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248B1 -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248B1
KR100688248B1 KR1020060086163A KR20060086163A KR100688248B1 KR 100688248 B1 KR100688248 B1 KR 100688248B1 KR 1020060086163 A KR1020060086163 A KR 1020060086163A KR 20060086163 A KR20060086163 A KR 20060086163A KR 100688248 B1 KR100688248 B1 KR 10068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agnet
magnet
fixed
stee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8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G01M5/005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현장 설치 시간 및 비용이 대폭 절감됨과 아울러 시험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교각과 교각 사이의 1/2되는 지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의 저면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와; 철골구조부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되, 몸체의 저면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자석과; 원통형상의 자석의 돌출부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링과; 금속재질의 링의 일면에 상단이 고정되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하단은 링타입의 처짐계가 구비된 철선과; 원통형상의 자석의 돌출부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하방으로 지면부근까지 형성되어 원통형상의 자석을 철골구조부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하는 선으로 구성된다.
강교, 교각, 주형, 슬래브, 자석, 철선, 처짐계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A fixing apparatus of measuring instrument forned an iron bridge using a nagnetic}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교 처짐계를 고정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교 처짐계를 고정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강교 12 : 교각
20 : 주형 및 슬래브 100 : 철골구조부
102 : 돌출부 104 : 자석
106 : 금속재질의 링 108 : 링타입의 처짐계
110 : 철선 112 : 선
본 발명은 강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에 대한 처짐량 및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한 처짐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현장 설치 시간 및 비용이 대폭 절감됨과 아울러 시험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교가 건설된 후, 강교로 장시간을 차량 등이 통과할 경우, 지속적인 하중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강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의 처짐현상이 발생되고, 심지어 누적된 피로에 의해 강교가 붕괴되는 대형 안전사고의 위험성
을 내포하고 있어 정기적인 안전진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같은 안전진단의 일부로서, 교각 위에 설치된 강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가 처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강교의 안전진단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교 처짐계를 고정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강교(10) 상에 이동하중이 작용할 경우, 강교(10)의 교각(12)과 교각(12) 사이의 1/2되는 지점에서 최대 휨모멘트와 최대처짐이 일어나게 되는 바, 통상 강교(10)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처짐 측정은 이곳에서 행하게 된다.
이러한 강교(10)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처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강교(10)의 높이에 맞도록 가설비계(30)를 다단으로 쌓은 다음, 가설비계(30)의 최상단부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강교(10)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저면에 처짐계(도시는 생략함)를 설치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가설비계를 이용한 강교의 처짐계 고정 방법은 신뢰성이 높은 측정값을 얻을 수 있으나, 가설비계 설치에 따른(예를 들어, 강교가 높은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설비계 설치에 따른 작업원의 안전성 결여 및 현장 여건에 따른 가 설비계 설치가 불가능(예를 들어, 하천 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교(10)의 시공이음부(SPLICE)(45)에, 철선(47)을 이용한 처짐계(50) 고정 방법이었으나, 최대 변이발생 지점의 처짐계(50) 고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을 이용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현장 설치 시간 및 비용이 대폭 절감됨과 아울러 시험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의 특징은,
교각(12)과 교각(12) 사이의 1/2되는 지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와;
상기 철골구조부(10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되, 몸체의 저면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돌출부(102)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자석(104)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링(106)과;
상기 금속재질의 링(106)에 상단이 고정되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링타입의 처짐계(108)가 구비된 철선(110)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하방으로 지면부근까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으로부터 링타입의 처짐계(108)를 용이하게 해체하는 선(112)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형 및 슬래브(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와, 원통형상의 자석(104)과, 금속재질의 링(106)과, 철선(110)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하방으로 지면부근까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으로부터 링타입의 처짐계(108)를 용이하게 해체하는 선(11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각(12)과 교각(12) 사이의 1/2되는 지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와, 상기 철골구조부(10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되, 몸체의 저면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돌출부(102)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자석(104)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링(106)과, 상기 금속재질의 링(106)에 상단이 고정되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링타입의 처짐계(108)가 구비된 철선(110)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하방으로 지면부근까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으로부터 링타입의 처짐계(108)를 용이하게 해체하는 선(112)으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교(10)의 교각(12)과 교각(12) 사이의 1/2되는 지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저면에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를 형성한다.
그런후에, 돌출부(102)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자석(104)을 일정한 장소에 위치 시킨 후,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금속재질의 링(106)을 부착시킴과 아울러, 몸체의 하단에 링타입의 처짐계(108)가 구비된 철선(110)의 상단을 상기 금속재질의 링(106)의 일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측면에는 철골구조부(100)로부터 원통형상의 자석(104)을 용이하게 해체하는 선(112)을 고정하여 설치한다.
그런후에, 상기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의 저면에 원통형상의 자석(104)을 부착한다.
따라서,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의 저면에 부착된 자석(104)에 의해 링타입의 처짐계(108)가 고정되어 있는 바, 강교(10)의 교각(12)과 교각(12) 사이의 1/2되는 지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가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할 경우, 링타입의 처짐계(108)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결과에 따라, 사용자는 강교(10)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이상변위를 확인한다.
한편, 강교(10)의 다른 부위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처짐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기 설정된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로부터 원통형상의 자석(104)을 해체시켜야 하는 바,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측면에 고정된 선(112)을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철골구조부(100)로부터 원통형상의 자석(104)이 해제된다.
따라서, 해체된 원통형상의 자석(104)을 다른 부위에 설치된 철골구조부(100)의 저면에 부착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각과 교각 사이의 주형 및 슬래브의 저면에 철골구조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철골구조부의 일측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자석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시험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처짐계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바, 교량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에 대한 처짐량 및 변형률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처짐계 고정하는 바, 제작이 용이하여 현장 설치 시간 및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험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각(12)과 교각(12) 사이의 1/2되는 지점의 주부재인 주형 및 슬래브(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철골구조부(100)와;
    상기 철골구조부(10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되, 몸체의 저면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돌출부(102)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자석(104)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링(106)과;
    상기 금속재질의 링(106)에 상단이 고정되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링타입의 처짐계(108)가 구비된 철선(110)과;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의 돌출부(102)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하방으로 지면부근까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자석(104)으로부터 링타입의 처짐계(108)를 용이하게 해체하는 선(1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KR1020060086163A 2006-09-07 2006-09-07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KR10068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63A KR100688248B1 (ko) 2006-09-07 2006-09-07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63A KR100688248B1 (ko) 2006-09-07 2006-09-07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248B1 true KR100688248B1 (ko) 2007-03-02

Family

ID=3810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63A KR100688248B1 (ko) 2006-09-07 2006-09-07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57B1 (ko) 2014-12-08 2016-06-07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금형 교체용 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305U (ko) 1986-03-31 1987-10-07
JPH0719840A (ja) * 1993-07-06 1995-01-20 Toshiba Material Eng Kk 線材の真円度測定方法
JPH1130513A (ja) 1997-07-10 1999-02-02 B M C:Kk 変位センサーの取付け構造
KR20000000298U (ko) * 1998-06-08 2000-01-15 권재원, 김정원 교량 상판의 처짐량 측정장치
KR100585336B1 (ko) 2006-01-02 2006-05-30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305U (ko) 1986-03-31 1987-10-07
JPH0719840A (ja) * 1993-07-06 1995-01-20 Toshiba Material Eng Kk 線材の真円度測定方法
JPH1130513A (ja) 1997-07-10 1999-02-02 B M C:Kk 変位センサーの取付け構造
KR20000000298U (ko) * 1998-06-08 2000-01-15 권재원, 김정원 교량 상판의 처짐량 측정장치
KR100585336B1 (ko) 2006-01-02 2006-05-30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57B1 (ko) 2014-12-08 2016-06-07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금형 교체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193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KR20180027669A (ko) 교량 거더의 처짐 측정 장치
CN110702261A (zh) 混凝土水化热实时监测系统及方法
CN104567641A (zh) 一种中小跨径桥梁挠度测量装置
KR100688248B1 (ko) 자석을 이용한 강교 처짐계의 고정장치
KR200443692Y1 (ko)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CN101762351B (zh) 一种大型建筑物拉杆拉力测量方法
KR101974497B1 (ko) 차량 축 중량 측정 장치
KR101715243B1 (ko) 앵커의 인장력 시험장치
KR101105369B1 (ko) 광섬유 변형률 센서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의 상대처짐량 측정장치 및 상대처짐 측정방법
KR20120050938A (ko) 벤딩 센서 장치
CN107255467B (zh) 用于混凝土连续梁桥节段施工的线形自动测量系统及方法
JP2012083320A (ja) ワイヤーたわみ測定装置
KR101782940B1 (ko)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KR100585336B1 (ko)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KR100762285B1 (ko) 안전진단을 위한 링 타입 처짐계의 분할고정장치
KR10074656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CN210221357U (zh) 一种埋入式应力传感器固定装置
KR100522935B1 (ko) 광역 지반 변위계측 및 경보 장치
CN208366235U (zh) 一种测量拼宽桥支点处拼接段横向位移和竖向沉降的装置
KR200231405Y1 (ko) 교량용 상판 거푸집의 처짐량 계측기
KR100786221B1 (ko) 강박스 거더교 슬래브의 안전진단 장치
CN107255466B (zh) 用于挂篮施工的沉降监测方法
KR20090099283A (ko)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상부에서의 처짐측정방법
JP3170895U (ja) 土木構造物の基礎杭鉛直度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