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042B1 - 관형 캐리어 - Google Patents

관형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042B1
KR100688042B1 KR1020007002048A KR20007002048A KR100688042B1 KR 100688042 B1 KR100688042 B1 KR 100688042B1 KR 1020007002048 A KR1020007002048 A KR 1020007002048A KR 20007002048 A KR20007002048 A KR 20007002048A KR 100688042 B1 KR100688042 B1 KR 10068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ubular
tube
bear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406A (ko
Inventor
쿠르트 뮐포르테
올라프 한센
헨크 베커
티노 부스
롤프 비쇼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2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19Modular wiper assembly the support structure being integrally m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하우징(28)이 배치된 단부들을 가지는 캐리어 튜브(12)에 고정된 모터 캐리어(14)를 구비한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을 위한 관형 캐리어(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캐리어 튜브(12), 상기 모터 캐리어(14)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28)이 일체형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된다.
관형 캐리어, 와이퍼, 와이퍼 베어링, 캐리어 튜브, 베어링 하우징. 플라스틱 소재.

Description

관형 캐리어{tubular carri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관형 캐리어(tubular carrier)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wiper system)들은 와이퍼 캐리어, 소위 캐리어 또는 관형 캐리어(와이퍼 캐리어가 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이 캐리어에 포함되어 있는 모터 캐리어는 와이퍼 모터 및 이에 설치된 기어 박스를 구비한 와이퍼 구동 장치를 지지하고 있다. 이 기어 박스의 피동 샤프트는 기어 박스 돔(gear box dome) 안에 지지되고, 일반적으로 크랭크 및 연결 로드를 통해 크랭크들을 구동시키며, 상기 크랭크는 와이퍼 각각에 대한 구동 샤프트와 고정 연결되어 있다. 기어 박스 하우징은 3개의 나사에 의해 모터 캐리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모터 캐리어는 캐리어 튜브에 의해 고정된다. 이 나사들은 상기 기어 박스 돔 둘레에 분포 배치되고 모터 캐리어의 나사구멍에 끼워지며, 또한 이 나사들은 피동측 하우징 커버의 전술한 나사 연결부내로 맞물린다. 나사 연결부들은 상기 모터 캐리어에서 기어 박스 하우징을 지지한다.
이 윈드실드 와이퍼의 구동 샤프트는 와이퍼 베어링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 하우징(bearing housing)은 상기 캐리어의 단부들에 고정되거나 성형되어 있다. 이 캐리어는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또는 체결 아이(fastening eyes)에 의해 차체에 직접 고정되며, 이 체결 아이는 베어링 하우징에, 캐리어에 및/또는 모터 캐리어에 성형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들은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많은 인터페이스(interface) 및 그에 상응하는 허용오차를 필요로 한다.
독일 공보 DE-GM 74 34 119호에는 모터 캐리어로서 이용되는 플레이트(plate)가 4각 파이프에 용접되고, 관형 캐리어가 이 4각 파이프로 만들어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4각 파이프들의 단부들에는 각각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이 고정되어 있다. 그런 관형 캐리어 또는 관형 프레임 장치(tubular frame device)는 구조가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적이다. 비용상의 이유로 프리-벤딩(pre-bending) 공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선의 캐리어 튜브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유럽 공보 EP 04 09 944 B1호에는 관형 캐리어에 있어서 모터 캐리어가 형상 결합식(form-fit) 연결부들에 의해 관 형상 부재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변형 예에서는 상기 모터 캐리어가 상기 기어 박스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관형 캐리어가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이 부분들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흡음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 변형 예에 따르면 관형 캐리어가 부분적으로 흡음 소재로 채워진다.
또한 유럽 공보 EP 0 689 975 A1호에는 모터 캐리어를 구비한 관형 캐리어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대칭 구조의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 부분들은 그 측면에 캐리어 튜브 쪽을 향한 홈들을 가지며, 이 홈 안에 캐리어 튜브가 삽입된다. 이 홈들은 각각 약 180°의 둘레 범위로 상기 캐리어 튜브를 감싸므로, 양 홈들은 함께 상기 캐리어 튜브의 전체 둘레를 감싼다. 조립 시에 모터 캐리어의 양 부분들은 상기 캐리어 튜브 둘레에 배열되어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또는 접착을 통해 또는 가열 결합(heating connection)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캐리어 튜브는 모터 캐리어에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및/또는 접착을 통해 소재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모터 캐리어의 2개의 부분들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으로도 통합될 수 있다.
에르하르트 귄터(Erhard, Guenter)의 "construct with plastics", Hansa 출판사, 1993년, ISBN No. 3/446/17397/8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반제품을 중공형 프로파일(hollow profile)을 가진 공작물로 변형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가스, 예를 들어 질소가 고압 상태에서 분할된 몰드 안으로 불어넣어지는데, 상기 몰드 안에는 가열된 플라스틱 반제품 또는 플라스틱 용융물이 있다. 이 고압 가스에 의해 플라스틱이 몰드의 내부 윤곽으로 프레스되며, 상기 플라스틱은 냉각 후에 주조된 형상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복잡한 형상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 주입은 탕구 영역(sprue area)에서 또는 몰드의 다른 지점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 튜브, 모터 캐리어와 베어링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그 때문에 부재 및 인터페이스의 수가 감소된다. 또한 허용 오차가 더욱 작아지는데, 그 이유는 관형 캐리어의 크기가 다수의 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몰드에 따른 윤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 관형 캐리어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쉽게 제조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튜브는 가스 주입 내압 방법(gas internal pressure method)에 따라 몰드 안에서 성형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 모터 캐리어 및 고정부(fastening point)들이 동일한 몰드 안에서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양 방법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공정에서 적은 중량 및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 중공체(hollow body)를 만들 수 있고 이것을 고형물로 된 부재들과 시임 없이(seamless)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가공이 필요 없게 된다.
이 제조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를 허용함으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차체에서 관 형태 및 고정부들과 관련한 고객 요구들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면을 직접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공정에서 베어링 부시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 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들은 임의의 형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캐리어 튜브에 및/또는 모터 캐리어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끝으로 강도, 진동 특성 및 치수 안정성과 관련한 요구에 따라 종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튜브의 횡단면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직경 및 외부 윤곽과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벽 두께와도 관련되어 있다.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윤곽을 가지는, 예를 들어 원통형, 원추형 또는 정방형의 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은 하기의 도면 설명에 나타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은 다수의 특징들을 조합된 형태로 포함한다. 당업자는 이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다른 조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내고압 공정의 초기에 몰드의 단면도.
도 3은 내압의 형성 단계에서 도 2에 따른 몰드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캐리어 튜브의 횡단면의 변형 예들,
도 7은 캐리어 튜브의 파형 영역의 종단면도.
관형 캐리어(10)는 캐리어 튜브(12)와 모터 캐리어(14)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튜브의 단부들에는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하우징(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 캐리어는 기어 박스를 구비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수납하기 위한 보어(bore: 16)를 가지며, 상기 기어 박스는 나사에 의해 모터 캐리어(14)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보어(16) 둘레에 분포 배치된 나사구멍들(18)이 이용된다. 이 모터 캐리어(14)는 그 가장자리에 보강 리브(rib: 22)를 가지며 보어(16) 및 나사구멍(18)의 영역에 비드(bead; 24)를 갖는다. 이것은 고정부(20)로서 형성된, 휘어진 영역을 통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지지된다. 고정을 위해 이용되는 나사들이 모터 캐리어(14)의 종방향 구멍(26)에 끼워진다. 종방향 구멍(26)들을 가진 그 밖의 고정부(20)들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28)들에 성형되어 있다. 이베어링 하우징들은 상기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면 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 보어(32)에 삽입된 베어링 부시(bush: 34)를 직접 갖는다.
횡단면이 서로 다를 수 있는 캐리어 튜브(12)의 영역들이 36, 38, 40의 도면 부호로 표시되며, 이 경우 상기 횡단면 윤곽(cross section contour) 및 소재 두께는 연속적으로 서로 이어질 수 있다. 횡단면 윤곽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기타의 형상이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예시적으로 몇 개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50)으로 하나의 영역에서 또는 다수의 영역에서 상기 캐리어 튜브(12)를 파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리어 튜브(12)는 가스 주입 내압 방법에 따라 다수 부분의(multi-part) 몰드(42, 44)내에서 만들어진다. 도 2와 도 3은 상기 방법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정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측의 몰드(42)와 하측의 몰드(44)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프레스에 의해 고정된다. 이들은 상기 관형 캐리어(10)의 외부 윤곽에 상응하는 중공실(52)을 형성한다. 플라스틱 용융물(46)이 탕구(54)를 통해 상기 중공실(52) 안으로 도입되며, 압축가스, 일반적으로 질소가 압축가스 공급부(48)를 통해 플라스틱 용융물(46) 중앙으로 도입된다.
이 압축가스는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46)을 상기 중공실(52)의 벽에 접촉시키고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46)을 상기 중공실(52) 안으로 계속 밀어넣는다. 상기 가스 주입 내압 방법에 따라, 상기 모터 캐리어(14)와 베어링 하우징(28)의 영역에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그 밖의 탕구들을 통해 이 부재들은 사출 성형 방법으로 성형된다. 이 때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46)의 온도와 압력 및 성형 시간이 서로 매칭되므로, 상기 캐리어 튜브(12)는 성형 부재들(14, 20 및 28)과 시임 없이 (seamless) 연결된다. 이 플라스틱 용융물(46)의 냉각 후에, 완성된 관형 캐리어 (10)가 몰드로부터 분리되고 2차 처리(secondary treatment)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치수 안정성을 높이고 진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튜브(12)의 중공실들을 플라스틱으로 발포충전(foam-filled)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8)

  1.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관형 캐리어(10)를 와이퍼 시스템에 사용하도록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튜브(12)가 가스 주입 내압 방법에 의해 공구 몰드(42, 44)내에서 성형되고, 베어링 하우징(28)과 모터 캐리어(14) 및 고정부(20)는 사출성형 방법으로 상기 공구 몰드(42,44)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튜브(12)는 플라스틱으로 발포 충전(foam-fil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관형 캐리어에 있어서,
    모터 캐리어(14)는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하우징(28)이 배치되어 있는 단부들에서 캐리어 튜브(12)에 고정되고, 캐리어 튜브(12)와 모터 캐리어(14) 및 베어링 하우징(28)은 플라스틱으로 단일체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28) 안으로 베어링 부시(3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28)은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튜브(12)는 종방향에서 관의 횡단면이 서로 다른 영역(36,38,4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튜브(12)는 종방향에서 부분적으로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베어링 하우징(28)과 캐리어 튜브(12) 또는 모터 캐리어(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캐리어.
KR1020007002048A 1998-07-01 1999-06-17 관형 캐리어 KR100688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9320.8 1998-07-01
DE19829320A DE19829320B4 (de) 1998-07-01 1998-07-01 Rohrplatine
PCT/DE1999/001776 WO2000001563A1 (de) 1998-07-01 1999-06-17 Rohrplat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406A KR20010023406A (ko) 2001-03-26
KR100688042B1 true KR100688042B1 (ko) 2007-02-28

Family

ID=787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048A KR100688042B1 (ko) 1998-07-01 1999-06-17 관형 캐리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34102B1 (ko)
JP (1) JP2002519244A (ko)
KR (1) KR100688042B1 (ko)
BR (1) BR9906575A (ko)
DE (2) DE19829320B4 (ko)
ES (1) ES2241306T3 (ko)
WO (1) WO2000001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253A1 (de) * 2000-09-29 2002-04-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festig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eines Kraftfahrzeugs
DE10143610A1 (de) 2001-09-06 2003-04-1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anlage
DE10158098A1 (de) * 2001-11-27 2003-06-05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32329A1 (de) * 2002-07-17 2004-02-05 Daimlerchrysler Ag Kraftwagenkarosserie mit einer Strebenanordnung
DE102004007350A1 (de) * 2004-02-16 2005-09-22 Volkswagen Ag Fahrzeug mit einer Scheibenwischeranlage
DE102004009279A1 (de) * 2004-02-26 2005-09-1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BRPI0502600A (pt) * 2005-06-30 2007-11-13 Valeo Sistemas Automotivos componente do tipo suporte para fixação de mecanismo limpador de pára-brisas aplicado em veìculos automotores
DE102010062495A1 (de) * 2010-12-07 2012-06-14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WO2017091173A1 (en) * 2015-11-26 2017-06-01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Plastic carrier apparatus for motor vehicle wiper systems
DE102016003790A1 (de) * 2016-03-29 2017-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Wischer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3671A (en) * 1972-06-19 1974-02-26 Ford Motor Co Windshield cleaner assembly
DE7434119U (de) 1974-10-11 1975-02-06 Rau G Gmbh Antrieb für Scheibenwischer in Fahrzeugen
IT212195Z2 (it) * 1987-10-06 1989-07-04 Magneti Marelli Spa Struttura di sopporto per un dispositivo tergicristallo a due bracci tergitori per autoveicoli
DE3919837A1 (de) * 1988-06-21 1989-12-28 Fister Spa Scheibenwischerbaugruppe fuer ein kraftfahrzeug
DE3903976C2 (de) * 1989-02-10 1997-07-03 Teves Gmbh Alfred Wischeranlage
FR2721883B1 (fr) * 1994-06-30 1996-08-02 Valeo Systemes Dessuyage Platine-support pour un mecanisme d'essuie-glace
FR2721884B1 (fr) * 1994-06-30 1996-08-09 Valeo Systemes Dessuyage Platine-support d'un mecanisme d'essuie-glace comportant une plaque-support en deux parties
ES2177712T3 (es) * 1996-03-26 2002-12-16 Bosch Gmbh Robert Pieza tubular moldeada de sopor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교대상발명 사본 1 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4102A1 (de) 2000-09-13
EP1034102B1 (de) 2005-04-06
DE19829320B4 (de) 2007-03-01
ES2241306T3 (es) 2005-10-16
KR20010023406A (ko) 2001-03-26
WO2000001563A1 (de) 2000-01-13
BR9906575A (pt) 2000-09-19
JP2002519244A (ja) 2002-07-02
DE59911874D1 (de) 2005-05-12
DE19829320A1 (de) 200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714B2 (en) Cross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88042B1 (ko) 관형 캐리어
US8133424B2 (en) Structural el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such an element
EP2284066B1 (en) An automotive front support beam, front carrier, and a method of assembly
US8313134B2 (en) Integrated structural member for a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US8376444B2 (en) Integrated structural system for a vehicle
JP3837025B2 (ja) 剛性部分及び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材料製の部分を含むハイブリッド物品
US7735226B2 (en) Structural element for a motor vehicle, corresponding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one such structural element
GB2264450A (en) A plastic intake pipe and a method for forming same
JP4014658B2 (ja) ウインドワイパ装置
KR100650299B1 (ko) 플레이트
KR100616268B1 (ko) 와이퍼 브라켓
US20120181815A1 (en) Reinforcement Arrangement for A Door Pillar of a Passenger Car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Reinforcement Arrangement
KR101254826B1 (ko) 자동차용 모듈 지지부
US6685261B2 (en) Method for producing two fascias using two ventilation structures
KR100712869B1 (ko) 와이퍼 시스템
JP2004168289A (ja) クロスメン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92253A (ko)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US2022026648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ipe for cowl cross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ipe for cowl crossbar using the same
CN214875128U (zh) 车辆的横梁组件以及车辆
JP5631707B2 (ja) チューブ及びチューブの製造方法
CN112313143B (zh) 结构构件
CN112823114B (zh) 用于机动车辆的发动机托架
KR20220114997A (ko) 카울크로스바용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카울크로스바용 파이프
WO2017091173A1 (en) Plastic carrier apparatus for motor vehicle wip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