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036B1 - 광학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036B1
KR100689036B1 KR1020050072849A KR20050072849A KR100689036B1 KR 100689036 B1 KR100689036 B1 KR 100689036B1 KR 1020050072849 A KR1020050072849 A KR 1020050072849A KR 20050072849 A KR20050072849 A KR 20050072849A KR 100689036 B1 KR100689036 B1 KR 10068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sub
unit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313A (ko
Inventor
조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0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할 생성하여 이들 이미지 광을 투사하는 이미지 생성 유닛; 상기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분리 배치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에서 투사된 부화면 이미지 광의 출사 경로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측으로 변경하는 경로 변경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PIP, POP 등의 분할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리된 디스플레이 유닛 예컨데, 스크린 상에 각각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화면의 산만함과 혼란스러움의 단점을 극복하고 각각 독립된 화면 이미지들로 시청이 가능하다.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주화면, 부화면, PIP, POP

Description

광학 프로젝션 장치{OPTICAL PROJECTION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광학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 프로젝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 광학 프로젝션 장치의 반사경 장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미지 생성 유닛 110 : 렌즈부
210 :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220 :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300 : 경로 변경 유닛 310 : 반사경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나 프로젝션(Projection) TV와 같은 광학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PIP, POP 등의 분할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리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광학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Projector)나 프로젝션(Projection) TV와 같은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소형의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예컨대, 스크린과 같은 투사면에 확대 투사하는 기기이며,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등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광학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이미지 생성 유닛, 20은 디스플레이 유닛이다.
이미지 생성 유닛(10)은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를 분할 생성하여 렌즈부(11)를 통해 이 이미지 광을 투사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가 동일한 공간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된 스크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이미지 생성 유닛(10)에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를 각각 분할 생성하여 이들 이미지 광을 렌즈부(11)를 통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20) 예컨대, 스크린 상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프로젝션 장치로 주화면과 부화면의 이미지(A, B)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PIP, POP 등의 분할된 다수의 화면이 하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시청할 때 화면의 산만함과 혼란스러움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PIP, POP 등의 분할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리된 디스플레이 유닛 예컨데, 스크린 상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광학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할 생성하여 이들 이미지 광을 투사하는 이미지 생성 유닛; 상기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분리 배치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에서 투사된 부화면 이미지 광의 출사 경로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측으로 변경하는 경로 변경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에서 생성된 부화면 이미지를 좌우 역전시키는 이미지 역전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로 변경 유닛은 상기 부화면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반사경이다.
또한, 상기 반사경은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의 렌즈부에 탈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광학 프로젝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 광학 프로젝션 장치의 반사경 장착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이미지 생성 유닛, 21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220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300은 경로 변경 유닛이다.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100)은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를 분할 생성하여 렌즈부(110)를 통해 이들 이미지 광을 투사한다. 상기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에 의한 화면 분할 표시가 가능한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2004-061251의 "프로젝터의 트윈픽쳐 처리장치"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미지 생성 유닛(100)은 부화면 이미지(B)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에 좌우로 역전되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렌즈부(110)를 통해 투사되기 이전에 부화면 이미지(B)를 미리 좌우로 역전시키는 이미지 역전 유닛(미도시) 예컨대, 역전용 반사경을 내부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10, 220)은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분리 배치된 스크린이다. 제 1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주화면 이미지(A)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으로 렌즈부(110)의 방향과 동일한 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부화면 이미지(B)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으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210)과는 다른 방향으로 분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제 1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경로 변경 유닛(300)은 이미지 생성 유닛(100)에서 투사된 부화면 이 미지(B) 광의 출사 경로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 측으로 변경하기 위해 부화면 이미지(B) 광의 광 경로 상에 소정의 각도(θ)로 배치된 반사경(310)이다. 소정 각도(θ)에 의해 부화면 이미지(B) 광의 출사 경로가 결정되며, 바람직한 θ 각도는 45°이다.
상기 반사경(310)은 이미지 생성 유닛(100)의 렌즈부(110)에 θ 각도로 탈착 가능하다. 여기서 반사경(310)의 탈착 구조는 도시되지 않은 걸림구, 접착부재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광학 프로젝션 장치는, 이미지 생성 유닛(100)에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를 각각 분할 생성하여 이들 이미지 광을 렌즈부(110)를 통해 투사한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생성 유닛(100)에서 투사된 주화면 이미지(A)는 이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이미지 생성 유닛(100)에서 투사된 부화면 이미지(B)는 이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경로 변경 유닛(300), 즉 반사경(310)에 의해 출사 경로가 변경되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이미지 생성 유닛(100)에서 생성된 부화면 이미지(B)는 이미지 역전 유닛 예컨대, 역전용 내부 반사경에 의해 이미지가 좌우 역전되어 렌즈부(110)를 통해 투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투사된 역전 이미지는 경로 변경 유닛(300), 예컨대 외부 반사경(310)에 의해 다시 역전되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에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경로 변경 유닛(300) 예컨대, 반사경(310)은 이미지 생성 유닛(100)의 렌즈 부(110)에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를 동일 또는 분리된 스크린 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반사경(310)을 렌즈부(110)에 장착할 경우 주화면 이미지(A)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되며, 부화면 이미지(B)는 반사경(310)에 의해 출사 경로가 변경되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220)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반사경(310)을 렌즈부(110)에서 이탈시킬 경우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는 동일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PIP, POP 등의 분할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A, B)를 분리된 디스플레이 유닛(210, 220) 예컨대, 스크린 상에 각각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화면의 산만함과 혼란스러움의 단점을 극복하고 각각 독립된 화면 이미지들로 시청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PIP, POP 등의 분할된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리된 디스플레이 유닛 예컨대, 스크린 상에 각각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화면의 산만함과 혼란스러움의 단점을 극복하고 각각 독립된 화면 이미지들로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주화면과 부화면 이미지를 분할 생성하여 이들 이미지 광을 투사하는 이미지 생성 유닛;
    상기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분리 배치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에서 투사된 부화면 이미지 광의 출사 경로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측으로 변경하는 경로 변경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로젝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에서 생성된 부화면 이미지를 좌우 역전시키는 이미지 역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로젝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변경 유닛은 상기 부화면 이미지 광의 광 경로 상에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반사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프로젝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이미지 생성 유닛의 렌즈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광학 프로젝션 장치.
KR1020050072849A 2005-08-09 2005-08-09 광학 프로젝션 장치 KR10068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849A KR100689036B1 (ko) 2005-08-09 2005-08-09 광학 프로젝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849A KR100689036B1 (ko) 2005-08-09 2005-08-09 광학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313A KR20070018313A (ko) 2007-02-14
KR100689036B1 true KR100689036B1 (ko) 2007-03-08

Family

ID=4162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849A KR100689036B1 (ko) 2005-08-09 2005-08-09 광학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0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579A (ko) * 2001-04-24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프로젝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579A (ko) * 2001-04-24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프로젝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825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313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4872B (zh) Projection image display system
US20160109714A1 (en) Head-Up Display Device
JP200901512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5510759A5 (ko)
JP6481649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29592A (ja) 立体映像用スクリーン
JP2010091927A (ja) 単板投写型表示装置
US9664984B2 (en) Optical unit,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imaging apparatus
JP6296862B2 (ja) 画像表示装置
US9229309B2 (en) Projection apparatus
JP7112644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8746889B2 (en) Auto-variable perspective autostereoscopic 3D display
KR100689036B1 (ko) 광학 프로젝션 장치
JP2009109867A (ja) 映像投写装置
JP2005208174A (ja) 投映型画像表示装置
JP639126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10032932A (ja) プロジェクタ
JP2005208308A (ja) 立体投影装置
JP2015049272A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18087907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41653B1 (ko) 휴대가능한 프로젝터
JP6243118B2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ー及び電子カメラ
US7259919B2 (en) Thin-profile projection system
JP4031307B2 (ja) 画像投影システム
KR200164080Y1 (ko) 입체영상전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