(open tray state)(303), 재생 멈춤 상태(stop play state)(304), 중립 상태(neutral state)(305), 기록 멈춤 상태(stop record state)(306), 느린 재생 상태(slow play state)(307), 일시정지 상태(pause state)(308), 재생 상태(play state)(309) 및 기록 상태(record state)(310)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들을 포함한다. 변화 심볼들(301)은 기구의 상태들 간의 허용가능 변화들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느린 재생 상태(307)와 일시정지 상태(308) 사이에 어떠한 허용가능한 변화도 없다. 예를 들어, 느린 재생 상태(307)와 트레이 열림 상태(303) 사이에 어떠한 허용가능한 변화도 없다. 레코더는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들을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기록(recording) 및 재생(playing back) 할 수 있다. 이것은 두개의 현재 상태 지시기들에 의해 지시되고, 재생 멈춤 상태(304) 및 기록 상태(309)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들을 하이라이팅하는 것(highlighting)을 포함한다. 변화 심볼들(301) 중 하나와 일치하는 상태 커서(302)가 제공된다. 상태 커서(302)는 커서 제어 수단에 의해 재배치될 수 있고, 변화 심볼들(301)의 위치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새로운 상태 심볼로의 재배치는 새로운 상태 심볼이 중립 상태(305)가 아니라면, 기구로 하여금 상태를 변화시키게 한다. 대부분의 상태 심볼들은 다수의 변화 심볼들(301)을 포함한다. 하나의 변화 심볼로부터 같은 상태 심볼 내에 있는 또 다른 심볼로 상태 커서(302)를 재배치하는 것은 기구의 상태에 아무런 효과도 갖지 않지만, 단지 실제적으로 변화를 수행하지 않고, 시작점(starting point)으로서 현재 상태 심볼을 갖는 허용가능 변화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변화는 실제적으로 현재 변화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현재 상태 심볼을 떠남으로써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재생 멈춤 상태(304)에서, '상'을 누르는 것은 트레이 열림 상태(303)를 설정하여, 디스크 트레이가 열리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재생 멈춤 상태(304)에서, '하'를 두번 누르는 것은 재생 상태(309)를 설정하고, 이어서, '하' 및 '상'을 누르는 것은 변화 심볼(301a)을 통해 재생 상태(309)로부터 느린 재생 상태(307)로의 변화를 야기한다. 재생 상태(309)로부터 중립 상태(305)로의 변화가 재생 상태에서의 기록(recorging)을 떠나며, 사용자가 레코더의 기록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기록 상태(310)로부터 중립 상태(305)로의 변화가 기록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상태 다이어그램의 좌측에 플레이백(playback) 기능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만일 허용가능 변화가 어떠한 허용가능한 카운터-변화(counter-transition)도 갖지 않는다면, 상태 커서는 새로운 상태 심볼 내에 미리 결정된 디폴트 변화 심볼 또는 단지 수행된 변화에 가장 근접한 새로운 상태 심볼 내의 변화 심볼 상에 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느린 재생 상태(307)에서, '상'을 누르는 것은 도 3에 지시된 것과 같이, 상태 커서가 도달(land)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변화 심볼의 존재는 기구의 실제 상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커서(302)가 중립 상태(305)에 있고, 기구가 재생하지도 기록하지도 않는다면, 중립 상태(305)로부터 트레이 열림 상태(303)로의 허용가능 변화는 구축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재생 멈춤 상태(304)를 통해 중립(305)으로부터 트레이 열림 상태(303)로 상태 커서(302)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 대신에, 트레이를 직접적으로 열는 것을 허용한다. 더구나, 기구는 상태 변화가 자발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스크의 종단에서, 재생 상태(309)로부터 재생 멈춤 상태(304)로의 변화는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기록이 내부 하드 디스크(internal hard disk) 또는 제거가능 제 2 디스크(removable second disk)에 행해지지 않는다면, 재생 멈춤 상태(304)로부터 트레이 열림 상태(303)로의 변화는 기록 상태(310)로부터 기록 멈춤 상태(306)로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400)에서, 제어된 기구의 상태 다이어그램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들(401 내지 406)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루프에 포함된다. 단계(401)에서, 기구의 현재 상태가 활성 상태들 예를 들어, 이전 예의 중지 재생 상태(304) 및 기록 상태(310)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들을 하이라이팅함으로써 지시된다. 또한, 상태 커서는 현재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다. 초기의 커서 위치는 기구의 디폴트 상태 예를 들어, 재생 멈춤 상태(304)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과 일치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사용자 제공 커서 제어 명령이 수신되고, 좌, 우, 상, 하 4방향 중 한 방향을 지시한다. 단계(403)에서, 사용자 명령이 허용가능 상태 커서 재배치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것이 그 경우가 아니라면, 다음 명령이 단계(402)에서 대기한다. 다시 말해, 새로운 커서 위치가 동일한 상태 심볼 내에 있는 지가 단계(404)에서 결정된다. 만일 그렇다면, 커서는 단계(401)에서 이러한 새 위치로 이동되고, 다음 명령이 단계(402)에서 대기한다. 만일 새 위치가 동일한 상태 심볼 내에 있지 않다면, 새로운 상태 심볼이 중립 상태 심볼인지가 단계(405)에서 결정된다. 만일 그렇다면, 커서는 단계(401)에서 새 위치로 이동되고, 다음 명령이 단계(402)에서 대기한다. 만일 새로운 상태 심볼이 기구의 새로운 상태를 표현한다면, 이 새로운 상태는 단계(406)에서 활성화되고, 그 새로운 상태 및 커서 위치는 단계(401)에서 지시되고, 이어서, 다음 명령이 단계(402)에서 대기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기구를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태 다이어그램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태 다이어그램은 기구의 동작 상태들을 표현하는 상태 심볼들을 포함한다. 상태 커서가 제공되고, 상태 다이어그램에 관한 위치를 지시하며, 상태 커서는 사용자 제공 커서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재배치될 수 있다. 기구는 기구의 원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로 상태 커서를 네비게이팅(navigating)함으로써 동작될 수 있으며, 기구는 상기 네비게이션에 응답하여 원하는 상태를 채택하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되었을지라도, 변형들 및 변경들이 본 발명 개념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에를 들어, 상태 다이어그램은 제어된 기구의 전용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기구의 리모콘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디오 볼륨, 화상 대비(picture contrast) 등의 설정을 포함하는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파라미터 설정 상태(parameter setting state)는 상태 심볼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서, 슬라이더 윈도우(slider window)가 상기 상태 심볼에 들어가는 상태 커서에 응답하여 팝업(pop up)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오디오 볼륨들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더 윈도우 대신에,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포함한다(comprising)'라는 용어는 청구항에서 정의된 것과는 다른 요소들 및 단계들의 존재를 배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몇몇 독특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열거한 장치 청구항에서, 이러한 몇몇 수단들은 하드웨어의 하나 및 같은 아이템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으로의 구매로 저장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상품을 의미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기구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태 다이어그램(state diagram)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은 상기 기구의 동작 상태들을 표현하는 상태 심볼(state symbol)들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에 대한 위치를 지시하는 상태 커서(state curso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운동 방향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공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커서를 상기 기구의 원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로 사용자 동작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기구를 상기 원하는 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들 간의 허용가능한 변화들을 지시하기 위하여 변화 지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은 상기 허용가능 변화들에 따라서 진행하도록 제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동작 상태를 표현하지 않는 중립의 상태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립 상태 심볼로의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은 상기 기구의 상기 동작에 중립 효과를 갖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태 심볼에 관한 각각의 상태 변화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기구의 현재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상태 심볼에 대한 상기 상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태 심볼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상태 지시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태 심볼에 의해 표현된 상태의 하위 상태들을 표현하는 다른 상태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상태 심볼로의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심볼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심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상태 심볼들을 숨기기 위해 상기 상태 심볼들을 붕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구 동작 방법.
  8. 기구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태 다이어그램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태 다이어그램 수단으로서,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은 상기 기구의 동작 상태들을 표현하는 상태 심볼들을 포함하는,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 수단;
    운동 방향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공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기구의 원하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태 심볼로 상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동작가능한 커서 이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는 상기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원하는 상태를 채택하도록 적응되는,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 수단은 상기 동작 상태들 간에 허용가능한 변화들을 지시하기 위한 변화 지시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허용가능한 변화들에 따라서 상기 상태 커서의 상기 이동을 제한하도록 적응되는, 기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 수단은 상기 기구의 동작 상태를 표현하지 않는 중립 상태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적응되어 있고, 상기 중립 상태 심볼로의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이 상기 기구의 상기 동작에 중립 효과를 갖는, 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태 심볼에 관한 각각의 변화 지시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기구의 현재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상태 심볼에 대한 상기 상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더 적응되는, 기구.
  12.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태 심볼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상태 지시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태 지시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구.
  13.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태 심볼에 의해 표현되는 상태의 하부 상태들을 표현하는 다른 상태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 수단은 상기 상태 심볼로의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심볼을 확장하도록 적응되는,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다이어그램 수단은 상기 상태 심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상태 커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상태 심볼들을 숨기기 위해 상기 상태 심볼을 붕괴시키도록 더 적응되는, 기구.
  15.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기구인,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레코더(player/recorder).
  16.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기구인, 텔레비전 수상기.
KR1020017010862A 1999-12-24 2000-12-13 기구 동작 방법 KR100690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4532 1999-12-24
EP99204532.8 199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398A KR20010102398A (ko) 2001-11-15
KR100690234B1 true KR100690234B1 (ko) 2007-03-12

Family

ID=824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62A KR100690234B1 (ko) 1999-12-24 2000-12-13 기구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7966B2 (ko)
EP (1) EP1185918A2 (ko)
JP (1) JP2003518684A (ko)
KR (1) KR100690234B1 (ko)
CN (1) CN1175662C (ko)
WO (1) WO20010485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7908E1 (en) 1991-12-23 2020-03-17 Blanding Hovenweep, Llc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USRE48056E1 (en) 1991-12-23 2020-06-16 Blanding Hovenweep, Llc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US5903454A (en) 1991-12-23 1999-05-11 Hoffberg; Linda Irene Human-factored interface 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US10361802B1 (en) 1999-02-01 2019-07-23 Blanding Hovenweep, Llc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RE46310E1 (en) 1991-12-23 2017-02-14 Blanding Hovenweep, Llc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US6850252B1 (en) 1999-10-05 2005-02-01 Steven M. Hoffberg Intelligent electron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EP1477894A3 (en) * 2003-05-16 2006-10-25 Sap Ag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anipul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R2862469B1 (fr) * 2003-11-14 2006-06-30 Sagem Procede de commande d'un appareil de restitution audio/video via une interface restreinte
CA2631747A1 (en) * 2005-12-02 2007-06-07 Kohler Co. Interactive graphic operator interface panel for switchgear systems
US9251522B2 (en) * 2007-06-22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xel cluster transit monitoring for detecting click fraud
FR2960663B1 (fr) * 2010-06-01 2013-11-01 Alcatel Lucent Gestion d'objets par systeme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WO2015136671A1 (ja) * 2014-03-13 2015-09-1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作業機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379A (ja) * 1985-07-22 1987-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制御装置
JPH078060B2 (ja) * 1989-03-28 1995-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モコン操作型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
JP2743683B2 (ja) * 1991-04-26 1998-04-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JPH0662464A (ja) * 1992-08-10 1994-03-04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3201051B2 (ja) * 1993-02-05 2001-08-20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7284166A (ja) * 1993-03-12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装置
US5623613A (en) * 1994-11-29 1997-04-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programming information
US5589893A (en) * 1994-12-01 1996-12-3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On-screen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receiver
US5517257A (en) 1995-03-28 1996-05-1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ntro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video movie
US6104334A (en) * 1997-12-31 2000-08-15 Eremote, Inc. Portable internet-enabled controller and information browser for consumer devices
US6137539A (en) * 1998-10-09 2000-10-24 Matsh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television status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662C (zh) 2004-11-10
KR20010102398A (ko) 2001-11-15
CN1355987A (zh) 2002-06-26
US6677966B2 (en) 2004-01-13
WO2001048585A3 (en) 2001-12-13
EP1185918A2 (en) 2002-03-13
WO2001048585A2 (en) 2001-07-05
US20010013906A1 (en) 2001-08-16
JP2003518684A (ja)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712B1 (ko)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이용되는장치
US6396523B1 (en)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US952409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7966568B2 (en) Remote control method having GUI func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EP1843342B1 (en) Consumer electroni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100690234B1 (ko) 기구 동작 방법
KR100359835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osd 메뉴 항목의 도움말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KR100833244B1 (ko) 오디오/비쥬얼 데이터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80120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CA2743917C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JP4572696B2 (ja) 制御信号入力システム、制御信号入力方法。
US1182277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with contextual controls
EP1681617B1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US866520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JPH0620523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11127399A (ja) 画像表示装置
KR100608679B1 (ko) 객체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6238279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のリモコン操作ガイド
KR20000050398A (ko)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466796B1 (ko)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JP2000066794A (ja) 情報処理装置、電子アルバム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H05307793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