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940B1 -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940B1
KR101782940B1 KR1020170089183A KR20170089183A KR101782940B1 KR 101782940 B1 KR101782940 B1 KR 101782940B1 KR 1020170089183 A KR1020170089183 A KR 1020170089183A KR 20170089183 A KR20170089183 A KR 20170089183A KR 101782940 B1 KR101782940 B1 KR 10178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late
position change
information
chan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Priority to KR102017008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량 하부구조물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벨링장치, 복수의 레벨링장치 위에 각각 배치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을 동시에 인상하며,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유압잭,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장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 변화에 대한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치변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텍스트화하고, 텍스트화된 위치변화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구비하는 알림제어부를 포함하되, 레벨링장치는 교량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유압잭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 하부가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부가 제2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 및 제1,2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NOTICE SYSTEM FOR MANAGING BRIDGE AND SYSTEM FOR LIFTING BRIDGE}
본 발명은 교량관련 기술 분야 중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다리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로써, 이러한 교량은 교대와 교각 그리고 이들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거더와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구조물은 교각 상부측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로 지지 고정되어 시공 후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신축 응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작용이 가능하도록 시공된다.
이와 같은 교량은 시공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노후되거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교각, 상부구조물, 교좌장치 등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되며,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구조물을 유압 잭으로 인상시킨 후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교량의 각 구성부분을 보수 및 교체한다.
즉, 교량의 보수작업을 위하여 상부구조물을 인상함에 있어서는 교각 상부의 받침면과 상부구조물의 거더 사이 공간에 유압잭을 안치시킨 후, 상기 유압잭으로 거더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서 교각상부의 받침면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부구조물을 인상시켜,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된 교량의 교각, 상부구조물, 교좌장치 등을 보수 및 교체한다.
상기 교량 구조물 또는 부품의 보수 및 교체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따라서, 상기 교량 구조물은 보수 및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인상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교량 구조물이 인상되어 있는 경우, 외력 등에 더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잭에 문제가 생겨 교량이 기울어진다거나,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2-0066133호(2002.08.14.)에는 '교량구조물 위치이동 컴퓨터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구조물 위치 이동 컴퓨터 제어시스템은 교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그 교랑구조물에 대한 인상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인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2-0066133(2002.08.14.) '교량구조물 위치이동 컴퓨터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하부구조물(10)로부터 교량 받침(30)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상부구조물(20)을 인상하여 상기 교량 받침(30)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수단을 구비한 교량 인상 시스템으로써,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벨링장치(40); 상기 복수의 레벨링장치(40) 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을 동시에 인상하며,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유압잭(50); 인상된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장치(90); 상기 감지장치(9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교량 상부구조물(20)의 위치 변화에 대한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치변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텍스트화하고, 텍스트화된 위치변화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구비하는 알림제어부; 및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로의 이동성 확보를 위한 이동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42); 상기 제1플레이트(42)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유압잭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44); 하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42)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46); 상기 제1,2플레이트(42,4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48); 및 상기 제1플레이트(42)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상기 제1플레이트(42)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42a); 상기 제1플레이트(42)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재(48)의 풀림에 따른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강이 가능한 상태에서 구동에 따라 상기 제2플레이트(44)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3); 상기 유압잭(5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강에 의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 인접하거나, 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5);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4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7)를 포함하고, 상기 각 유압잭(50)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이 인상된 거리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장치(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측정장치(80)에 의해 측정된 인상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유압잭(50)에 가해지는 유압이 재조정되며, 상기 감지장치(90)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에 의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거나,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의 거리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감지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상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위치변화 정보가 입력되기 전까지 절전모드로 유지되며, 상기 관리자는 복수이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복수의 관리자 중 1 인의 이동단말기에 음성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4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48)는 너트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46)의 상,하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42)의 양측 상,하부에 구비되는 상,하고정바(110,120), 상기 상,하고정바(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바(130); 상기 조절바(13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절바(13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140); 상기 상,하고정바(110,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바(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50); 및 상기 가이드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에 접하면서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수단을 구비한 교량 인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보수 등을 위하여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화에 대한 자동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대형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야간 등 관리자 부재 중에도 안전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알림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서버나 고가의 통신장비 없이 효율적으로 알림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 통신사의 메시지 서비스 및 음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관리자의 이동단말기에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에 이용되는 교량 인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에서 감지부가 설치된 교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에서 레벨링장치에 이동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에서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은 감지장치, 정보생성부 및 알림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장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알림제어부는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치변화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변화는 높이변화 또는 수평위치 변화일 수 있다.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은 교량 받침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교량 받침이 손상 또는 침하되는 경우,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 받침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이 리프트 되어 있는 경우, 유압잭의 유압이 풀리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이러한 위치 변화 즉, 높이변화 또는 수평위치변화를 감지하며, 본 발명에서의 위치변화는 높이변화이다.
상기 감지장치는 교량 상부구조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거나, 교량 상부구조물과의 거리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압력변화 또는 거리변화를 감지할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지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압력변화의 크기, 압력변화의 방향(감소 또는 증가), 거리변화의 크기, 거리변화의 방향(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변화 정보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즉, 상기 정보생성부는 감지장치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위치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위치변화 정보는 기본적으로 위치변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위치변화의 크기 방향(감소 또는 증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변화 정보는 상기 알림제어부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상기 알림제어부는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의 이동단말기(이동 전화, 핸드폰, 스마트폰)로 전송한다.
이하에서 이동단말기와 스마트폰은 같은 의미이고 설명을 쉽게하기 위한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관리자는 상기 교량의 보수를 담당/관리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및 상기 이동단말기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이동단말기는 감독관의 이동단말기, 제2이동단말기는 현장소장의 이동단말기, 제3이동단말기는 현장책임자의 이동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알림제어부는 이동단말기,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위하여 기설치된 알림 프로그램(알림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며, 상기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알림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의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텍스트화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알림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폰에 기설치된 메시지 생성 프로그램(통신사 메시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 및 발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의 전송은 각 통신사의 통신 네트워크(2G, 3G, LTE, LTE-A 등)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메시지 전송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근접한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GPS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현장(교량 공사 현장)과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특정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에 우선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시지의 전송은 기설정된 간격에 따라 복수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는 10분 간격으로 발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의 전송은 정해진 회수에 따라 이루어진 후 중단되거나, 관리자가 재설정함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위치변화 정보의 전달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Wi-Fi, 블루투스) 등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커넥터 와이어 및 스마트폰의 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변화 정보(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위에서 설명된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위치변화 정보를 텍스트화하는 처리장치 및 상기 텍스트화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서버나 통신수단 없이 교량의 감지 및 관리 시스템을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단순히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기설정된 관리자 중 1인의 이동단말기에 음성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전화를 걸 수 있다).
이러한, 음성통신 연결은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여 대응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성통신 연결시, 상기 이동단말기의 표시창에 위치변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존 통신사의 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은 적게는 수일간에서 수주간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알림제어부의 스마트폰이 장시간 작동할 수 있도록 절전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절전모드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지 않는 비행모드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평시에 절전모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정보생성부로부터 위치변화 정보가 전달되면 이를 감지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메시지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하로 배터리 잔량이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은 보수 등을 위하여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변화에 대한 자동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대형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야간 등 관리자 부재 중에도 안전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알림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서버나 고가의 통신 장비 없이 효율적으로 알림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존 통신사의 메시지 서비스 및 음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관리자의 이동단말기에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은 출원번호 10-2014-0047802호(2014.04.22.)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과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종래의 방법에 의해 인상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관리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 출원인의 출원에 개시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과 결합된 교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교량 하부구조물(10)과 교량 상부구조물(20) 사이에 레벨링장치(40) 및 유압잭(50)을 배치시킨다.
상기 레벨링장치(40) 및 상기 유압잭(50)은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벨링장치(40) 및 상기 유압잭(50)은 교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은 교각일 수 있으며,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은 거더일 수 있다.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 사이에는 교량 받침(30)이 배치되며, 설명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은 상기 교량 받침(30)을 교체 또는 수리 등을 포함하는 점검을 진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42), 상기 제1플레이트(42)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유압잭(50)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44), 하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42)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46) 및 상기 제1,2플레이트(42,4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4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42)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 사이에는 미끄럼방지부재(4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42a)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상기 제1플레이트(42)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상기 유압잭(5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홈(4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잭(50)은 하부가 상기 가이드홈(44a)으로 인입되면서 전후 또는 좌우로의 움직임 없이 수평 상태로의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잭(50)은 몸체부(52)와 이동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54)는 상기 몸체부(52)에 삽입되며, 유압의 작동에 의해 상기 몸체부(52)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몸체부(52) 내부로 이동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4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48)는 너트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46)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2플레이트(42,44)는 상기 간격조절부재(48)를 풀림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사이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48)를 조임함에 따라 간격 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상기 레벨링장치(40) 위에 배치되는 상기 유압잭(5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42)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구동에 따라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승,하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3)는 일반적인 형태의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레벨링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5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강에 의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 인접하거나 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5)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4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어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7)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45)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레벨링장치(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50)의 수직위치 조정시, 상기 실린더(43)가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재(48)를 풀림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48)의 풀림에 따른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하강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43)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유압잭(50)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45)는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에 따른 상기 유압잭(50)의 수직이동에 따라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에 인접하거나, 접하는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47)는 상기 위치감지센서(4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43)에 의한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재(48)를 조임함으로써 상기 유압잭(50)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에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위치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압잭(50)의 이동부(54) 상면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의 하면에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잭(50)을 작동시켜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을 인상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잭(50)은 이동부(54)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을 인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량 받침(30)과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이 이격되어 상기 교량 받침(30)을 수리 또는 교체 등을 포함하는 점검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교량 받침(30)에 대한 점검작업 후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함으로써 인상된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10)을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하기 위하여 유압잭이 사용되었으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높이 차이가 큰 경우, 유압잭의 높이를 조정하기에 어려웠다.
또한, 유압잭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가 어려워서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시 유압잭에 매우 큰 힘이 가해진다는 것을 고려할 때, 작업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벨링장치(4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유압잭(5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유압잭(50)의 수직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의 인상을 안정적이고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상 공법에서 복수의 유압잭(50)이 배치된다.
교량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인상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유압잭(50)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유압잭(50)은 자동 유압분배기(60)와 연결된다.
상기 자동 유압분배기(60)는 유압펌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유압을 각 유압잭(50)에 분배하며,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유압분배기(60)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압잭(50)은 높이측정장치(80)와 결합된다.
상기 높이측정장치(80)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이 실제로 인상된 거리를 측정하여 콘트롤러(70)로 측정된 값을 전송한다(유선 또는 무선). 상기 유압잭(50)에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도록 설정되더라도 실제로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지 않거나,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더라도 인상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된 인상 거리를 비교하여 유압잭(50)의 유압을 조절한다.
제1유압잭의 인상량이 제2유압잭의 인상량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유압잭의 유압을 감소시키거나, 제2유압잭의 유압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르면, 상기 높이측정장치(80)를 통하여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이 실제로 인상된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들을 비교하여 인상량을 조정함으로써 복수의 유압잭을 이용한 동시 인상을 안정적이고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교량 상부구조물(20) 사이에는 감지장치(90)가 배치된다.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은 상기 교량 받침(30)의 보수 등이 끝나고 상기 레벨링장치(40) 및 상기 유압잭(50)이 제거될 때까지 인상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나, 외부의 조건 또는 상기 유압잭(50)의 오작동 등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90)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장치(90)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에 의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이거나,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마그넷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90)는 기설정된 범위보다 큰 압력변화 또는 거리변화를 감지할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지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압력변화의 크기, 압력변화의 방향(감소 또는 증가), 거리변화의 크기, 거리변화의 방향(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레벨링장치(40) 및 상기 유압잭(50)은 각각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90) 역시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정보생성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변화 정보는 알림제어부를 전송하며, 상기 알림제어부는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화된 위치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설정된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음성 통신을 연결한다.
상기 관리자는 상기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위치변화 여부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한 조치 및 대응이 가능하여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정보생성부는 복수의 감지 장치에 연결되어 각각 대응하는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제어부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생성부와 상기 스마트폰은 동일한 케이스 또는 각각 별개의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의 근거리 내 예를 들어, 교각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은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로의 이동성 확보를 위한 이동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인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운반작업 없이 적정 위치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42)의 양측 상,하부에 구비되는 상,하고정바(110,120), 상기 상,하고정바(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바(130), 상기 조절바(13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절바(13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140), 상기 상,하고정바(110,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바(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50) 및 상기 가이드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에 접하면서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16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바(130)는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베어링 등에 의해 상기 상,하고정바(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절바(130)는 상단부가 상기 상고정바(110)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과 연결된다.
상기 조절바(1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151)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절바(13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조절바(130)는 상기 상,하고정바(110,120)의 사이 구간에서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체결공(151)이 형성되면서 상기 조절바(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바퀴(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타단부에 상기 바퀴(160)가 인입되면서 힌지축(1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 형태의 홈부(15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은 조절레버로 이루어지거나,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이 조절레버로 이루어지는 경우,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조절레버가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바(13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이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조절바(13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160)는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으로부터의 회전력 전달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50)와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이격되거나 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이동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으로부터의 회전력 전달에 따라 상기 바퀴(160)가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상기 바퀴(160)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에 접함에 따라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적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퀴(160)는 하강시, 상기 가이드부재(150)가 상기 하고정바(120)에 접함에 따라 하강이 정지되는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42)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레벨링장치(40)가 적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으로부터의 회전력 전달에 따라 상기 바퀴(160)가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의,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이동이 필요 없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바퀴(160)는 상기 가이드부재(150)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42)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50)가 상기 상고정바(110)에 접함에 따라 승강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42)는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42)는 양측면에 가이드홈(42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홈(42b)으로 인입되는 가이드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42b)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가이드돌기(154)가 상기 가이드홈(42b)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154)는 상기 가이드홈(42b)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140)으로부터 상기 조절바(130)로의 회전력 전달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50)가 함께 회전됨이 없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중량물인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운반작업 없이 적정 위치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교량 하부구조물 20 : 교량 상부구조물
30 : 교량 받침 40 : 레벨링장치
42 : 제1플레이트 43 : 실린더
44 : 제2플레이트 45 : 위치감지센서
46 : 가이드로드 47 : 제어부
48 : 간격조절부재 50 : 유압잭
52 : 몸체부 54 : 이동부
60 : 유압분배기 70 : 콘트롤러
80 : 높이측정장치 90 : 감지장치
100 : 이동부 110 : 상고정바
120 : 하고정바 130 : 조절바
140 : 회전력전달수단 150 : 가이드부재
151 : 체결공 152 : 힌지축
153 : 홈부 154 : 가이드돌기
160 : 바퀴

Claims (1)

  1. 교량 하부구조물(10)로부터 교량 받침(30)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상부구조물(20)을 인상하여 상기 교량 받침(30)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수단을 구비한 교량 인상 시스템으로써,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벨링장치(40);
    상기 복수의 레벨링장치(40) 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을 동시에 인상하며,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유압잭(50);
    인상된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장치(90);
    상기 감지장치(90)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교량 상부구조물(20)의 위치 변화에 대한 위치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위치변호 정보의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텍스트화하고, 텍스트화된 위치변화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구비하는 알림제어부; 및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로의 이동성 확보를 위한 이동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장치(40)는,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플레이트(42);
    상기 제1플레이트(42)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 상기 유압잭이 안착되는 제2플레이트(44);
    하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42)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로드(46);
    상기 제1,2플레이트(42,4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48); 및
    상기 제1플레이트(42)와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과 상기 제1플레이트(42)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42a);
    상기 제1플레이트(42)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4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재(48)의 풀림에 따른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강이 가능한 상태에서 구동에 따라 상기 제2플레이트(44)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43);
    상기 유압잭(5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승강에 의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 인접하거나, 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5);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4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3)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7)를 포함하고,
    상기 각 유압잭(50)에 의해 교량 상부구조물(20)이 인상된 거리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장치(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측정장치(80)에 의해 측정된 인상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유압잭(50)에 가해지는 유압이 재조정되며,
    상기 감지장치(90)는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에 의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거나, 상기 교량 상부구조물(20)과의 거리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감지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상기 정보생성부는 상기 위치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위치변화 정보가 입력되기 전까지 절전모드로 유지되며,
    상기 관리자는 복수이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복수의 관리자 중 1 인의 이동단말기에 음성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46)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48)는 너트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플레이트(44)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로드(46)의 상,하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42)의 양측 상,하부에 구비되는 상,하고정바(110,120), 상기 상,하고정바(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바(130);
    상기 조절바(13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조절바(13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140);
    상기 상,하고정바(110,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바(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50); 및
    상기 가이드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 하부구조물(10)에 접하면서 상기 레벨링장치(40)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수단을 구비한 교량 인상 시스템.
KR1020170089183A 2017-07-13 2017-07-13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KR10178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183A KR101782940B1 (ko) 2017-07-13 2017-07-13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183A KR101782940B1 (ko) 2017-07-13 2017-07-13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940B1 true KR101782940B1 (ko) 2017-09-29

Family

ID=6003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183A KR101782940B1 (ko) 2017-07-13 2017-07-13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9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358B1 (ko) * 2017-10-17 2018-05-28 비승산업(주) 유지보수가 쉬운 교량용 포트 베어링
CN109610328A (zh) * 2018-12-18 2019-04-12 中铁隧道集团处有限公司 跨座式单轨简支pc轨道梁高精度安装方法
CN110029582A (zh) * 2019-05-16 2019-07-19 中铁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系杆拱桥双吊杆同步张拉的装置及方法
CN110029582B (zh) * 2019-05-16 2024-06-11 中铁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系杆拱桥双吊杆同步张拉的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59B1 (ko) 2014-04-22 2014-12-31 웅진엔지니어링(주)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59B1 (ko) 2014-04-22 2014-12-31 웅진엔지니어링(주)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358B1 (ko) * 2017-10-17 2018-05-28 비승산업(주) 유지보수가 쉬운 교량용 포트 베어링
CN109610328A (zh) * 2018-12-18 2019-04-12 中铁隧道集团处有限公司 跨座式单轨简支pc轨道梁高精度安装方法
CN110029582A (zh) * 2019-05-16 2019-07-19 中铁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系杆拱桥双吊杆同步张拉的装置及方法
CN110029582B (zh) * 2019-05-16 2024-06-11 中铁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系杆拱桥双吊杆同步张拉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25B1 (ko)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양방향 c.p.s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KR100555247B1 (ko) 구조물의 다지점 동시 인상용 컴퓨터 제어 인상 시스템 및그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
CN106223210B (zh) 一种具有测控和自合拢功能的自动化转体施工方法及系统
KR102026083B1 (ko)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일방향 c.p.s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KR102021850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KR101782940B1 (ko) 교량 관리를 위한 알림과 교량 인상 시스템
KR102036839B1 (ko) 교량용 교량받침 교체보수를 위한 진동저감형 인상장치 및 컴퓨터 제어방식이 적용되는 그 시공방법
US6260311B1 (en) Concrete form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KR101248838B1 (ko) 교량 상판의 인상용 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 공법
US20130313045A1 (en) Scaffolding attachment arrangement
BG66412B1 (bg) Фермова конструкция с регулиране на предварителното напрягане
CN102681553A (zh) 泵车臂架收回的控制方法、系统和泵车
KR101478159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공법
KR102072664B1 (ko) 컴퓨터 제어 기반의 교량 인상 시스템 및 공법
CN108951658A (zh) 一种基于主动控制的深基坑型钢支护系统
KR101704550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컴퓨터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CN208415485U (zh) 多层空中钢连廊吊装系统
KR100812283B1 (ko) 동기/비동기식 구조물 인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4633B1 (ko) 편심 하중에 의한 교량 손상 방지를 위한 교량 인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방법
KR102101380B1 (ko) 산업형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인상시스템
KR101897099B1 (ko) 무인상 교량받침 시공방법
KR101908713B1 (ko) 거동 가능한 교량 인상의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교좌장치 시공 공법
KR101579604B1 (ko) 교각하부 파일커팅 유압동조 시스템
KR101885159B1 (ko) 구배조정용 인상잭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교량인상 제어시스템
KR101792464B1 (ko) 유.무선으로 제어 가능한 컴퓨터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