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741B1 -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741B1
KR100689741B1 KR1020040115082A KR20040115082A KR100689741B1 KR 100689741 B1 KR100689741 B1 KR 100689741B1 KR 1020040115082 A KR1020040115082 A KR 1020040115082A KR 20040115082 A KR20040115082 A KR 20040115082A KR 100689741 B1 KR100689741 B1 KR 10068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memory
tags
contac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810A (ko
Inventor
하시모토시게루
하에노다다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비접촉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IC 태그를 마스터 IC 태그(10)와 슬레이브 IC 태그(21~23)로 구분하는 동시에, 마스터 IC 태그(10)의 메모리(140)의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에 있어서 자 IC 태그 및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의 메모리 구성 정보(각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저장해 두고, 리더 라이터(200)는 마스터 IC 태그(10)를 특정하여 이들 IC 태그를 통합하여 취급한다.

Description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NON-CONTACT IC TAG SYSTEM}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IC 태그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에 기억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링크드리스트형의 체인 방식으로 관리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리더 라이터에 메모리 구성 정보를 갖게 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메모리 구성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IC 태그
110 : 안테나
120 : RF부
120a : 데이터 송수신부
120b : 제어 클록 생성부
120c : 전원 생성부
130 : 논리부
130a : 커맨드 실행부
130c : 커맨드 판정부
140 : 메모리
200 : 리더 라이터
200a : 리더 라이터 팜
200b : RF 모듈
300 : PC
300a : 상위 APL
300b : 미들웨어
300c : 드라이버
본 발명은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비접촉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종래, 점포 내의 여러 가지 제품에 바코드를 부여해 두고, 레지스터 담당자가 바코드 리더로 바코드를 읽어내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이 바코드 대신에 비접촉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이하, 단순히 「IC 태그」라 함)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IC 태그는 정보의 갱신 및 추가를 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체를 일괄 인식할 수 있으므로, 바코드를 대신하는 차세대 개체 인식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IC 태그는 메모리를 내재한 실리콘 칩과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이 메모리 상에 여러 가지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일종의 정보 기억 장치로서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생산에서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라이프 사이클에 있어서의 각 스테이지마다 비밀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구성한 IC 태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플랜트에 배치한 각종 센서에 의한 계측 정보를 IC 태그에 기억시켜, 이 계측 정보를 플랜트 고장 진단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한 플랜트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 1 및 2로 대표되는 것과 같이, 종래의 IC 태그에서는 IC 태그의 사용 용도(배치 장소)에 따라서 IC 태그 내의 메모리 용량을 수시로 바꾸면서,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한 만큼 IC 칩 내의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있었다. 즉, 각 IC 태그 내에 실장된 메모리 용량의 범위 내에서 IC 태그가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충분한 메모리 용량을 각 IC 태그에 실장해야만 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1-30705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4-133596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IC 태그는, 원래는 그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메모리 용량을 바꾼다고 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동일 규격의 것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전체 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IC 태그를 도입하기 위한 비용이 너무나도 크면, 바코드를 이용하는 쪽이 저렴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어떤 특수 용도에 이용하는 IC 태그에 용량이 큰 메모리를 탑재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이러한 IC 태그의 생산 비용은 당연히 커지기 때문에, 시스템에 따라서 IC 태그의 메모리 용량을 바꾸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한편, 이러한 IC 태그는 앞으로 점점 다방면으로 광범하게 이용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큰 데이터량을 취급하는 IC 태그의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와인이나 육류 등의 온습도 이력 관리나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주일 동안의 장기간에 걸쳐 IC 태그 상에 유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IC 태그가 큰 데이터량을 취급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점에서,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어떻게 하여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지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되고있다. 특히, 감시계에 IC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한 과제는 두드러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과제)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비접촉 IC 태그를 이용하 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과 자(自) 마스터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으로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한 IC 칩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의 기억 영역과 데이터 기억 영역을 지니며, 각 슬레이브 IC 태그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으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그 마스터 IC 태그의 메모리 영역과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하고, 각 슬레이브 IC 태그는, 그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영역과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한 IC 칩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의 기억 영역과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는,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더 라이터는,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 중에서 상기 마스터 IC 태그를 선별하는 마스터 IC 태그 선별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더 라이터는,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의 적어도 2개에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하여 저장하는 저장 제어 수단과, 상기 저장 제어 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한 소정의 비접촉 IC 태그로부터 그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갖는 다른 비접촉 IC 태그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판독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으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와, 상기 리더 라이터에 접속되는 상위 장치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더 라이터 또는 상기 상위 장치는,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통합하여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메모리 구성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한 메모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를 하나의 비접촉 IC 태그로서 메모리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은, 각 비접촉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의 개념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에서는 각 IC 태그를 단독의 정보 기억 디바이스로서 취급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IC 태그를 통합함으로써, 넓은 메모리 공간 상에서 큰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급 대상이 되는 복수의 IC 태그를 마스터 IC 태그(10)와 슬레이브 IC 태그(21∼23)로 구분하여, 각 IC 태그가 유지하는 메모리 영역을 통합함으로써 큰 메모리 공간(30)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 중의 메모리 영역(30a)은 마스터 IC 태그(10)의 메모리에 대응하고, 메모리 영역(30b)은 슬레이브 IC 태그(21)의 메모리에 대응하고, 메모리 영역(30c)은 슬레이브 IC 태그(22)의 메모리에 대응하고, 메모리 영역(30d)은 슬레이브 IC 태그(23)의 메모리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IC 태그를 통합하여 취급하기로 한 이유는,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IC 태그를 이용하여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큰 데이터량을 취급할 수 있는 IC 태그의 필요성이 앞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시스템마다 IC 태그의 메모리 용량을 바꾸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IC 태그를 통합하여 취급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IC 태그의 메모리와 메모리 공간상의 메모리 영역과의 대응 관계를 어디에선가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터 IC 태그(10)의 메모리 및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의 메모리의 메모리 구성을 마스터 IC 태그(10)로 관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지만, 마스터 IC 태그(10)의 메모리(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기억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IC 태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IC 태그 시스템은 IC(Integrated Circuit) 태그(100)와, 리더 라이터(200)와, PC(Personal Computer)(300)로 구성된다. 또한, IC 태그(100) 및 리더 라이터(200)는 무선에 의해서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또한, 리더 라이터(200)및 PC(300)는 USB(Universal Serial Bus)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PC(300)는 IC 태그(100)에 대한 명령 등을 생성하여, 그 생성한 명령 등을 리더 라이터(200)를 이용하여 IC 태그(100)에 송신한다. 또한, PC(300)는 IC 태그(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리더 라이터(200)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또한, PC(300)는 상위 APL(Application)(300a), 미들웨어(300b) 및 드라이버(300c)를 갖는다.
상위 APL(300a)는 도시하지 않는 서버 또는 입력 장치 등으로부터 IC 태그(100)의 ID(Identification)나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취득하여, 그 취득한 ID, 패스워드 및 IC 태그(100)에 대한 명령 등을 미들웨어(300b)에 건네 준다. 미들웨어(300b)는 OS(Operating System)와 거의 같은 처리를 하여, 상위 APL(300a) 및 드라이버(300c) 사이에서의 데이터 교환을 한다.
드라이버(300c)는 리더 라이터(200)와의 인터페이스 제어 등을 행한다. 또, 드라이버(300c)는 상위 APL(300a)에서 건네 받는 데이터를 리더 라이터(200)에 송신하고, 리더 라이터(2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미들웨어(300b)를 통해 상위 APL(300a)에 건네 준다.
리더 라이터(200)는 PC(3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명령을 이해하여, IC 태그(100)에 데이터의 기록을 한다. 또한, 리더 라이터(200)는 IC 태그(100)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독출한 데이터를 PC(300)에 송신한다. 한편, 리더 라이터(200)는 리더 라이터 팜(200a) 및 RF 모듈(200b)을 갖는다.
리더 라이터 팜(200a)은 PC(300)와의 인터페이스 제어나, PC(300)로부터 송신되는 명령을 이해하는 처리부이며, 복수의 IC 태그(100) 중에서 마스터 IC 태그(10)를 선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ISO18000의 타입 B 사양으로 규정되는 그룹 셀렉트 커맨드로 특정 어드레스 메모리를 지정함으로써, 복수의 IC 태그(100) 중에서 마스터 IC 태그(10)를 선별한다. RF 모듈(200b)은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IC 태그(100)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이나 판독을 하는 처리부이다.
IC 태그(100)는 CPU, RAM, ROM,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IC 칩과 그것에 접속한 코일형의 안테나로 형성되며, 리더 라이터(200)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해 데이터 교환하는 태그로, 여기서는 마스터 IC 태그(10)와 슬레이브 IC 태그(21∼23)가 포함된다. 여기서, 이 마스터 IC 태그(10)는 자 IC 태그 및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를 메모리 관리상 통합하는 태그이며, 각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메모리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다.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는 메모리 관리상 마스터 IC 태그(10)에 통합 관리되는 일종의 기억 디바이스이다. 한편, 이러한 마스터 IC 태그(10)에 관해서도 독자의 기억 영역을 갖기 때문에 기억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한 IC 태그(1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IC 태그(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IC 태그(100)는 안테나(110)와, RF부(120)와, 논리부(130)와, 메모리(140)를 갖는다.
RF부(120)는 안테나(110)를 이용하여, 리더 라이터(200)와 데이터 통신 등을 하는 처리부이며, 데이터 송수신부(120a)와, 제어 클록 생성부(120b)와, 전원 생성부(120c)를 갖는다.
데이터 송수신부(120a)는 안테나(110)를 이용하여 리더 라이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논리부(130)에 건네 준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120a)는 논리부(13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안테나(110)를 이용하여 리더 라이터(200)에 송신한다.
제어 클록 생성부(120b)는 제어 클록을 생성하여, 그 생성한 제어 클록을 논리부(130)에 공급한다. 전원 생성부(120c)는 안테나(110)를 이용하여, 리더 라이터(200)로부터 송신되는 전자계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전력을 논리부(130) 및 메모리(140)에 공급한다.
논리부(130)는 RF부(120)로부터 건네 받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명령에 따라서, 메모리(140)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하는 처리부이다. 논리부(130)는 커맨드 실행부(130a)와, 커맨드 판정부(130b)를 갖는다.
커맨드 실행부(130a)는 RF부(120)로부터 건네 받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명령 에 기초한 처리를 한다. 한편, RF부(120)로부터 건네 받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명령에는 라이트(WRITE) 커맨드, 리드(READ) 커맨드, 그룹 셀렉트(GROUP SELECT) 커맨드 등이 존재한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과 메모리 영역(140b)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IC 태그(100)가 마스터 IC 태그(10)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을 이용하지만, 슬레이브 IC 태그(21∼23)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을 확보하지 않고 전부 메모리 영역(140b)으로서 이용한다.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은 마스터 IC 태그(10)(자 IC 태그) 및 슬레이브 IC 태그(21∼23)를 이용하여 통합된 메모리 공간을 형성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으로, 구체적으로는, 각 IC 태그(100)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기억한다. 메모리 영역(140b)은 실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에 기억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마스터 IC 태그(10)의 어드레스 0x0000∼0x00FF의 영역(이하 「0x」는 16진수 표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함)이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이며, 이 영역 내에, 자 IC 태그인 마스터 IC 태그(10), 슬레이브 IC 태그(21), 슬레이브 IC 태그(22) 및 슬레이브 IC 태그(23)의 메모리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IC 태그(10)의 식별 정보(이하 「UID」라 함),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0x0080」, 메모리 바이트 수 「0x0080」와, 슬레이브 IC 태그(21)의 UID,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0x0100」, 메모리 바이트 수 「0x0100」와, 슬레이브 IC 태그(22)의 UID,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0x0200」, 메모리 바이트 수 「0x0100」와, 슬레이브 IC 태그(23)의 UID,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0x0300」, 메모리 바이트 수 「0x0100」가 저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더 라이터(200)가, 이러한 마스터 IC 태그(10)의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취득하면, 마스터 IC 태그(10)에는 3개의 슬레이브 IC 태그(21∼23)가 종속하고 있어, 각각의 UID, 선두어드레스, 메모리 바이트 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메모리 공간 상의 복수의 태그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더 라이터(200)는 데이터를 저장한 소정의 IC 태그(100)로부터 그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갖는 다른 IC 태그(10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중복 보존 정보를 마스터 IC 태그(10)와 슬레이브 IC 태그(21)에 보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스터 IC 태그(10)로부터 그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갖는 슬레이브 IC 태그(21)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이상한 경우 이외에는 마스터 IC 태그(10)를 우선하여 액세스하면 족하기 때문에, 액세스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메모리 데이터의 중복 보존 정보를 보존하는 IC 태그를 선택하는 전용 커맨드를 준비함으로써, 상기 중복 보존 정보를 효율적으로 IC 태그(100)에 보존할 수 있 다. 이러한 전용 커맨드로서 ISO18000의 타입 B 사양으로 규정되는 그룹 셀렉트 커맨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IC 태그를 마스터 IC 태그(10)와 슬레이브 IC 태그(21∼23)로 구분하는 동시에, 마스터 IC 태그(10)의 메모리(140)의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에 있어서 자 IC 태그 및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의 메모리 구성 정보(각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저장해 두고, 리더 라이터(200)는 마스터 IC 태그(10)를 특정하여 이들 IC 태그를 통합하여 취급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일련의 설명에서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21∼23)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마스터 IC 태그(10) 측에서 일괄 관리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링크드리스트형의 체인 방식으로 이들을 실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링크드리스트형의 체인 방식으로 관리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마스터 IC 태그(10)와 슬레이브 IC 태그(21∼23)에서 분산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IC 태그(10)는 메모리 영역이 연접하는 슬레이브 IC 태그(21)의 메모리 구성 정보(태그 ID,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만을 유지하고, 슬레이브 IC 태그(21)는 메모리 영역이 연접하는 슬레이브 IC 태그(22)의 메모리 구성 정보(태그 ID,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유지하고, 슬레이브 IC 태그(22)는 메모리 영역이 연접하는 슬레이브 IC 태그(23)의 메모리 구성 정보(태그 ID,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유지한다. 한편, 슬레이브 IC 태그(23)는 링크 종단의 태그이기 때문에, 그 메모리 구성 정보의 다음 태그의 UID의 란에 「EOT(End of Tag)」를 저장시킨다.
이와 같이, 모든 IC 태그(100)에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을 두어, 이 IC 태그(100)의 메모리 구성 관리 영역(140a) 내에 메모리 영역이 연접하는 IC 태그(100)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IC 태그(100) 측에 메모리 구성 정보를 갖게 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리더 라이터(400) 또는 PC(300) 측에 메모리 구성 정보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리더 라이터(400)에 메모리 구성 정보를 갖게 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메모리 구성 정보 테이블(400c)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 테이블(400c)을 리더 라이터(400)의 리더 라이터 팜(400a)에 부여하여, 이 리더 라이터 팜(400a)이 IC 태그에의 기록 및 판독을 할 때에 메모리 구성 정보 테이블(400c)을 참조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든 IC 태그(100)를 동렬의 기억 디바이스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메모리 구성 정보 테이블(400c)은 도 4에 도시한 마스터 IC 태그(10)가 유지 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와 같은 것이다.
한편, 상기 일련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IC 태그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비접촉형의 IC 카드를 이용한 경우도 거의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 의미에서, 상기 IC 태그에는 IC 카드의 개념도 포함된다.
(부기 1)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과 자 마스터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으로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2)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한 IC 칩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의 기억 영역과 데이터 기억 영역을 지니고, 각 슬레이브 IC 태그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3)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4)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그 마스터 IC 태그의 메모리 영역과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하고, 각 슬레이브 IC 태그는, 그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영역과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5)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한 IC 칩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의 기억 영역과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6)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는,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또는 5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7) 상기 리더 라이터는,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 중에서 상기 마스터 IC 태그를 선별하는 마스터 IC 태그 선별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8) 상기 마스터 IC 태그 선별 수단은, ISO18000의 타입 B 사양으로 규정되는 그룹 셀렉트 커맨드로 특정 어드레스 메모리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 중에서 상기 마스터 IC 태그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9) 상기 리더 라이터는,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의 적어도 2개에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하여 저장하는 저장 제어 수단과, 상기 저장 제어 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한 소정의 비접촉 IC 태그로부터 그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갖는 다른 비접촉 IC 태그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판독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10) 상기 저장 제어 수단은, 상기 마스터 IC 태그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의 적어도 하나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하여 저장하고, 상기 독출 제어 수단은, 상기 마스터 IC 태그로부터 그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갖는 슬레이브 IC 태그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11)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와, 상기 리더 라이터에 접속되는 상위 장치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더 라이터 또는 상기 상위 장치는,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통합하여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메모리 구성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한 메모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를 하나의 비접촉 IC 태그로서 메모리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부기 12)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은, 각 비접촉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한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은,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를,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형성하고, 마스터 IC 태그에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과 자 마스터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으로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대량 생산되는 저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은 비접촉 IC 태그를 이용하면서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Claims (10)

  1.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과 자(自) 마스터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으로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한 IC 칩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의 기억 영역과 데이터 기억 영역을 지니며, 각 슬레이브 IC 태그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는 각 슬레이브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4.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복수의 슬레이브 IC 태그와 마스터 IC 태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터 IC 태그는 그 마스터 IC 태그의 메모리 영역과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하고, 각 슬레이브 IC 태그는 그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영역과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메모리 구성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는 고쳐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탑재한 IC 칩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상에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의 기억 영역과 데이터 기억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는 제휴하는 슬레이브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7.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라이터 는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 중에서 상기 마스터 IC 태그를 선별하는 마스터 IC 태그 선별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8.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라이터는 상기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의 적어도 2개에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하여 저장하는 저장 제어 수단과, 상기 저장 제어 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한 소정의 비접촉 IC 태그로부터 그 데이터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갖는 다른 비접촉 IC 태그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독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9. 각각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지니고 소정의 데이터량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춘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와, 각 비접촉 IC 태그에 대하여 무선을 통한 동작 지시를 하는 리더 라이터와, 상기 리더 라이터에 접속되는 상위 장치로 이루어지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더 라이터 또는 상기 상위 장치는,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의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통합하여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메모리 구성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한 메모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접촉 IC 태그를 하나의 비접촉 IC 태그로서 메모리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 기억 수단은 각 비접촉 IC 태그의 식별 정보, 메모리 선두 어드레스 및 메모리 바이트 수를 상기 메모리 구성 정보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KR1020040115082A 2004-07-07 2004-12-29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KR100689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1129A JP2006023962A (ja) 2004-07-07 2004-07-07 非接触icタグシステム
JPJP-P-2004-00201129 2004-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810A KR20060003810A (ko) 2006-01-11
KR100689741B1 true KR100689741B1 (ko) 2007-03-09

Family

ID=3505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082A KR100689741B1 (ko) 2004-07-07 2004-12-29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45458B2 (ko)
EP (1) EP1615162B1 (ko)
JP (1) JP2006023962A (ko)
KR (1) KR100689741B1 (ko)
CN (1) CN100407229C (ko)
DE (1) DE602004020204D1 (ko)
TW (1) TWI2716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1455B2 (en) 2005-03-22 2008-10-07 Amo Manufacturing Usa, Llc Pupilometer for pupil center drift and pupil size measurements at differing viewing distances
JP2006065538A (ja) * 2004-08-26 2006-03-09 Fujitsu Ltd 無線タグシステム、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装置、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タグ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無線タグ
EP1785790B1 (de) * 2005-11-11 2008-07-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icherprogrammierbare Steuerung mit einer RFID
EP1816845B1 (de) * 2006-02-06 2020-03-04 Swisscom AG Verfahren und System zur ortsabhängigen Vergebührung von Dienstleistungen
JP4952169B2 (ja) 2006-09-26 2012-06-1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アクティブ型非接触情報記憶装置
US20090128291A1 (en) * 2007-11-19 2009-05-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rfid communication during device assembly
JP5266762B2 (ja) * 2008-01-11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情報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EP2109067A1 (en) * 2008-04-10 2009-10-14 Alcatel Lucent Multi-tag RFID chip to deliver adapted data of a bearer
KR100873384B1 (ko) * 2008-07-14 2008-12-10 주식회사 유타렉스 다중 rfid 리더의 제어방법
EP2221822A1 (fr) * 2009-02-23 2010-08-25 Gemalto SA Procédé de sélection d'une taille de mémoire disponible d'un circuit comprenant au moins un processeur et une mémoire, programme et carte à puces correspondants
CN102741865B (zh) * 2009-11-30 2016-04-06 康宁股份有限公司 Rfid状况锁存
KR101268542B1 (ko) * 2009-12-21 201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74452A1 (en) * 2011-04-26 2012-11-01 Aravind Chamarti Radio frequency (rf)-enabled latches and related components,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US9165232B2 (en) 2012-05-14 2015-10-20 Corning Incorporate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to-tag autoconnect discovery, and related methods, circuits, and systems
JP6098260B2 (ja) * 2013-03-19 2017-03-22 オムロン株式会社 Rfidシステム、交信装置および交信プログラム
US10262118B2 (en) * 2015-01-06 2019-04-16 Robert Antonius Adrianus Van Overbrugg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digital content
CN105511989A (zh) * 2015-11-25 2016-04-20 苏州创智芯电子科技有限公司 多读写器共用总线过热冗余自动切换的系统
JP6730135B2 (ja) * 2016-08-25 2020-07-29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送電装置、受電装置、給電システム及び送電方法
FR3095562B1 (fr) * 2019-04-25 2021-06-11 St Microelectronics Rousset Echange de données au sein d’un transpondeur dynamique et transpondeur corresponda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2535A (en) * 1982-04-05 1985-12-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f-configuring digital processor system with global system
US5565858A (en) * 1994-09-14 1996-10-15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Electronic inventory system for stacked containers
JPH1097599A (ja) * 1996-09-24 1998-04-14 Hitachi Ltd Icカード用携帯端末装置
ATE199050T1 (de) * 1996-11-29 2001-02-15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Stecker aus gestapelten teilsteckern für chipkarten
JPH11129659A (ja) * 1997-10-31 1999-05-18 Konica Corp Idカード及びid冊子
EP1079324A1 (fr) * 1999-08-25 2001-02-28 Smartdata SA Appareil électronique comprenant un groupe de cartes à puces
JP4113328B2 (ja) 1999-12-28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非接触icタグ、およびアクセス方法
AU5252101A (en) * 2000-04-28 2001-11-12 Hi-G-Tek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communication
JP3674525B2 (ja) * 2001-03-23 2005-07-20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id装置
JP4655416B2 (ja) 2001-06-13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蓄積装置、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3815337B2 (ja) * 2002-01-28 2006-08-30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非接触式icカード
JP2003242469A (ja) 2002-02-21 2003-08-29 Daishowa Seiki Co Ltd 情報保持体
DE10227558A1 (de) * 2002-06-20 2004-01-15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zum Datenaustausch zwischen mindestens zwei kontaktlosen Datenträgern
JP2004133596A (ja) 2002-10-09 2004-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
US6927688B2 (en) * 2003-04-02 2005-08-09 Caci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from inside of a sealed shipping container using impulse radio wireless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20204D1 (de) 2009-05-07
KR20060003810A (ko) 2006-01-11
EP1615162A1 (en) 2006-01-11
TW200602988A (en) 2006-01-16
EP1615162B1 (en) 2009-03-25
TWI271658B (en) 2007-01-21
US20060006242A1 (en) 2006-01-12
CN1719459A (zh) 2006-01-11
US7145458B2 (en) 2006-12-05
CN100407229C (zh) 2008-07-30
JP2006023962A (ja)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741B1 (ko) 비접촉 ic 태그 시스템
EP2097838B1 (en) A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rfid transponder
JP2005538454A (ja) Rfidタグにおいて情報を格納および配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8362881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as well as a transponder, a read/write-devic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a program element and such a program element adapted to perform this method
US20070222596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Tag
CN101438331A (zh) 将dac输出与输入信号进行比较以选择性执行一个动作的rf装置
KR20060086724A (ko) Rfid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35796A1 (en) Ic car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c card issu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7011838A (ja) Rfid式情報管理システム
EP2128803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dium processing system
Su et al. On the creation of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infrastructure via RFID
US200602739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parameters of a field st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5078639B2 (ja) Ic製品管理システム
US201501614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pply of power to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KR20070030417A (ko) Rfid 유무선 시스템
US9557934B2 (en) IC car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5481464B2 (ja) 通信媒体及び通信媒体処理装置
JP4811030B2 (ja) 読み取り結果視認が可能な無線タグ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91119B2 (ja) 通信システム、icカード、icカードの処理プログラム、外部機器、及び通信方法
JP2011107894A (ja) Rfidシステム及びアンチコリジョン処理方法
CN113283563A (zh) 物品标签
KR101830376B1 (ko) 무전지 센서 태그 및 그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2017100846A (ja) 部品管理システム
JP4746940B2 (ja) Rfidタグリーダ制御装置及びrfidタグリーダ制御プログラム
JP2005346132A (ja) Icタグ管理システム、icタグリーダ/ライタ装置およびicタグ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