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703B1 -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703B1
KR100687703B1 KR1020040104801A KR20040104801A KR100687703B1 KR 100687703 B1 KR100687703 B1 KR 100687703B1 KR 1020040104801 A KR1020040104801 A KR 1020040104801A KR 20040104801 A KR20040104801 A KR 20040104801A KR 100687703 B1 KR100687703 B1 KR 10068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die
horizontal
casting
club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257A (ko
Inventor
이기태
송인용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04010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7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7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상기 수평연결장치와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봉 형상의 연장부재(100)와; 상기 연장부재(100) 사이에 설치된 장력조절부(200)와; 상기 연장부재(100)끼리 결합된 연결체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30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와,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를 특징으로 하므로,
거푸집 동바리가 외력에 의해 전도되거나 좌굴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한층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으며, 거푸집 동바리간의 간격에 변화가 있어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Apparatus for Connecting the Support Columns for Building Mould Horizontally, and the Engaged Structure of the Support Columns}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거푸집 동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걸림 결합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거푸집 동바리와 걸림 결합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연장부재와 장력조절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연장부재
200... 장력조절부
210... 장력조절부의 핸들
300... 걸림 결합부
310... 고정용 핀홀
400... 고정용 핀
800... 거푸집 동바리
900...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910... 선반홈
950... 상부지주
960... 하부지주
본 발명은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거푸집 동바리를 수평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전도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바닥 및 지붕은 슬래브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는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때, 슬래브의 거푸집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그 하부에서 동바리가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용 거푸집 동바리의 전형적인 구조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825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동바리(10)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하부지주(20), 외경이 하부지주(20)의 내경보다 작으며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상부지주(30), 상기 하부지주(20)에 바깥쪽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정역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편(42)이 외주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 는 조절나사(40), 및 상부지주(30)의 하단을 하부지주(20)의 내경에 삽입하는 경우 조절나사(40)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지주(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핀(5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거푸집 동바리를 거푸집의 아래쪽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 및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뿐이었다. 이에 따라, 거푸집 동바리가 측방향 하중에 의해 전도되거나 종방향 하중에 의해 좌굴(buckling)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이는 곧 안전사고로 연결되곤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 동바리의 전도와 좌굴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는,
2개의 거푸집 동바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로서,
2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봉 형상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설치된 장력조절부와;
상기 연장부재끼리 결합된 연결체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와;
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재는 장력조절부쪽 단부의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의 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2개의 연장부재의 중공에 동시에 나사결합되는 세파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력조절부의 외주면에는 핸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 결합부는, 거푸집 동바리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ㄱ"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ㄱ"자형의 브라켓 수평부에는 고정용 핀홀(pin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는,
전술한 수평연결장치와;
상기 수평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거푸집 동바리와;
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 동바리의 둘레를 따라 턱이 형성되어 있는 선반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연결장치의 걸림 결합부는, 상기 거푸집 동바리에 형성된 선반홈에 걸리도록 "ㄱ"자형의 브라켓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ㄱ"자형의 브라켓 수평부에는 고정용 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용 핀홀에는 고정용 핀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장치(800)가 2개의 거푸집 동바리(80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거푸집 동바리(900)는 상부지주(950)와 하부지주(960)로 구성되어 있고, 끼움핀(970)과 끼움구멍(980)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동바리(900)의 둘레에는, 턱이 있는 선반홈(910)이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선반홈(910)은 용접에 의해 상기 거푸집 동바리(900)의 둘레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연결장치(800)는, 2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봉 형상의 연장부재(100)와, 상기 2개의 연장부재(100)(100) 사이에 설치된 장력조절부(200)와, 상기 2개의 연장부재(100)가 결합된 연결체 양단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장부재(100)의 갯수는 2개를 초과하여도 된다.
먼저, 상기 연장부재(100)는 장력조절부(200)쪽 단부의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의 봉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100)의 장력조절부 반대쪽 단부에는 걸림 결합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장치(800)의 걸림 결합부(300)는, 상기 거푸집 동바리(900)에 형성된 선반홈(910)에 걸리도록 "ㄱ"자형의 브라켓(350)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ㄱ"자형 브라켓(350)의 수평부에는 고정용 핀홀(pin hole)(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용 핀홀(310)에는 고정용 핀(400)이 끼워져서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용 핀(400)은 유로폼용 등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망치로 가볍게 타격함으로써 핀홀(310)에 끼울 수 있으며, 상기 고정용 핀(400)이 끼워짐에 따라 상기 "ㄱ"자형의 브라켓과 선반홈(910)의 턱은 서로 견고하게 밀착된다. 상기 고정용 핀(400)에는 걸림핀홀(410)이 형성되어 있어, 걸림핀(390)에 의해 최종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부(200)는 상기 2개의 연장부재(100)의 중공과 동시에 나사결합되는 세파볼트(tie bolt)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파볼트의 외주면에는 핸들(210)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파볼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2개의 연장부재(100)가 긴장되거나 이완될 수 있어, 거푸집 동바리(800) 사이의 간격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들을 나타낼 뿐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응용이 있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선반홈(910) 대신 걸림고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걸림 결합부의 "ㄱ"자형 브라켓은 후크(hook)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200)가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장부재는 외주에 나사가 형성된 세파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높이조절기능이 없이 1개의 지주로만 구성된 거푸집 동바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연결장치에 의해 거푸집 동바리가 결합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전도되거나 좌굴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한층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동바리간에는 장력조절장치가 개재되어 있어, 거푸집 동바리간의 간격에 변화가 있어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2개의 거푸집 동바리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에 있어서,
    2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봉 형상의 연장부재(100)와;
    상기 연장부재(100)들 사이에 설치된 장력조절부(200)와;
    상기 연장부재(100)끼리 결합된 연결체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3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재(100)는 상기 장력조절부쪽 단부의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의 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부(200)는, 상기 2개의 연장부재(100)의 중공에 동시에 나사결합되는 세파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조절부(200)의 외주면에는 핸들(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300)는, 거푸집 동바리에 형성된 선반홈에 걸리도록 "ㄱ"자형의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의 브라켓 수평부에는 고정용 핀홀(pin hole)(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6. 제3항에 기재된 수평연결장치(800)와;
    상기 수평연결장치(800)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거푸집 동바리(900)와;
    로 구성된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동바리(900)의 둘레를 따라 턱이 형성되어 있는 선반홈(9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연결장치(800)의 걸림 결합부(300)는, 상기 거푸집 동바리(900)에 형성된 선반홈(910)의 턱에 걸리도록 "ㄱ"자형의 브라켓으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의 브라켓 수평부에는 고정용 핀홀(pin hole)(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용 핀홀(310)에는 고정용 핀(40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결합구조.
KR1020040104801A 2004-12-13 2004-12-13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8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801A KR100687703B1 (ko) 2004-12-13 2004-12-13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801A KR100687703B1 (ko) 2004-12-13 2004-12-13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438U Division KR200378254Y1 (ko) 2004-12-14 2004-12-14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257A KR20060066257A (ko) 2006-06-16
KR100687703B1 true KR100687703B1 (ko) 2007-03-02

Family

ID=3716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8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7703B1 (ko) 2004-12-13 2004-12-13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03B1 (ko) 2015-04-08 2016-07-28 노용규 동바리 길이연장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6061B (zh) * 2019-08-20 2021-06-29 辽宁有色基础工程有限公司 洞室危岩体可控支顶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16745B1 (ko) 2020-02-26 2021-10-26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재 일체형 스마트 h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03B1 (ko) 2015-04-08 2016-07-28 노용규 동바리 길이연장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257A (ko)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080B1 (en) Supporting device for prefabricated units, in particular for constructions having a metallic structure
KR100687703B1 (ko)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KR200378254Y1 (ko)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KR101245666B1 (ko) 각도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펜스
KR100834130B1 (ko) 서포트
JP6220645B2 (ja) 柱脚固定構造及び柱脚固定方法
JPH0593461A (ja) 仮設枠組構造物における連結装置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200487458Y1 (ko) 동바리용 쐐기 타입 클램프
JPH02274962A (ja) 階段用仮設手摺り装置
JP2595517Y2 (ja) カンザシ筋支持装置
JPH10317674A (ja) 異形鉄筋の位置決め装置
KR200495712Y1 (ko) 기둥 거푸집 지지 장치
JP3000750U (ja) 合成樹脂製擬木の外柵
JP5080670B2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アンカーボルトの使用方法
JP3128749U (ja) 忍返しをとりつけたコンクリート塀
JP2024032236A (ja) 支柱支持装置
KR200439600Y1 (ko) 난간 지주
JP3000796U (ja) 仮設フェンス
JPS5923161Y2 (ja) コンクリ−ト型枠支持金具
KR20050017843A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용 브라켓
JPH0960352A (ja) 合成樹脂製柵及びその構築方法
JPH0633152Y2 (ja) 合成樹脂製擬木外柵
CN2580026Y (zh) 可装在建筑物上的脚手架
JP3157817U (ja) アンカー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30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2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